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546B1 -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546B1
KR101659546B1 KR1020150055743A KR20150055743A KR101659546B1 KR 101659546 B1 KR101659546 B1 KR 101659546B1 KR 1020150055743 A KR1020150055743 A KR 1020150055743A KR 20150055743 A KR20150055743 A KR 20150055743A KR 101659546 B1 KR101659546 B1 KR 10165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ombo box
combo
lay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소스파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소스파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소스파킹
Priority to KR102015005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목 표시 방법은 계층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들의 항목들을 입력함에 있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알지 못하더라도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선택하는 동작을 통하여 손쉽게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USER APPARATUS FOR DISPLAYING ITEM USING COMBOBOX AND ITEM DISPLAY METHOD}
아래의 설명은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입력하는 항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팅 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보다 직관적인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박스, 레이어, 선택 버튼, 옵션 버튼, 리스트 박스, 콤보 박스 등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화면 구성이다.
여기서, 콤보 박스는 텍스트 박스와 리스트 박스가 결합된 형태로 리스트 박스를 통해 정해진 목록을 펼쳐 나열하고,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제공되는 상자를 말한다. 이 때, 콤보 박스가 복수 개 존재하며, 상/하위 계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콤보 박스에 포함된 항목들이 선택에 따라 연동된다.
이러한,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는 인터넷 상의 주소 입력 방법이 있다. 다시 말해, 인터넷의 주소 입력 구조는 주소를 기재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도’, ‘시군구’, ‘도로명’ 등의 정보를 선택한다.
이 때,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콤보 박스를 통해 각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여기서, 콤보 박스는 주소를 기재하는 순서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으면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세하게, '시도'를 나타내는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시군구'를 나타내는 콤보 박스는 '시군구'에 대한 항목을 나타내지 못한다.
결국, 콤보 박스는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모든 상위 박스의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최근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특이한 도로명을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시도' 및 '시군구'를 찾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검색에 용이한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일부 정보만을 알고 있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콤보 박스를 통해 항목을 입력함에 있어 일부 항목을 알지 못하더라고 손쉽게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함에 있어, 순차적인 방법 및 비순차적인 방법을 통해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은 상기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콤보 박스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나타나는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항목은 상기 콤보 박스의 단일 프롬프터에서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단일 프롬프터까지 콤보 박스의 계층 증가순으로 항목의 순서에 따라 격 구조(case-structure)로 이루어진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 상기 입력된 항목에 따른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입력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하위 계층 콤보 박스를 통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의 형태를 갖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의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자동으로 제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가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기 제어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항목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목록은 사용자로부터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1
)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이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상기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a)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b)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c)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상기 콤보 박스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나타나는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된 항목에 따른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까지 항목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입력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하위 계층 콤보 박스를 통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의 형태를 갖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의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자동으로 제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프롬프터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기 제어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항목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목록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2
)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이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목 표시 방법은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를 기반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와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함으로써, 일부 항목을 알지 못하더라고 계층적으로 연동된 콤보 박스를 통해 손쉽게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목 표시 방법은 순차적인 방법 및 비순차적인 방법을 통해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콤보 박스의 선택 순서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목 표시 방법은 콤보 박스에 표시되는 항목 목록의 구성 시기를 버튼이 선택될 때로 한정함으로써, 콤보 박스의 항목을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콤보 박스에 대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최하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모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고, 연이어 최하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는 경우 차상위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 형태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 항목 선택의 처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콤보 박스에 대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0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콤보 박스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01)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콤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콤보 박스는 계층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각 콤보 박스를 통해 선택이 가능한 항목들 간에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콤보 박스는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순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박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콤보 박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를 기반으로 검색 순서에 따라 구조에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부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까지 다양한 단계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 가능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콤보 박스는 정보를 검색하는 순서에 따라 각 단계에 해당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콤보 박스는 대한민국의 주소 체계에 따른 검색이 가능하며,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콤보 박스는 '시도', '시군구' 및 '도로명' 등으로 구분 가능한 주소 체계를 기준으로 각각에 대한 콤보 박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102), '시군구' 콤보 박스(103) 및 '도로명' 콤보 박스(104)로 각각에 대하여 콤보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콤보 박스들(102), (103), (104)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계층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도' 콤보 박스(102)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시도' 콤보 박스(102)는 '시도' 콤보 박스(102)의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을 나타내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자체 항목만 표시하고 있다.
