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98B1 -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98B1
KR101658098B1 KR1020140133533A KR20140133533A KR101658098B1 KR 101658098 B1 KR101658098 B1 KR 101658098B1 KR 1020140133533 A KR1020140133533 A KR 1020140133533A KR 20140133533 A KR20140133533 A KR 20140133533A KR 101658098 B1 KR101658098 B1 KR 10165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information
intensity
chai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395A (ko
Inventor
박현
권혁주
김명철
Original Assignee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9/00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 G05D19/02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nti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D 상영관에서 모션의자의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션의자별로 모션의 강도를 달리 설정하되,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예매정보에 포함시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직접 원하는 강도의 모션의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ERV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TENSITY OF MOTION CHAIRS}
본 발명은 4D 상영관에서 모션의자의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션의자별로 모션의 강도 또는 진동의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달리 설정하되, 모션의자별 모션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정보를 예매정보에 포함시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직접 원하는 강도의 모션의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화 컨텐츠의 다양화와 함께 이를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인 상영관도 더불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많은 상영관 운영 주체들은 3D 입체영상에서 더 나아가 물리적인 효과를 추가한 형태의 상영관인 4D 상영관을 크게 늘리고 있다.
4D 상영관은 다양한 관람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관객들로 하여금 직접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게 해 주는 모션의자는 최근 4D 상영관의 필수 관람요소라 할 수 있다.
모션의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규칙, 불규칙하게 작동하면서 의자를 롤(roll), 피치(pitch), 요(yaw), 스웨이(sway)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영관 내 설치되는 대부분 모션의자들의 경우 모두 같은 강도로 모션을 구현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영화를 관람하는 개별 관객들의 경우, 각 개인은 모션의자의 운동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일부 관객들의 경우에는 모션의자의 다소 격렬한 운동에 심한 공포감까지 느껴 4D 상영관에의 출입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영관 내 모션의자들의 모션강도를 각각 달리 설정하고, 고객들로 하여금 예매시 원하는 모션강도의 모션의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4D 상영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8-0105261 (2010.03.05.공개)
본 발명은 4D 상영관 내 구비된 모션의자에 모션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 모션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를 달리 설정하고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기초로 예매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매정보를 제공할 때에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에 따라 구별표시를 함으로써 예매를 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강도의 차이를 인식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매정보와 함께 모션기술(記述)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에 따른 모션의자의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또는 기저장된 고객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강도의 모션의자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좌석을 지정하여 예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예매 시스템은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예매서버로 전송하는 모션의자 관리서버; 및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매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는 모션의자별로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예매정보 내 포함된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에 따라 색깔, 문자 또는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별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예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모션기술(記述)정보를 더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모션기술(記述)정보는 모션의자의 운동각도, 가속도, 속도, 진동수 또는 이동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유형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명령어와 연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예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좌석추천정보를 더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예매서버는 고객정보를 기초로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객정보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컨텐츠 선호도 또는 관람이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석추천정보는 추천좌석위치 또는 추천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예매서버는 모션의자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예매정보 생성부;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 및 예매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매서버는 상기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기술(記述)정보를 생성하는 모션기술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예매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좌석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모션의자 관리서버는 복수개의 모션의자 또는 예매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 상영 컨텐츠별 모션프로그램을 로드하여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모션프로그램 로딩부;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강도 설정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 모션프로그램 로딩부 및 강도 설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예매정보 제공방법은 (a) 모션의자 관리서버로부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참조하여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예매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매정보 제공방법은 예매서버가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생성방법은 (a) 모션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단계; (b) 상기 로드한 모션프로그램을 모션의자로 전송하고,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를 설정하는 단계; (c)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예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4D 상영관 내 구비된 복수의 모션의자들을 각기 다른 강도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예매정보 내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원하는 강도의 모션의자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4D 상영관에 대한 저항감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예매정보와 함께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는바, 선택하고자 하는 모션의자의 움직임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상영 시 갑작스러운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고객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 내 기 저장된 고객정보를 기초로 고객에게 적절한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의 모션의자를 추천하게 되는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원하는 좌석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 관리서버의 모션강도 설정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모션의자 관리서버에 의해 모션의자별로 모션강도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매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예매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매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예매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션기술(記述)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의 예매정보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의 또 다른 예매정보 제공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은 기본 구성으로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 예매서버(300)를 포함하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상영관 내 구비된 복수개의 모션의자(100)들과, 그리고 예매서버(300)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40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와 상기 예매서버(300)는 별도의 서버로 구동되거나 또는 하나의 서버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4D 상영관 내 구비된 모션의자(100)들에 대해 모션프로그램을 적용시키고 각각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100)별 강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모션의자(100)별로 모션프로그램 및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도가 설정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 즉 모션강도정보 또는 모션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이를 예매서버(300)에 전송한다.
