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62B1 -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62B1
KR101657462B1 KR1020100027114A KR20100027114A KR101657462B1 KR 101657462 B1 KR101657462 B1 KR 101657462B1 KR 1020100027114 A KR1020100027114 A KR 1020100027114A KR 20100027114 A KR20100027114 A KR 20100027114A KR 101657462 B1 KR101657462 B1 KR 10165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en
tube
tubular member
guiding catheter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281A (ko
Inventor
신수케 난토
사토루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8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slitted or breakaway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16Design of handles or shafts or gripping surfaces thereof for manipulating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69Tip not integral with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가이드 와이어를 뽑아 내지 않고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은,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의 첨단에 설치되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삽입 가능한 제1 루멘(24)를 가지는 제1 튜브(21), 그리고 제1 튜브(21)보다 첨단 측으로 축선방향(101)에 틈(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삽입 가능한 제2 루멘(28)을 가지는 제2 튜브, 그리고 상기 제1 루멘(24) 및 상기 제2 루멘(28)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연속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제1 튜브(21) 및 제2 튜브(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을 구비한다. 제2 튜브(22)는 축선방향(101)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 가능한 슬릿(34)를 가진다. 연결부(23)는 축선방향(101)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Guidewire twist release device}
본 발명은, 가이딩 카테터(guiding catheter)에 삽입(관통)된 복수개의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의 얽힘(twist)을 해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혈관에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하여 약제를 국소적으로 투여하거나 혈관의 협착을 확장하는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관동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또는 관상동맥혈관성형술)에서 관동맥(관상 동맥)의 협착부분을 벌룬 카테터(Balloon catheter)로 확장하기 위하여, 먼저, 셀딩거(Seldinger) 기법 등에 의해 동맥혈관에 유도관(sheath introducer)을 삽입하여 체외에서 동맥혈관을 확보한 후, 조영용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를 심장 근처까지 삽입한다. 그 다음에, 조영용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하면서 가이딩 카테터(guiding catheter)를 삽입하여 그 끝(첨단)을 관상 동맥의 입구에 위치시킨다. 그 후, 조영용 가이드 와이어는 빼내고, PTCA용 가이드 와이어(이하, "가이드 와이어" 라고 한다.)를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하여, 그 끝이 협착된 부분 근처에 위치시킨다. 벌룬 카테터 역시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하면서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되고, 그 벌룬 부분이 관상 동맥의 협착된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벌룬 부분을 부풀려 관상 동맥의 협착된 부분을 확장시킨다(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다음의 기술은 관상 동맥의 둘 이상의(복수) 협착 부분을 확장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이다. 이 기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맥혈관에 삽입된 가이딩 카테터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의 끝이 상기 관상 동맥의 둘 이상의 협착 부분(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둘 이상의 벌룬 카테터가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둘 이상의 협착부분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6-326226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목표로 하는 관상 동맥의 협착부분 부근에 위치하면, 관상 동맥이 분기되거나 관상 동맥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와이어의 끝 지점(손에 잡힌 끝 지점, 외부에서 조작하는 측, 이하 '수중측'이라고 한다)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거나,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이딩 카테터에 2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삽입)된 예에서, 각 가이드 와이어에 전술한 조작(밀거나 당기거나, 회전 등)이 이루어지면 가이딩 카테터 내에서 2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얽힐 수 있다.
가이딩 카테터 내의 2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얽히게 되면,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 되는 벌룬 카테터는 얽힌 부분의 끝까지 삽입될 수 없으므로, 가이드 와이어가 얽힌 것을 해제시켜야 한다. 종래에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시키는 것은 시술자의 직관(감각)에 좌우되므로, 숙련된 시술자라 하여도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들 중 하나를 한 번 빼낸 후에, 다시 삽입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얽히게 되는 경우에도 가이드 와이어를 뽑아 내지 않고 용이하게 얽힘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1)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twist releasing device)는,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것이다. 본 장치는,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한 장척부재, 상기 장척부재의 끝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하고,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루멘을 가지는 제1관상체, 상기 제1관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1관상체보다 첨단 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하고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루멘을 가지는 제2관상체, 상기 제 1 루멘 및 상기 제 2 루멘을 통하여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연속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상체 및 상기 제2관상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관상체는 그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지며, 해당 슬릿이 열리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관상체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만곡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가이딩 카테터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관통)되어 그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얽혔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를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insert to/pull out)(삽입 및 빼내어짐)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한다. 따라서, 본 장치를 사용하면, 동맥혈관 등에 가이딩 카테터가 삽입되고, 그 가이딩 카테터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어, 각 가이드 와이어의 끝이 관상 동맥 등의 치료하고자 하는 타겟 부위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에서는,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가능한 장척부재의 끝에 제1관상체(tubular body, 관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설치되어 있다. 장척부재는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를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시키며, 일 실시예로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바(bar) 형태의 부재(봉재)나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튜브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장척부재는, 제1관상체와 하나의 튜브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장척부재의 수중측(손에 닿는 쪽)에는 공지의 핸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관상체는,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루멘(lumen)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관상체는,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루멘을 가진다. 연결 부재는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통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연속하여 삽입 가능한 배치이며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를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한다. 따라서,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는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 사이의 간격(틈)에서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제2관상체에는 축선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은 외력이 더해지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닫혀 있으며 제2관상체의 제2 루멘은 사실상 닫혀진 공간(closed space)이 된다. 반면, 슬릿이 열리는 방향으로 외력이 더해지면, 제2관상체가 탄성변형하여 슬릿이 열린다. 이에 의해, 제2관상체의 제2 루멘은 슬릿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열린(개구된) 공간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릿은 닫힌 상태가 된다.