다른 일례로, '시군구' 콤보 박스(103)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시군구' 콤보 박스(103)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인, '시도' 콤보 박스(102)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로명' 콤보 박스(104)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로명' 콤보 박스(104)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인, '시도' 콤보 박스(102)와 '시군구' 콤보 박스(103)의 항목들을 각각 항목의 일부분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콤보 박스들(102), (103), (104)에 포함된 각 항목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과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결국, 콤보 박스들(102), (103), (104)은 각 항목에 대하여 연동이 가능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콤보 박스를 통해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보다 편리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목 표시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선택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102), (103), (104)를 기반으로 비순차 검색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각 콤보 박스마다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함으로써, 프롬프터에 따라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및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프롬프터를 통해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가 나타내는 속성과 상기 속성에 대한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속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103)의 프롬프터(105)를 통해 '시군구' 콤보 박스(103)가 나타내는 속성(시군구) 및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속성(시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각 콤보 박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콤보 박스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콤보 박스(102), (103), (104)를 선택할 때에 대응하여 해당 콤보 박스(102), (103), (104)에 표시된 프롬프터와 같은 구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시군구' 콤보 박스(103)의 항목에 대한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시군구' 콤보 박스(103)의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106)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구성된 '시군구' 콤보 박스(103)의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106)을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복합 항목을 갖는 콤보 박스(103, 104)에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위 콤보 박스(102, 103 및 102)의 항목을 데이터베이스 접근 동작없이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104)에서 '4.19로 1-강북구-서울특별시' 항목(107)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107)에 대응하여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도 8)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접근 동작없이 '시군구' 콤보 박스의 항목 및 '시군'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콤보 박스(102), (103), (104)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하여 일부 정보만을 아는 경우 또는 빠른 검색을 원하는 경우에 검색 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 간에 항목을 표시하는 세부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콤보 박스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함수를 통해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1)은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시부(202), 입력부(203) 및 제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2)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02)는 각 콤보 박스의 계층 상의 위치 및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단일 항목을 나타내는 단일 프롬프터 또는 복합 항목을 나타내는 복합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롬프터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자가 해당 콤보 박스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콤보 박스는 텍스트 박스를 통해 선택 가능한 항목에 대하여 '학과', '학부' 등으로 사용자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프롬프터는 상위 개념의 항목을 갖는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항목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과 그 항목이 속한 상위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복합 항목은 [하위 항목 - 상위 항목] 형태(예, '시군구 - 시도' 또는 '도로명 - 시군구 - 시도')로 기재되는 항목으로써, 복합 항목이 표시된 콤보 박스는 표시된 프롬프터에 따라 복수의 콤보 박스에 대한 항목 일괄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가 [시군구 - 시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콤보 박스를 통해 <시군구, 시도> 순서쌍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순서쌍으로부터 ‘시도’ 값을 추출하여 '시도'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가 복합 항목 프롬프터의 콤보 박스에서 (복합)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복수 개 콤보 박스의 항목이 동시에 선택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단일 항목은 해당 콤보 박스에 고유하게 속하는 단순한 항목을 칭한다. 최상위 콤보 박스는 항상 단일 항목이다. 일례로, 도 1에서, 주소 체계 중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시도' 콤보 박스(102)의 프롬프터와 항목은 항상 단일 항목이다. 뿐만 아니라, 어떤 콤보 박스이든지 그 콤보 박스의 바로 상위 콤보 박스에서 항목이 선택된 경우, 그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와 항목은 단일 항목이 된다.
