KR101659867B1 -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867B1
KR101659867B1 KR1020140130739A KR20140130739A KR101659867B1 KR 101659867 B1 KR101659867 B1 KR 101659867B1 KR 1020140130739 A KR1020140130739 A KR 1020140130739A KR 20140130739 A KR20140130739 A KR 20140130739A KR 101659867 B1 KR101659867 B1 KR 10165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ving plate
hole
coating liqui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249A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김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중 filed Critical 김기중
Priority to KR102014013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8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산간도로변의 절개지 등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시공되는 옹벽 구축용 보강토블럭의 전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보강토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의 도포액 도포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일정한 도포되는 도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다수개의 옹벽용 보강토블럭을 양측으로 전면부를 노출되도록 이동판에 적층시켜 이동판을 이동시키게 하거나 보강토블럭의 양측 전면부에 도포액을 분사시키는 기둥바를 이동가능케 하여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도포가능케 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작업을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토블럭의 전면부를 간단하게 도포가능케 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모터에 의해 이동속도와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되는 도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도포량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어 도포되는 품질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한꺼번에 많은 양의 보강토블럭의 전면부를 도포가능케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Retaining wall Make coating system}
본 발명은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산간도로변의 절개지 등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시공되는 옹벽 구축용 보강토블럭의 전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보강토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의 도포액 도포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일정한 도포되는 도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지 등에 도로를 건설하거나 또는 건물을 짓게 되는 경우 절벽처럼 깎아내린 절개지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쌓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옹벽은 통상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벽돌인 보강토블럭을 쌓아올려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물이나 벽돌의 경우 통상 우중충한 느낌을 주는 회색이거나 또는 적색(적벽돌의 경우)의 단조로운 색상으로 되어 있어 시공 상태에서 주변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옹벽용 보강토블럭은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옹벽 블럭과 그리드 보강재(그리드, 타이백 등) 또는 띠형 보강재 등과 함께 시공되며, 보강토 옹벽의 장점은 시공의 구조적인 안전성과 성토체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그리드 보강재 또는 띠형 보강재에 의해 성토된 흙과의 상호 결속으로 하중을 균등분포시키고 부등침하의 내성에 강하며 경제성이 좋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로 시멘트에 각종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옹벽용 벽돌을 제조하므로써 옹벽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으나 안료의 첨가는 다른 부작용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부작용이 없는 대체 수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안료를 첨가하므로써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어 옹벽의 미관 개선에는 일조를 하게 되나 첨가되는 안료의 값이 비싸 원가 상승 부담이 크고, 콘크리트와 혼합되기 때문에 원하는 제 색깔의 표현이 힘들며, 햇빛을 받아 자외선에 노출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탈색 및 변색되는 문제가 있고, 