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26B1 -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26B1
KR101656026B1 KR1020140158399A KR20140158399A KR101656026B1 KR 101656026 B1 KR101656026 B1 KR 101656026B1 KR 1020140158399 A KR1020140158399 A KR 1020140158399A KR 20140158399 A KR20140158399 A KR 20140158399A KR 101656026 B1 KR101656026 B1 KR 10165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resent
film layer
interior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7600A (en
Inventor
노규익
Original Assignee
명일폼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일폼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일폼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26B1/en
Publication of KR2016005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은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가압 및 가열하는 제1 압출단계 및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낮은 온도의 열을 가하는 제2 압출단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출 폴리스티렌(XPS, Extruded polystyrene)을 형성하는 코어블록 형성단계; 및 상기 코어블록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필름층을 형성하는 코팅 필름층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기능을 가질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xtrusion step of pressurizing and heating a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and a second extrusion step of heating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extrusion step A core block forming step of forming extruded polystyrene (XPS) formed by a second extruding step of applying heat of the extruded polystyrene (XPS); And a coating film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layer of a thermoplastic resin on one surface of the core block. The inner and outer materials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excellent strength and heat insulation.

Description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기능을 가지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heat insulating func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건물은 역사적으로 벽돌, 시멘트 블록, 목재 프레임으로 건축되고 있으며, 보다 최근에는 강철 프레임 및 회반죽으로 건축되고 있다. 건물의 건축에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들은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건물에 사용되는 목재의 사용량을 줄이며,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The building has historically been built with bricks, cement blocks and wooden frames, more recently with steel frames and plaster. Materials and technologies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costs, increase energy efficiency, reduce the amount of wood used in buildings, and reduce waste of materials.

시멘트 블록과 벽돌 건축은 건물을 짓는데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데, 이는 건물의 건축 비용을 증가시킨다. 목재는 오랫동안 건물의 건축에 있어서 주요한 재료가 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산림자원을 보존하려는 요구가 있으며, 본질적으로 혹독한 날씨, 습도, 곰팡이, 불 및 해충으로 인한 손상에 더 취약하다. 또한, 건물을 짓는데 목재가 이용되는 경우 많은 양의 폐기물이 생길 수 있다.Cement blocks and brick buildings require a lot of manpower to build the building, which increases the building cost of the building. Wood has long been a major ingredient in building construction, but recently there is a demand to conserve forest resources and is inherently more susceptible to damage from harsh weather, humidity, mold, fire and pests. Also, when wood is used to build a building, a large amount of waste can be generated.

또한, 건물의 존속기간 동안의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블록, 벽돌 및 목재 프레임과 회반죽의 건축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폼 블록(foam block)은 인기있는 대체재가 되고 있다. 이러한 폼 블록은 전통적인 목재, 시멘트 블록 및 벽돌 건축자재에 비해 환경적으로 지속성이 있으며, 건물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폼 블록 시스템은 경량이고, 필요한 모양대로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하여 건물의 구조물로 성형하는 데 비교적 낮은 숙련도의 인력을 요한다. 또한 습기, 곰팡이, 화재 및 해충피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재활용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It is also desirabl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uilding in order to reduce energy costs during the building's lifetime. Foam blocks are becoming a popular alternative because the construction of cement blocks, bricks and timber frames and plaster does not provide a high level of energy efficiency. These foam blocks a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mpared to traditional wood, cement block and brick building materials and can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foam block system is lightweight and easy to manufacture and mold as required, requiring relatively low manpower to mold in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t is also resistant to moisture, mold, fire and pest damage, and can be made from recyclable and recycled materials.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6029호는 굴곡이나 요철이 형성된 바탕 콘크리트면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일체형 유연성 단열구조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96029 discloses an integral type flexible insulating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concrete surface with a curved surface or unevenness and is easy to construct.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8913호는 구조물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표면(表面) 금속판과 상기 표면 금속판에 적층되며, 복수의 EPS(Expandable Polystyrene) 비드(bead)를 압축하여 성형된 EPS 보드 내에 무기질 난연제를 함유한 난연액을 주입하여 상기 복수의 EPS 비드 사이에 상기 난연제를 충전시켜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난연성 보드와 상기 난연성 보드로부터 소정의 중공층을 개재하여 이격되는 이면(裏面) 금속판과 중공층에 충전되는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포함하는 메탈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10-0118913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n EPS board which is laminated on a surface metal plate exposed on the surface of a structure and on the surface metal plate and comprises an inorganic flame retardant in an EPS board formed by compressing a plurality of expandable polystyrene beads A flame retardant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by filling the flame retardant between the plurality of EPS beads by injecting the flame retardant into the flame-retardant board, a back metal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lame-retardant board by a predetermined hollow layer, And a polyurethane heat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우수한 강도 및 단열기능을 가지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heat insulating func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가압 및 가열하는 제1 압출단계 및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낮은 온도의 열을 가하는 제2 압출단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출 폴리스티렌(XPS, Extruded polystyrene)을 형성하는 코어블록 형성단계; 및 상기 코어블록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필름층을 형성하는 코팅 필름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extruded polystyrene (XPS) formed by a first extrusion step of pressurizing and heating a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and a second extrusion step of applying heat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extrusion step A core block forming step of forming a core block; And a coating film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layer of a thermoplastic resin on one side of the core block.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재활용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as comprising recycled polystyrene.