가이딩 카테터의 수중측에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본 장치의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삽입된다. 장척부재의 수중측이 조작되면,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는 제2관상체를 선두로 하여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되며,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는 가이딩 카테터의 끝에서 돌출되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관상 동맥 등에 삽입된다. 이 때,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딩 카테터내에 얽혀 있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는, 얽힌 상태로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딩 카테터의 끝으로부터 돌출된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는 혈관의 분기 부분 등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를 타겟으로 하여 삽입된다. 이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가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일체로 삽입(관통)된 제1 관체, 연결 부재 및 제2 관체가,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나뉘어 삽입되는 각 혈관의 분기로(분기지점) 등에 도달하게 되면, 삽입 방향으로 선두인 제2 관체는, 복수 라인의 가이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에 가이드되어 그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혈관으로 향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혈관에 삽입된 다른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제2루멘을 확대하려는 힘이 제2관상체에 전해지며, 제2관상체는 이 힘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슬릿이 열린다. 따라서, 제2관상체가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혈관으로 향하게 되며, 동시에 다른 가이드 와이어는 제2루멘으로부터 빠져나와 열려진 슬릿을 통과하며 제2관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이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삽입(관통)하고,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만을 삽입(관통)하여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 사이의 틈을 통해 돌출된다. 또한, 제2관상체만이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혈관으로 이동하며, 제1관상체는 상기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와 다른 가이드 와이어가 나뉘어 지는 혈관의 분기 지점에 남게 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는, 제1관상체와 비교하여 축선 방향으로 제2관상체를 만곡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제2관상체만이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혈관으로 향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이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삽입(관통)하고,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만을 삽입(관통)하여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 사이의 틈을 통해 돌출된 후, 장척부재의 수중측은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를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아 내도록 조작된다. 그리고,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이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삽입(관통)하고,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만을 삽입(관통)하고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 사이의 틈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먼저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가이딩 카테터 내에 들어가고, 가이딩 카테터내에서 수중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딩 카테터의 수중측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빼낼 경우, 가이딩 카테터내의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 가운데,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이 제2 루멘을 통과하며,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2 루멘을 통과하지 않고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와의 간격에 의한 틈으로 통과한다. 즉,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와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대해 다른 경로로 통과하게 된다. 그 결과,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와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와의 얽힘이 해제된다.
또한, 가이딩 카테터에 2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어 얽혀 있다면, 전술한 조작에 의해 상기 2개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이 해제된다. 한편, 3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어 얽혀 있는 예에서는, 전술한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에 해당하는 나머지 2개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한 조작 방식을 적용한다. 그 외의 2개의 가이드 와이어 중 1개의 가이드 와이어만을 제2 루멘에 통과시켜 그 외의 2개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이 풀린다.
(2) 상기 제2관상체의 축선방향으로 양단(양 끝단) 중 상기 제1관상체를 향하는 제1단에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으로 연장(또는 확장)하여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할 때에,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에만 삽입되어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혀질 때에,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2관상체의 제1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에는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에 따라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단으로부터 이 돌기가 연장된 방향은,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뽑혀지는 방향이 되며,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가 이 돌기를 넘어 슬릿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뽑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그 결과,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뽑혀질 때,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가 우발적으로 슬릿내에 진입하여 제2 루멘으로 진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3) 상기 제2관상체의 축선방향의 양단 중 상기 제1관상체를 향하지 않는 제2단에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으로 요결하여 요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할 때에,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열린 슬릿을 통과하여 제2 루멘으로부터 빠져 나와 제2관상체의 축선방향에 이동한다. 이 때,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2관상체의 제2단으로부터 슬릿에 진입하게 되는데, 상기 제2단에는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에 따라 요결된 요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요결부에 의해 끌려당겨지게 되어,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가 슬릿내에 쉽게 진입할 수 있다.