항상 프롬프터를 구성하는 첫 항목은 콤보 박스의 고유한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로명 - 시군구 - 시도'라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콤보 박스의 고유 항목은 '도로명'이다. 상기 콤보 박스에서 한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시군구'와 '시도' 항목이 '시군구'와 '시도'를 나타내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으로 연동되여 선택될 수 있다. 입력부(203)는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상기 콤보 박스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03)는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프롬프터가 표시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 되면, 선택된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입력부(203)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현재 인지하고 있는 정보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순서에 따라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03)는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03)는 사용자로부터 콤보 박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의 구조에 따라 구성된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중에서 '연현로 5길'만을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인이 알고 있는 정보 '연현로 5길'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롬프터가 표시된 '도로명' 콤보 박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도로명' 콤보 박스 에 나열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본인이 인지하는 정보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순서에 의하여 콤보 박스들을 비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제어부(204)는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들에 대하여 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04)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된 항목에 따른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4)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된 콤보 박스의 항목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는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서 입력된 항목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위 개념의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04)는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04)는 입력된 항목이 복합 항목인 경우 이 복합 항목을 구성하는 현재 계층의 고유 항목을 현재 계층의 단일 항목으로 선택되도록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4)는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04)는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입력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4)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최하위 계층까지 순차적으로 정렬된 콤보 박스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항목 계층의 수에 따라 단일 항목 또는 복합 항목의 형태를 갖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204)는 제어되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보다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입력된 항목에 매핑된 상위 개념의 항목이 속하는 그룹의 목록 및 하위 개념의 항목이 속하는 그룹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록을 표시하는 시기는 상기 사용자가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3
)을 선택하는 때이며,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목록을 생성하는 작업은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해당 콤보 박스에 속하는 항목을 확인하기 위해 체크 박스를 선택하는 시점에 동작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사용을 효율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201)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 및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처리 조건이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 처리 조건
사용자 단말(201)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모든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1)은 제어되는 콤보 박스에 대한 바로 상위 콤보 박스의 항목 선택 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 복합/단순 항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은 도 3과 도 4를 통해 설명하였다.
ii)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 처리 조건
사용자 단말(201)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조건에 따라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 선택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조건은 선택된 항목이 복합 항목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1)은 복합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복합 항목의 첫 요소이자 현재 계층 콤보 박스의 고유 항목인 단순 항목을 현재 계층 콤보 박스의 선택 항목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은 도 4,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하였다.
iii)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처리 조건
사용자 단말(201)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1)은 항목이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응하여 선택된 항목의 일부분으로 나타나는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설정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결국, 사용자 단말(2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항목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정보를 선택하거나 선택을 위한 프롬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는 사건에 대한 처리는 (필요하면) 보다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하여는 단일 항목만으로 표시하고,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하여는 프롬프터만 변경함으로써,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1)은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는 사건에 대한 처리량을 최소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대한 검색 시간을 줄이고,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1)은 각 콤보 박스의 목록 생성 시점을 사용자가 콤보 박스에 포함된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4
)을 클릭할 때까지 미룸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연산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1)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기 이전에는 해당 목록을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1)은 메모리 사용량, 서버의 전체 사용자 요구 처리량 등이 향상되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최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시도' 콤보 박스(301)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도' 콤보 박스(301)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사용자에게 의해 선택된 콤보 박스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시도' 콤보 박스(301)는 주소 체계 중에서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항목으로써,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등의 최상위 항목이 나열된 목록(3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도' 콤보 박스(301)는 최상위 항목에 해당함에 따라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등의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시도' 콤보 박스(301)는 '시도'의 목록(302)에 나열된 항목을 중심으로 파생되는 하위 개념을 나타내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도' 콤보 박스(301)의 항목은 콤보 박스와 연동하는 리스트 박스를 통해 저장될 수 있으며, 리스트 박스 내에 인덱스 정보를 통해 정렬되어 하나의 목록(3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목록(302)은 인덱스 '0'을 시작으로 프롬프터,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에 대한 항목이 나열되어 있으며, 가나다 순(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시도' 콤보 