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09B1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09B1
KR101657909B1 KR1020150148506A KR20150148506A KR101657909B1 KR 101657909 B1 KR101657909 B1 KR 101657909B1 KR 1020150148506 A KR1020150148506 A KR 1020150148506A KR 20150148506 A KR20150148506 A KR 20150148506A KR 101657909 B1 KR101657909 B1 KR 10165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radle
joint
mov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경
정효상
Original Assignee
황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경 filed Critical 황선경
Priority to KR102015014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9/00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작기계는 사면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각관으로 형성된 이동장치와, 상기 각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거나 단독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회전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회전장치와, 상기 거치대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선반장치와, 프로파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조인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의 양 단부에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파일의 각관으로 형성된 다양한 구성이 서로 결합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나, 크게 나누면 범용(汎用)공작기계와 전용(專用)공작기계로 분류된다. 옛날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은 범용공작기계로, 가공물의 재질·종류 등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가공할 수 있다. 절삭속도도 넓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가공방식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가공조건을 선택하여 어떠한 것이라도 가공이 쉽게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전용공작기계는 단지 한 종류만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료의 설치·가공속도·이송속도 등 모두가 한 종류이며,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전용기의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조작도 수월하며 경제적이므로, 대량생산용이다. 자동차의 엔진블록 가공용인 트랜스퍼머신도 여러 개의 전용기를 조합한 것으로, 규모는 상당히 크지만 전용기의 일종이다. 시계의 부품 제작용 자동기계도 전용기이다.
이와 같은 공작기계는, 주조(鑄造)·단조(鍛造) 등으로 만든 기계부품 즉, 금속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는 기계를 말하며,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절삭기, 연삭기, 커터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제재(製材) 및 각종 목재가공에 사용되는 목공기계의 경우에는, 그 종류와 형식에 따라 목공선반, 띠톱기계, 둥근톱기계, 실톱기계, 기계대패, 루터, 드릴링머신, 목형연마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목형연마기(sander)는, 목형의 표면을 샌드 페이퍼로 다듬질할 때 쓰이는 기계로, 원반 또는 원통면에 샌드 페이퍼를 붙이고 이것을 회전시킴으로써 목형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샌더의 종류에는 벨트 샌더 ·디스크 샌더 ·스핀들 샌더 ·드럼 샌더 등이 있다.
그런데 금속 및 목재를 가공하는 공작장치의 경우 자동차 등 대형 공장에서 사용되는데 반해, 미니어쳐 제작, 교육용, 목공체험용 등 소규모로 사용할 경우 다양한 구성의 공작장치를 구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술이 미숙한 비전문가가 소형의 공작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작장치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증가하며 공작장치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 샌딩, 톱, 선반, 밀링 등 다양한 장치들을 서로 결합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작기계는 사면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각관으로 형성된 이동장치와, 상기 각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거나 단독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회전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회전장치와, 상기 거치대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선반장치와, 프로파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조인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의 양 단부에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작기계는 상기 이동장치가 결합된 상기 거치대의 하단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와, 다수의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동축과, 다수의 상기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일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전면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드릴, 연마지, 원형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회전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반장치는 프로파일 형상의 상기 각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선반결합부와, 상기 선반결합부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반회전체와, 상기 선반결합부와 타단부에 상기 각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공작물의 크기에 맞게 이동하는 선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복수개의 상기 각관의 결합홈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을 결합시키는 본체와, 복수개의 상기 본체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축을 구비하는 결합조인트와, 상기 각관의 일 측면에서 다른 상기 각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결합시키는 고무재질의 가이드조인트와, 복수개의 상기 각관 사이에 힌지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의 각도를 조절하며 결합시키는 회전조인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에 의하면,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다양한 장치들이 서로 결합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에 회전장치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각관을 조인트로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에 선반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에 받침대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에 회전장치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각관을 조인트로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는 사면에 결합홈(110)이 구비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20)으로 형성된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장치(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각관(20)으로 형성된 이동장치(200)와, 상기 각관(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200)에 결합되거나 단독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회전하여 공작물(10)을 가공하는 회전장치(300)와, 프로파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20)을 서로 결합시키는 조인트(5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20)의 양 단부에 고정철물(340)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커버(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작기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다양한 구성을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프로파일로 형성된 각관(20)일 수 있다.