(4) 상기 제1관상체, 상기 제2관상체 및 상기 연결 부재는 일체의 관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체의 관상체에 있어서 주벽(둘레의 벽) 일부를 절결(노치)하여 그 절결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나뉘어지는 관상체의 일부분들이 각각 제1관상체 및 제2관상체가 되며, 절결에 의해 남겨진 주벽의 일부분이 연결 부재가 되도록 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관상체로부터 제1관상체와 연결 부재, 그리고 제2관상체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의 외형의 돌기 또는 단차 등의 돌출부분을 가능한 줄일 수 있으므로, 혈관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를 구현할 수 있다.
(5) 상기 제1관상체는, 상기 제 1 루멘과 구별되는 공간의 서브 루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서브 루멘에 심재가 설치될 수 있다.
심재에 의해 제1관상체는 축선방향을 따라 지지되므로, 제1관상체가 작업 도중에 좌굴(buckling)되기 어렵다. 또한, 이 심재는 제1 루멘과 구별되는 공간인 서브 루멘에 설치되므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와 얽히지 않는다.
(6) 상기 제1관상체 또는 상기 제2관상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방사선에 의해 검지 가능한 마커가 포함될 수 있다.
방사선에 의해 검지 가능한 마커의 일 실시예로 제1관상체 또는 제2관상체의 소재에 X선(X-ray) 조영성 원소의 입자를 혼합하거나, X선불투과 금속제의 부재를 제1관상체 또는 제2관상체에 배태(embed)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일 실시예인 X선조영에 의해, 혈관내의 제1관상체 또는 제2관상체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시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는, 가이딩 카테터내에서 얽힌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를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삽입시키고, 제2관상체를 선두로 하여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를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하여 가이딩 카테터의 첨단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는, 제2관상체만이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어느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혈관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를 제2관상체의 슬릿을 통과시켜 제2 루멘으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이 제1 루멘 및 제2 루멘에 삽입되며,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는 제1 루멘에만 삽입되고 제1관상체와 제2관상체와의 틈을 통해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는, 이 상태에서 제1관상체, 연결 부재 및 제2관상체가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혀지도록 하여, 1개의 가이드 와이어와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와의 얽힘이 풀리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를 뽑아 내는 일 없이,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얽힘 해제 기구(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화살표 II에서 바라보는 얽힘 해제 기구(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화살표 III에서 바라보는 얽힘 해제 기구(1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의 영역 IV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 의 영역 V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절단선에 의한 제1 관성체(21)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 절단선에 의한 제2 관성체(22)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얽힘 해제 기구(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얽힘 해제 기구(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얽힘 해제 기구(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얽힘 해제 기구(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얽힘 해제 기구(1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
도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위스트 해제 기구(10)를 제시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는, 가이딩 카테터(도면에 미도시됨)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트위스트, twist)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트위스트 해제 기구(10)는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은 핸들부(11), 샤프트(12) 및 튜브(13)를 포함한다.
[샤프트(12)]
샤프트(12)는 의료용 스텐레스제의 봉재이다. 이 샤프트(12)는 불소 수지 등으로 코팅 될 수 있다. 샤프트(12)는, 가이딩 카테터(도면에 미도시됨)에 삽입 가능한 것이며, 가이딩 카테터의 내경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외경을 가진다. 샤프트(12)는 동맥혈관 등의 만곡된 형상에 따라 탄성변형 가능하며, 축선방향(101)으로 좌굴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강성)을 가진다. 이 샤프트(12)는 본 발명의 장척부재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샤프트(12)의 기단(도1 내지 도3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핸들부(11)가 연결되고 있다. 이 핸들부(11)는, 샤프트(12)를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하거나 회전시킬 때의 핸들이 될 수 있다. 핸들부(11)는 시술자가 잡기에 적절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축방향(101) 주위에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날개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위스트 해제 기구(10)는 핸들부(11)로만 조작되는 것이 아니고, 시술자가 샤프트(12)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다.
[튜브(13)]
튜브(13)는 샤프트(12)의 축선방향(101)에 따라 연장되어 샤프트(12)의 첨단(도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연결되어 있다. 튜브(13)는 소위 더블 루멘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튜브이며, 폴리아미드(polyamide)나 폴리에테르 아미드(polyether amide)등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연질 플라스틱의 성형체이다. 튜브(13)는 축선방향(101)으로 거의 일정한(균등한) 외경을 가지는데, 튜브(13)가 가이딩 카테터(도면에 미도시됨)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경이 설정된다.
