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84B1 -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84B1
KR101658584B1 KR1020150034876A KR20150034876A KR101658584B1 KR 101658584 B1 KR101658584 B1 KR 101658584B1 KR 1020150034876 A KR1020150034876 A KR 1020150034876A KR 20150034876 A KR20150034876 A KR 20150034876A KR 101658584 B1 KR101658584 B1 KR 10165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eat
heat recovery
cooking vessel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원
이지효
유기성
Original Assignee
이부원
이지효
유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원, 이지효, 유기성 filed Critical 이부원
Priority to KR102015003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4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liquid-heating tubes extending outside the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솥과 외솥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과 외솥 사이에 구비되는 폐열회수관과, 상기 폐열회수관에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 HEAT RECOVERY SYSTEM }
본 발명은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마솥이나 곰솥 등과 같은 대형의 조리용기는 많은 양의 밥을 짓거나 사골 육수 등과 같이 장시간 가열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가스버너나 화덕 등에 대형 조리용기를 거치하고, 오랜 시간 동안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거나 조리용기 내의 음식을 고온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버너 등의 열원에서 조리용기 측으로 열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특히, 대형 음식점 등에서 조리용기를 장시간 가열할 경우 조리용기 자체적으로 외기에 의해 열이 식는 과정에서 폐열이 발생되며, 물이 증발되면서 상당한 양의 폐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153호에 폐열 포집이 가능한 조리용기가 게재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것으로 폐열 회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255호에는 조리기구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가 게재되어 있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가열부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어 폐열 회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15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2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솥과 외솥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과 외솥 사이에 구비되는 폐열회수관과, 상기 폐열회수관에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폐열회수관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 및 외솥 사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열회수관은 일측은 저장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은 일측에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용수가 공급되는 용수공급관과,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는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의 일측에는 조리용기를 회전시키는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는 양측에 제1 및 제2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 및 외솥으로 이루어지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저장부의 공급관과 배출관이 접속되어 폐열회수관과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의 제2회전축에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솥의 내측에는 상기 폐열회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날개에는 상기 폐열회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폐열 포집이 가능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조리용기 및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개념도.
도 5의(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지지부 및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조리용기 및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의 지지부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조리용기(110)와, 상기 조리용기(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용기(110)를 가열하는 가열부(140)와, 상기 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폐열회수관(116)과, 상기 폐열회수관(116)에 의해 가열, 공급되는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5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리용기(110)는 내측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내솥(110a)이 형성되고, 내솥(110a)의 외부에는 화염이 외부로 발산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외솥(1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10)는 지지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지지대(130)의 일측에는 조리용기(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부(120)가 구비되며, 조리용기(110)의 하부에는 가열부(1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조리용기(110)의 양측에는 제1,2회전축(112,114)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130)에 형성된 지지홈(132,134)에 지지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10)의 제1회전축(112)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과 외솥(110b)으로 이루어지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공(112a)이 형성되어 후술할 공급관(152)과 배출관(154)이 상기 관통공(112a)을 통하여 폐열회수관(116)과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용기(11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112) 및 제2회전축(114)은 외측에 베어링(113,115)이 구비되어 제1회전축(112) 및 제2회전축(114)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10)의 제2회전축(114)의 단부에는 제1기어(114a)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120)는 지지대(130)의 일측에 상기 제1기어(114a)에 대응되도록 하여 제2기어(122)가 구비되고, 제2기어(122)에는 핸들(124)이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124)을 회전시키면 제2기어(122)에 맞물리는 제1기어(114a)가 회전하게 되어 조리용기(11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음식물을 이동하거나, 조리용기(110)를 세척할 때 용이하게 조리용기(1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10)는 내솥(110a)과 외솥(110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솥(110b)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과 외솥(110b) 사이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솥(110b)은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단열층(110c)을 형성하여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으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140)는 통상의 가스버너(142)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솥(110b)에는 가스배기공(111)이 형성되어 가열부(14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연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과 외솥(110b) 사이에는 폐열회수관(116)이 설치되고, 폐열회수관(116)에는 후술할 저장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폐열회수관(116)은 외솥(110b)에 접촉 고정되게 설치되되,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전열 면적이 크게 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10)가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될 때,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용수가 동시에 가열되게 되어 조리 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조리 시에는 상기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용수가 가열부(140)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폐열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가 완료된 후, 즉 조리용기(110)가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되지 않을 때에는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과 외솥(110b)의 사이에 잔류하는 폐열을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용수가 흡수하여 조리용기(110)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폐열회수관(116)은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폐열회수관(116)의 전열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용수가 보다 용이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폐열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폐열회수관(116)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열부(140)에 의해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용수가 가열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용수가 폐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솥(110b)의 내측에는 상기 폐열회수관(116)을 고정하는 지지부(16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16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솥(110b)의 내측 바닥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62)와, 상기 지지부재(162)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날개(164)로 이루어져 상기 폐열회수관(116)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162)는 외솥(110b)의 내측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날개(164)의 내측 또는 외측에 폐열회수관(116)이 지지되도록 하여 나선형으로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날개(164)에는 상기 폐열회수관(11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 고정걸이(166) 등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폐열회수관(116)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폐열회수관(116)이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되어 폐열회수관(116)이 외솥(110b)의 내측에서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폐열 회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폐열회수관(116)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폐열회수관(116)으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폐열회수관(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52)이 구비되고, 폐열회수관(116)의 타측에 연결되어 조리용기(110)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52)에는 저장부(150)로부터 폐열회수관(116)으로 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순환펌프(152a)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154)에는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며 조리용기(110)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온수를 저장부(15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출밸브(15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에는 밸브(157a)가 구비된 배출공(157)이 형성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온수를 필요 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150)의 일측에는 용수공급관(156)이 구비되어 저장부(130)로 용수를 공급하고, 상기 용수공급관(156)에는 용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156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156a)는 저장부(150)에 구비된 수위조절수단(158)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용수가 일정 수위를 넘지 않도록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50)에는 압력계(155)가 설치되어 저장부(150) 내부의 압력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100)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하고자하는 음식물을 조리용기(110)에 수용한 후, 가열부(140)를 이용하여 조리용기(110)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50)의 순환펌프(152a)를 작동시켜 용수가 순환되도록 하면, 공급관(152)을 통하여 조리용기(110)의 외솥(110b)에 고정 설치되는 폐열회수관(116)으로 저장부(150)의 용수가 공급되게 되고,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동안 용수가 폐열을 흡수하고, 폐열을 흡수한 고온의 온수는 배출관(154)을 통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배출공(157)을 통하여 사용처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10)의 제1회전축(112)에 형성된 관통공(112a)에 공급관(152)과 배출관(154)이 설치되고, 공급관(152)과 배출관(154)에 각각 폐열회수관(116)의 양단이 연결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100)에 의하면, 가열부(120)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110)의 내솥(110a)과 외솥(110b) 사이에 폐열회수관(116)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116)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폐열회수관을 설치하여 폐열회수관을 통과하는 용수가 음식물 조리시 직접 가열되도록 하여 온수를 생산함으로써 폐열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110: 조리용기 112,114: 제1,2회전축
111: 가스배기공 112a: 관통공
114a: 제1기어 116: 폐열회수관
120: 조절부 122: 제2기어
124: 핸들 130: 지지대
132, 134: 지지홈 140: 가열부
150: 저장부 152: 공급관
152: 순환펌프 154: 배출관
154a: 배출밸브 156: 용수공급관
156a: 제어밸브 157: 배출공
158: 수위조절수단 160: 지지부
162: 지지부재 164: 지지날개
166: 고정걸이

