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44B1 -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44B1
KR101657444B1 KR1020150066573A KR20150066573A KR101657444B1 KR 101657444 B1 KR101657444 B1 KR 101657444B1 KR 1020150066573 A KR1020150066573 A KR 1020150066573A KR 20150066573 A KR20150066573 A KR 20150066573A KR 101657444 B1 KR101657444 B1 KR 10165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base station
uplink
gain control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김종민
양창복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5006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444B1/ko
Priority to US14/720,512 priority patent/US93984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3Cell handover without a predetermined boundary, e.g. virtu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 들의 서비스 공간 내에 위치한 모바일이 현재 접속 중인 기지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이 서비스의 끊김 없이(seamless) 달성되는 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Mobile hand-over test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과 관련한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69498 A호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테스트 장치 및 기지국 테스트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CDMA 시스템의 액티브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를 테스트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기지국 테스트 장치에서, 복수의 프리셋 감쇠기가 BTS에 할당된 서비스 영역의 각 섹터들에 대해 배열되고, 테스트 섹터와 그 인접 섹터간의 액티브 BTS의 소프터 핸드오버 테스트를 시뮬레이션하도록 BTS의 복수의 섹터 TRX에 대응하여 포함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프리셋 감쇠기는 0dB, -3dB, 및 -50dB과 같은 적어도 3가지 종류의 감쇠값들이 실현될 수 있고 스위칭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테스트 섹터의 프리셋 감쇠기는 0dB의 상태로 하고, 그 인접 프리셋 감쇠기 및 다른 감쇠기들은 -3dB의 상태 및 -50dB의 상태로 하여 감쇠값을 제어하여 액티브 BTS의 소프트 핸드오버 테스트를 시뮬레이션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게2009-302937호의 핸드오버 시험 장치 및 핸드오버 시험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기지국 장치 21, 23에 모바일 단말기 11을 연결하는 시험전송 라인 19의 통신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조건 변화 장치 131, 133 ; 조건 변화 장치 131, 133에 대한 시험전송 라인 19의 통신 상황으로 지정하기 위한 조건 제어부 152 ;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 11이 모바일 단말기 11에서 수행되는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결과 획득 유닛 153;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90333 B1호의 핸드오버 테스트기능을 갖는 휴대인터넷 계측기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핸드오버 테스트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코드로 미리 할당된 셀 ID가 포함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의해 서빙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의 각종 다운링크 신호를 인코딩한 후에 합성하여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핸드오버 테스트와 관련하여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의 각종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서빙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의 셀 ID로 디코딩하는 수신부; 매 프레임의 다운링크 구간 및 업링크 구간마다 스위칭되어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택일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핸드오버 테스트와 관련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전송할 각종 MA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핸드오버 테스트 관련 MAC 메시지를 해석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2002-0069498 A JP 2009-302937 A KR 10-0790333 B1 KR 10-0419889 B1 KR 10-0425990 B1 KR 10-0782949 B1 KR 10-1999-0051711 A
본 발명은,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종 네트워크 및 이종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과, 상기 가상 기지국들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컴바이너(combiner); 상기 복수의 컴바이너에 접속되어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종 네트워크 및 이종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제1도는 배경 기술로서,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테스트 장치 및 기지국 테스트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2도는 다른 배경 기술로서, 핸드오버 시험 장치 및 핸드오버 시험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3도는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핸드오버 테스트기능을 갖는 휴대인터넷 계측기 기술의 구성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기본 모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시나리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기본 구성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세부 구성
도면 제8도와 제9도는 본 발명의 가상 기지국의 세부 구성
도면 제10도와 제11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와 테스트 대상 모바일의 세부 구성