상기 제1 압출단계는 18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2 압출단계는 7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extrud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80 ° C or more, and the second extrud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 ° C or more.

상기 제2 압출단계는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장시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second extrusion step is perform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first extrusion step.

상기 코팅 필름층은 착색 또는 무늬가 형성된 데코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ating film layer may be a decor sheet having a colored or patterned structure.

상기 코팅 필름층은 난연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ating film layer may be formed by mixing a flame retardant.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HFC-134a, HFC-152a, 부탄, 에탄올, 디메틸에테르,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blow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FC-134a, HFC-152a, butane, ethanol, dimethyl ether, and carbon dioxide.

상기 코팅 필름층의 형성단계는 고온 압축(hot pressing), 고형 접착제,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coating film layer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of hot pressing, a solid adhesive, or a hot melt adhesi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which is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건축물에 단열성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성인 내구성과 압축강도, 치수 안정성 등의 물성이 강화되며, 우수한 난연성 및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mpart heat insulation performance to a building but also enhanc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rigidity, durabil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can have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waterproof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박판화 및 경량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inned and lightweight, easy to store and transport, and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2단계의 압출공정을 통하여 압출 폴리스티렌을 형성할 수 있다. 2단계의 압출공정에 의하여 압출된 폴리스티렌은 닫힌 셀을 가짐으로써 단열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여 박판의 코어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uded polystyrene can be formed through a two-step extrusion process. The extruded polystyrene by the two-stage extrusion process has a closed cell, which not only has an adiabatic function but also has excellent strength, so that a core block of a thin plate can be formed.

또한, 코팅 필름층에 의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시공하거나 시공 후 건축물의 사용 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긁힘 또는 찢김, 습기 유입에 의한 열화, 내구성 및 단열 성능 등의 물성 저하로부터 코어 블록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film layer can protect the core block from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cratching or tearing caused by the stress applied to the building, deterioration due to moisture inflow, durability,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fter the construction 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are applied .

또한, 코팅 필름층은 대리석 혹은 원목 효과를 내도록 장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 필름층이 적용된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공시 콘크리트 벽에 부착하기만 하면 단열시공과 마무리시공이 함께 완성될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film layer can be decorated to give a marble or wood effect,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to which such a coating film layer is applied can be completed together with the heat insulation and finishing work as long as it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during remodeling and interior construction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 바닥 등을 시공 후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를 부착하면 장식기능을 가지는 코팅 필름층이 외부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벽지, 마감재 등을 시공할 필요가 없이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If the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fter the wall, ceiling, floor, or the like of the building is attached, the layer of the coating film having the decorative function is dir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nother wallpaper, .