박스(301)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이며, 이에 대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로,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도로명' 콤보 박스(3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도' 콤보 박스(301)과 연동하는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선택 가능한 항목으로써,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속성을 포함한 복합 항목 형태의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시군구' 콤보 박스(304)는 '시군구'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으로써 '시도'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도 3 a), 이에 따라 '시군구 - 시도'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도로명'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으로써, '시도' 항목과 '시군구' 항목을 포함하는 '도로명 - 시군구 - 시도'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프롬프터는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고려하여 하위 개념의 항목을 우선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해당하는 '시도' 콤보 박스(301)는 해당 콤보 박스를 통해 '시도'에 대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 단일 항목의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각각에 대한 항목뿐만 아니라 상위 개념에 대한 속성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항목의 형태로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단일 항목 또는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한 '시도' 콤보 박스(301)의 목록에 포함된 하나의 항목(302)를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된 항목(303)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시도' 콤보 박스(301)에 대응하여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도' 콤보 박스(301)는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표시된 목록(302)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인덱스 2에 해당하는 '서울특별시' 항목(30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301)에서 선택된 항목(303)에 대응하여 선택된 항목의 하위 개념을 나타내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군구' 콤보 박스(304)는 도 3의 (a)를 통해 '시도'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상위 개념의 항목에 대한 선택이 불필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군구' 콤보 박스(303)는 '시도'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서울특별시' 항목에 대응하는 강남구, 강북구 등 세부 구성에 대한 항목이 나열된 목록(306)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시군구' 콤보 박스(304)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의 (a)를 통해 표시한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를 '시군구'에 해당하는 단일 항목의 프롬프터로 변경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유사하게 '시도' 콤보 박스(301)가 선택됨에 따라 상위 항목으로써 '시도'에 대한 선택이 불필요할 수 있다. 반면,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현재 '시군구' 항목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 따라 '시군구' 항목을 여전히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도로명' 콤보 박스(305)는 '시군구'와 본 항목으로 '도로명'을 포함하는 '도로명 - 시군구'에 해당하는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로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항목(303, '시도')에 대응하여 다음 콤보 박스(304, '시군구')를 통해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재 선택이 무의미하므로 다음 콤보 박스(304, '시군구')의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a)를 살펴보면, '시군구' 콤보 박스(304)는 '시군구-시도'로 복합항목의 프롬프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후, '시도' 콤보 박스(301)의 항목(303)이 선택됨에 따라 '시군구'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에 따른 '시도'에 대한 재 선택이 무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시군구' 콤보 박스(304)의 프롬프터는 '시도'에 대한 선택 가능 여부를 제외하고, '시도' 콤보 박스에 선택된 항목에 따른 '시군구'에 해당하는 단일 항목으로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301)가 선택됨에 따라 '시군구' 콤보 박스(304)와 '도로명' 콤보 박스(305)의 프롬프터를 즉시 제어하는 반면, 각 콤보 박스에서 제공하는 목록의 생성은 사용자에 의해 확장 버튼이 눌릴 때(=실제로 해당 콤보 박스의 목록이 펼쳐지는 시점)까지 지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시스템 성능의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요구한 이후에 콤보 박스의 목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게는 약간의 반응 속도 지연이 있을 수 있으나, 많은 동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경우 전체적인 부담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a)에서 '시군구' 콤보 박스를 사용하면 '시군구'와 '시도'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목록은 '시군구 - 시도'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a)에서 '시군구' 콤보 박스의 목록은 기 설정된 '시군구 - 시도'에 대한 프롬프터에 따라 복합 항목의 형태로 [강남구 - 서울특별시] 시군구에 해당하는 명칭부터 우선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도 3의 (b)에서 '시군구' 콤보 박스(304)는 도 3의 (a)를 통해 '시도'가 선택된 사실을 프롬프터를 통하여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시군구' 콤보 박스(304)의 목록(306)은 제어된 '시군구'에 대한 프롬프터에 따라 단일 항목의 형태로 [강남구]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차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항목(403)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조정하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차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인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가 된다.
여기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주소 체계 중에서 중간 계층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시도' 항목의 다음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404, '시도')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하위 개념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에서 선택된 항목이 '서울특별시'인 경우, 강남구, 강북구 등을 포함하고, '경기도'인 경우, 부천시 소사구, 안양시 만안구, 수원시 영통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계층인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존재함에 따라 '시도' 콤보 박스(404)에 대한 선택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404)가 선택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상황에 따라 항목 및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404)를 사용자가 펼쳐보고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시도' 콤보 박스(404)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그룹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도' 콤보 박스(404)의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태에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404)에서 선택된 항목과 연동하는 하위 개념의 항목이 나열된 목록(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404)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도 4의 (a) 및 (b)에 기초하여 '시도' 콤보 박스(404)의 항목, 즉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군구' 항목(403)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시군구' 콤보 박스(401)의 항목(403)이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항목(403)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시군구'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시도'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도' 콤보 박스(404)의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됨에 따라 '시군구' 콤보 박스(401)의 프롬프터를 재변경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도' 콤보 박스(404)의 목록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펼쳐진 것인지 여부를 참조할 수 있다.