상기 각관(20)은 알루미늄의 프로파일로 형성되므로 사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원형의 결합홈(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관(20)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결합홈(110) 외측에는 상기 커버(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은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00)의 사면에 회전장치(300), 이동장치(200) 등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어 다양한 공작기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200)는 상기 거치대(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장치(3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장치(200)는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조인트(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다수의 상기 결합부(210)를 관통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동축(220)과, 다수의 상기 결합부(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축(220)의 회전에 의하여 일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장치(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211)와 하부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각관(2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0)는 결합조인트(510)에 의하여 상기 거치대(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10)의 상부와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에 분리되지 않은 커버(600)가 결합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거치대(100)와 상기 결합부(2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거치대(100)와 상기 결합부(210)의 결합홈(1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에서 상기 결합부(210)가 이탈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220)은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결합부(21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축(220)의 상부는 상기 제 1결합부(211)의 상측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1)에 의하여 상기 이동축(220)을 회전하면 상기 이동축(220)의 중간에 결합된 상기 이동부(2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30)는 중심에 상기 이동축(220)의 나선홈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230)와 동일한 나선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각관(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30)는 일 측면이 상기 거치대(100)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가이드조인트(520)에 의하여 상기 이동축(220)을 회전시키면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230)는 상기 거치대(100)와 수직하는 면에 상기 회전장치(300)가 조인트(500)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회전장치(300)를 상기 이동장치(200)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에 결합되어 공작물(10)을 가공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되어 공작물(10)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300)는 도 2를 참조하면,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20)으로 형성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320)와, 상기 회전체(320)의 전면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공작물(10)을 가공하기 위하여 드릴(331), 연마지(332), 원형날(333)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회전날(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2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장치(300)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공작물(10)을 가공하기 편하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20)는 상기 몸체(310)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회전할 수 있는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32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20)는 전력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하며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체(320)와 타단부에는 전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330)은 상기 회전체(320)의 전면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10)을 가공하는 용도에 맞게 드라이버, 드릴(331), 연마지(332), 원형날(333), 톱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330)에 원형날(333) 및 원형톱 등 상기 공작물(10)을 절단할 경우에는 정확한 치수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장치(300)를 상기 거치대(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각관(20)의 결합홈(110)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는 결합조인트(510)와, 상기 각관(20)의 일 측면에서 다른 상기 각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결합시키는 고무재질의 가이드조인트(520)와, 복수개의 상기 각관(20) 사이에 힌지(531)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20)의 각도를 조절하며 결합시키는 회전조인트(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조인트(510)는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기 각관(20)의 결합홈(110)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20)을 결합시키는 본체(511)와, 복수개의 상기 본체(511)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축(5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511)는 상부와 하부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상기 결합홈(110)이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511)는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결합조인트(510)가 서로 결합될 때 맞물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511)는 내측에 결합축(51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축(512)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다수의 상기 본체(511)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축(512)은 상기 결합축(512)이 관통되는 타단부에 너트 등과 같이 고정철물(3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조인트(52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와 하부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조인트(510)와 동일하게 상부와 하부의 사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조인트(520)는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는 실리콘 등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의 위치가 다르거나 이동이 필요한 각관(20)을 결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관(20)에 크기가 다른 각관(20)이 결합될 때는 결합홈(110)의 위치가 각각 다를 수 있으므로 유동성이 확보되는 가이드조인트(520)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의 상부에서 이동이 필요한 상기 각관(2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며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조인트(520)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조인트(530)는 복수개의 상기 각관(20)이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각관(20)에 구비된 결합홈(1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각관(20) 사이에 구비된 조인트(500) 사이에 힌지(5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인트(530)에 의하여 상기 거치대(100)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공작물(10)을 사선으로 자르거나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장치(4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장치(4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200)에 선반장치(400)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장치(200)에 받침대(700)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는 거치대(100)에 이동장치(200), 회전장치(300), 선반장치(400)를 조인트(500)에 의하여 결합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반장치(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10)을 상기 선반장치(400) 사이에 구비하여 회전하며 별도의 공작칼을 활용하여 홈을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공작칼을 활용하여 홈을 생성할 때는 경험이 미숙한 사용자는 원활한 홈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에 이동장치(200)와 회전장치(300)가 결합시킨 후 상기 선반장치(400)를 하부에 결합시키면 공작칼을 회전장치(300)에 결합한 후 상기 선반장치(400)를 회전시키므로 경험이 미숙한 사용자도 정확한 위치에 홈을 생성하거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상기 선반장치(400)는 도 8을 참조하면 프로파일 형상의 상기 각관(20)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100)의 일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선반결합부(410)와, 상기 선반결합부(410)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반회전체(420)와, 