또 안료를 첨가하므로써 벽돌의 강도가 조금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 및 특정색상의 안료를 섞은 콘크리트 재료가 벽돌 제작 후 남을 경우 다른 곳에는 쓰기 곤란하여 원가 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그밖에 제작된 벽돌에 따라 색상이 약간씩 불규칙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들의 대부분은 콘크리트몰탈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구조적으로 볼 때 옹벽용 보강토블럭이 요구하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외관적으로 볼 때에는 거칠고 투박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화현상으로 인해 모서리 등이 잘 부서져 옹벽 시공 당시의 반듯한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퇴색하고 여기저기 깨어져 흉물스럽게 변하게 되고, 더우기 콘크리트의 백화현상이 나타나 보강토 옹벽의 주변 환경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옹벽용 보강토블럭은 선 출원하여 공개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10156호(2011. 02. 01일 공개)인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에서 옹벽 구축용 블럭의 전면에 자연돌가루의 질감을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함과 동시 균일한 색상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인조석재 반죽물재료에 물을 배합하지 않고 미장용 흙손으로 미장하듯이 도포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기 시공된 보강토 옹벽의 현장에서 인조석재를 반죽하여 반죽물재료를 얻은 다음 흙손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강토 옹벽의 전면을 시공 당시의 모습대로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석재층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옹벽용 보강토블럭은 전면에 작업자가 일일이 미장용 흙손으로 인조석재 반죽물을 도포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작업시간과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과 작업자의 기술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므로 경험이 많은 고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를 상승시키게 하는 원인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옹벽용 보강토블럭은 전면에 작업자가 일일이 미장용 흙손으로 인조석재 반죽물을 도포시 작업자에 따라 작업시간과 품질이 좌우되므로 경험이 많은 작업자가 작업시 인건비를 상승시키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옹벽용 보강토블럭을 양측으로 전면부를 노출되도록 이동판에 적층시켜 이동판을 모터에 의해 이동판레일을 통해 이동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토블럭의 양측으로 모터에 의해 기둥바레일을 통해 이동되는 기둥바를 마련하되 상기 기둥바에는 펌프에서 호스로 연결하여 펌프에서 공급되는 도포액을 분사가능케 밸브로 연결하도록 하여 이동판 상부에 마련한 다수개의 보강토블럭을 이동판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및 도포액을 분사가능한 기둥바를 기둥바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므로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분사가능케 하여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하는 도포작업을 자동화로 연속작업을 가능케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대(11) 상부 중앙에는 이동판레일(25)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레일(25)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24)을 저면에 형성한 이동판(20)을 마련하고,
이동판(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를 형성하고 이동판(20)의 하부에는 나사공(23)을 형성한 이동부(22)를 돌출 마련하여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이동판(20)의 양측으로는 기둥바레일(31)을 마련하여 상기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39)을 저면에 형성한 기둥바(30)를 마련하고 기둥바(30)의 일측에는 나사공(38)을 형성한 연결대(37)를 결속하고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양측 기둥바(30)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개구부를 형성한 회전공(32)을 형성하고 회전공(32)의 하부 일측에는 호스공(45)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공(32)에는 회전봉(40)를 마련하되 상기 회전봉(40)의 상부면에는 회전홈(41)을 형성하여 회전모터(33)를 연결하고 고정나사(34)로 고정하고,
상기 기둥바(30)의 상부면 일측에는 고정판(35)의 고정공(36)에 회전모터(33)를 고정하여 회전모터(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40)을 회전가능케 하며,