또한, 콘크리트나 석고벽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새집 증후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harmful substances coming out from concrete or gypsum wall, thereby being eco-friendly and preventing a sick house syndrome phenomen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압출 폴리스티렌은 자체적으로 우수한 난연기능을 가지며, 코팅 필름층이 추가적으로 난연기능을 가지는 경우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뛰어난 난연기능을 가질 수 있다. 코팅 필름층은 내외장재의 시공시 사용자가 마주하는 외부 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1차적으로 난연기능이 발휘될 수 있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xtruded polystyr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flame retardant function and, when the coating film layer additionally has a flame retarding func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ynergistic effects, . Since the coating film layer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us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inside / outside material, the flame retarding function can be primarily exhibited when a fire occurs, so that the fir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lar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Furth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provided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 step is located "on" or "before" another step,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a step is in a direct time series relationship with another step, And may have the same rights as in the case of an indirect temporal relationship in which the temporal order of the two phases can be changed.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s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are presented, Is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an unscrupulous infringer of precise or absolute disclosures in order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losure. The term " step " or " step of ~ "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 step 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가 보다 명확하게 특정되고 이해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ide / outside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us the inside / outside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specified and understo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코어블록(110) 및 상기 코어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 필름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block 110 and a coating film layer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r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코어블록(110)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블록(110)의 일면에 코팅 필름층(120)을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inside and outside materia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core block 110 and laminating a coating film layer 120 on one side of the core block 110.

상기 코어블록(110)은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2단계의 압출 공정으로 압출하여 형성한 압출 폴리스티렌(Extruded polystyrene) 일 수 있다.The core block 110 may be extruded polystyrene formed by extruding a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through a two-step extrusion process.

압출 폴리스티렌은 닫힌 셀(closed cell)을 가지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방수기능 및 강도가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extruded polystyrene has a closed cell, the extruded polystyrene has excellent heat insulation effect and can have a waterproof function and a high strength.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가압 및 가열하는 제1 및 제2 압출단계를 통하여 압출 폴리스티렌 코어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truded polystyrene core block can be formed through first and second extrusion steps of pressurizing and heating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출부(10) 및 제2 압출부(20)를 통하여 제1 압출단계 및 제2 압출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extrusion step and the second extrusion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extrusion part 10 and the second extrusion part 20.

우선,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제1 압출부(10)에 주입할 수 있다. First,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can be injected into the first extruding portion 10.

이때,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스티렌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재활용 폴리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재활용 폴리스티렌의 비율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6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활용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강도의 발포 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발포 폼의 물성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may include a polystyrene resin and a foaming agent, and recycled polystyrene may be used. The proportion of recycled polystyrene may be 40 to 60%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recycled polystyrene is used, a foam foam of excellent strength can be produc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am foam are not deteriorated.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HFC-134a, HFC-152a, 부탄, 에탄올, 디메틸에테르,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와 HFC-134a는 불연가스로써, 이들을 발포제로 사용하는 경우 코어 블록의 난연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may include one or more blow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FC-134a, HFC-152a, butane, ethanol, dimethyl ether, and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and HFC-134a are flame-retardant gases, which can improve the flame-retarding function of the core block when used as a foaming agen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스티렌의 압출은 2단계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압출단계는 제2 압출단계에 비하여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of the polystyrene may be performed through two steps, and the first extrusion step may be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second extrusion step.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제1 압출부(10)는 180℃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보다 구체적으로, 200 내지 220℃,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15℃의 온도에서 제1 압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xtruded portion 10 can be maintained at 180 DEG C or higher,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xtrusion step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0 to 220 캜, preferably 210 to 215 캜.

상기 제1 압출단계 이후에 크로스바를 통하여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제2 압출부(20)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제2 압출부(20)에서 제2 압출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first extrusion step,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extrusion part 20 through the cross bar, and the second extrusion step can be performed in the second extrusion part 20.