한편, 상영관 내 구비된 모션의자(100)는 전후, 좌우,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내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의자(100)는 컨텐츠의 각 프레임에 맞추어 전후, 좌우, 상하로 운동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는 땅으로 꺼지는 듯한 느낌을 주는 드롭(drop)운동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스웨이(sway) 운동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특수 효과로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촉감을 제공하는 효과, 등 부위 또는 엉덩이 부위에 충격을 가하거나 진동감을 제공하는 효과, 모션의자(100) 전체가 진동하는 쉐이커 효과 등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모션의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부를 갖출 것을 요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예매서버(300)는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예매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예매정보에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 이외에도 상영관 정보, 상영 시간정보, 좌석위치정보, 컨텐츠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바람직하게는 웹페이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한편, 예매서버(300)로부터 예매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는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할 때, 사용자 단말기(400)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 상영관 내 키오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들은 바람직하게는 웹브라우저,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단말기 내부 저장공간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예매서버(300)로부터 예매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본질적으로는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의미하거나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대해 명령어를 전송하는 등 타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모션프로그램 로딩부(220), 강도 설정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본 모션의자 관리서버(200)가 복수개의 모션의자 또는 예매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한 통신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모션프로그램 로딩부(220)는 각 상영 컨텐츠별로 존재하는 모션프로그램을 읽어들여 각각의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강도 설정부(230)는 상기 모션프로그램을 읽어 각 모션의자에 전송함에 있어 각 모션의자별로 강도, 즉 모션의자의 움직임 정도에 대한 모션강도와 모션의자의 떨림 정도에 대한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앞서의 기능부들, 즉 데이터 송수신부(210), 모션프로그램 로딩부(220), 강도 설정부(23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모션의자 관리서버(2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크게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i) 모션프로그램 로드 ii) 모션의자별 강도 설정 iii) 상기 모션의자별 강도정보 생성 및 예매서버(300)로의 전송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션의자별 강도는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먼저 첫 번째 기능과 관련하여, 4D 상영 컨텐츠는 각각 고유의 모션프로그램을 가지며 이러한 모션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컨텐츠 제작자 또는 모션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다. 모션프로그램은 컨텐츠의 각 프레임 순서에 따라 모션의자의 운동, 예를 들어 전후/좌우/상하 움직임, 진동, 롤링 등 모션의자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설정해 놓은 것이며, 특정 데이터의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4D 상영관에서의 컨텐츠 상영에 앞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상기 모션프로그램을 각각의 모션의자에 적용시키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우선적으로 모션프로그램을 로드(load), 즉 모션프로그램을 읽어들이는 단계(S110)부터 수행하게 된다. 모션프로그램을 읽어들인 이후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해당 모션프로그램을 상영관 내 설치된 복수개의 모션의자로 각각 전송한다.
다음으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의 두 번째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모션프로그램을 각각의 모션의자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각 모션의자의 강도, 예를 들어 모션강도와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외부로부터 운영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운영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따라 각 모션의자의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상영관 내 구비된 복수의 모션의자들은 각각 식별번호를 부여 받을 수 있으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상기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모션의자별로 다른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모션의자 관리서버(200)가 각 모션의자별로 강도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의하면 상영관 내 각 1열은 "강", 2열은 "중", 3열은 "약"의 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의자별 강도는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강도와 진동강도 둘 다를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모션강도와 진동강도가 동일한 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가 "강"으로 설정된 경우 모션강도와 진동강도 모두 "강"을 의미하며, 강도가 "중"으로 설정된 경우 모션강도와 진동강도 모두 "중"을 의미하며, 강도가 "약"으로 설정된 경우 모션강도와 진동강도 모두 "약"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모션강도와 진동강도가 별도의 서로 다른 강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모션강도정보와 진동강도정보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즉, 모션강도는 "강"으로, 진동강도는 "중"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션의자별 강도를 "강", "중", "약"의 3단계로 설정한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필요할 경우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의 세 번째 기능과 관련하여,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는 앞서 모션의자별로 설정한 내용을 하나의 데이터 형태, 즉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예매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모션강도정보, 진동강도정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의 데이터는 예매서버(300)와의 공유가 가능한 이상 데이터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예매서버(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매서버(300)는 앞서 검토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대해 명령어를 전송하는 등 타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와 예매서버(300)를 각각 분리하여 별개의 서버로 설명하고 있으나, "서버"라는 단어는 기능을 달리하는 두 개의 다른 기능부를 구별하기 위해 명명한 것일 뿐, 양자는 하나의 서버장치 내에 동시에 공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를 참고할 때 예매서버(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예매정보 생성부(320), 데이터베이스(33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모션의자 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본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특히, 본 예매서버(300)의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로부터는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고객정보, 좌석추천요청, 좌석선택정보 등을 수신한다.