상기 회전봉(40)의 내부에는 펌프(12)와 연결하는 호스(13)를 호스공(45)을 통해 마련하여 다수개의 노즐(42)로 외부로 노출시킨 일측에는 도포액을 노즐(42)에서 분사가능케 하는 밸브(43)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35)에 형성하는 고정공(36)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회전모터(3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기둥바(30)에 노출된 노즐(42)의 높이와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도포액은 수용성에폭시 10 ~ 20중량%, 착색규사(sio2에 무기안료 900℃ 구운것) 20 ~ 40중량%, 백색규사(sio2 97%이상 함유된 것) 20 ~ 40중량%, 소포제 0.1 ~ 0.5중량%, 계면활성제 0.1 ~ 0.5중량%, 청수(H2O) 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도포액은 아크릴수지 40 ~ 50중량%, 규사탄성물 50 ~ 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규사탄성물은 고형분 50 ~ 80중량%이며 전색제 20 ~ 50중량%로 조성하고, 상기 도포액은 상기 규사탄성물 100중량%에 대비하여 백색규사 20 ~ 40중량%, 착색규사 30 ~ 50중량%, 탄산칼슘 0.5 ~ 10중량%, 도로마이트 0.5 ~ 10중량%의 추가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옹벽용 보강토블럭을 양측으로 전면부를 노출되도록 이동판에 적층시켜 이동판을 이동시키게 하거나 보강토블럭의 양측 전면부에 도포액을 분사시키는 기둥바를 이동가능케 하여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도포가능케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작업을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토블럭의 전면부를 간단하게 도포가능케 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모터에 의해 이동속도와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보강토블럭의 전면부에 도포되는 도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도포량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어 도포되는 품질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한꺼번에 많은 양의 보강토블럭의 전면부를 도포가능케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판의 저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대(11) 상부에 다수개의 옹벽용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를 노출되도록 이동판(20)에 적층시켜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에 도포액을 분사하도록 하여 인조석재층(3)을 생성시키는 도포장치(10)의 구성은,
작업대(11) 상부 중앙에는 이동판레일(25)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레일(25)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24)을 저면에 형성한 이동판(20)을 마련하고,
이동판(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를 형성하고 이동판(20)의 하부에는 나사공(23)을 형성한 이동부(22)를 돌출 마련하여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이동판(20)의 양측으로는 기둥바레일(31)을 마련하여 상기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39)을 저면에 형성한 기둥바(30)를 마련하고 기둥바(30)의 일측에는 나사공(38)을 형성한 연결대(37)를 결속하고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양측 기둥바(30)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개구부를 형성한 회전공(32)을 형성하고 회전공(32)의 하부 일측에는 호스공(45)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공(32)에는 회전봉(40)를 마련하되 상기 회전봉(40)의 상부면에는 회전홈(41)을 형성하여 회전모터(33)를 연결하고 고정나사(34)로 고정하고,
상기 기둥바(30)의 상부면 일측에는 고정판(35)의 고정공(36)에 회전모터(33)를 고정하여 회전모터(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40)을 회전가능케 하며,
상기 회전봉(40)의 내부에는 펌프(12)와 연결하는 호스(13)를 호스공(45)을 통해 마련하여 다수개의 노즐(42)로 외부로 노출시킨 일측에는 도포액을 노즐(42)에서 분사가능케 하는 밸브(43)를 마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고정판(35)에 형성하는 고정공(36)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회전모터(3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기둥바(30)에 노출된 노즐(42)의 높이와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42)의 끝단에는 경사진 경사갓(44)을 마련하여 노즐(42)에서 분사되는 도포액이 경사갓(44)의 경사에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판(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를 형성하여 상부면에 마련하는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이 이동판(20)의 전면과 밀착되지 않고 돌기(21)에 의해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판(20)의 크기는 다수개 보강토블럭(1)이 적층하여 