튜브(13)은, 제1 튜브(21), 제2 튜브(22) 및 연결부(23)로 나뉘어진다. 제1 튜브(21)는, 본 발명의 제1관상체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2 튜브(22)는 본 발명의 제2관상체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연결부(23)은 본 발명의 연결 부재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제1관상체, 제2관상체 및 연결 부재가 일체의 관상체(튜브(13))로서 형성된 실시예이다.
제1 튜브(21)는 샤프트(12)의 첨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축선방향(101)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튜브(21)는 튜브(13)에 있어서의 기단측(도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우측)의 일부분을 이룬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튜브(2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루멘(24) 및 서브 루멘(25)을 가지는 이중 루멘 구조(double-lumen structure)를 이루고 있다. 제1 튜브(21)의 기단(26)은 샤프트(12)의 기단측을 향해 열려 있다. 제1 루멘(24)은 상기 기단(26)을 향하여 열려 있다. 따라서, 기단(26)으로부터 제1 루멘(24)으로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다.
서브 루멘(25)은 제1 루멘(24)과 구별되는 공간으로, 축선방향(101)으로 연장되어 있다. 서브 루멘(25)에는 축선방향(101)으로 심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심재(27)의 일 실시예로는 의료용 스텐레스로 만들어진 봉재가 될 수 있다. 상기 심재(27)는 동맥 혈관 등의 만곡된 형상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축선방향(101)에 대해서 좌굴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한다. 또한, 심재(27)는 샤프트(12)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심재(27)는 제1 튜브(21)의 기단(26)에서 제2 튜브(22) 근처까지 축방향(101)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튜브(22)는 튜브(13)의 첨단측(도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좌측)의 일부분을 이룬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튜브(22)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루멘(28)을 가진다. 제2 튜브(22)는 제2루멘(28)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2루멘(28)은 후술할 절결(29)(도 4및 도 5 참조)에 의하여 제1 튜브(22)의 제1 루멘(24)과는 일체의 관강(루멘)을 형성하지 않는다. 한편, 일체의 관강이란, 관(튜브)에서 양 끝단 이외에는 오픈되지 않은 공간을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루멘(24)는 제1 튜브(22)에 의해 일체의 관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루멘(28)은 제1 루멘과는 별개로 제2 튜브(22)에 의하여 일체의 관강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절결(29)에 의한 제1 튜브(21)와 제2 튜브(22)의 틈(간격)은 튜브(13)의 외부 공간에 대해서 개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튜브의 주벽에는 X선마커(30)가 파묻혀 있다. X선마커(30)는 X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금속제의 짧은 길이의 봉재이다. X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금속의 예로, 백금, 돈, 텅스텐등이나 이들의 합금을 포함한다.
도 4,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브(21)와 제2 튜브(22)는 튜브(13)의 주벽의 일부를 오픈하는 절결(29)에 의해, 축선방향(101)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절결(29)은 튜브(13)의 주벽을 축선방향(101)으로 길게 오픈하고 하고 있으며, 절결(29)의 주변부의 일부분은 제1 튜브(21)의 첨단(31)과 제2 튜브(22)의 기단(32)을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튜브(21)은 기단(26)과 절결(29)의 주변부의 일부인 첨단(31)을 양단으로 하는 일체의 관강으로서의 제1 루멘(24)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튜브(22)는 절결(29)의 주변부의 일부분인 기단(32)과 첨단(33)을 양단으로 하는 일체의 관강으로서의 제2 루멘(28)을 구성한다. 따라서, 절결(29)를 통하여 제1 루멘(24) 또는 제2 루멘(28)에 가이드 와이어가 삽발가능하다. 즉, 절결(29)에 의해 형성된 통로(개구)는, 제1 루멘(24) 또는 제2 루멘(28)으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를 삽발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이 절결(29)에 의해 열려진 주벽의 나머지의 일부분이 연결부(23)이다. 즉, 연결부(23)은 튜브(13)의 주벽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23)는 축선방향(101)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은 각각 제1관상체(21)와 제2관상체(22)에 연속한다. 다시 말하면, 제1관상체(21)와 제2관상체(22)는 절결(29)의 축선방향(101)의 크기에 해당하는 틈(간격)을 두고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상체(21) 및 제2관상체(22)는 하나의 튜브(13)에 의해 구성되므로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된 제1관상체(21) 및 제2관상체(22)의 각각의 축이 동일하다. 따라서, 축선방향(101)을 따라 확장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제1 루멘(24)및 제2 루멘(28)에 연속하여 삽입 가능하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서브 루멘(25)는 연결부(23)의 내면을 따라 확장되며 상기 서브 루멘(25) 내에 설치된 심재(27)는 축선방향(101)을 따라 연결부(23)에 배치된다. 상기 심재(27)에 의해 연결부(23)는 축선방향(101)으로 지지되며, 연결부(23)는 동맥혈관 등의 만곡된 형상에 따라 축선방향(101)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축선방향(101)으로 좌굴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강성)을 가진다.