예매정보 생성부(320)는 앞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하게 될 예매정보를 생성한다.
예매정보란, 사용자가 영화컨텐츠 예매시 참조할 수 있는 정보들을 통칭하여 일컫는 것으로, 상기 예매정보는 기본적으로 컨텐츠정보, 상영관정보, 좌석정보, 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예매정보 생성부(320)는 위와 같은 복합 정보들이 포함된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며, 특히 위 정보에 각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더 부가된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예매정보 생성부(320)는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생성할 때에 상기 모션 또는 진동의 강도에 따라 색깔, 문자 또는 프레임 등 각 좌석별로 강도가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식별수단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예매정보 중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영관의 좌석배치도면 상 "강"의 강도로 설정된 모션의자들은 실선 프레임으로, "약"의 강도로 설정된 모션의자들은 점선 프레임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모션강도에 따라 해당 좌석의 색깔을 달리 표시하는 방식으로도 상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매서버(300)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330)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30)는 과거 예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저장하며, 또는 신규 예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고객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저장한다.
상기 고객정보에는 사용자 성명,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선호하는 컨텐츠 장르 또는 과거 예매이력 등이 포함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고객정보들은 해당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시 적절한 모션의자를 추천해 주는, 소위 좌석추천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매서버(300)는 앞서 검토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기능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6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예매서버(300)는 예매정보 생성부(320)와는 별도로,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 즉 모션기술(記述)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모션기술정보 생성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기술정보란, 컨텐츠 재생시 모션의자가 실행하는 다양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모션의자의 전후, 좌우, 상하 이동거리, 모션의자가 롤(roll), 피치(pitch), 요(yaw), 히브(heave), 스웨이(sway), 서지(surge) 등과 같은 움직임을 실행할 때 기준선으로부터의 기울기 또는 각도, 모션의자가 얼마나 빠른 속도 또는 가속도로 운동하는지 또는 모션의자가 얼마나 빠르게 진동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모션강도에 따라 각각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예매하고자 하는 좌석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강도가 설정된 모션의자를 선택하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기술정보는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 등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한편 이 때, 모션기술정보는 상기 예매정보에 부가정보로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예매정보와는 별개로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독립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7은 모션강도에 따라 각각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모션기술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강”으로 설정된 모션의자의 경우 기울기 각, 이동거리 등을 표시하는 기호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현하여 직관적으로 큰 움직임이 있음을 인식시킬 수 있으며, "약"으로 설정된 모션의자의 경우에는 기호를 상대적으로 작게 표현하여 사용자가 쉽게 모션의자의 움직임 차이를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400)의 진동부를 제어하는 명령어 형태로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모션의자의 강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0)로 하여금 그 세기를 달리하여 진동하게끔 제어하고자 한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좌석의 모션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말기 진동세기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 세기를 통해 모션의자의 진동강도 정보를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형태의 모션기술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때 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예매서버(300)는 좌석추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석추천부(350)는 사용자에게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모션의자를 연산해 이를 기초로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좌석추천부(350)는 연산시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모션의자를 선별하는데, 이 때 고려될 수 있는 고객정보에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컨텐츠 선호도, 과거 관람이력 등이 포함된다.
