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82B1 -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982B1
KR101655982B1 KR1020140034101A KR20140034101A KR101655982B1 KR 101655982 B1 KR101655982 B1 KR 101655982B1 KR 1020140034101 A KR1020140034101 A KR 1020140034101A KR 20140034101 A KR20140034101 A KR 20140034101A KR 101655982 B1 KR101655982 B1 KR 10165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ffect
cells
secretion
g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135A (ko
Inventor
김혜영
류미라
박재호
김경
이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8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장 내분비세포 자극 활성이 뛰어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심장질환 개선,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또는 치료, 또는 신경보호 작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 또는 hTGR5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Description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s with secretory activity of neuropeptides}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의 분비를 유발시키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gastrointestinal tract)에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인 장 내분비세포 (enteroendocrine cells)는 장(腸)의 내강(intestinal lumen)에 유입된 성분에 의해 자극되어, 장 호르몬(gut hormones) 또는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s)를 분비한다. 동일한 성분일지라도 혈액을 통하여 표적 장기로 이동하여 작용하면 호르몬이라 지칭하며 미주신경 활성화의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하면 신경펩타이드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장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되는 특정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는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를 보호하고, 심장 질환을 겪는 환자들의 심장 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이 보고되고 있다.
장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되는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로는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세로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GLP-1은 회장(ileum) 및 결장(colon)에 존재하는 장 내분비세포의 일종인 L-cells에서 분비된다.
상기 GLP-1은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며,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Glucagon-like peptide-1 infusion improve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 Card. Fail. (2006) 12: 694-699., Ban, K., et al ., Cardioprotective and vasodilatory actions of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re mediated through both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dependent and -independent pathways. Circulation (2008) 117: 2340-2350. 참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GLP-1은 뇌혈관 질환 및 신경세포 염증 치료 효과(Salcedo I et al., Neuroprotective and neurotrophic actions of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 emerging opportunity to treat neurodegenerative and cerebrovascular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12) 166, 1586-1599)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GLP-1은 동맥경화증 (Burgmaier M et al.,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d its split products GLP-1(9-37) and GLP-1(28-37) stabilize atherosclerotic lesions in apoe-/- mice. Atherosclerosis (2013) 231, 427-435)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CCK는 십이지장(duodenum) 및 공장(jejunum)에 존재하는 장 내분비세포의 일종인 I-cells에서 합성되어 분비되며, 십이지장 점막에서 분비된 CCK는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며, 소화 및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5-HT는 위장관 전체에 존재하는 Enterochromaffin cells(EC cells)에서 분비되는 신경펩타이드로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며, 소화 및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 호르몬 또는 신경펩타이드 분비는 섭취한 음식을 소화의 단계에서 모니터링하여 음식 섭취와 소화 작용과 관련된 체내 항상성 (장 운동성, 장에서의 소화효소 분비 작용, 식욕 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체내 항상성은 흡수한 에너지와 소비된 에너지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며,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효과가 매우 높으면서도 비만, 간독성, 부종과 같은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편,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항비만 효과를 갖는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은 기름변이나 복부 팽만감, 어지러움, 구갈, 변비, 혈압상승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다 안전하고 효력이 강한 천연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장 내분비세포 활성이 뛰어나 여러 가지 유용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및 신경보호 작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한 양을 치료 또는 개선이 필요한 개체 또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 또는 환자에 있어 당뇨병 치료 효과, 식욕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및 신경보호 작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제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L.) 추출물,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 매미나물(Hylomecon hylomeconoides) 추출물, 야관문(Lespedeza cuneata) 추출물, 소국(Chrysanthemum morifolium) 추출물, 도깨비고비(Cyrtomium falcatum (L.) Presl,) 추출물,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추출물,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Jussieu) 추출물 및 큰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심장질환 개선,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또는 치료, 또는 신경보호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 중에서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L.) 추출물,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 매미나물(Hylomecon hylomeconoides) 추출물, 야관문(Lespedeza cuneata) 추출물, 소국(Chrysanthemum morifolium) 추출물, 도깨비고비(Cyrtomium falcatum (L.) Presl,) 추출물,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추출물,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Jussieu) 추출물 및 큰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펩타이드의 분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의 '치료'란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감지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거나를 불문하고, 또한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상관없이 증상의 완화, 질환 정도의 감소, 질환의 안정화된(즉, 더 나빠지지 않는) 상태,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감소,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치료는 치료가 수용되지 않는 경우에 예측되는 생존과 비교해서 연장된 생존을 의미하기도 하며, 하나의 질환의 병변이 발전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예방하는 의도로 수행되는 중재이다. 따라서, 치료는 치료법적 치료 및 예방적인 차원의 것들 모두를 가리키며,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것들은 이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상태 뿐만 아니라 질환이 예방되어야 할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사용된 ‘개선’이라 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고 난 후 증상의 완화 및 경감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L.)