도 5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선방향(101)을 따라 제2 튜브(22)에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4)은 제2 튜브(22)의 기단(32)에서 첨단(33)으로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 튜브(22)의 주벽을 두께 방향(지름 방향)으로 절단하고 있다. 제2 튜브(2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슬릿(34)은 닫힌 상태가 되며, 제2 튜브(22)의 반경을 넓히는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2 튜브(22)가 탄성변형하게 되며, 슬릿(34)은 열린 상태가 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사용 방법]
이하,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사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이딩 카테터에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어 그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얽히게 될 경우,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은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한다.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는 별도로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경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되는 경우의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사용 방법이 설명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을 사용하기 위해, 동맥혈관 등에 가이딩 카테터가 삽입되며, 그 가이딩 카테터에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삽입되어, 각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첨단이 관상 동맥의 협착 부위 등에 도달한다. 이러한 가이딩 카테터의 삽입이나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삽입에 대한 실시예는 일본특허공개 2006-32622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230442호 공보에 개시된 공지의 수법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맥혈관 등에 삽입된 가이딩 카테터 내에서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얽히게 되면,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가이딩 카테터내에서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얽히지 않으면, 트위스트 해제 기구(10)를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 와이어(51, 52)에 의해 가이드되는 벌룬 카테터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도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혈관(53)으로부터 Y자형 모양에 분기한 제2 혈관(54) 및 제3 혈관(55)에 각각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하나씩 삽입되어 있으며, 제1 혈관(53) 내에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얽혀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51, 52)는 가이딩 카테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얽힐수 있으며, 각 도면에 대해서 가이딩 카테터는 생략되었다.
도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얽혀 있으면, 우선, 가이딩 카테터의 수중 측으로 돌출한 가이드 와이어(51, 52)의 기단을 처음에는 제2 루멘(28), 다음에는 제1 루멘(24)의 순서에 삽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와이어(51, 52)의 기단은 제2관상체(22)의 첨단(33)으로부터 제 2 루멘(28)으로 삽입되어, 제2관상체(22)의 기단(32)을 통해 나오게 되며, 제1관상체(21)의 첨단(31)을 통해 제1루멘(24)으로 삽입되어, 제1관상체(21)의 기단(26)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51, 52)는 제2 루멘(28)과 제1 루멘(24)에 연속하여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후,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튜브(13)는 제2관상체(22)를 선두로 하여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13)은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므로, 튜브(13)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 제2관상체(22), 연결부(23)및 제1관상체(21)는 순차적으로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되며, 또한 튜브(13)르 가이딩 카테터내에서 첨단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샤프트(12)도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다.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핸들부(11) 또는 샤프트(12)를 조작하게 되면, 튜브(13)은 가이딩 카테터의 첨단까지 이동하게 되며, 제2 튜브(22)는 가이딩 카테터의 첨단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X선조영에 의해 검지되는 X선마커(30)에 의해 제2 튜브(2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가이딩 카테터의 첨단으로 돌출하게 된 튜브(13)은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51, 52)에 가이드 되어, 제2 튜브(22)를 선두로 하여, 제1 혈관(53)을 통하여 제2 혈관(54) 및 제3 혈관(5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가이드 와이어(51, 52)는 얽힌 상태로 제1 루멘(24) 및 제2 루멘(28)을 삽입(관통)한다.
그리고, 제2 튜브(22)의 첨단(33)이 제2 혈관(54) 및 제3 혈관(55)의 분기 위치(56)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분기 위치(56)에서 제2 혈관(54)및 제3 혈관(55)에 따라 나뉘어지는 가이드 와이어(51, 5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2 튜브(22)는 가이드되어 제2 혈관(54) 또는 제3 혈관(55)의 어느 한쪽으로 향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제2 튜브(22)가 가이드 와이어(5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3 혈관(55)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52)에 가이드되어 제2 튜브(22)가 제3 혈관(55)으로 이동(진행)하게 되면, 가이드 와이어(51, 52)가 나뉘어 진 상태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제2 루멘(28)의 외경을 확대시키려는 힘이 제2 튜브(22)에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제2 튜브(22)가 탄성변형해 슬릿(34)이 열린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튜브(22)가 가이드 와이어(52)에 가이드되어 제3 혈관(55)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가이드 와이어(51)은 열린 슬릿(34)를 통과하면서 제2 튜브(22)의 첨단(33)으로부터 기단(32)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51)은 제2관상체(21)의 기단(32)로부터 슬릿(34)를 빠져 나오며, 도 11과 같이, 가이드 와이어 (51)는 제2 루멘 (28)으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가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51)가 제2 루멘(28)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가이드 와이어(52)만이 제1 루멘(24) 및 제2 루멘(28)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가이드 와이어(51)은 제1 루멘(24)에만 삽입된 상태에서 절결(노치, 29)에서 튜브(13)의 외측으로 나온(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제2 튜브(22)만이 제3 혈관(55)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튜브(21)는, 분기 위치(56) 앞의 제1 혈관(53)내에 머물게 된다. 이 때, 연결부(23)는 제1 튜브(21)와 비교하여 제2 튜브(22)의 축선방향(101)으로 만곡한 형상이 되어, 제2 튜브(22)만이 제3 혈관(55)에 진입한다.