처음에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복합 항목의 형태로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롬프터에 따라 '시군구'와 '시도'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사용자가 선택하면, 표시된 프롬프터에 따라 '시군구'와 '시도'의 조합된 항목에 대한 목록(402)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시군구' 콤보 박스(401)는 '시군구'와 '시도'가 매핑된 그룹의 목록(402)으로써, [강남구 - 서울특별시], [부천시 소사구 - 경기도] 등의 목록(4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에서 선택된 항목(403)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404, '시도')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405, '도로명')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404)가 선택된 이후에 '시군구' 콤보 박스(401)가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순차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404, '시도')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405, '도로명')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404)가 선택된 이후, '시군구' 콤보 박스(401)가 선택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최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각각의 콤보 박스를 통해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주소를 입력하는 순서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부터 순서에 따라 콤보 박스가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선택된 '시군구' 항목(403)에 대응하여 '시군구'의 하위 개념을 나타내는 도로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로명' 콤보 박스(405)의 프롬프터를 단일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선택된 '시군구'에 대응하는 그룹의 항목으로써, '도로명' 콤보 박스의 목록(406)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순차적인 방향으로 항목을 입력하는 경우로써, 사용자가 주소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동작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정보를 선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각 콤보 박스를 통해 항목을 선택함에 있어, 각 선택에 따른 다음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콤보 박스를 통해 제공된 프롬프터를 보고 선택 가능한 항목 종류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적당한 콤보 박스를 펼쳐보고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시도' 콤보 박스(404)의 항목을 자동 선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구성하는 목록(402) 중에서 선택된 항목(403)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및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시군구' 및 '시도'에 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정보와 알지 못할 수 있는 '시도' 정보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강남구 - 서울특별시')에 대응하여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404, '시도')의 항목이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하위 항목을 기반으로 하위 항목이 속하는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자동적으로 선택해 주고 있으며, 프롬프터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선택된 '시군구'에 대한 항목에 대응하여 도로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로명' 콤보 박스(405)의 프롬프터를 단일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시군구' 콤보 박스를 통하여 '시군구'와 '시도'가 동시에 선택되도록 허용함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절차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401)를 통해 선택된 '시군구'에 대응하는 그룹의 항목으로써, '도로명' 콤보 박스(405)의 목록(406)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최하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됨에 따라 최상위 및 차상위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501, '도로명')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항목(503)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504, '시도' 및 505, '시군구')에 대한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501)의 항목(503)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도로명' 콤보 박스(501)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의 순간까지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501)의 상위 항목들을 포함하는 '시도' 콤보 박스(504) 및 '시군구' 콤보 박스(505)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선택되지 않은 '시도' 및 '시군구'를 포괄하여 주소 선택이 가능 하도록 '도로명' 콤보 박스(501)의 프롬프터가 복합 항목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501)를 통해 '시도' 콤보 박스(504) 및 '시군구' 콤보 박스(505)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로명만 알고 있거나 또는 주소 검색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도로명'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시도' 및 '시군구'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501)를 통해 선택된 항목(503)에 대응하여 상위 항목을 나타내는 '시도' 콤보 박스(504) 및 '시군구' 콤보 박스(505)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로명' 콤보 박스(501)는 도로명을 포함하며, 도로명의 상위 계층인 '시군구' 및 '시군구'의 상위 계층인 '시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로명' 콤보 박스(501)의 목록(502)을 통해 제공된 '도로명 - 시군구 - 시도'의 정보를 기반으로 주소를 한번에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501)를 통해 선택된 항목(503)을 기반으로 '시도' 콤보 박스 및 '시군구' 콤보 박스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도로명' 콤보 박스(501)를 통해 [논현로 165길 - 강남구 - 서울특별시] 항목(503)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하이픈으로 구분된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매칭되는 콤보 박스에 해당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시도' 콤보 박스는 '서울특별시' 항목으로 '시군구' 콤보 박스는 '강남구' 항목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항목이 제어된 '시군구' 콤보 박스(505)는 '시군구'의 상위 계층인 '시도'의 항목에 대응하여 해당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군구' 콤보 박스(505)는 '시도' 콤보 박스(504)의 항목 '서울특별시'에 대응하여 '서울특별시'에 속하는 하위 개념으로써, '강북구', '중구' 등의 항목이 나열된 목록(50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군구' 콤보 박스(505)는 선택된 '논현로 165길'의 항목(603)에 대응하여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강남구'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명' 콤보 박스(501)는 '도로명'의 상위 계층인 '시군구'의 항목에 대응하여 해당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5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로명' 콤보 박스(501)는 '도로명' 콤보 박스(501)의 항목 '강남구'에 대응하여 '강남구'에 속하는 하위 개념으로써, '논현로 175길', '압구정로 18길' 등의 항목이 나열된 목록(507)을 포함할 수 있다.