도면 제12도는 도면 제6도 내지 제11도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전체 세부 구성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기본 모델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 BS1, BS2, BS3 들의 서비스 공간 내에 위치한 모바일이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 BS1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d 만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의 서비스 접속, 즉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이 서비스의 끊김 없이(seamless) 달성되는 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3개의 기지국 BS1, BS2, BS3 들의 서비스 공간 내에 위치한 모바일이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 BS1의 서비스 영역 내의 출발점 SP(starting point)로부터 목표 지점 DP(destination point)으로 d 만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해, 모바일의 이동 경로 d를 일정 간격으로 구분하고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최소 3개의 기지국 BS1, BS2, BS3에 대한 전파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시나리오로서, 3개의 기지국 BS1, BS2, BS3의 지도상의 위치와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출발점 SP 및 목표 지점DP가 결정되면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는 전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 출발점 SP로부터 목표 지점DP까지 모바일이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모바일까지의 거리는 각각 BS1으로부터 r11, r12 ... r1n, BS2로부터 r21, r22 ... r2n, BS3로부터 r31, r32 ... r3n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기지국 BS1, BS2, BS3의 지도상의 위치와 출발점 SP 및 목표 지점DP가 결정되면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모바일과 각각의 기지국 간에 업 링크(UL: up_link) 및 다운 링크(DL: down_link)되는 RF 신호를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3개 이상의 기지국에 대해 복수의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3개의 기지국에 대해 2개의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 VBS1, VBS2, VBS3;과, 상기 가상 기지국들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컴바이너(combiner); 상기 복수의 컴바이너에 접속되어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성 간의 모든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호 간섭과 외부 잡음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제 기지국 환경에 근접한 조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 VBS2, VBS3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 설정과, 모바일 이득 제어부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의 제어는 콘트롤 버스를 통해 접속된 시나리오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은 직렬버스(serial bus);를 경유하여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기지국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여 현재 접속된 기지국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정보를 상기 시나리오 컴퓨터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시나리오 컴퓨터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 VBS2, VBS3의 지도상의 위치와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출발점 SP 및 목표 지점DP에 따라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로부터의 업 링크(UL: up_link) RF 신호 및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에 대한 다운 링크(DL: down_link)되는 RF 신호와,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로써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며, 이에 따른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기지국 접속 상태를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현행의 이동통신망은 국가마다 상이한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들도 2G GSM, 3G UMTS(W-CDMA), 4G LTE 등의 버전별 이종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여 핸드 오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 VBS1(100), VBS2(200), VBS3(300);과, 상기 가상 기지국들에 대한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DC1(400), DC2(420); 업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UC1(440), UC2(460); 상기 복수의 컴바이너에 접속되어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 MG1(500), MG(520);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 MB1(600), MB2(6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성 간의 모든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호 간섭과 외부 잡음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제 환경과 거의 동일한 조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100), VBS2(200), VBS3(300)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 설정과, 모바일 이득 제어부 MG1(500), MG(520)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의 제어는 콘트롤 버스를 통해 접속된 시나리오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 MB1(600), MB2(620)들은 직렬버스(serial bus);를 경유하여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기지국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여 현재 접속된 기지국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정보를 상기 시나리오 컴퓨터에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100), VBS2(200), VBS3(300)은,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각각의 기지국 디바이스에는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가 연결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상 기지국 VBS1(100)에는,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 기지국 디바이스 BSb(16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b(16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b(180)이 구비되고 상기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G1b(180)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써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DC1(400), DC2(420); 업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UC1(440), UC2(460)에 접속된다.
또한 가상 기지국 VBS2(200)에는, 기지국 디바이스 BSa(22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22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2a(240), 기지국 디바이스 BSb(26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b(26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2b(280)이 구비되고 상기 기지국 이득 제어부 G2a(240),G2b(280)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써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DC1(400), DC2(420); 업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UC1(440), UC2(460)에 접속된다.