이후, 핸들부(11) 또는 샤프트(12)가 조작되면 튜브(13)는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혀진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52) 만이 제1 루멘(24) 및 제2 루멘(28)에 삽입된 상태이며, 가이드 와이어(51)는 제1 루멘(24)에만 삽입되고 절결(노치, 29)에서 튜브(13)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튜브(13)은 제1 혈관(53)에서 가이딩 카테터측(그림 1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돌아온다. 튜브(13)는 제1 혈관(53)에서 가이딩 카테터측에 돌아올 때에, 튜브(13)는 가이딩 카테터내에 들어가게 되지만, 각 도에서 가이딩 카테터는 생략(미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13)를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아 낼 때에,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 중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52)만이 제1 루멘(24)로부터 연속해 제2 루멘(28)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다른 가이드 와이어(51)는 제2 루멘(28)을 통과하지 않고, 제1 루멘(24)으로부터 절결(29)를 통과한다. 즉, 가이드 와이어(51, 52)는, 제1 루멘(24)를 통과한 후, 절결(29)에서 다른 경로를 통하게 된다. 이에 의해, 튜브(13)를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아 낼 때에, 가이드 와이어(51, 52)와 그 외의 가이드 와이어들과의 얽힘이 풀린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튜브(13)는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완전하게 뽑혀진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에 의하면, 가이딩 카테터내에 얽힌 가이드 와이어(51, 52)를 제1 루멘(24)및 제2 루멘(28)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튜브(13)는 제2 튜브(22)를 선두로 하여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시켜 가이딩 카테터의 첨단으로부터 돌출하게 하여 제2 튜브(22)만이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52)에 의해 가이딩되어 제3 혈관(55)로 향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가이드 와이어(51)는 제2 튜브(22)의 슬릿(34)를 통과시켜 제2 루멘(28)으로부터 빠져 나가도록 하여, 가이드 와이어(52)만이 제1 루멘(24)및 제2 루멘(28)에 삽입되고, 다른 가이드 와이어(51)은 제1 루멘(24)에만 삽입되고 절결(노치, 29)로부터 튜브(13)의 외부에 내며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튜브(13)를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아 낼 경우, 각각 가이드 와이어(51, 52)가 튜브(13)내의 별도의 경로를 통과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이 풀리게 된다. 따라서,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를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아 내지 않고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21), 제2 튜브(22) 및 연결부(23)가 하나의 튜브(13)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의 제작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제1 튜브(21), 제2 튜브(22) 및 연결부(23)의 외형에서 튀어나온 부분이나 단차 등의 돌출 부분을 가능한 줄일 수 있으므로, 혈관의 손상 가능성을 억제하는 제1 튜브(21), 제2 튜브(22) 및 연결부(23)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21)는 심재(27)에 의해 축선방향(101)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제1 튜브(21)가 작업 도중에 좌굴되기 어려워진다. 또, 심재(27)은, 제1 루멘(24)과 구별되는 서브 루멘(25)에 설치되므로, 심재(27)가 가이드 와이어(51, 52)와 얽히지 않는다.
또한, 제2 튜브(22)에 X선마커가 설치되고 있으므로, X선조영을 통해, 혈관내에서의 제2 튜브(22)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딩 카테터에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가 삽입되어 얽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트위스트 해제 기구(10)은 3개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되어 얽혀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가 3개 이상이면, 전술한 가이드 와이어(51)에 대응되는 나머지 2개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방식과 같이 조작하여 나머지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 중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만을 제2 루멘(28)에 통과시키면, 다른 2개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이 풀리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튜브(13)으로부터 제1 튜브(21), 제2 튜브(22) 및 연결부(23)가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1관상체, 제2관상체 및 연결 부재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관상체로의 튜브와 제2관상체로서의 튜브가 다른 부재로 구현되며 상기 두 개의 튜브가 봉재 등과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튜브(22)에 X선마커(30)가 매설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1 튜브(21)에 X선마커(30)가 매설될 수 있다.
