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93B1 -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993B1
KR101655993B1 KR1020140108544A KR20140108544A KR101655993B1 KR 101655993 B1 KR101655993 B1 KR 101655993B1 KR 1020140108544 A KR1020140108544 A KR 1020140108544A KR 20140108544 A KR20140108544 A KR 20140108544A KR 101655993 B1 KR101655993 B1 KR 10165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external force
welding apparatu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680A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
Priority to KR102014010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 B23K26/1462Nozzles; Features related to nozzles
    • B23K26/1464Supply to, or discharge from, nozzles of media, e.g. gas, powde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베이스와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프레임에 외력을 가할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프레임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Base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and base assembly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베이스와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752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0832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436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이스는 용접하기 위해 프레임에 외력을 가할 때 프레임 하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찰력으로 인해 프레임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752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0832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436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에 외력을 가할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프레임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본체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베이스본체에 형성되는 공기삽입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본체에는 에어포켓이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본체에서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은 다공질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은,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1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1외력을 가하는 1차외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2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외력은 상기 프레임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값과 상기 제1외력값과의 차이값을 상기 제1외력에 더한 값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담아지는 에어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베이스와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프레임에 외력을 가할 때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프레임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터링 이동간 하부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틱(stick) 제작간 상기 프레임 유동이 없다.
공기공급부는 상기 베이스본체에 형성되는 공기삽입공으로 구비하여, 구조가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본체 또는 상기 프레임에는 에어포켓이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본체에서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은 다공질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전면에 균일하게 공기부양력이 작용할 수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부양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이 부양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고, 상기 프레임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수평하게 부양된다.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1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하여, 프레임의 비대칭 변형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2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외력은 상기 프레임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값과 상기 제1외력값과의 차이값을 상기 제1외력에 더한 값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더욱 정밀하게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가압장치(200)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은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서술되는 공기삽입공(101)에 연통되도록 베이스본체(100) 또는 프레임(10)에는 에어포켓(11)이 형성된다. 에어포켓(11)은 두개의 부재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에어포켓(11)은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담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 하면에 각 변을 따라 직선형상의 에어포켓(11)이 각각 형성된다. 에어포켓이 베이스본체(100)에 형성될 경우에는 에어포켓이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모서리까지도 균등하게 부양력이 작용할 수 있다.
에어포켓(11)은 소폭부(11a)와 소폭부(11a)에 연통되며 소폭부(11a)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11b)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폭부(11b)는 소폭부(11a)보다 단면적이 넓다.
소폭부(11a)는 이하 서술되는 공기삽입공(101)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소폭부(11a)는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대폭부(11b)는 소폭부(11a)의 양측에 배치된다.
대폭부(11b)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폭부(11a)로부터 멀어질 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10)에서 공기삽입공(101)으로부터 먼 부분도 효과적으로 부양될 수 있어서, 프레임(10)의 전 부분에 압축공기의 부양력이 균일하게 작용된다.
상기 베이스는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베이스본체(100)를 포함한다.
베이스본체(1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돌출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출부는 내벽(102a)과, 내벽(102a) 상부에 연결되는 상면(102b)과, 상면(102b)의 외측 하부에 연결되는 외벽(102c)을 포함한다.
내벽(102a)이 프레임(10)의 내벽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돌출부의 폭은 프레임(10)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10) 사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베이스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삽입공(101)으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삽입공(101)은 상기 지지돌출부의 상면(102b)과 외벽(102c)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벽(102c)에 연결된 공기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상면(102b)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공기삽입공(101)은 상기 지지돌출부의 각 변에 예를 들어 3개씩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공기삽입공(10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돌출부의 각 변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베이스본체(100)에서 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은 다공질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다공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10) 사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질면으로 구비될 경우, 프레임(10) 전면에 균일하게 공기부양력이 작용할 수 있어서 프레임(10)의 부양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프레임(10)이 부양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고, 프레임(10)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수평하게 부양된다.
가압장치(200)는 베이스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프레임(10) 측부에 내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한다.
이러한 가압장치(200)는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압장치(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외벽(102c)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은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1차공기공급단계와, 상기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제1외력을 가하는 1차외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공기공급단계는 공기삽입공(101)을 통해 상면(102b)으로 공기를 토출시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102b)과 프레임(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프레임(10)은 상부로 이동(상기 베이스로부터 프레임(10)이 미세하게 이격) 또는 무게가 줄게된다. 따라서,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마찰력이 최소화되게 된다.