단, 각각의 콤보 박스의 목록은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해당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하여 버튼을 선택할 때에 필요하므로 콤보 박스의 항목을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박스를 펼쳤을 때로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고, 연이어 최하위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는 경우 차상위의 콤보 박스가 제어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된 이후에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시도' 콤보 박스를 선택한 이후에 '도로명' 콤보 박스(601)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역방향 검색에 의해 선택된 하위 항목에 대응하는 상위 항목을 표시할 수 있는 항목 표시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콤보 박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된 이후,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역방향 검색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각 상황에 맞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된 이후에 '도로명' 콤보 박스(601)의 항목(602)이 선택되더라도, 선택된 항목(602)에 대한 도로명이 속하는 '시군구' 콤보 박스에 관련 상위 항목을 찾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된 이후에 '도로명' 콤보 박스(601)의 프롬프터를 변경하고, 사용자가 도로명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도로명'이 속한 '시군구'를 해당 콤보 박스에 자동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도 6의 (b)와 같이 '도로명' 콤보 박스를 통해 '도로명' 뿐만 아니라, '시군구'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주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내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테이블 내에서 한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하여 기본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일부 테이블에 대하여 외래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콤보 박스 계층 구조에서 하위 콤보 박스는 상위 콤보 박스와 외래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a), (b), (c)를 살펴보면, 각각의 테이블은 '시도', '시군구', '도로명' 콤보 박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들은 각자 서로 다른 키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시군구'에 포함된 항목들은 '시도'와 연동하기 위하여 도 7의 (a)에 따라 '시도'에 설정된 기본키(SeqNo)를 외래키(WideSN)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로명'에 포함된 항목들은 '시군구'와 연동하기 위하여 도 7의 (b)에 따라 '시군구'에 설정된 기본키(SeqNo)를 외래키(GuSN)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각 콤보 박스는 그에 상응하는 하나의 테이블이 데이터베이스에 있고, 항목들 간의 소속(포함) 관계는 테이블의 외래키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방법을 통해 구성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콤보 박스를 펼쳤을 때, 항목에 대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목록 구성은 콤보 박스의 계층 상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i) 최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최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게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모든 항목에 대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에 대응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의 항목을 모두 로딩하여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ii) 중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중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중간 계층의 콤보 박스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응되게 된다. 그리고,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에 해당하는 항목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가 단일 항목으로 표시된 상태이고, 항목 목록을 하나의 테이블에서 읽어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표 1에 나타난 질의어의 실행을 통해 현재 계층 및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복합 항목을 구성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5
표 1의 (1)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 따른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속성(GuName: 시군구)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대한 속성(WideName: 시도)으로 구성되는 복합 항목들을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으로 나열할 수 있다. 각 속성은 표 1의 (2)에 나열된 districtCounty 테이블과 wideAreaCity 테이블을 표 1의 (3)과 같이 외래키로 조인하여 채취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4)와 같이 첫 정렬 키로 현재 계층 항목(D.GuName)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iii)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는 경우, 펼쳐지는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상위 항목(들) 선택 여부에 따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속성을 포함하는 복합 항목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모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표 2의 질의어를 통해 채취한 자료를 사용하여, 도 8의 자료구조에 저장한 뒤, 표 5의 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여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 형태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6
표 2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표 1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하며,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모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한 속성을 포함하는 복합 항목의 목록을 구성하여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한 프롬프터 형태의 목록을 표 3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7
표 3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표들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이미 선택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외한 모든 차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속성을 포함하는 복합 항목의 목록을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로 구성하여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 3의 (1)에 나타난 <WideSN>는 이미 선택된 최상위 계층의 항목 키 값(‘시도’ 항목 SeqNo)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모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표 4의 질의어를 사용하여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한 프롬프터 형태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8
표 4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항목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표 4의 (1)의 <GuSN>은 최하위 바로 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선택된 항목(즉, 제3 실시예에서 ‘시군구’ 항목)의 키 값을 나타낸다.
