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80B1 -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80B1
KR101657480B1 KR1020160029419A KR20160029419A KR101657480B1 KR 101657480 B1 KR101657480 B1 KR 101657480B1 KR 1020160029419 A KR1020160029419 A KR 1020160029419A KR 20160029419 A KR20160029419 A KR 20160029419A KR 101657480 B1 KR101657480 B1 KR 10165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outlet
fluid
su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박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박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박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6002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캡; 본체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캡; 및 본체와 제2 캡 사이에 배열되어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제2 캡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본체의 출구로 이동함으로써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의 출구 내부로 연장되어 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배출구를 포함하여 본체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이에 의해 어떤 한 공간에서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제2 캡은 본체의 출구를 원활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되며,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개방할 때에 그 배출구를 통해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Dual inlet valve for preventing noise and central vacuum clea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란 다수의 소규모 공간으로 구획된 병원이나 호텔 또는 오피스(office) 등의 건물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집진장치를 작동하여 각 층의 공간의 먼지 등을 진공 흡입함으로써 각 층의 공간을 개별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와 건물의 각 공간을 진공배관으로 연결함으로써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각 공간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각 공간에 연결된 진공배관의 단부에 청소도구를 연결하여 각 공간 내의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건물의 구획된 각 층의 공간에 연결된 진공배관의 단부에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와 같은 유체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흡입밸브(inlet valve)를 구비하고 있다. 각 층의 공간의 바닥(floor)에 설치된 흡입밸브는 청소를 할 때에는 개방되어 청소도구에 연결되지만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폐쇄되어 있게 된다. 이 흡입밸브를 통해서는 청소를 위해 개방되었을 때에는 물론 청소를 하지 않아 폐쇄되었을 때에도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 예컨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따라서 흡입밸브를 통해 발생하게 되는 소음을 방지 또는 저감할 필요성이 크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15633호 등록특허공보
종래의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15633호 등록특허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바닥용 흡입밸브는, 청소시 흡입기의 흡입호스 끝단에 밀착 결합하도록 머리부 하측에 형성된 턱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과 이에 밀착 고정되어 개구된 머리부 입구를 막아주는 밀폐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바닥용 흡입밸브는, 흡입기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밀폐뚜껑에 의해서만 밀폐되므로, 건물의 다른 공간에서의 흡입기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밀폐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캡; 본체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캡; 및 본체와 제2 캡 사이에 배열되어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제2 캡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본체의 출구로 이동함으로써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의 출구 내부로 연장되어 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배출구를 포함하여 본체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이에 의해 어떤 한 공간에서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제2 캡은 본체의 출구를 원활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되며,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개방할 때에 그 배출구를 통해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체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부와, 유동부의 어느 한쪽 끝에 결합하여 제1 캡을 지지하는 제1 캡지지부 및 유동부의 다른 한쪽 끝에 결합하여 제2 캡을 지지하는 제2 캡지지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캡 및 제2 캡이 각각 본체의 입구 및 출구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본체의 통로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캡지지부가 제1 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캡이 본체의 입구를 폐쇄할 때에 본체가 제1 캡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제1 캡이 본체의 입구를 개방할 때에 본체가 유체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캡지지부가 제2 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폐쇄할 때에 본체가 제2 캡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개방할 때에 본체가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캡이 그 배출구가 제2 캡지지부의 배출구와 소통하도록 제2 캡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개방할 때에 제2 캡을 통해 배출된 유체가 제2 캡지지부의 배출구를 통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가이드부가 제2 캡의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본체의 제2 캡지지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개방할 때에 제2 캡의 배출구가 제2 캡지지부의 배출구에 소통하도록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며, 제1 캡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본체의 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는 제2 캡이동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캡이동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탄성부재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계속해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통로 쪽으로 돌출된 돌기를 따라 제2 캡이동부를 제2 캡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과, 돌기를 따라 제2 캡이동부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캡이동부를 제2 캡 쪽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안정적으로 개방하도록 한 다음 제2 캡이동부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캡이동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캡이동부에 결합하여 제2 캡이동부의 유체 통로와 교차하는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를 통해 청소기의 호스를 제2 캡이동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 및 360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건물에 구비되는 중앙집진장치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여 복수의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중앙집진장치까지 유동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배관의 복수의 공간에 연결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다. 