[변형예]
이하에, 전술된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2 튜브(22)의 기단(32) 및 첨단(33)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형상이 다른 제2 튜브(22)의 기단(32) 및 첨단(33)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외의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며 생략한다. 덧붙여 도13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같은 참조 부호가 나타난 부재는 전술된 실시예에 대해 같은 참조 부호로 나타난 부재를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튜브(22)의 기단(32)에, 슬릿(34)이 형성된 일부분에는 축선방향(101)으로 제1 튜브(21)쪽으로 연장된 돌기(돌기부, 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41)가 설치된 기단(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관상체의 제1단에 해당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튜브(22)의 첨단(33)에, 슬릿(34)이 형성된 일부분에는, 축선방향(101)으로 요결된 요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결부(42)가 형성된 첨단(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관상체의 제2단에 해당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을 해제함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51)가 열린 슬릿(34)를 통과하면서 제2 튜브(22)의 첨단(33)에서 기단(32)으로 이동하면서 제2 루멘(28)을 빠져 나온다(도 10 참조). 가이드 와이어(51)가 제2 튜브(22)의 첨단(33)에서 슬릿(34)으로 진입할 때에, 가이드 와이어(51)가 요결부(42)로 이끌리도록 가이드 되어 가이드 와이어(51)가 슬릿(34)으로 가이드 되므로, 가이드 와이어(51)의 슬릿(34) 진입이 쉬워진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2개의 가이드 와이어(51, 52)의 얽힘을 해제하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51)은, 제1 루멘(24)에만 삽입되며 절결(29)에서 튜브(13)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도 12 참조). 튜브(13)가 가이딩 카테터로부터 뽑혀질 때에 이 가이드 와이어(51)은 제2 튜브(22)의 기단(32)과 접촉하게 된다.
돌기(41)가 연장된 방향은 튜브(13)가 뽑혀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와이어(51)가 돌기(41)을 넘어 슬릿(34)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와이어(51)는 튜브(13)가 뽑혀지는 방향에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튜브(13)가 뽑혀지고 있는 과정에서 가이드 와이어(51)는 상대적으로 절결(29)에서의 제2 튜브(22)의 기단(3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와이어(51)는 튜브(13)가 뽑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는 어려우므로. 가이드 와이어(51)가 우발적으로 슬릿(34)내에 진입하여 제2 루멘(28)에 다시 진입하는 것을 돌기부(41)가 방지할 수 있다.
10···트위스트 해제 기구(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
12···샤프트(장척부재)
13···튜브(관상체)
21···제1 튜브(제1관상체)
22···제2 튜브(제2관상체)
23···연결부(연결 부재)
24···제1 루멘
25···서브 루멘
27···심재
28···제2 루멘
30···X선마커(마커)
32···기단(제1단)
33···첨단(제2단)
34···슬릿
41···돌기
42···요결부
51, 52···가이드 와이어

Claims (6)

  1. 가이딩 카테터에 삽입된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가이드 와이어 얽힘 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한 장척부재;
    상기 장척부재의 끝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하고,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루멘을 가지는 제1관상체;
    상기 제1관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1관상체보다 첨단 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가이딩 카테터에 삽발이 가능하고,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루멘을 가지는 제2관상체;
    상기 제 1 루멘 및 상기 제 2 루멘을 통하여 상기 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가 연속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상체 및 상기 제2관상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관상체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지며, 해당 슬릿이 열리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관상체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만곡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상체의 축선방향의 양끝단 중 상기 제1관상체를 향하는 제1단에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으로 연장하여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상체의 축선방향의 양단 중 상기 제1관상체를 향하지 않는 제2단에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일부분이 축선방향으로 요결하여 요결부가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상체, 상기 제2관상체 및 상기 연결 부재는 일체의 관상체로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 해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상체는, 상기 제 1 루멘과 구별되는 공간의 서브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루멘에 심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얽힘 해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상체 또는 상기 제2관상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방사선에 의해 검지 가능한 마커가 포함되는, 얽힘 해제 장치.