결국,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한 콤보 박스를 펼쳐보면, 각 상황에 대응하여,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 형태의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지연된 로딩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최소화하고, 콤보 박스 프롬프터를 적절하게 변형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는 마치 모든 항목이 이미 로딩된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과 같은 자료 구조의 필요성은 사용자 단말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 정보를 보면 알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항목을 입력받기 위하여 콤보 박스의 첫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콤보 박스의 첫 항목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프롬프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콤보 박스의 첫 항목은 콤보 박스의 계층 상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도로명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는 [도로명 - 시군구 - 시도]와 같이 2개의 상위 항목 및 1개의 현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3중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로명 콤보 박스가 펼쳐질 때, 사용자 단말은 3중 복합 항목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채취하여 도로명 콤보 박스의 항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채취한 항목 정보를 도 8과 같은 자료 구조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n중 복합 항목의 정보를 두 길이 n인 속성 배열 keys 와 labels 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배열 keys 의 요소 값은 도 7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각각의 테이블 항목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SeqNo) 값 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해당 항목(예, 27)의 복합 항목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덱스(예, 1)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콤보 박스의 한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한 표 8형태의 자료 구조로부터 현재 계층 및 존재하는 모든 상위 계층의 단일 항목 값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의 자료 값에 해당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3개의 단일 항목 <{49}, {4.19로 1}>, <{27}, {강북구}>, <{1}, {서울특별시}>를 구성하여 각각 해당 콤보 박스에 선택된 항목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베이스 접근 없이 상위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여, 사용자는 도로명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를 통해 '4.19로 1 - 강북구 - 서울특별시' 복합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은 시도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서울특별시', 시군구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의 항목을 '강북구'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표 5의 (1) toString 과 같은 메소드를 통해 3중 복합 항목으로 표시되는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라벨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항목이 선택된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객체지향언어를 이용하여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사용자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외한 콤보 박스의 항목 선택에 따라 하위 계층의 프롬프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객체지향언어 중 하나인 Java 언어의 isPopupVisible 메소드를 사용하여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Java 언어를 사용하여 표 5과 같이 콤보 박스의 항목에 대한 클래스가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09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의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자동으로 제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가 재귀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시군구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를 선택하여 콤보 박스에 나열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도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를 통해 선택된 '강남구'라는 항목에 대응하여 시도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서울특별시'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시도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함에 있어, 현재 계층인 시군구 콤보박스의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한 '강남구'로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 아니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콤보 박스의 항목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롬프터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복합 항목을 가지는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복합 항목 중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추출한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항목을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복합 항목 중 현재 계층에 고유한 단일 항목을 추출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표 6과 같이 3중 복합 항목에 대한 객체를 생성하는 Java 기반의 수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수식은 도 8과 같은 자료 구조를 갖는 Java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8535969-pat00010
이로써, 사용자 단말은 콤보 박스의 항목을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박스를 펼쳤을 때로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된 이후에 프롬프터를 표시하거나, 수동 혹은 자동으로 선택된 단일 항목을 표시할 때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은 콤보 박스의 복합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에 상위 개념의 항목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복합 항목 선택 때 상위 항목 구성을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이 필요하지 않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형태 선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901)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콤보 박스가 '시도' 콤보 박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도' 콤보 박스인 경우(901: Yes),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단일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도' 콤보 박스에 대하여 최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이므로, 사용자 단말은 실행 초기 1회 콤보 박스의 목록을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시도' 콤보 박스가 아닌 경우(901: No), 단계(902)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콤보 박스가 '시군구' 콤보 박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군구' 콤보 박스인 경우(902: Yes), 단계(903)에서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된 경우(903: Yes),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단일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903: No),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복합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시군구' 콤보 박스를 통해 '시도' 콤보 박스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암시를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시군구' 콤보 박스가 아닌 경우(902: No), 단계(904)에서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로명' 콤보 박스가 선택된 경우(904: Yes), 단계(905)에서 사용자 단말은 '시군구'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시군구' 콤보 박스가 선택된 경우(905: Yes),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단일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시군구'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905: No), 단계(906)에서 사용자 단말은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된 경우(906: Yes),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도로명' 및 '시군구'를 포함하는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시도' 콤보 박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906: No), 사용자 단말은 '도로명'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도로명', '시군구' 및 '시도'를 포함하는 3중 복합 항목의 프롬프터로 표시할 수 있다.
결국,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콤보 박스는 차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가 선택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2중 또는 3중 복합 항목으로 프롬프터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상위 항목을 모르는 사용자에게 절대적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콤보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은 최상위의 콤보 박스를 제외하고, 나머지 콤보 박스의 목록을 구성하는 시기를 사용자가 실제로 목록을 펼쳐보는 시기까지 늦춤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콤보 박스에 대한 역방향 검색을 제공함에 따라 하위 항목에 대응하는 상위 항목을 자동을 선택하며, 기능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역방향 항목 자동 선택 시, 콤보 박스에 단일 항목이 표시되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 간의 연결 관계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박스 항목 선택의 처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1001)에서 사용자 단말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각 계층의 모든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 항목들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각 계층에 대하여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나타나는 프롬프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복합 항목은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격 구조(case-structure)로 이루어진 항목일 수 있다.
