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688B1 -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688B1
KR101656688B1 KR1020150075146A KR20150075146A KR101656688B1 KR 101656688 B1 KR101656688 B1 KR 101656688B1 KR 1020150075146 A KR1020150075146 A KR 1020150075146A KR 20150075146 A KR20150075146 A KR 20150075146A KR 101656688 B1 KR101656688 B1 KR 10165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oard
paper
weight
coat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윤정
Original Assignee
문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윤정 filed Critical 문윤정
Priority to KR102015007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초배지의 일면에 형성되고 석고보드의 이음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40~60 중량%, 폴리스티렌(Polystryene) 10~3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LINING PAPER FOR JOINT OF PLASTER BOARD AND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배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비접착부분을 확보하면서 석고보드의 이완, 수축에 따라 초배지의 찢김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에는 미관을 위해 다양한 모양과 재질의 도배지가 도배된다. 실내의 벽 또는 천장 등의 바탕면은 통상 콘크리트, 미장 또는 석고보드로 이루어진다. 특히 석고보드의 경우에는 내열 및 흡음 성능이 뛰어나서 단열재 및 흡음재의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석고보드를 고정함에 있어서, 못 또는 나사못으로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때문에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되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고, 매끄럽지 못한 시멘트 벽면으로 인하여 이웃하는 석고보드와의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울퉁불퉁한 표면 상부에 마감지를 곧바로 시공하게 되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석고보드 경계면이 드러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또한 석고보드 이음매를 충분하게 보완하지 않으면, 마감지가 이음매 부분으로 함몰되는 불량이 발생되고, 심할 경우에는 재시공을 필요로 하여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입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배지(2)가 석고보드 바탕면(1)의 이음새에 바로 도배되면, 도배지(2)에 석고보드 이음새의 형태가 표시되어 미관을 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바탕면에 먼저 초배지를 바르고 그 위에 도배지를 바르는 것이 일반적인 도배 시공 방법이다.
초배지는 통상적으로 제지 공장에서 솜, 마대, 재상판지 등과 같은 원료를 종이 생성로에 투입, 성형, 건조시킨 후 롤에 권취된 상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초배지의 원단은 도배 시공 방법에 맞게 절단된다. 절단된 초배지는 일정 길이씩 재단되고, 롤 형상의 막대 등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 사용된다.
이러한 초배지가 초배되는 부분이 콘크리트 또는 미장 바탕면인 경우 10mm 이상 겹침 이음으로 초배되고, 석고보드 바탕면인 경우 석고보드 이음새에만 폭 10 cm 정도의 초배지(3)가 초배된다. 초배된 초배지 위에 도배지가 도배됨으로써 도배 공사는 완료된다. 그러나, 초배지의 절단면은 거의 수직 형상을 취해 단이 진 상태의 초배지(3)가 사용된다. 따라서, 초배지가 겹침 이음으로 초배되는 경우 겹침 부분은 겹치지 않은 부분보다 돌출됨으로써, 도배지가 도배된 경우 겹침 부분이 돌출되어 미관을 크게 해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고보드 바탕면(1)에 실크벽지나 합지벽지와 같은 고급벽지의 도배지(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석고보드 이음새에 초배된 단이 진 초배지(3)의 부분에서 돌출됨으로써, 다시 도배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호텔 등과 같이 고급벽지가 사용될 경우, 샌드페이퍼 등을 이용하여 석고보드 이음새에 초배된 단이 진 초배지(3)의 부분을 갈아내어 경사를 완만하게 만드는 추가 작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샌드페이퍼 작업으로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시공 시간이 크게 증가하여 작업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초배지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가 되지 못해 도배지의 부착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잇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83081호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양끝 단에 접착부가 형성된 제1초배지와 제1초배지의 폭 양측 가장자리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1초배지의 윗면에 접착되는 제2초배지로 구성되며, 제1초배지와 제2초배지 사이에 비접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초배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2초배지에 접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비접착공간이 형성되어 석고보드의 이완 또는 수축을 할 경우 비접착공간으로 인하여 초배지가 함몰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초배지가 석고보드의 이음새에 습기가 차오를 경우 이를 흡수하여 매끈한 면을 이루고 있겠지만 건조할 경우 이음새에 마감된 초배지가 들뜨거나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321861호에는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롤 형태로 말려져 제작되는 초배지로서, 접착제가 도포면 면에 양측으로 접착제가 노출되게 보강지를 덧 대어 롤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초배지를 바르는 동작만으로 이음새 부분에 보강지를 덧 붙여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초배지는 보강지만으로는 습기에 대한 문제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081호(2002.08.22.)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861호(2003.07.31.)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522호(2010.07.0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고보드의 이음새를 마감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에 있어서 비접착 부분을 확보하면서 석고보드의 이완과 수축에 따라 초배지의 찢김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초배지의 일면에 형성되고 석고보드의 이음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6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40~60 중량%, 폴리스티렌(Polystyrene) 10~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100중량부에 추가로 실리콘 오일 1.5 ~ 2.