상기 좌석추천부(350)는 사용자의 고객정보가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모션의자를 선별 연산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i) 나이가 20세 이상 30세 미만 ii) 성별은 남성 iii) 체중 65kg 이상 75kg 미만 iv) 키 170 cm 이상 185cm 미만 v) 과거 강도 “강”으로 설정된 좌석에서 관람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모션강도가 “강”으로 설정된 모션의자를 추천해 주는 방식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좌석추천 연산시 참조되는 고객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은 것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 과거 예매이력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330)에 기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 따르면, 예매정보 제공방법은 전제적으로 모션의자 관리서버(200)가 각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S810)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모션의자 관리서버(200)가 각 모션의자별로 프로그램 및 강도를 설정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 언급하였으므로 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S810단계 이후, 예매서버(300)는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예매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S820, S830) 이 때 예매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예매정보는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론 그 외 컨텐츠 정보(제목, 줄거리, 상영시간 등), 상영관 정보(위치, 좌석수, 스크린 크기 등), 고객정보(컨텐츠 관람 이력, 좌석 선택이력, 상영관 선택이력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강도에 따라 색깔, 문자, 프레임 등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수단을 활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예매서버(300)는 이후 생성된 예매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S840)한다.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가정 또는 사무실 내 설치된 PC, 상영관 건물 내 설치된 키오스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예매서버(3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예매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이를 화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의사에 따라 선택된 좌석을 입력받는다.(S850)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모션의자별로 설정된 강도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강도의 좌석을 선택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예매정보 내 포함된 고객정보, 예를 들어 과거 좌석 선택이력, 상영관 선택이력 등을 참조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강도의 모션의자를 지정좌석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좌석선택 입력이 수신된 이후, 사용자 단말기(400)는 해당 좌석선택정보를 예매서버(300)로 전달하며(S860) 예매서버(300)는 상기 좌석선택정보를 기초로 특정 좌석을 확정한다. (S87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매정보 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의 S910단계, S920단계는 도 8의 S810단계, S820단계와 동일한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930단계는 예매서버(300)가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앞서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예매정보는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그 외에도 컨텐츠 정보, 상영관 정보, 관객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매서버(300)는 모션기술(記述)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션기술정보는 모션의자의 움직임을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단말기 제어 명령어 등의 데이터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게 좌석 선택시 모션의자의 움직임 모습, 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앞서에서도 언급했지만, 본 모션기술정보는 상기 예매정보와 별개로 독립적인 데이터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예매정보 내에 포함되는 서브 데이터 형태로서 상기 예매정보와 동시에 생성될 수도 있다.
S930단계 이후 예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정보를 전송(S940)하며, 사용자 단말기(400)는 수신한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구비된 출력수단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제공(S950)한다.
특히, 모션기술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모습과 관련하여, 상기 모션기술정보가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등의 시각적인 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해당 모션기술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단말기 제어 명령어와 연동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명령어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모션기술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명령어는 모션의자에 설정된 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세기로 단말기 내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명령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400)는 위 명령어에 따라 모션기술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정보의 수신에도 불구하고 좌석선택이 쉽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예매서버(300)로 좌석추천요청을 전달(S960)할 수 있다.
좌석추천요청을 수신한 예매서버(300)는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정보, 즉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좌석을 선별해 내고, 이를 기초로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한다. (S970) 이 때 참조하는 고객정보는 앞서 S960 단계에서 직접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예매서버(300) 내 데이터베이스(3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예매서버(300)가 하나 이상의 좌석을 선별해 내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하였는바,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후 사용자 단말기(400)는 좌석추천정보를 수신(S980)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좌석선택을 입력 받아 예매서버(300)에 전송(S990, S1000)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예매서버(300)는 수신한 좌석선택정보를 기초로 좌석을 확정한다. (S101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볼 때, 예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버들, 즉 모션의자 관리서버(200) 또는 예매서버(300)에 의해 실행되는 일련의 예매정보 제공방법이 기록매체로서 실시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모션의자 관리서버(200)에 의해 실행될 때, (a) 모션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단계; (b) 상기 로드한 모션프로그램을 모션의자로 전송하고, 각 모션의자별 모션강도를 설정하는 단계; (c)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를 예매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 생성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예매서버(300)에 의해 실행될 때, (a) 모션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모션의자별 모션강도정보를 참조하여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예매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매정보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앞서에서도 언급했듯 이러한 예매정보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모션의자
200: 모션의자 관리서버
210: 데이터 송수신부 220: 모션프로그램 로딩부
230: 강도 설정부 240: 입력부
250: 제어부
300: 예매서버
310: 데이터 송수신부 320: 예매정보 생성부
330: 데이터베이스 340: 모션기술정보 생성부
350: 좌석추천부
360: 제어부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8)

  1.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예매서버로 전송하는 모션의자 관리서버; 및
    상기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記述)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매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모션의자의 운동각도, 가속도, 속도, 진동수 또는 이동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명령어와 연동되며,
    상기 명령어는 모션의자별 설정된 강도에 따라 다른 세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의자 관리서버는 모션의자별로 모션강도 또는 진동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매정보 내 포함된 각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는 강도에 따라 색깔, 문자 또는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매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좌석추천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매서버는 고객정보를 기초로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고객정보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컨텐츠 선호도 또는 관람이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좌석추천정보는 추천좌석위치 또는 추천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 시스템.