이에 의해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건물에 구비되는 중앙집진장치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여 복수의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중앙집진장치까지 유동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배관의 복수의 공간에 연결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다. 이에 의해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흡입밸브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흡입밸브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중흡입밸브에서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중흡입밸브에서 제1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이중흡입밸브에서 제2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2 캡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이중흡입밸브에서 제2 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이중흡입밸브에서 제1 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이중흡입밸브에서 제2 캡이동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XVI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제2 캡이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이중흡입밸브에서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례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례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본 실시례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에 관한 것이다.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란 다수의 소규모 공간으로 구획된 병원이나 호텔 또는 오피스 등의 건물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집진장치를 작동하여 각 층의 공간의 먼지 등을 진공 흡입함으로써 각 층의 공간을 개별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와 건물의 각 공간을 진공배관으로 연결함으로써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각 공간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각 공간에 연결된 진공배관의 단부에 청소도구를 연결하여 각 공간 내의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는 건물의 구획된 각 공간에 연결된 진공배관의 단부에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와 같은 유체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흡입밸브를 말한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100)는 청소를 할 때에는 개방되어 청소도구에 연결되지만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이중으로 폐쇄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100)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는,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본체와 본체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캡 및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캡 그리고 본체에 대하여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100)는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캡(120) 및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캡(130) 그리고 본체(110)와 제2 캡(130) 사이에서 제2 캡(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가. 본체
본체는 진공청소장치에 의해 건물의 각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유동시켜 배출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한다. 본체는 유체를 흡입하여 유동시켜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는 유체를 유동시키는 유동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유동부(111)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로(111b)를 형성하는 도관(111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관(111a)은 통로(111b)의 단면이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관(111a)은 본체(110)를 건물에 설치된 중앙집진장치에 연결하는 흡입배관(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관(111a)의 외측면은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110)는 흡입배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체(110)의 통로(111b)의 어느 한쪽 끝 부분은 건물의 각 층의 공간의 바닥(floor)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입구가 되며 본체(110)의 통로(111b)의 다른 한쪽 끝 부분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가 된다.
또한, 본체는 유동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며 제1 캡을 지지하는 제1 캡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캡이 본체의 입구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캡지지부(112)는 제1 캡(1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2a)와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112b)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구(112b)는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구(112b)는 유동부(111)의 통로(111b)와 소통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12b)는 유동부(111)의 통로(111b)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112a)는 제1 캡(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캡(120)의 가장자리가 배열되는 부분에 제1 캡(120)의 가장자리가 배열되는 단차(112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2a)는 또한 유체가 흡입되는 쪽의 끝 부분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플랜지부(112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12d)를 건물의 각 공간의 