제2 압출단계는 제1 압출단계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2 압출부(20)는 70℃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120℃일 수 있다. 제2 압출부(20)의 외측면은 중심부에 비하여 온도 제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압출부(20)의 평균온도는 80 내지 90℃일 수 있다.The second extrud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extruding step, but the second extruding part 20 may be maintained at 70 ° C or higher,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70 to 120 ° C.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xtruded portion 20 may not be easily controlled in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central portion, and the temperature may be relatively lowered. Accordingl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econd extruded portion 20 may be 80 to 90 캜.

또한, 제2 압출단계는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장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출부(20)는 제1 압출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 가열단계가 보다 장시간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rusion step may be perform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first extrusion step.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extrusion part 20 is longer than the first extrusion part 10, so that the second heating step can be performed for a longer time.

상기 제1 및 제2 압출단계는 120bar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xtrusion steps may be performed at a pressure of at least 120 bar.

제2 압출단계가 끝나면 압출 폴리스티렌(XPS)은 다이부(30)로 이동하고, 다이부(30)에서 원하는 형상으로의 성형 및 절단, 냉각 및 평탄화 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extrusion step is completed, the extruded polystyrene (XPS) moves to the die part 30, and the die part 30 can be formed into a desired shape, cut, cooled, and planarized.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코어 블록의 형상은 판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원판형, 사각 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core block may be formed into a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 shape and a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와 같이 2단계의 압출공정에 의하여 압출된 압출 폴리스티렌은 닫힌 셀을 형성하여 우수한 단열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여 박판의 코어 블록을 형성할 수 있고, 우수한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truded extruded polystyrene by the two-step extrusion process forms a closed cell, which not only has an excellent heat-insulating function but also has excellent strength, can form a core block of a thin plate, and can have a waterproof function.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코어 블록(110)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필름층(120)을 형성하는 코팅 필름층 형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Next, a coating film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layer 120 made of thermoplastic resin on one side of the core block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PP(Polypropylene) 수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ating film layer 1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ypropylene resi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or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코어 블록(110)에 접합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고온 압축(hot pressing), 고형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film layer 120 may be bonded to the core block 110,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hot pressing, solid adhesive,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코어 블록(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시공하거나 시공 후 건축물의 사용 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긁힘 또는 찢김 등에 의해 코어 블록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코어 블록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어 열화, 내구성 및 단열 성능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팅 필름층에 의하여 코어 블록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coating film layer 120 can prevent the core block 110 from being damag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re block may be damaged due to scratches or tearing due to stress applied whe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are applied 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Further, moisture may flow into the core block, which may deteriorat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eterioration, durability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age of the core block can be prevented by the coating film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장식기능을 가지는 데코시트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착색되거나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시 안료 등을 첨가하여 코팅 필름층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코팅 필름층(120)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색에 의한 무늬의 표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film layer 120 may be a decor sheet having a decorating function.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coating film layer 120 may be colored or patterned.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is molded, pigments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impart various colors to the coating film layer.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can be formed on the coating film layer 120. For example, the pattern can be represented by a color, though not limited thereto.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코팅 필름층은 대리석 혹은 원목 효과를 내도록 장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 필름층이 적용된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공시 비용절감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ating film layer may be decorated to give a marble or wood effect,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to which such a coating film layer is applied may have a cost saving effect in remodeling and interior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실내의 단열 시공의 경우 콘크리트 벽에 단열재를 넣고, 메쉬망과 석고을 부착하여 마무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외장재는 이러한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크리트 벽에 부착하기만 하면 단열시공과 마무리시공이 함께 완성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insulation work in a room,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a concrete wall, and a mesh net and gypsum ar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wall. However,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such construction, Insulation construction and finishing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together.