전면부(2)보다 작게하여 노즐(42)에 의해 분사되는 도포액이 분사되어 전면부(2)에 도포되어 경화되기 전에 흘러내리더라도 돌기(21)에 의해 도포액이 보강토블럭(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도포액이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에 도포된 후 경화시키면 인조석재층(3)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에서 도포액이 경화시 이동판(20)에 흘러내리면 도포작업이 끝난 보강토블럭(1)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시공시 다시 도포작업을 필요로 하는 보강토블럭(1)을 적층시킬때 이동판(20)에 흘러내린 도포액이 보강토블럭(1)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14)(14')와 연결하는 나사봉(15)(15')의 타측에는 베어링(16)으로 연결하여 작업대(11)의 상부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봉(40)의 상부에 연결된 회전모터(33)는 양방향으로 회전을 가능케 하여 기둥바(30)의 회전공(32) 내부에서 회전봉(40)이 왕복으로 회전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에 도포하는 도포액은 인조석재 반죽물재료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도포두께는 0.1 ~ 1mm로 하되,
상기 도포액은 수용성에폭시 10 ~ 20중량%, 착색규사(sio2에 무기안료 900℃ 구운것) 20 ~ 40중량%, 백색규사(sio2 97%이상 함유된 것) 20 ~ 40중량%, 소포제 0.1 ~ 0.5중량%, 계면활성제 0.1 ~ 0.5중량%, 청수(H2O) 4중량%를 혼합 교반한 도포액을 펌프(12)에 투입하여 호스(13)를 통해 기둥바(30)의 노즐(42)을 통해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에 분사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포액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수용성에폭시 10 ~ 20중량%, 착색규사(sio2에 무기안료 900℃ 구운것) 20 ~ 40중량%, 백색규사(sio2 97%이상 함유된 것) 20 ~ 40중량%, 소포제 0.1 ~ 0.5중량%, 계면활성제 0.1 ~ 0.5중량%, 청수(H2O) 4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도포액은 아크릴수지 40 ~ 50중량%, 규사탄성물 50 ~ 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포액의 규사탄성물은 고형분 50 ~ 80중량%이며 전색제 20 ~ 50중량%로 조성하고, 상기 도포액은 상기 규사탄성물 100중량%에 대비하여 백색규사 20 ~ 40중량%, 착색규사 30 ~ 50중량%, 탄산칼슘 0.5 ~ 10중량%, 도로마이트 0.5 ~ 10중량%의 추가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키는 적층공정과;
적층공정을 거친 후 모터(14)를 작동시켜 나사봉(15)과 체결된 이동부(22)에 의해 이동판(20)이 나사봉(15)을 따라 이동가능케 하는 이동판이송공정과;
상기 이동판이송공정을 거치면서 기둥바(30)의 상부 회전모터(33)를 작동시켜 기둥바(30)의 회전공(32)에 마련한 회전봉(40)을 기둥바(30)의 회전공(32) 내부에서 양방향으로 왕복회전시키는 회전봉회전공정과;
상기 회전봉회전공정을 거치면서 기둥바(30)와 연결된 모터(14')를 작동시켜 나사봉(15')에 의해 기둥바(30)를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시키는 기둥바이송공정과;
상기 이동판이송공정을 거치면서 회전봉(40)과 호스(13)를 통해 연결된 양측의 펌프(12)를 작동시켜 호스(13)를 통해 기둥바(30)의 회전공에 마련한 회전봉(40)의 호스공(45)을 따라 도포액을 노즐(42)로 분사하여 보강토블럭(1)을 적층한 양측 전면부에 도포액을 분사하는 분사공정을 거쳐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노즐(42)로 분사되는 도포액은 노즐(42)의 끝단에 마련한 밸브(43)에 의해 도포되는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즐(42)의 개폐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후 모터(14)를 작동시키면 나사봉(15)과 체결된 이동부(22)에 의해 이동판(20)이 나사봉(15)을 따라 이동가능케 하며,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보강토블럭(1)의 양측에 마련한 펌프(12)를 작동시켜 호스(13)를 통해 회전봉(40)의 노즐(42)로 도포액을 분사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노즐(42)로 분사되는 도포액은 노즐(42)의 끝단에 마련한 밸브(43)에 의해 도포되는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즐(42)의 개폐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42)의 끝단에 마련한 경사갓(44)의 경사에 의해 노즐(42)에서 분사되는 도포액을 균일하게 도포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후 이동판(20)을 고정시킨 후,
고정된 이동판(20)의 양측 기둥바(30)의 일측 연결대(37)와 연결된 나사봉(15')을 모터(14')에 의해 작동시키면 나사봉(15')과 체결된 연결대(37)에 의해 기둥바레일(31)을 따라 기둥바(30)가 이동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둥바(30)가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기둥바(30)의 노즐(42)과 동일선상으로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가 도달하면 펌프(12)를 작동시켜 호스(13)를 통해 회전봉(40)의 내부로 연결하여 회전봉(40)의 외부로 돌출된 노즐(42)에 연결된 밸브(43)를 열어 도포액을 노즐(42)을 통해 분사가능케 한 후,