바닥이나 측벽 등에 지지함으로써, 본체(110)를 포함한 이중흡입밸브(100)를 건물의 각 공간의 바닥이나 측벽 등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체는 유동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며 제2 캡을 지지하는 제2 캡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캡지지부(113)는 제2 캡(1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13a)(113b)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113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13a)(113b)는 제2 캡(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하부지지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지지부(113a)는 제2 캡(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부지지부(113a)는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직선상의 두 개의 하부지지대와 같이 복수의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지지대들 사이에는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하부배출구(113e)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3a)(113b)는 또한 제2 캡(130)의 측부를 지지하는 제2 측부지지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부지지부(113b)는 제2 캡(130)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측부지지부(113b)는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직선상의 네 개의 측부지지대로서 각각 제2 하부지지부(113a)의 두 개의 하부지지대의 양쪽 끝 부분에 연결되는 네 개의 측부지지대와 같이 복수의 측부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부지지대들 사이에는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측부배출구(113c)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나. 제1 캡
제1 캡은 본체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 캡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캡(120)은 본체(110)의 입구에 삽입되어 본체(110)의 입구를 폐쇄하는 제1 캡 본체(121)와 본체(110)의 입구 주변에 밀착되어 본체(110)의 입구를 폐쇄하는 제1 캡 헤드(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캡 본체(121)는 본체(110)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그 횡단면이 본체(110)의 입구의 횡단면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캡 본체(121)는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입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횡단면의 형상이 본체(110)의 입구의 횡단면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캡 헤드(122)는 본체(110)의 입구 주변에 밀착되게 그 횡단면의 형상이 본체(110)의 입구의 횡단면을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캡 헤드(122)는 제1 캡 본체(121)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캡 헤드(122)는 자체 중량에 의해서는 물론 본체(110)의 입구에 삽입되는 제1 캡 본체(121)의 중량에 의해서도 본체(110)의 입구 주변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본체(11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제1 캡 헤드(122)의 상면에는 제1 캡 헤드(122)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고리걸이(12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걸이(123)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리걸이(123)는 제1 캡 헤드(122)의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고리걸이용 홈(122a)을 가로지르는 작은 직경의 막대일 수 있다. 고리걸이(123)는 고리걸이용 홈(122a)의 서로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걸이(123)에 고리를 걸어 당겨서 제1 캡 헤드(122)를 용이하게 들어올림으로써 제1 캡 헤드(122)를 용이하게 본체(110)의 입구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110)의 입구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 제2 캡
제2 캡은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 캡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캡(130)은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131)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110)의 제2 캡지지부(113)의 제2 하부지지부(113a)와 본체(110)의 출구 사이를 이동하여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131)는 탄성부재(140)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본체(110)의 출구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10)의 출구를 폐쇄하는 본체(131a)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31a)는 본체(110)의 출구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31a)는 본체(110)의 출구에 삽입되지 않고 출구를 덮어 이에 밀착됨으로써 본체(110)의 출구를 폐쇄하는 등 다른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폐부 본체(131a)는 외부로부터 탄성부재(140)에 의한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을 받아 본체(110)의 출구로부터 빼내어짐으로써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 본체(131a)는 본체(110)의 출구로부터 빼내어졌을 때에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가장자리에 유체의 배출 흐름에 따르는 경사면을 이루는 배출 경사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 본체(131a)의 탄성부재(140)가 접하는 부분에는 탄성부재(140)의 제1 단부(141a)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고정부(131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1c)는 탄성부재(140)의 제1 단부(141a)가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131c)는 탄성부재(140)의 제1 단부(141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폐부(13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 본체(131a)가 본체(110)의 출구로 원활하게 삽입되거나 이에 원활하게 밀착되도록 개폐부 본체(131a)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2)는 개폐부 본체(131a)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110)의 출구 내부로 연장되어 개폐부 본체(131a)를 가이드하는 연장부(132a)와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배출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32b)는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2)는 개폐부 본체(131a)가 외부로부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을 받아 본체(110)의 출구로부터 원활하게 떨어져서 본체(110)의 출구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부 본체(131a)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개폐부(130)는, 개폐부 본체(131a)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10)의 출구로 원활하게 삽입되거나 이에 