즉,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 바닥 등을 시공 후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를 부착하면 장식기능을 가지는 코팅 필름층이 외부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벽지, 마감재 등을 시공할 필요가 없이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의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나 석고벽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새집 증후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fter the wall, the ceiling, the floor, or the like of the building is attached, the layer of the coating film having the decorative function is dir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Lt; / RTI > As a result, the cost and time of construction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harmful substances coming out from concrete or gypsum wall, thereby being eco-friendly and preventing a sick house syndrome phenomen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 필름층(120)은 난연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난연제를 혼합하여 코팅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난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film layer 120 may have a flame retarding function. For example, a flame retardant may be mixed to form a coating film layer. The kind of the flame retard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flame retarda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압출 폴리스티렌은 자체적으로 우수한 난연기능을 가지며, 코팅 필름층이 추가적으로 난연기능을 가지는 경우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뛰어난 난연기능을 가질 수 있다. 코팅 필름층은 내외장재의 시공시 사용자가 마주하는 외부 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1차적으로 난연기능이 발휘될 수 있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xtruded polystyr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flame retardant function and, when the coating film layer additionally has a flame retarding func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ynergistic effects, . Since the coating film layer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us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inside / outside material, the flame retarding function can be primarily exhibited when a fire occurs, so that the fir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lar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건축물에 단열성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성인 내구성과 압축강도, 치수 안정성 등의 물성이 강화되며, 방수 기능 및 난연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mpart heat insulation performance to a building but also ha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compression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can have waterproof function and flame retardancy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박판화 및 경량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inned and lightweight, easy to store and transport, and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Virgin PS(Polystyrene)과 recycled PS를 5:5로 준비하고, 발포제로 HFC-134a 90중량부와 이산화탄소 1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발포체 조성물을 제1 및 제2 압출부를 가지는 압출기에 투입하고,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조건으로 압출 및 성형하였다. 특별히 표시되지 않은 한, 단위는 ℃로 이해될 수 있다.
Virgin PS (polystyrene) and recycled PS were prepared in a ratio of 5: 5, and 90 parts by weight of HFC-134a and 10 parts by weight of carbon dioxide were used as foaming agents. The foam composition was fed into an extruder having first and second extruders and extruded and mold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1 to 3 below.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unit can be understood in degrees Celsius.

1차 압출기Primary extruder CrossbarCrossbar Crossbar PressureCrossbar Pressure 발포제 pressureBlowing agent pressure RpmRpm AmpereAmpere PressurePressure H1H1 H2H2 H3H3 H4H4 H5H5 H6H6 H7H7 H8H8 84.584.5 187187 131bar131bar 210210 212212 214214 215215 215215 210210 198198 198198 160bar160bar 140bar140bar

2차 압출기Secondary extruder RpmRpm AmpereAmpere PressurePressure H9H9 H10H10 H11H11 H12H12 H13H13 H14H14 H15H15 H16H16 H17H17 H18H18 H19H19 H20H20 18.618.6 125125 126bar126bar 4040 126126 115115 104104 9595 8383 7575 7373 7373 7171 7070 110110

DiesDies Dies lipDies lip CalibratorCalibrator haul-off speed(m/min)haul-off speed (m / min) width(㎜)
width (mm)
1st Chiller(℃)1st Chiller (℃) 2nd Chiller(℃)
2nd Chiller (℃)
PressurePressure flangeflange leftleft middlemiddle rightright Top(℃)Top (℃) Bottom(℃)Bottom (° C) frontfront RearRear P1(㎜)P1 (mm) P2(㎜)P2 (mm) 5757 110110 113113 111111 113113 7676 7676 9090 9090 4848 5858 10.410.4 10401040 2525 2525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어 블록에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코팅 필름층을 열 압착의 방법으로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내외장재는 박막으로 형성되었으나, 우수한 강도 및 단열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 coating film layer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was laminated on the core block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by a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The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s thus produced were formed as thin films, but were evaluated to have excellent strength and heat insulating function.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0: 제1 압출부 20: 제2 압출부
30: 다이부
110: 코어 블록 120: 코팅 필름층
10: first extruder 20: second extruder
30:
110: core block 120: coating film layer