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 100중량부에 추가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10~15 중량부, 왁스(wax) 0.01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은 초배지의 원지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원지에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건조된 원지를 재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과정은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원지를 자연건조 시키는 과정, 상기 자연건조된 원지를 열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열건조된 원지를 냉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원지를 압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에 따르면 초배지와 석고보드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석고단차가 안보이게 하고, 습도 및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도 일정한 탄력성을 유지하여 초배지 및 벽지의 늘어짐 및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초배지에 비하여 강도와 유연성이 증가되어 보다 가혹한 상황에서도 터짐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석고보드 이음새에 초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도배지를 바른 상태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2는 석고보드 이음새에 초배된 종래의 초배지 상에 도배된 도배지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를 적용한 도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100)는 일면에 석고보드의 이음새에 대응되는 위치, 즉 초배지(100)의 중심부에 코팅부(110)와, 코팅부(110)의 양쪽으로 일정한 폭의 접착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부(110)는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석고보드의 이완, 수축에 따라 유연성과 탄력성 및 신축성을 가지게 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코팅부(110)는 원지를 목적에 맞는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형성시킨다.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는 초배지의 코팅부(110)의 기본적인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내후성이 뛰어나 추후 초배지가 석고보드에 사용될 때 도배 후에도 습도, 온도 등의 변화에도 초배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코팅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의 함량은 20~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환경 변화에 대한 변형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의 함량이 40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변형방지 효과의 상승 정도가 많지 않아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또한, 함유되는 톨루엔(Toluene)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가 원지 표면에 고루 펴지게 끔 분산시키는 역할과 배합된 수지가 적당량 원지에 흡수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톨루엔(Toluene)은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보관시에 밀폐가 필수 적이며, 톨루엔(Toluene)의 함량을 조절하여 코팅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톨루엔(Toluene)은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약 60~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톨루엔(Toluene)의 함량이 낮을 경우는 코팅액의 점도가 높아 코팅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코팅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톨루엔(Toluene)의 함량이 높아 코팅액의 점도가 낮은 경우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면이 발생할 수 있어 초배지의 강도가 유지되지 못하여 초배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코팅액에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코팅액의 조성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40~60 중량%, 폴리스티렌(Polystyrene) 10~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되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은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로서 초배지의 코팅부(110)의 기본적인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후술할 열처리 이후에 경화되어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게 됨에 따라 초배지에 필요한 탄력성 및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 폴리스티렌(Polystyrene)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 후에 초배지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폴리스티렌(Polystyrene)의 함량이 30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포함된 폴리스티렌(Polystyrene) 때문에 코팅부(110)의 유연함이 감소되어 석고보드의 단차 변화에 따라 터지거나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스티렌(Polystyrene), 톨루엔(Toluene)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첨가물이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KF96)은 이형성 및 발수성이 뛰어나, 도배풀 등 이물질이 코팅층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리콘 오일(KF96)은 초배지와 석고보드 사이의 비접착공간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극복 및 벽지 함몰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오일(KF96)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 2.5 중량부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KF96)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성, 발수성의 기능성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실리콘 오일(KF96)의 함량이 2.5 중량부 초과인 경우 다른 물질과의 용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첨가물질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는 코팅액에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를 보완해주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갖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에 의해 코팅부(11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부(110)에 유연성이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는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의 첨가량이 10 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유연성 부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질로 인하여 건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오일(KF96)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왁스(Wax)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왁스를 코팅액에 첨가하는 경우 코팅된 원지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며 이형제 역할을 수행하기 있게 된다. 왁스는 첨가량은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0.01 중량부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가 초과되어 첨가되는 경우 도배풀과 접착이 잘되어 석고보드에 들러붙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잇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배지의 제조방법은 초배지의 원지를 준비하는 과정(S10), 준비된 원지에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과정(S20), 코팅층이 형성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S30), 건조된 원지를 재단하는 과정(S40)을 포함한다.