원활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개폐부 본체(131a)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더 큰 외부의 힘에 의해 본체(110)의 출구로부터 원활하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부 본체(131a)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3)는 개폐부 본체(131a)의 가장자리에서 본체(11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과 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2 가이드돌기(17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가이드부(133)는, 개폐부 본체(131a)의 가장자리에서 본체(11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개폐부(130)의 연장부(132a)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130)의 제2 가이드부(133)에 대응되도록, 본체(110)의 제2 캡지지부(113)의 제2 측부지지부(113b)에는 제2 가이드돌기(17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2 캡가이드부(113d)와 같은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가이드부(113d)는 제2 측부지지부(113b)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캡가이드부(113d)는, 제2 측부지지부(113b)를 관통하지 않는 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2 측부지지부(113b)로부터 돌출된 제2 가이드홈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캡가이드부(113d)의 제2 캡(130) 쪽에 배열된 끝 부분은 제2 캡(130)에 의한 본체(110)의 출구의 폐쇄를 위한 적절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하며, 제2 캡가이드부(113d)의 제2 캡(130)과 반대쪽에 배열된 끝 부분은 제2 캡(130)에 의한 본체(110)의 출구의 개방 및 이에 따른 유체의 배출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탄성부재
탄성부재는 본체와 제2 캡 사이에 배열되어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재는 다양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는 본체(110)의 제2 캡지지부(113)의 제2 하부지지부(113a)와 제2 캡(130) 사이에 배열되어 제2 캡(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제2 캡(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는 스프링강을 원뿔형으로 감아서 만든 본체(141)와 제2 지지부(113a)에 접하는 제1 단부(141a) 및 제2 캡(130)에 접하는 제2 단부(141b)를 구비하는 원추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는 스프링강을 원통형으로 감아서 만든 것과 같이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부재(140)의 제1 단부(141a)는 제2 캡(130)에 접하고 제2 단부(141b)는 본체(110)의 제2 하부지지부(113a)에 접한다. 탄성부재(140)의 제1 단부(14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캡(130)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2 캡(130)의 개폐부 본체(131a)에 형성된 고정부(131c)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의 제2 단부(141b)는 본체(110)의 제2 하부지지부(113a)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2 하부지지부(113a)의 제2 단부(141b)와 접하는 부분,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복수의 제2 하부지지대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고정부(113f)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13f)는 제2 단부(141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하부지지부(113a)로부터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단부(141b)의 고정부는 제2 단부(14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하부지지부(113a)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은 제2 캡(130)이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은, 제2 캡(13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캡(130)이 본체(110)의 출구를 폐쇄할 수 있고, 제2 캡(130)에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탄성부재(140)가 수축하여 제2 캡(130)이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마. 기타 요소
① 본 실시례의 이중흡입밸브는 본체와 제1 캡 사이에 배열되어 제1 캡에 의한 본체의 입구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밀폐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밀폐부재(150)는 제1 캡(120)의 가장자리가 배열되는 제1 캡지지부(112)의 제1 지지부(112a)의 단차(112c)와 제1 캡(12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캡(120)의 가장자리는 제1 캡지지부(112)의 제1 지지부(112a)의 단차(112c)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제1 캡(120)에 의한 본체(110)의 입구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부재는 제1 캡(120)의 가장자리 원주상의 외측면과 이를 향하는 제1 지지부(112a)의 단차(112c)에 연결된 제1 지지부(112a)의 내측면 사이에 배열되는 것과 같이 다른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부재(150)는 본체와 제1 캡 사이에 배열되어 이들 사이를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밀폐부재(150)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51)와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151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부재(15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150)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② 본 실시례의 이중흡입밸브는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캡에 외력을 가하여 이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본체의 통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통로의 내측에는 제2 캡이동수단(미도시)이 본체(110)의 통로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160)는 본체(110)의 통로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161)(162)와 이들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본체(110)의 제1 지지부(112a)의 한 쌍의 홈이나 구멍(112e)(112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돌기부(161)(162)의 끝 부분은 각각 한 쌍의 홈이나 구멍(112e)(112f)에 삽입되어 제1 지지부(112a)의 흡입구(112b)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는, 본체의 통로의 내측에 제2 캡이동수단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160)에 가이드됨으로써 제2 캡이동수단은 제2 캡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본체(110)의 출구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2 캡이동수단은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캡에 외력을 가하여 이를 이동시키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캡이동수단은, 이중흡입밸브에 결합하는 청소도구의 호스 단부일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도구의 호스 단부와 별도로 마련된 수단일 수도 있다.