가상 기지국 VBS3(300)도 마찬가지로, 기지국 디바이스 BSa(32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32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3a(340), 기지국 디바이스 BSb(36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b(36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3b(380)이 구비되고 상기 기지국 이득 제어부 G3a(340),G3b(380)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써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DC1(400), DC2(420); 업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컴바이너(combiner) UC1(440), UC2(460)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100), VBS2(200), VBS3(300) 내의 기지국 디바이스 들은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 MB1(600), MB2(620)의 실제 네트워크 조건에 따라 가상 기지국별로 상이한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제8도와 제9도는 본 발명의 가상 기지국의 세부 구성으로서 VBS1(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기지국 VBS1(100)에는,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 기지국 디바이스 BSb(160) 및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b(160)에 접속되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b(180)이 구비된다.
도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BSb(160)는 900MHz, 1.8GHz, 2.1GHz의 대역별로 2G GSM, 3G UMTS(W-CDMA), 4G LTE 등의 버전별 이종 네트워크의 T/Rx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BSb(160)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RF 신호는 동축케이블로써 각각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 G1b(180)에 접속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BSb(160)는 베이스 밴드 데이터 전송을 체크하기 위해 별도의 베이스 밴드 Tx 와 Rx 터미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면 제9도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 BSa(120), BSb(160)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RF 신호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에 동축케이블로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 디바이스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RF 신호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a(140)의 컴바이너로써 결합된다. 상기 기지국 이득 제어부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경로별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이득 조절부 GC1, GC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득 조절부는 도면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들의 지도상의 위치와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출발점 SP 및 목표 지점DP가 결정되면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쇄 수단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이득 조절부 GC1, GC2 간에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 BA1을 구비하여 RF 신호의 감쇄에 따른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면 제10도와 제11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와 테스트 대상 모바일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기지국 이득 제어부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라인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를 제어하는 모바일 이득 제어부;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성 간의 모든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호 간섭과 외부 잡음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제 환경과 거의 동일한 조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면 제11도를 참조하면, 기지국 이득 제어부의 다운 링크 라인은 모바일 이득 제어부 MG1(500)의 제1 임피던스 매칭부 IM1를 거쳐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 BA2를 통해 이득 조절부 GC3로써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가 제어된다. 이때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 제어는 기지국과의 거리 관계 이외의 요인, 즉 모바일이 건물 내에 있다거나 지리적으로 RF 신호의 감쇄가 일어나는 조건 등에 대한 감쇄를 반영한다.상기 이득 조절부 GC3의 출력은 다시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 BA3를 거쳐 제2 임피던스 매칭부 IM2를 경유하여 컴바이너를 통해 모바일 MB1(600)에 제공된다.
기지국 이득 제어부의 업 링크 라인은 모바일 MB1(600)으로부터 동축 케이블로 제공되는 업 링크 RF 신호가 컴바이너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부 IM2를 경유하고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 BA3를 거쳐 이득 조절부 GC3로써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가 제어된다. 상기 이득 조절부 GC3의 출력은 다시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 BA2를 거쳐 제1 임피던스 매칭부 IM1을 경유하여 업 링크된다.
테스트 대상 모바일 MB1(600)은 직렬버스(serial bus);를 통해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기지국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여 현재 접속된 기지국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정보를 상기 시나리오 컴퓨터에 제공한다.