Claims (9)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을 가압 및 가열하는 제1 압출단계 및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낮은 온도의 열을 가하는 제2 압출단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출 폴리스티렌(XPS, Extruded polystyrene)을 형성하는 코어블록 형성단계; 및
상기 코어블록의 일면에 난연제가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착색 또는 무늬가 형성된 데코시트인 코팅 필름층을 고온 압축(hot pressing), 고형 접착제,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코팅 필름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재활용 폴리스티렌 40 내지 60중량%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출단계는 180℃ 내지 22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2 압출단계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2 압출단계는 상기 제1 압출단계보다 장시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A core block forming step of forming extruded polystyrene (XPS) formed by a first extruding step of pressurizing and heating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and a second extruding step of applying heat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extruding step; And
A coating film layer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mixed with a flame retardant on one surface of the core block and formed of a colored or patterned decorative film layer by a hot pressing method, a solid adhesive method, or a hot melt adhesive method, Forming step,
Wherein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comprises from 40 to 60% by weight of recycled polystyrene and a blowing agent, wherein the first extrud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from 180 캜 to 220 캜 and the second extrud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from 70 캜 to 120 캜 And the second extrusion step is perform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first extrusion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은 HFC-134a, HFC-152a, 부탄, 에탄올, 디메틸에테르,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styrene foam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blow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FC-134a, HFC-152a, butane, ethanol, dimethyl ether, and carbon dioxid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7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8.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which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claim 1 or 7.
KR1020140158399A 2014-11-14 2014-11-14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56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99A KR101656026B1 (en) 2014-11-14 2014-11-14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99A KR101656026B1 (en) 2014-11-14 2014-11-14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00A KR20160057600A (en) 2016-05-24
KR101656026B1 true KR101656026B1 (en) 2016-09-22

Family

ID=5611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399A KR101656026B1 (en) 2014-11-14 2014-11-14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55B1 (en) 2020-05-04 2021-01-07 유재광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933A (en) 2005-01-21 2006-08-03 Kaneka Corp Composite foam
JP2013202812A (en) 2012-03-27 2013-10-07 Kaneka Corp Polystyrene resin extrusion foamed laminate with superior heat insulating performance
JP2014208736A (en) 2013-03-25 2014-11-0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Method for producing extruded foam body of polystyrene-based res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933A (en) 2005-01-21 2006-08-03 Kaneka Corp Composite foam
JP2013202812A (en) 2012-03-27 2013-10-07 Kaneka Corp Polystyrene resin extrusion foamed laminate with superior heat insulating performance
JP2014208736A (en) 2013-03-25 2014-11-0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Method for producing extruded foam body of polystyrene-based res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55B1 (en) 2020-05-04 2021-01-07 유재광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00A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7450A (en) Wood sandwich board
KR20120004507A (en) Cementitious articles, formula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s
KR101656026B1 (en) Interior or exterior finish materials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76493B1 (en) Plastic door for indoor
CN201347610Y (en) Wood core sandwich board
CN107433720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fire-resistant light granules and wood-plastic composite panel
CN207974357U (en) A kind of environment protection architecture wall Wood-plastic composite section bar
US10914070B2 (en) Construction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construction materials utilizing rice hulls
CN101806129A (en) Metal-straw fireproof thermal insulating decoration board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4943185A (en) High-strength high-sound-insulation thermoplasticity sound insulation plate and production technology thereof
KR10085123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interior panel and interior panel thereby
CN108819368A (en) A kind of heat insulation composite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25544B1 (en) Flame Retardant Ceramic Panel
CN107540971A (en) A kind of new fire retardant exterior wall decorative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362228A (en) Composite insulation boar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90308008A1 (en) Patterned Panel System with Integrated Decorative Surfaces
KR100814104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uctural frame with plastics layers containing aluminum extruding stuff as a core frame and a structural frame thereby
CA2861843C (en) Large format polystyrene panel
CN105952094A (en) Novel energy saving hollow exterior wall decorative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207974280U (en) A kind of composite exterior wall construction package of environment protection architecture
KR100948942B1 (en) Method for floor finish material using yellow soil panel and finish structure using thereof
CN207974288U (en) The PVC wood plastic exterior wall of alternative lightgage steel joist separates
CN207974415U (en) Wall decoration skin wood block for printing based on PVC wood mould plate
CN103818073A (en) Composite wood and composite section bar
CN205935500U (en) Combined aluminum alloy decorative exterior wall heated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