  12. 모션의자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
    모션의자 관리서버로부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션의자별 강도정보가 포함된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예매정보 생성부;
    상기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기술(記述)정보를 생성하는 모션기술정보 제공부;
    고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 및 예매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모션의자의 운동각도, 가속도, 속도, 진동수 또는 이동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명령어와 연동되며,
    상기 명령어는 모션의자별 설정된 강도에 따라 다른 세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서버.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좌석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예매서버.
  15. 삭제
  16. 예매서버가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모션의자 관리서버로부터 모션강도정보 또는 진동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모션의자별 강도정보를 참조하여 예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모션의자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기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생성된 예매정보 및 모션기술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모션의자의 운동각도, 가속도, 속도, 진동수 또는 이동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기술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명령어와 연동되며,
    상기 명령어는 모션의자별 설정된 강도에 따라 다른 세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매정보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예매서버가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좌석추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예매정보 제공방법.

  18. 삭제
KR1020140133533A 2014-10-02 2014-10-02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KR10165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33A KR101658098B1 (ko) 2014-10-02 2014-10-02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33A KR101658098B1 (ko) 2014-10-02 2014-10-02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95A KR20160040395A (ko) 2016-04-14
KR101658098B1 true KR101658098B1 (ko) 2016-09-21

Family

ID=5580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33A KR101658098B1 (ko) 2014-10-02 2014-10-02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65B1 (ko) * 2017-01-10 2018-07-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WO2018080041A3 (en) * 2016-10-31 2018-07-26 Cj 4Dplex Co., Ltd. 4d theater system having internet of things grafted toget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67B1 (ko) * 2019-07-31 2020-04-07 혜성산업(주)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349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予約支援システム、予約支援方法、および予約支援プログラム
KR101005320B1 (ko) 2010-07-28 2011-01-05 (주)에스엘포디 오감체험형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5261A1 (en) 2006-11-03 2008-05-08 Primed Medical Products Inc. Air filtering soft face mask
KR20100024325A (ko) * 2008-08-25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공연 예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00467B1 (ko) * 2011-03-16 2013-08-27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349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予約支援システム、予約支援方法、および予約支援プログラム
KR101005320B1 (ko) 2010-07-28 2011-01-05 (주)에스엘포디 오감체험형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41A3 (en) * 2016-10-31 2018-07-26 Cj 4Dplex Co., Ltd. 4d theater system having internet of things grafted together
KR101881565B1 (ko) * 2017-01-10 2018-07-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95A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49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ent based on viewing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ng content
US10499118B2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headset display
KR101905182B1 (ko) 이동 단말 이미지의 자체 적응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와 컴퓨터 저장 매체
US98262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and scalable information presentation
WO2022087920A1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20501265A (ja) 対話型拡張現実表示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媒体
JP6126221B2 (ja) 画面提供装置、画面提供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615338A (zh) 用于生成和使用降低分辨率图像并且/或者将这样的图像传送到重放或内容分发设备的方法和装置
JP2006510270A (ja) プロファイル空間への選別アクセス
KR102179226B1 (ko) 라이브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58098B1 (ko)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JP2016201714A5 (ko)
US202201502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10099735A1 (en) Computer Progra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JPWO2018012628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9930094B2 (en) Content complex providing server for a group of terminals
CA307073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6412666A (zh) 电视分屏方法及系统
CN104794632B (zh) 一种广告加载方法及装置
KR101943554B1 (ko) 스포츠 경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628354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917903B1 (ko) 좌석에 따른 영상의 크기와 각도 표시방법
US20170026688A1 (en) Terminal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0378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59267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