바. 작용
사용자가 건물의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이중흡입밸브의 제1 캡을 작동하여 본체의 입구를 개방한 다음 청소도구의 호스를 이중흡입밸브에 연결한다. 청소도구의 호스를 연결하게 되면, 호스의 단부가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때, 호스를 연결하기 이전에 별도로 제2 캡이동수단을 본체에 삽입하여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방한 다음, 제2 캡이동수단에 호스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후 중앙집진장치의 작동에 의해 건물의 각 층의 공간의 바닥(floor)의 유체를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함께 이중흡입밸브를 통해 흡입한 다음 이를 흡입배관을 거쳐 중앙집진장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캡을 별도로 작동하지 않고 단순히 청소도구의 호스나 제2 캡이동수단을 이중흡입밸브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방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본체의 출구를 매우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건물의 공간을 청소한 후에는, 청소도구의 호스를 이중흡입밸브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이중흡입밸브의 제2 캡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때, 제2 캡이동수단이 이중흡입밸브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청소도구의 호스를 제2 캡이동수단에서 분리한 후 제2 캡이동수단을 이중흡입밸브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중흡입밸브의 제2 캡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된다. 그 다음 제1 캡으로 이중흡입밸브의 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게 되면, 이중흡입밸브는 제1 캡과 제2 캡에 의해 이중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이중흡입밸브가 제1 캡 및 제2 캡에 의해 이중으로 폐쇄됨으로써, 흡입배관에 의해 연결된 건물의 다른 공간에서의 청소도구의 작동 등으로 인한 소음이 이중흡입밸브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2 캡을 별도로 작동하지 않고 단순히 청소도구의 호스 또는 제2 캡이동수단을 이중흡입밸브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본체의 출구를 매우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2)
본 실시례는 실시례 1의 이중흡입밸브로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는 제2 캡이동부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의 이중흡입밸브는 제2 캡이동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중흡입밸브(200)는 제1 캡(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본체(110)의 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130)을 이동시켜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하는 제2 캡이동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캡이동부(180)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캡이동부(180)는, 예시적으로 도 16 내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체를 유동시키는 본체(181)와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을 고정하는 고정부(18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에 의해 제2 캡이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계속해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부(182)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캡이동부(180)의 본체(181)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181a)와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181c)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1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이동부(180)의 본체(181)의 외주면은 이중흡입밸브(200)의 본체(110)의 통로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유체나 소음이 이들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캡이동부(180)의 고정부(182)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130)을 이동시켜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13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 캡이동부(180)의 고정부(182)는 이중흡입밸브(200)의 본체(181)의 내측으로부터 통로 쪽으로 돌출된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를 따라 제2 캡이동부(180)를 제2 캡(130)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182b)(182c)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캡이동부(180)의 고정부(182)는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를 따라 제2 캡이동부(180)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182a)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캡이동부(180)를 제2 캡(130) 쪽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제2 캡(130)이 본체(110)의 출구를 안정적으로 개방하도록 한 다음 제2 캡이동부(18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2 캡(130)이 본체(110)의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1 가이드홈(182b)(182c)은 한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도 한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홈(182b)(182c)은 한 개 또는 한 쌍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가이드홈(182a)은 없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는 한 개 또는 한 쌍의 직선상의 홈과 한 개의 원주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밖에 제2 캡이동부(180)는 본체(18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18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부(181d)는 제2 캡이동부(180)에 의해 제2 캡(130)을 이동시켜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2 캡이동부(180)와 이중흡입밸브(200)의 본체(110) 사이로 유체나 소음이 누설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플랜지부(181d)는 제2 캡이동부(180)에 의해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플랜지부(181d)가 본체(110)의 출구를 폐쇄하도록 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캡이동부(180)는 사용자 등이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를 