우선 초배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원지를 준비한다(S10). 이 때 사용되는 원지는 수지처리된 원지가 사용될 수 있다. 원지의 수지처리는 초배지의 내수성 및 내형성을 갖도록 하여 석고보드의 이음새를 마감 후, 석고보드의 이완과 수축으로 인한 초배지의 찢김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기온 차에 따른 습기를 머금어 초배지의 윗면에 도배지로 도배된 벽면이나 천장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준비된 원지에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킨다(S20). 코팅액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준비하게 된다. 코팅액을 롤에 묻혀 원지를 통과시키면 연속적으로 코팅층을 원지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실온(섭씨 25도) 기준으로 코팅액의 점도는 포드컵(Ford Cup) 점도 측정기 기준으로 약 30초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수지처리된 원지 상태, 습도, 코팅장비의 온도에 따라 코팅액의 점도는 15~32초 사이의 값으로 유동적이다. 이때 조절되는 점도는 함유되는 톨루엔(Toluene)의 양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휘발성이 높은 용매의 특성으로 인하여 점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밀폐용기에 코팅액을 보관하여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코팅액이 원지에 골고루 코팅되고 나면 원지를 건조시킨다(S30). 이러한 건조공정은 자연풍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건조하는 자연건조, 고온의 롤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열건조, 실온의 롤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냉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건조는 코팅된 원지가 여러 롤을 거지는 과정의 첫번째로서 일정한 바람을 발생할 수 있는 선풍기 등을 통하여 실온에서 건조된다. 이렇게 일차적으로 건조된 원지는 약 90~100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롤을 통과시켜 코팅부의 뒷면에 열을 가해 원지를 2차로 건조시킨다. 이때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은 열경화되어 코팅부의 필요한 강도를 갖추게 된다. 이때 원지의 이동속도는 약 0.2 m/s 이다. 열건조된 원지는 열이 제공되지 않는 실온의 롤을 거쳐 냉건조된다. 이 때 원지의 코팅부는 완전히 건조되게 되며 원지가 말리더라도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건조가 완료된 원지는 필요한 크기에 따라 재단한다(S40). 보통 석고보드 이음새용으로 사용되는 초배지는 폭을 12 cm, 15 cm으로 2종으로 재단될 수 있다. 이때 코팅부의 폭은 11 cm, 14 cm 정도이다. 재단된 원지는 양측부에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게 된다. 이러한 접착부로 인하여 초배지를 마감하는 시공시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마감된 부분이 곧게 마감되어 초배지 위에 도배지로 도배할 경우 미관을 해치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마감할 수 있어 시공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도배용 풀이나 밀가루 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건조가 완료된 원지는 기계로 추가적으로 압축하여 코팅액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코팅층의 두께의 편차를 발생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후에 초배지로서 석고보드에 부착될 때 찢김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를 적용한 도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시공되어 있는 석고보드(200)의 이음새(210)을 초배지(100)로 마감하고, 그 윗면을 도배지로 도배하였다. 소정 간격을 두고 시공된 석고보드(200)의 이음새(210)를 사이에 두고 초배지(100)의 접착부(120)가 석고보드(200)의 일측면에 접착하고, 접착부(120) 사이에 형성된 코팅부(110)가 석고보드(200)의 이음새(210)를 충분히 마감하면서 석고보드(200)의 일부면도 마감하며, 초배지의 윗면에 도배지로 도배한다.