단계(1002)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콤보 박스의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1003)에서 사용자 단말은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혹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항목이 입력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서 입력된 항목과 연동하는 상위 개념의 항목을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에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하위 개념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프롬프터를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기준으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대하여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콤보 박스 기술은 정방향 검색이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통해 하위 항목의 선택에 따른 상위 항목의 선택을 자동으로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사용자 단말
102: 콤보 박스
105: 프롬프터 (형태: "abc[-def]*", 여기서, [X]* 는 X가 0 혹은 그 이상 반복할 수 있음을 의미함)
106: 콤보 박스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박스의 항목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콤보 박스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으로 나타나는 프롬프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합 항목은,
    상기 콤보 박스의 단일 프롬프터에서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단일 프롬프터까지 콤보 박스의 계층 증가순으로 격 구조(case-structure)로 이루어진 항목을 나타내는 항목 표시 방법.
  4.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박스의 항목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된 항목에 따른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하는 항목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항목 표시 방법.
  6.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박스의 항목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입력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항목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하위 계층 콤보 박스를 통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의 형태를 갖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항목 표시 방법.
  8.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박스의 항목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의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자동으로 제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계층 콤보 박스의 선택 항목이 프롬프터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항목 표시 방법.
  9.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콤보 박스(combo-box)의 항목 표시 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현재 계층의 콤보박스의 항목과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기 제어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항목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는 항목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11
    )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이 구성되어 표시되는 항목 표시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a)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b)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c)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콤보 박스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의 프롬프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된 항목에 따른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까지 항목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한 상위 개념의 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5.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a)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b)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c)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입력된 항목에 대한 하위 개념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프롬프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하위 계층 콤보 박스를 통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 계층의 개수에 따라 복합 항목 또는 단일 항목의 형태를 갖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7.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a)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b)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c)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에 의해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이 자동으로 제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계층 콤보 박스의 선택 항목이 프롬프터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8. 콤보 박스의 항목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콤보 박스에서 선택이 가능한 항목을 나타내는 프롬프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프롬프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목록에 열거된 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항목을 고려하여 (a)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b)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항목 또는 (c) 하위 계층의 콤보 박스의 프롬프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계층의 콤보 박스는,
    상기 제어된 상위 계층의 콤보 박스에 표시된 항목과 연동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콤보 박스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
    Figure 112015038535969-pat00012
    )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된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받은 항목이 속하는 그룹이 구성되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KR1020150055743A 2015-04-21 2015-04-21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KR10165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43A KR101659546B1 (ko) 2015-04-21 2015-04-21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43A KR101659546B1 (ko) 2015-04-21 2015-04-21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546B1 true KR101659546B1 (ko) 2016-09-26

Family

ID=570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743A KR101659546B1 (ko) 2015-04-21 2015-04-21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5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261A (ko) * 2004-10-29 2006-05-1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입력 시스템;표시 제어 방법
JP2012093988A (ja) * 2010-10-27 2012-05-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261A (ko) * 2004-10-29 2006-05-1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입력 시스템;표시 제어 방법
JP2012093988A (ja) * 2010-10-27 2012-05-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941B2 (en) Database access mechanisms for a computer user interface
JP5456322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使用して文書および文書オブジェクトにメタデータを付加する方法
JPWO2006098031A1 (ja) キーワード管理装置
US8924198B2 (en) Searching and browsing of contextual information
JP2009123022A (ja)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317494B2 (en) Graphical hierarchy conversion
JP2013535043A (ja) 検索ベースのシステム管理
US200802088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iles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the files
US8145580B2 (en)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elements using a plurality of metadata elements
JP544841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922059B2 (en) Integrating application features into a platform interface based on application metadata
JP5979895B2 (ja) 文書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文書管理方法
JP6173740B2 (ja) 医用システムおよび医用辞書情報管理方法
JP2012159917A (ja)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9546B1 (ko) 콤보 박스를 이용하여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항목 표시 방법
KR101589969B1 (ko) 네트워크형 파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20159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839360B2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WO2016190444A1 (ja) 情報管理装置並びにファイル管理方法
JP5884925B2 (ja) 管理支援装置、管理支援方法及び管理支援プログラム
JP2002073655A (ja) 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222436A (ja) オントロジーを用いた情報検索支援方法および情報検索支援装置並びに情報検索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227820A (ja) プログラムテス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テスト方法
CN101458688A (zh) 一种分目录网站
KR101802284B1 (ko) 파일 저장위치의 추상화 저장방법과 이를 위한 추상화 저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