KR1020100027114A 2009-03-27 2010-03-26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 KR101657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0656A JP5206542B2 (ja) 2009-03-27 2009-03-27 ガイドワイヤの絡まり解除装置
JPJP-P-2009-080656 2009-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281A KR20100108281A (ko) 2010-10-06
KR101657462B1 true KR101657462B1 (ko) 2016-09-19

Family

ID=4230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14A KR101657462B1 (ko) 2009-03-27 2010-03-26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7427B2 (ko)
EP (1) EP2233168B1 (ko)
JP (1) JP5206542B2 (ko)
KR (1) KR101657462B1 (ko)
CN (1) CN1018439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88B1 (ko) * 2019-07-01 2020-06-15 (주)시지바이오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4265A1 (en) 2015-06-30 2017-01-05 Endologix, Inc. Locking assembly for coupling guidewire to delivery system
EP3376937B1 (en) * 2015-11-19 2021-10-13 Sainath Intellectual Properties, LLC Dilator with slit and slidable sleeve
CN105617512B (zh) 2015-12-24 2018-05-22 北京天助瑞畅医疗技术有限公司 导丝导引装置和导丝导引组件
US11633579B2 (en) * 2017-03-03 2023-04-25 Sainath Intellectual Properties, Llc Dilator with slit and slidable sleeve
WO2019108187A1 (en) 2017-11-30 2019-06-06 C. R. Bard, Inc. Endovascular apparatus
EP3806944A1 (en) * 2018-06-07 2021-04-21 Hijazi, Ziyad, M. Multiple entry, single lumen dilator with a delivery sheath
WO2023229929A1 (en) * 2022-05-25 2023-11-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dical access sheath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3185A1 (en) 2002-05-21 2004-07-08 Nash John E. Tool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ng of a catheter or other tubular member onto a guide-wire without access to the ends of the guide wire
US20050197663A1 (en) 2004-03-01 2005-09-08 Terum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introduction of long item
US20070250001A1 (en) 2004-05-21 2007-10-25 Pierre Hilaire Guidewire Separ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7124161A1 (en) 2006-04-21 2007-11-01 Abbott Laboratories Guidewire plac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518B2 (en) * 2000-03-10 2003-02-11 Kensey Nash Corporation Tool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ng of a catheter or other tubular member onto a guide-wire without access to the ends of the guide-wire
ES2381490T3 (es) * 2003-10-16 2012-05-28 Minvasys Sistema de catéter para la implantación de una endoprótesis en vasos bifurcados
JP4653958B2 (ja) * 2004-03-01 2011-03-16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インサータ
US20060270977A1 (en) * 2005-05-26 2006-11-30 Conor Medsystems, Inc. Rapid exchange balloon catheter with reinforced shaft
JP2006326226A (ja) 2005-05-30 2006-12-07 Nipro Corp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
CN2889338Y (zh) * 2006-01-10 2007-04-1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导丝扭控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3185A1 (en) 2002-05-21 2004-07-08 Nash John E. Tool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ng of a catheter or other tubular member onto a guide-wire without access to the ends of the guide wire
US20050197663A1 (en) 2004-03-01 2005-09-08 Terum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introduction of long item
US20070250001A1 (en) 2004-05-21 2007-10-25 Pierre Hilaire Guidewire Separ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7124161A1 (en) 2006-04-21 2007-11-01 Abbott Laboratories Guidewire place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88B1 (ko) * 2019-07-01 2020-06-15 (주)시지바이오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3948B (zh) 2013-09-25
KR20100108281A (ko) 2010-10-06
US8147427B2 (en) 2012-04-03
JP2010227458A (ja) 2010-10-14
EP2233168B1 (en) 2016-01-13
US20100286565A1 (en) 2010-11-11
JP5206542B2 (ja) 2013-06-12
CN101843948A (zh) 2010-09-29
EP2233168A1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462B1 (ko) 가이드 와이어의 얽힘을 해제하는 장치
US8206370B2 (en) Dual lumen guidewire support catheter
EP2926857B1 (en) Catheter
US5292305A (en) Double-lumen angioscopy catheter
US8696732B2 (en) Stent delivery system
US20090264865A1 (en) Insertion assisting tool for catheter, catheter assembly, and catheter set
JP4722122B2 (ja) 第2ワイヤ装置および装着手順
US20120109109A1 (en) Auxiliary dilator and catheter assembly having the same
US11000676B2 (en) Guide for intravascular device
EP0664719B1 (en) Catheter tip with a low friction lining
EP1771221A2 (en) Catheter with splittable wall shaft and peel tool
AU5590099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ossing vascular occlusions
IE904324A1 (en) Guidewire with tracking member and catheter exchange system
EP3067087B1 (en) Balloon catheter
JPS62197072A (ja) 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カテ−テル
US202302639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or deployment and fixation
JP5313613B2 (ja) カテーテル
US7896888B2 (en) Multiple wire guide introducer system
CN111050834A (zh) 括约肌切开器装置和方法及其用途
JP4744522B2 (ja) 壁を割くことのできるシャフトと剥ぎ取り具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2008295825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組立体
CN111068162A (zh) 导管进出鞘检测部件、方法以及电生理导管、导引鞘管
JP2014064765A (ja) カテーテル
JP6898314B2 (ja) 2腔管カテーテル支持システム
US20220323111A1 (en) Access needle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