도면 제12도는 도면 제6도 내지 제11도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의 전체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 VBS1, VBS2, VBS3;과, 상기 가상 기지국들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컴바이너(combiner); 상기 복수의 컴바이너에 접속되어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성 간의 모든 RF 신호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호 간섭과 외부 잡음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제 기지국 환경에 근접한 조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실제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동종 네트워크 및 이종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모바일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VBS1(100), VBS2(200), VBS3(300) : 가상 기지국
BSa(120), BSa(220), BSa(320) : 기지국 디바이스
BSb(160), BSb(260), BSb(360) : 기지국 디바이스
G1a(140), G1a(240), G1a(340), : 기지국 이득 제어부
G1b(160), G1b(260), G1b(360) : 기지국 이득 제어부
DC1(400), DC2(420): 다운 링크 컴바이너(combiner)
UC1(440), UC2(460): 업 링크 컴바이너(combiner)
MG1(500), MG2(520) : 모바일 이득 제어부
MB1(600), MB2(620) : 테스트 대상 모바일

Claims (9)

  1. 기지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들을 이동시키는 전파 환경을 제공하여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의 T/Rx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 VBS1(100), VBS2(200), VBS3(300);과,
    상기 가상 기지국들에 대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RF 신호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컴바이너(combiner) DC1(400), DC2(420), UC1(440), UC2(460);
    상기 복수의 컴바이너에 접속되어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 MG1(500), MG(520); 및
    상기 이득 제어부에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채널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 MB1(600), MB2(620);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 VBS1, VBS2, VBS3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 설정과, 모바일 이득 제어부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의 제어는 콘트롤 버스를 통해 접속된 시나리오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은 직렬버스(serial bus);를 경유하여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시나리오 컴퓨터는,
    복수의 가상 기지국의 위치와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출발점 SP 및 목표 지점DP에 따라 이동 경로 d 상의 위치별로,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로부터의 업 링크 RF 신호 및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에 대한 다운 링크되는 RF 신호와,
    복수의 모바일 이득 제어부로써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바일들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별 이득 또는 감쇄를 제어하며,
    복수의 테스트 대상 모바일들의 기지국 접속 상태를 모바일 테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모바일 측에서의 핸드 오버 동작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득 제어부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의 다운 링크 라인이 모바일 이득 제어부의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거쳐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를 통해 이득 조절부로써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가 제어되고,
    상기 이득 조절부의 출력은 다시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를 거쳐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경유하여 컴바이너를 통해 테스트 대상 모바일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 기지국(virtual base station) VBS1(100), VBS2(200), VBS3(300)은,
    복수의 기지국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각각의 기지국 디바이스에는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감쇄를 설정하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기지국 이득 제어부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경로별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이득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득 조절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쇄 수단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이득 조절부 간에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이득 제어부는,
    기지국 이득 제어부의 업 링크 라인이 테스트 대상 모바일로부터 동축 케이블로 제공되는 업 링크 RF 신호가 컴바이너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부를 경유하고,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를 거쳐 이득 조절부로써 모바일들의 환경에 따른 감쇄가 제어되고,
    상기 이득 조절부의 출력은 다시 저잡음 광대역 버퍼 증폭기를 거쳐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경유하여 업 링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66573A 2015-05-13 2015-05-13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KR101657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73A KR101657444B1 (ko) 2015-05-13 2015-05-13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US14/720,512 US9398466B1 (en) 2015-05-13 2015-05-22 System for testing mobile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73A KR101657444B1 (ko) 2015-05-13 2015-05-13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444B1 true KR101657444B1 (ko) 2016-09-20

Family

ID=5638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73A KR101657444B1 (ko) 2015-05-13 2015-05-13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8466B1 (ko)
KR (1) KR101657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960B (zh) * 2017-10-27 2021-04-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测试方法和装置
US11156648B2 (en) 2018-04-25 2021-10-26 T-Mobile Usa, Inc. Radio signal absorption testing enclosure