따라 제2 캡이동부(18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보조부재(183a)(18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보조부재(183a)(183b)는 제2 캡이동부(180)의 본체(18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로서 본체(181)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홈(181f)(181g)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보조부재(183a)(183b)는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를 따라 제2 캡이동부(180)를 회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캡이동부(180)는 본체(181)의 입구(181c) 근방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81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181e)은 제2 캡이동부(180)의 입구(181c)에 제2 캡이동부(18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례 3)
본 실시례는 실시례 2의 제2 캡이동부를 구비하는 이중흡입밸브로서, 제2 캡이동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캡이동부의 입구에 결합하여 제2 캡이동부의 유체 통로와 교차하는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를 더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이에 의해 헤드를 통해 청소기의 호스를 제2 캡이동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 및 회전할 수 있으므로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의 이중흡입밸브는 헤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헤드(190)는 예시적으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체가 유동하는 본체(191)를 구비한다. 본체(191)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191a)와 유체를 흡입하는 입구(191b) 및 유체를 배출하는 출구(191c)를 포함한다. 본체(191)는 제2 캡이동부(180)의 유체 통로와 직각 등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191)는 제2 캡이동부(180)의 유체 통로와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는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형상과 같이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입구(191b)는 청소도구의 호스에 결합하여 청소도구의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입구(191b)는 청소도구의 호스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91e), 예컨대, 나사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입구(191b)는 통로(191a)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구는 통로와 교차하는 방향과 같이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체의 통로가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본체의 입구를 본체의 통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출구(191c)는 제2 캡이동부(180)에 결합하여 유체를 제2 캡이동부(180)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출구(191c)는 제2 캡이동부(180)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다. 출구(191c)는 통로(191a)와 교차하면서 제2 캡이동부(180)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구는 통로와 동일하면서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체의 통로가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캡이동부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의 출구를 본체의 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헤드(190)는 헤드(190)를 제2 캡이동부(18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회전결합부(191d)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결합부(191d)는 출구(191c)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결합부(191d)는 제2 캡이동부(180)의 입구(181c) 근방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81e)에 삽입됨으로써 헤드(190)를 제2 캡이동부(18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헤드(190)는 도 21에 예시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360도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제2 캡이동부(180)에 대하여 360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결합부(191d)는 나아가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돌출부와 결합홈(181e) 사이에 배열될 복수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결합부는 헤드의 출구 이외에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중흡입밸브(300)는 제2 캡이동부(18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캡이동부(180)에 결합하여 제2 캡이동부(180)의 유체 통로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19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캡이동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된 본체(110)의 입구를 통해 삽입된 다음, 제2 캡이동부 가이드부(161)(162)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130)을 이동시키며, 회전보조부재(183a)(183b)에 의해 회전되어 제2 가이드홈(182a)으로 고정됨으로써, 본체(110)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례 4)
본 실시례는 실시례 1의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다. 이에 의해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실시례 1의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400)은 중앙집진장치(420)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는 흡입배관(430)의 단부에 이중흡입밸브(410)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집진장치(420)는 건물 또는 그밖의 장소에 설치되어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흡입배관(430)은 중앙집진장치(420)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단, 예컨대, 병원의 입원실이나 사무실을 연결하여 중앙집진장치(420)의 진공 흡입력을 각 공간으로 전달하고 각 공간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를 중앙집진장치로 배출하는 배관이다.
이중흡입밸브(410)는 흡입배관(430)의 복수의 공간에 연결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실시례 1의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이다.