상기 선반결합부(410)와 타단부에 상기 각관(20)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50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공작물(10)의 크기에 맞게 이동하는 선반이동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장치(400)와 직교하는 위치에는 상기 공작물(10)의 표면을 원활하게 연마할 수 있는 연마장치를 받칠 수 있는 부속각관(440)이 상기 조인트(500)에 의하여 상기 거치대(1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결합부(410)는 상기 거치대(100)의 일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와 상기 결합조인트(510)에 의하여 결합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결합부(410)는 상기 거치대(100)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100)와 상기 선반결합부(410)의 일 단부를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커버(6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반회전체(420)는 상기 선반결합부(410)의 일 단부에서 돌출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32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회전체(420)는 전력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하며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반회전체(420)와 타단부에는 전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회전체(420)의 단부에는 공작물(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10)이 상기 선반회전체(42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이동부(430)는 상기 선반결합부(410)와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00)에서 상기 가이드조인트(520)로 결합되어 상기 공작물(10)의 크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작기계는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장치(200)에 상기 회전조인트(530)를 사용하여 상기 선반장치(400)를 직교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선반장치(400)에 공작물(10)을 결합시킨 후 상기 선반회전체(420)에 의하여 상기 공작물(10)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동장치(200)의 상부에 회전장치(300)를 구비하여 상기 공작물(10)에 홈 및 무늬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작기계는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거치대(100)와 이동장치(200)를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킨 후 하부의 이동장치(200)에 상기 공작물(10)을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공작물(10)을 고정하는 받침대(700)를 설치하여 상기 공작물(10)의 상부에 홈 및 무늬를 생성하는 밀링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받침대(700)는 상기 거치대(100)와 상기 이동장치(200)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장치(200)는 상기 상기 거치대(100) 상부에서 상기 공작물(10)을 고정하는 고정부(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이동장치(20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공작물(10)이 천공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700)와 상기 거치대(100) 사이에 상기 가이드조인트(520)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링장치는 상부의 회전장치(300)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릴(331)이 하부에 구비된 받침대(700)의 이동장치(200)에 구비된 고정부(240)에 고정된 상기 공작물(10)을 천공하여 홈 및 무늬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공작물 20: 각관
100: 거치대 110: 결합홈
200: 이동장치 210: 결합부
220: 이동축 230: 이동부
300: 회전장치 310: 몸체
320: 회전체 330: 회전날
400: 선반장치 410: 선반결합부
420: 선반회전체 430: 선반이동부
500: 조인트 510: 결합조인트
520: 가이드조인트 530: 회전조인트

Claims (6)

  1. 사면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각관으로 형성되며 전면이 회전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회전장치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각관으로 형성된 이동장치와,
    상기 거치대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선반장치와,
    프로파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조인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각관의 양 단부에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거치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 2결합부를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 1결합부의 상측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나선형의 이동축과,
    상기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2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축의 나선홈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축과 동일한 나선홈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일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거치대에서 상기 결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와 상기 거치대의 일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는 상기 이동장치가 결합된 상기 거치대의 하단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거치대에 상기 이동장치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프로파일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전면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드릴, 연마지, 원형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회전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프로파일 형상의 상기 각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선반결합부와,
    상기 선반결합부의 일 단부에 돌출되어 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반회전체와,
    상기 선반결합부와 타단부에 상기 각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공작물의 크기에 맞게 이동하는 선반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복수개의 상기 각관의 결합홈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을 결합시키는 본체와, 복수개의 상기 본체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축을 구비하는 결합조인트와,
    상기 각관의 일 측면에서 다른 상기 각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결합시키는 고무재질의 가이드조인트와,
    복수개의 상기 각관 사이에 힌지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각관의 각도를 조절하며 결합시키는 회전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KR1020150148506A 2015-10-26 2015-10-26 공작기계 KR10165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06A KR101657909B1 (ko) 2015-10-26 2015-10-26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06A KR101657909B1 (ko) 2015-10-26 2015-10-26 공작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909B1 true KR101657909B1 (ko) 2016-09-30

Family

ID=570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06A KR101657909B1 (ko) 2015-10-26 2015-10-26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629A (ja) * 1983-01-10 1984-08-02 マイヤ−・ウント・コムパニ− 工作工具装置
KR20140070320A (ko) * 2012-11-30 2014-06-10 윤영웅 연결부 일체형 알루미늄 프로파일
KR101525009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 각도 조절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629A (ja) * 1983-01-10 1984-08-02 マイヤ−・ウント・コムパニ− 工作工具装置
KR20140070320A (ko) * 2012-11-30 2014-06-10 윤영웅 연결부 일체형 알루미늄 프로파일
KR101525009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 각도 조절용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6224B (zh) Applicable to different woodworking machine safe feeding device
KR101206367B1 (ko) 윈도우 글래스 연마장치
KR101410564B1 (ko)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
KR20150117307A (ko) 공기압을 이용한 목공용 다기능 멀티공작기
TWI538773B (zh) 進給裝置、採用該進給裝置之機床及其加工方法
KR101657909B1 (ko) 공작기계
JP6212418B2 (ja) ブローチ研削盤
KR101846237B1 (ko) 샤프트소재의 센터링가공장치
KR102047717B1 (ko) 블레이드의 드레싱 기구 및 그 기구를 구비한 절삭 장치 및 그 기구를 사용한 블레이드의 드레싱 방법
KR102541589B1 (ko) 리니어 레일 절삭 및 연마 장치
KR20090021066A (ko) 내측 면취기
US3251157A (en) Grinding fixture
CN211248479U (zh) 一种卧式双面加工铣床
CN211072899U (zh) 一种用于腔体内壁的打磨机
RU2644017C1 (ru) Станок универсальный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CN112108911A (zh) 一种数控加工用工件夹具
KR20150104954A (ko) 목공용 공작기
TWM482471U (zh) 主軸內孔線上研磨機
CN102950513B (zh) 一种修磨机
KR100820978B1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KR100358200B1 (ko) 밸브시트 가공 및 연마공구
KR101101838B1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JP7390756B1 (ja) 木製バット加工装置及び木製バットの加工方法
CN108406967A (zh) 一种智能木材加工设备
JPS6015443B2 (ja) 工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