US10841413B1 (en) * 2020-01-02 2020-11-17 Spirent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 audio cross-connect cable for remote mobile device testin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711A (ko) 1997-12-19 1999-07-05 정선종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 트래픽 시뮬레이터의 테스트 시나리오 구성 방법
KR20020069498A (ko) 2001-02-26 2002-09-04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테스트 장치 및 기지국테스트 방법
KR100419889B1 (ko) 2001-05-31 2004-03-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기지국 테스트 시스템
KR100425990B1 (ko) 2001-05-30 2004-04-0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기지국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US20050113117A1 (en) * 2003-10-02 2005-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s
KR100782949B1 (ko) 2006-04-25 2007-12-0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휴대인터넷 계측기에 의한 핸드오버 테스트 시스템
KR100790333B1 (ko) 2007-01-29 2008-01-0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핸드오버 테스트기능을 갖는 휴대인터넷 계측기
JP2009302937A (ja) 2008-06-13 2009-12-24 Nec Corp ハンドオーバー試験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試験方法
JP2012114627A (ja) * 2010-11-24 2012-06-14 Japan Radio Co Ltd ハンドオーバ試験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7566B2 (en) * 2006-12-08 2010-10-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d MIMO link tester
US7797132B1 (en) * 2007-08-24 2010-09-14 Nextel Communications Inc. Benchmarking and testing GPS performance on communication devices
US9281929B2 (en) * 2011-01-21 2016-03-08 Blackberry Limited Providing mobile-guided downlink interference management
JP5314091B2 (ja) * 2011-06-24 2013-10-16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JP5303611B2 (ja) * 2011-06-29 2013-10-02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試験方法
JP5351231B2 (ja) * 2011-10-04 2013-11-27 アンリツ株式会社 リレーノードシミュレーター及び試験方法
JP5681683B2 (ja) * 2012-09-18 2015-03-11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端末試験方法
JP5592460B2 (ja) * 2012-11-07 2014-09-17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の試験システムおよび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711A (ko) 1997-12-19 1999-07-05 정선종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 트래픽 시뮬레이터의 테스트 시나리오 구성 방법
KR20020069498A (ko) 2001-02-26 2002-09-04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테스트 장치 및 기지국테스트 방법
KR100425990B1 (ko) 2001-05-30 2004-04-0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기지국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KR100419889B1 (ko) 2001-05-31 2004-03-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기지국 테스트 시스템
US20050113117A1 (en) * 2003-10-02 2005-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s
KR100782949B1 (ko) 2006-04-25 2007-12-0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휴대인터넷 계측기에 의한 핸드오버 테스트 시스템
KR100790333B1 (ko) 2007-01-29 2008-01-0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핸드오버 테스트기능을 갖는 휴대인터넷 계측기
JP2009302937A (ja) 2008-06-13 2009-12-24 Nec Corp ハンドオーバー試験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試験方法
JP2012114627A (ja) * 2010-11-24 2012-06-14 Japan Radio Co Ltd ハンドオーバ試験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8466B1 (en)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7566B2 (en) Wired MIMO link tester
CA2644064C (en) Mobile-terminal simulator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417295B2 (en) Antenna system
Ng et al. Coexistence studies for 3GPP LTE with other mobile systems
CN112714467B (zh) 应用于分布式蜂窝系统的通信处理方法和通信装置
KR101657444B1 (ko) 모바일 핸드 오버 테스트 시스템
US6438357B1 (en) Air interface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KR20010019997A (ko)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씨디엠에이 신호용 채널 시뮬레이터
WO1998042150A2 (en) Downlink smart antennas for is-54/is-136 tdma systems
CN100438675C (zh) 实现上下行覆盖平衡的方法
CN111769887B (zh) 用于模拟弱网测试环境的系统
WO2015081687A1 (zh) 一种室内分布系统及其实现方法、存储介质
KR20010062319A (ko) 효율적인 하드 핸드오버를 갖는 패킷 스위칭 모빌 무선통신 시스템
CN108207021B (zh) 发射功率控制方法,设备和无线控制器
CN108400789B (zh) 多系统合路平台及提高多系统合路平台互调的方法
KR101698898B1 (ko)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
KR101849522B1 (ko) 주파수 집성 지원 기능을 갖는 채널 시뮬레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주파수 집성 블록
JP3699064B2 (ja) 無線基地局試験システムと無線基地局試験方法
WO2014164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bed power calibration for ue
KR100959054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점검하기 위한 유선링크시험장치
WO2023097625A1 (zh) 一种针对第二网络设备的波束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49725B1 (ko) Wcdma와 cdma-2000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를테스트하기 위한 무선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동적 전파 시뮬레이터
CN108400822B (zh) 一种调节信号强度差异的方法及装置
EP3062569B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trolling an output power of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Wu et al. Evolution toward coordinated multipoint architecture in small cell enhancement system operation scenarios for LTE-A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