사용자는 청소기(402)의 호스(401)를 이중흡입밸브(410)에 연결함으로써 구획된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호스(401)의 중간에 습식이물질분리장치(403)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물질분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례 5)
본 실시례는 실시례 2 또는 실시례 3의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이다. 이에 의해 진공청소장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밸브를 이중으로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간에서의 진공청소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이중으로 폐쇄된 흡입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켜, 공간 내의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방지 또는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은 실시례 4의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과 대비할 때에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가 제2 캡이동부(440)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제2 캡이동부(440)와 헤드(440)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은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300: 이중흡입밸브
110: 본체
111: 유동부
112: 제1 캡지지부
113: 제2 캡지지부
120: 제1 캡
130: 제2 캡
140: 탄성부재
150: 밀폐부재
160: 제2 캡이동수단 가이드부
170: 제2 가이드돌기
180, 440: 제2 캡이동부
190: 헤드
400: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Claims (14)

  1.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을 위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캡;
    본체의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캡; 및
    본체와 제2 캡 사이에 배열되어 제2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제2 캡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본체의 출구로 이동함으로써 본체의 출구를 폐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의 출구 내부로 연장되어 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배출구를 포함하여 본체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부와, 유동부의 어느 한쪽 끝에 결합하여 제1 캡을 지지하는 제1 캡지지부 및 유동부의 다른 한쪽 끝에 결합하여 제2 캡을 지지하는 제2 캡지지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캡지지부는 제1 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캡지지부는 제2 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 캡은 그 배출구가 제2 캡지지부의 배출구와 소통하도록 제2 캡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가이드부는 제2 캡의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본체의 제2 캡지지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소음방지용 이흡입밸브.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입구와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며, 제1 캡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본체의 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개방하는 제2 캡이동부를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캡이동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캡을 이동시켜 본체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 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고정부는,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통로 쪽으로 돌출된 돌기를 따라 제2 캡이동부를 제2 캡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과, 돌기를 따라 제2 캡이동부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캡이동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캡이동부에 결합하며 제2 캡이동부의 유체 통로와 교차하는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헤드를 더 구비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13. 청구항 9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건물에 구비되는 중앙집진장치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여 복수의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중앙집진장치까지 유동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배관의 복수의 공간에 연결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로서, 건물에 구비되는 중앙집진장치와 건물의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여 복수의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중앙집진장치까지 유동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배관의 복수의 공간에 연결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KR1020160029419A 2016-03-11 2016-03-11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KR10165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19A KR101657480B1 (ko) 2016-03-11 2016-03-11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19A KR101657480B1 (ko) 2016-03-11 2016-03-11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480B1 true KR101657480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19A KR101657480B1 (ko) 2016-03-11 2016-03-11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98A (ko) * 1998-06-30 2000-01-25 김광수 진공청소용 이중 인레트 밸브
KR200342668Y1 (ko) * 2003-09-19 2004-02-18 강흥묵 중앙집중 진공청소 시스템의 집진호스 연결구조물
KR200415633Y1 (ko) 2005-12-22 2006-05-04 동서이엔택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바닥용 흡입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98A (ko) * 1998-06-30 2000-01-25 김광수 진공청소용 이중 인레트 밸브
KR200342668Y1 (ko) * 2003-09-19 2004-02-18 강흥묵 중앙집중 진공청소 시스템의 집진호스 연결구조물
KR200415633Y1 (ko) 2005-12-22 2006-05-04 동서이엔택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바닥용 흡입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3025C2 (ru) Аппарат для уборки пола
CN111249811B (zh) 一种医用雾化自清洗过滤网的空气过滤瓶
EP3502375A1 (en) Water valve and pool
US20100126613A1 (en) Diverter valve
US9994197B2 (en) Car cleaner
JP6045279B2 (ja) 排水栓の駆動機構
WO2014010668A1 (ja) ホース連結具、モップ吸引具、電気掃除機、及びボール弁
JP2014238198A (ja) 空調設備の清掃機
KR101657480B1 (ko) 소음방지용 이중흡입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KR200415633Y1 (ko)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바닥용 흡입밸브
US10835092B2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having a concave vacuum head with a swivel joint that swivels only within a central plane of the vacuum head
JP6405038B2 (ja) エアポンプ
KR101645328B1 (ko) 진공청소기
TWI746843B (zh) 用於澆水工具之可見且可拆卸的過濾器
CN110185607A (zh) 活塞泵
EP3120913A3 (en) Self cleaning filter mechanism
JP6405049B2 (ja) エアポンプ
CN107288930A (zh) 水泵和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JP2019148129A (ja) 継ぎ手部材
US20140068849A1 (en) Hydraulic Plunger Device
JP5126836B2 (ja) フォーマーポンプ
CN211621830U (zh) 一种密封结构和使用该密封结构的龙头
DE202012102200U1 (de) Drehschalter mit einem Rückschlagventil und Sputum-Absauger mit diesem Drehschalter
EP2592986B1 (en) A discharge valve for vacuum cleaners
KR200426922Y1 (ko) 중앙집중식 진공흡입시스템의 벽체용 흡입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