상기 1차외력단계는 가압장치(200)를 통해 프레임(10) 측부에 내측방향으로 제1외력을 가한다. 상기 제1외력은 프레임(10)에 가하고자 하는 목표 외력값이다.
이로 인해 프레임(10)에 외력을 가할 때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프레임(10)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장치(200)를 정지시켜서 프레임(10)을 가압하는 것을 멈춘다.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중단단계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정지시켜서 공기삽입공(101)을 통해 상면(102b)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상면(102b) 위에 놓이게 된다.
상기 2차외력단계는 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가압장치(200)를 통해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외력을 가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1차 중단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외력단계 이전에 2차공기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2차외력단계시에도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10)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가압장치(200)를 통해 프레임(10) 측부에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며, 프레임(10)에 가하고자 하는 목표 외력값인 상기 제1외력을 가하는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와,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와,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더욱 정밀하게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외력 값과 다른 제2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외력은 프레임(10)에 내측방향으로 가한다.
상기 2차외력단계에서는 상기 1차외력단계에서 가해진 제1외력값과 다른 값이 프레임(10)에 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외력은 상기 1차외력단계에서 프레임(10)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값과 상기 제1외력값과의 차이값을 상기 제1외력에 더한 값이다.(제2외력=제1외력+(제1외력-프레임에 가해진 측정된 외력))
이로 인해 프레임(10)에 더욱 정밀하게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00 : 베이스본체
101 : 공기삽입공 200 : 가압장치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1차공기공급단계;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1외력을 가하는 1차외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외력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기공급을 중단하는 1차 중단단계;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2차공기공급단계;
    상기 프레임에 내측방향으로 제2외력을 가하는 2차외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외력은 상기 프레임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외력값과 상기 제1외력값과의 차이값을 상기 제1외력에 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40108544A 2014-08-20 2014-08-20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KR10165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4A KR101655993B1 (ko) 2014-08-20 2014-08-20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4A KR101655993B1 (ko) 2014-08-20 2014-08-20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80A KR20160022680A (ko) 2016-03-02
KR101655993B1 true KR101655993B1 (ko) 2016-09-08

Family

ID=5558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44A KR101655993B1 (ko) 2014-08-20 2014-08-20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8063B2 (en) 2018-09-28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Mask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94B1 (ko) * 2016-07-13 2018-03-05 주식회사 케이피에스 텐션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96B1 (ko) * 2009-07-03 2012-02-2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노광 장치
KR200467259Y1 (ko) * 2008-12-10 2013-06-07 주식회사다스 회전부품 조립 및 지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576B1 (ko) 2002-03-16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708323B1 (ko) 2006-02-09 2007-04-17 엔티엠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34361B1 (ko) 2009-10-29 2012-04-09 김주환 마스크 용접장치용 클램프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9Y1 (ko) * 2008-12-10 2013-06-07 주식회사다스 회전부품 조립 및 지지 구조
KR101117896B1 (ko) * 2009-07-03 2012-02-2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노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8063B2 (en) 2018-09-28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Mask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80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262B2 (en) Gas floated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and noncontact workpiece support method
KR101655993B1 (ko)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및 마스크 용접장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마스크 용접장치 제어방법
KR102647221B1 (ko) 이차전지 밀봉장치
KR101626595B1 (ko) 마스크 프레임 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제조방법
KR101884715B1 (ko) 처음에는 아직도 액상인 코팅 재료를 이용한 금속 스트립의 코팅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4222B1 (ko) 작업 테이블
JP2018522141A (ja) 金属帯材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JP5936929B2 (ja) ノズルストッカ
JP4494179B2 (ja) 非接触支持装置
KR101994860B1 (ko) 리소그래피 장치용 지지 테이블, 기판을 로딩하는 방법,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CN106013597A (zh) 钢结构支撑梁
JP2017047339A (ja) 塗布装置
TW201629429A (zh) 平面度調整裝置及應用該平面度調整裝置之測試治具
WO2013121814A1 (ja) 塗布装置
JP2008121301A (ja) 二重床用パネル
KR20150058968A (ko) 차량부품 적재용 파레트 검수장치
JP2016221683A (ja) 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JP4946471B2 (ja) ワークの支持機構および支持装置
CN107419910A (zh) 吊车梁就位方法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JP6449000B2 (ja) 厚さ測定器
KR101826289B1 (ko) 단말기용 방수 검사장치
KR20180032450A (ko) 임시 보강 구조물
WO2010001470A1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シール装置
KR20170064619A (ko) 개선된 기판 압력 분포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진공 합착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