기둥바(30)의 상부 회전모터(33)를 작동시켜 기둥바(30)의 회전공(32)에 마련한 회전봉(40)을 기둥바(30)의 회전공(32) 내에서 양방향으로 왕복회전시키면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의 경사진 부분까지도 회전봉(40)의 회전으로 인해 분사되는 노즐(42)을 전면부(2)의 경사진 부분과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전면부(2)의 경사진 부분에 도포액를 고르게 도포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후 모터(14)를 작동시켜 이동판(20)을 나사봉(15)에 의해 이동판레일(25)을 따라 이동시키게 함과 동시에 모터(14')를 작동시켜 기둥바(30)를 나사봉(15')에 의해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회전봉(40)에 노출된 노즐(42)을 통해 도포액을 분사시키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모터(14)(14')를 작동시켜 이동판(20) 또는 기둥바(30)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동판(20)과 기둥바(30)와 연결된 모터(14)(14')를 모두 작동시켜 나사봉(15)(15')에 의해 이동판(20)과 기둥바(30)를 이동판레일(25)과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시키게 하면서 기둥바(30)의 회전공(32)에 마련한 회전봉(4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도포액을 노즐(42)을 통해 분사시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동판(20)의 돌기(21) 상부에 다수개의 보강토블럭(1)을 양측으로 전면부(2)가 노출되도록 적층시킨 후 양측으로 마주보는 기둥바(30)의 내부에 마련한 회전봉(40)에서 노출된 노즐(42)의 위치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봉(40)의 상부에 마련한 회전모터(33)를 고정시키는 고정판(35)에 다수개 형성된 고정공(36) 위치에 맞게 회전모터(33)를 탈착하여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와 동일선상의 노즐(42)을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 보강토블럭 2 : 전면부
3 : 인조석재층 10 : 도포장치
11 : 작업대 12 : 펌프
13 : 호스 14,14' : 모터
15,15' : 나사봉 16 : 베어링
20 : 이동판 21 : 돌기
22 : 이동부 23,38 : 나사공
24,39 : 레일홈 25 : 이동판레일
30 : 기둥바 31 : 기둥바레일
32 : 회전공 33 : 회전모터
34 : 고정나사 35 : 고정판
36 : 고정공 37 : 연결대
40 : 회전봉 41 : 회전홈
42 : 노즐 43 : 밸브
44 : 경사갓 45 : 호스공

Claims (5)

  1. 작업대(11) 상부 중앙에는 이동판레일(25)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레일(25)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24)을 저면에 형성한 이동판(20)을 마련하고,
    이동판(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21)를 형성하고 이동판(20)의 하부에는 나사공(23)을 형성한 이동부(22)를 돌출 마련하여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이동판(20)의 양측으로는 기둥바레일(31)을 마련하여 상기 기둥바레일(31)을 따라 이동가능한 레일홈(39)을 저면에 형성한 기둥바(30)를 마련하고 기둥바(30)의 일측에는 나사공(38)을 형성한 연결대(37)를 결속하고 나사공(23)과 연결하는 나사봉(15')의 끝단을 모터(14')와 연결시키며,
    상기 양측 기둥바(30)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개구부를 형성한 회전공(32)을 형성하고 회전공(32)의 하부 일측에는 호스공(45)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공(32)에는 회전봉(40)를 마련하되 상기 회전봉(40)의 상부면에는 회전홈(41)을 형성하여 회전모터(33)를 연결하고 고정나사(34)로 고정하고,
    상기 기둥바(30)의 상부면 일측에는 고정판(35)의 고정공(36)에 회전모터(33)를 고정하여 회전모터(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40)을 회전가능케 하며,
    상기 회전봉(40)의 내부에는 펌프(12)와 연결하는 호스(13)를 호스공(45)을 통해 마련하여 다수개의 노즐(42)로 외부로 노출시킨 일측에는 도포액을 노즐(42)에서 분사가능케 하는 밸브(43)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5)에 형성하는 고정공(36)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회전모터(3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기둥바(30)에 노출된 노즐(42)의 높이와 보강토블럭(1)의 전면부(2)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수용성에폭시 10 ~ 20중량%, 착색규사(sio2에 무기안료 900℃ 구운것) 20 ~ 40중량%, 백색규사(sio2 97%이상 함유된 것) 20 ~ 40중량%, 소포제 0.1 ~ 0.5중량%, 계면활성제 0.1 ~ 0.5중량%, 청수(H2O) 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아크릴수지 40 ~ 50중량%, 규사탄성물 50 ~ 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탄성물은 고형분 50 ~ 80중량%이며 전색제 20 ~ 50중량%로 조성하고, 상기 도포액은 상기 규사탄성물 100중량%에 대비하여 백색규사 20 ~ 40중량%, 착색규사 30 ~ 50중량%, 탄산칼슘 0.5 ~ 10중량%, 도로마이트 0.5 ~ 10중량%의 추가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KR1020140130739A 2014-09-30 2014-09-30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KR10165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39A KR101659867B1 (ko) 2014-09-30 2014-09-30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39A KR101659867B1 (ko) 2014-09-30 2014-09-30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49A KR20160038249A (ko) 2016-04-07