Claims (11)

  1. 내솥과 외솥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과 외솥 사이에 구비되는 폐열회수관과,
    상기 폐열회수관에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솥의 내측에는 상기 폐열회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관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 및 외솥 사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관은 일측은 저장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일측에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는 용수가 공급되는 용수공급관과,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의 일측에는 조리용기를 회전시키는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양측에 제1 및 제2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솥 및 외솥으로 이루어지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저장부의 공급관과 배출관이 접속되어 폐열회수관과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2회전축에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날개에는 상기 폐열회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KR1020150034876A 2015-03-13 2015-03-13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KR10165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76A KR101658584B1 (ko) 2015-03-13 2015-03-13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76A KR101658584B1 (ko) 2015-03-13 2015-03-13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584B1 true KR101658584B1 (ko) 2016-09-21

Family

ID=5708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76A KR101658584B1 (ko) 2015-03-13 2015-03-13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20120136710A (ko) * 2011-06-09 2012-12-20 윤범중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KR20130058195A (ko) * 2011-11-25 2013-06-04 박경일 회전솥이 구비된 폐열회수 보일러 장치
KR20130004255U (ko) 2011-12-30 2013-07-10 최종옥 조리기구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1326153B1 (ko) 2011-12-08 2013-11-06 오한솔 폐열 포집이 가능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20120136710A (ko) * 2011-06-09 2012-12-20 윤범중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KR20130058195A (ko) * 2011-11-25 2013-06-04 박경일 회전솥이 구비된 폐열회수 보일러 장치
KR101326153B1 (ko) 2011-12-08 2013-11-06 오한솔 폐열 포집이 가능한 조리용기
KR20130004255U (ko) 2011-12-30 2013-07-10 최종옥 조리기구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676B2 (ja) 加熱調理器
RU25520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аром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10779558B2 (en) Popcorn machines having gas-fired radiant burn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4444312B2 (ja) 加熱調理器
CN103784003B (zh) 蒸汽烹饪控制方法、蒸汽烹饪控制系统和蒸汽烹饪设备
CN105747824A (zh) 电饭煲控制方法
KR101658584B1 (ko) 조리용기 폐열회수 시스템
EP3089590A1 (en) Cooking oven with improved hot air circulation
JP6055733B2 (ja) 加熱調理器
KR20180081924A (ko) 중탕 방식 조리 전용 인덕션 레인지
JP2017072265A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CN102159891B (zh) 具有蒸汽发生装置的加热烹调器
KR102605445B1 (ko) 전극보일러의 전극봉 및 이를 이용한 발열전류제어방법
KR101358189B1 (ko) 가스 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가열장치
KR101277682B1 (ko) 회전솥이 구비된 폐열회수 보일러 장치
JP4671076B2 (ja) 過熱水蒸気暖房機
KR101361154B1 (ko) 조리장치
KR100705675B1 (ko) 순환식 난방기
JP2005077019A (ja) 加熱調理器
JP2004205130A (ja) 加熱調理器
CN205939061U (zh) 一种石英管即时过热蒸汽发生器
CN108534189B (zh) 一种灶具控制系统保险箱
CN217959790U (zh) 一种用于空气炸锅的加热模块以及空气炸锅
JP4987570B2 (ja) 加熱調理器
KR100634789B1 (ko) 가열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