이렇게 시공된 경우 석고보드(200)가 기온차에 따라 석고보드(200)이 이완하면 초배지의 비접착부분인 코팅부(20)가 수축하며, 이와 반대로 석고보드(200)이 수축되면 초배지의 코팅부(110)가 이완되어 도배지로 도배된 면이 들뜨거나 처짐 등을 방지하여 고른 도배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초배지 110: 코팅부
120: 접착부 200: 석고보드
210: 이음새

Claims (8)

  1.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초배지의 일면에 형성되고 석고보드의 이음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40~60 중량%, 폴리스티렌(Polystryene) 10~3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추가로 실리콘 오일 1.5 ~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추가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10~15 중량부, 왁스(wax) 0.0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6. 초배지의 원지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원지에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20~40 중량%, 톨루엔(Toluene) 40~60 중량%, 폴리스티렌(Polystryene) 10~3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건조된 원지를 재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조과정은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원지를 자연건조 시키는 과정; 상기 자연건조된 원지를 열건조시키는 과정; 및 상기 열건조된 원지를 냉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원지를 압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의 제조방법.
KR1020150075146A 2015-05-28 2015-05-28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5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46A KR101656688B1 (ko) 2015-05-28 2015-05-28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46A KR101656688B1 (ko) 2015-05-28 2015-05-28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688B1 true KR101656688B1 (ko) 2016-09-12

Family

ID=5695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146A KR101656688B1 (ko) 2015-05-28 2015-05-28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6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14B1 (ko) 2017-12-12 2018-10-10 주식회사 홈디 관통공이 형성된 초배지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WO2020145553A1 (ko) * 2019-01-07 2020-07-16 문윤정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KR20230024633A (ko)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지엠테크 초배지 리와인딩 장치
KR102517737B1 (ko) 2022-08-19 2023-04-05 김의경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4235A (ko) 2022-04-07 2023-10-16 이혜옥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102661412B1 (ko) * 2023-07-19 2024-04-26 주식회사 칠보 초배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81Y1 (ko) 2002-04-09 2002-08-22 이재명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200321861Y1 (ko) 2003-02-12 2003-07-31 임중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20040050153A (ko) * 2002-12-09 2004-06-16 김순옥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8522A (ko) 2008-12-30 2010-07-08 강귀금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81Y1 (ko) 2002-04-09 2002-08-22 이재명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20040050153A (ko) * 2002-12-09 2004-06-16 김순옥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21861Y1 (ko) 2003-02-12 2003-07-31 임중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20100078522A (ko) 2008-12-30 2010-07-08 강귀금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14B1 (ko) 2017-12-12 2018-10-10 주식회사 홈디 관통공이 형성된 초배지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WO2020145553A1 (ko) * 2019-01-07 2020-07-16 문윤정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KR20230024633A (ko)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지엠테크 초배지 리와인딩 장치
KR20230144235A (ko) 2022-04-07 2023-10-16 이혜옥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102517737B1 (ko) 2022-08-19 2023-04-05 김의경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661412B1 (ko) * 2023-07-19 2024-04-26 주식회사 칠보 초배지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688B1 (ko)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3666A (ko) 트러프-주연부를 갖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TE468969T1 (de) Verfahren zur veredelung einer bauplatte
CN110198834A (zh) 灰泥板及其制备方法
KR101044414B1 (ko)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51469A1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CN109057412A (zh) 聚氨酯卫浴底盘及其生产方法
KR20180067176A (ko)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JP5348684B2 (ja) 断熱複合パネルの壁面などへの施工法
CA3003461A1 (en) Drywall tape,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20117903A1 (en) Planar component with a mortar receiving coating or surface
JP2012097507A (ja) 内装改修方法
JP2015206224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39217Y1 (ko) 석고보드 이음새 메움용 접착 테이프
JP2006206369A (ja) 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0605A (ja) 板状建材の施工方法
JP3069013B2 (ja) 目地模様を有する壁面仕上げ方法
JP5154825B2 (ja) 壁紙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1001482A (ja) 表装材の製造方法、打放し調仕上り感のある表装材
JP3026319U (ja) 打放し調仕上り感のある表装材
JP2000064564A (ja) 打放し調仕上り感のある表装材
KR102241304B1 (ko) 표면 마감재를 가지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JPS6150916B2 (ko)
JPH01103435A (ja) 粘着層つき塗装シート
TW394808B (en) Method of processing the crevices on the surface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