KR101659867B1 true KR101659867B1 (ko) 2016-09-26

Family

ID=5578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39A KR101659867B1 (ko) 2014-09-30 2014-09-30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4997B (zh) * 2017-05-25 2019-04-12 江苏景中景工业涂装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环保喷漆装置
CN108296105A (zh) * 2017-10-20 2018-07-20 湖州悦锦阁木业有限公司 一种实木复合地板用喷涂装置
CN112295796B (zh) * 2020-11-10 2022-01-04 杭州华祥涂装设备有限公司 一种圆桶外表面自动喷涂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64B1 (ko) 2002-01-11 2005-03-24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니트와 액정패널의 접지 패턴도포장치, 이를 이용한 접지 패턴 도포방법 및 액정표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01B1 (ko) * 2002-09-05 2004-12-08 김학준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KR100555969B1 (ko) * 2004-04-09 2006-03-03 기광서 자동 도장기계
JP5384972B2 (ja) * 2009-03-02 2014-01-08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処理方法およびウエーハ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64B1 (ko) 2002-01-11 2005-03-24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니트와 액정패널의 접지 패턴도포장치, 이를 이용한 접지 패턴 도포방법 및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49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5209B (zh) 一种异形空间曲面清水混凝土施工方法
KR101628490B1 (ko)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방법
KR101659867B1 (ko)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장치
CN105464396B (zh) 一种历史保护建筑外墙加固方法
KR19990076883A (ko) 주물 재료에 패턴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36411B1 (en) Architectural concrete
CN103015717A (zh) 一种楼板封闭后超高钢管柱外包清水混凝土施工工艺
MXPA04009549A (es) Proceso y equipo para producir productos de concreto que tienen colores mezclados.
CN101886457B (zh) 一种耐磨抗裂硬化地面施工方法
CN102518216A (zh) 上人屋面悬臂式盖板变形缝结构及施工工法
KR20150144503A (ko)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760271B2 (en) Additive manufactured multi-colored wall panel
EP188351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ertigteilbauelementen und fertigteilbauelement
KR100900155B1 (ko) 양면 자연석블록의 제조방법
CN103321367A (zh) 清水混凝土清水漆施工工艺
KR102094230B1 (ko)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색상을 갖는 패널 제조방법
KR101303312B1 (ko) 노출콘크리트 면처리마감 방법
KR101910945B1 (ko) 자연석 색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RU247535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варианты)
RU2687703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бетона
RU2297910C2 (ru) Сборно-разъемная форма-матрица со сменным модулем-вкладыш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вяжущ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170026091A (ko)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결합식 옹벽의 시공방법
US20070022708A1 (en) Building block
CN106284746B (zh) 变电站清水防火墙砌筑施工方法
KR102467905B1 (ko) 흡착식 비정형 컬러 문양 생성을 위한 통블록 형태의 건식 보강토 옹벽 블록 제조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