는 국화과 식물로,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혈액 순환 완화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삿갓나물이라고도 불리는 국화과 식물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관상초로 심는다.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몸속 독소를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혈제로 사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미나물(Hylomecon hylomeconoides)은 양귀비과 식물로, 진통, 관절염, 신경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관문(Lespedeza cuneata)은 비수리라고도 불리며,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해 풀이다. 간과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하며, 열을 내리고, 탈항과 위궤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국(Chrysanthemum morifolium)은 국화과 식물로, 소풍(疎風), 청열(淸熱), 평간(平肝), 명목(明目), 해독(解毒)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도깨비고비(Cyrtomium falcatum (L.) Presl,)는 양치식물 고사리목 면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와 섬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한의학에서는 청열, 해독, 양혈, 산어, 지혈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며, 열매와 껍질은 향신료와 약으로 쓰이며, 씨앗, 잎, 나무줄기 등도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산초는 살균, 해독 작용이 우수하며, 면역력 증진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Jussieu)는 멀구슬과의 식물로 장염, 설사, 혈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의 각 부위(줄기, 잎 및 열매) 마다 각각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상 참죽나무 잎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SPACH,)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혈관확장 작용으로 혈압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장대여뀌와 달리 큰여뀌는 GLP-1 분비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식물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키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식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심장질환 개선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국소빈혈로부터 심장세포를 보호하고,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 기능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의해 뇌의 Arcuate nucleus in hypothalamus(ARC)를 활성화시키고, 미주신경 (vagus nerves)을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신경보호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hTGR5 활성제로 작용하여 GLP-1, CCK 또는 5-HT의 분비 자극제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GLP-1 분비를 자극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식물 추출물들의 GLP-1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CCK 분비를 자극하고, 세포내 칼슘 농도 및 cAMP 증가로 GPCRs이 활성화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식물 추출물의 CCK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5-HT분비를 자극하고,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를 유발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어 상기 식물 추출물의 5-HT 분비 자극 효과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해낸 추출물을 의미하며, 추출 후 분획, 분리, 여과 등의 방법으로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물일 수 있다.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추출 시 추출 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중량대비 10 내지 100배가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교반 추출,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여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20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음건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를 상기 식물 분쇄물의 1 내지 20배 부피량 만큼 가하여 추출하고 나서, 선택적으로 (감압)농축, 건조 또는 정제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추출용매를 가하여 유효성분물질을 추출하되 (a)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b) 5 내지 37℃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 내분비세포 활성화를 위한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은 이들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은 상기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달성한다는 목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의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물은 건조시키기 전의 액상 상태의 삼잎국화, 우산나물, 고마리, 매미나물, 야관문, 소국, 도깨비고비, 산초, 참죽나무 및 큰여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거나 건조된 상기 식물 추출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 적당한 용매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층을 분리한 다음 각 층을 감압 농축 및/또는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일 수 있으나, 동결 건조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건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 GLP-1-(7-36) amide),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세레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등과 같은 장 호르몬 및/또는 신경펩타이드를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이 장 호르몬 및 신경펩타이드의 분비를 촉진시켜, 항비만, 항당뇨 효과, 심장 기능 향상 효과,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효과, 또는 신경보호 작용 효과 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항당뇨용, 심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용, 및/또는 신경보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 건강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데포(depot) 제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항비만, 항당뇨, 소화흡수장애 개선, 심장질환 개선, 신경보호 작용 또는 간질환 치료 효과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매일 약 0.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정제 정도,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중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건강 개선을 위해 유효한 양을 치료 또는 상태 개선이 필요한 환자 또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식욕 억제, 항비만,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신경세포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식욕 억제, 항비만,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및/또는 신경보호 작용을 위한 의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삼잎국화 추출물, 우산나물 추출물, 고마리 추출물, 매미나물 추출물, 야관문 추출물, 소국 추출물, 도깨비고비 추출물, 산초 추출물, 참죽나무 추출물 및 큰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심장질환 개선, 소화 장애 및 흡수 장애 개선 또는 치료, 또는 신경보호 작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당뇨병 예방 및 개선, 식욕 억제, 항비만, 심장질환 개선, 소화 및 흡수 장애 개선, 또는 신경 세포 보호 작용 효과가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 방법>
1. NCI-H716 세포를 이용한 GLP-1 분비자극 실험
1) 세포배양
인체 유래 세포주인 NCI-H716 cells는 ATCC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FBS), 2mM L-글루타민, 100IU/ml 페니실린,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 시료의 GLP-1 분비 작용 측정 방법
NCI-H716 세포를 2 x 105 cells/m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3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 세포는 phosphated buffered saline(PBS)로 수세과정을 거친 뒤,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KRB, 128.8mmol/l NaCl, 4.8mmol/l KCl, 1.2mmol/l KH2PO4, 1.2mmol/l MgSO4, 2.5 mmol/l CaCl2, 5mmol/l NaHCO3, 및 10mmol/l HEPES, 0.2% BSA, pH 7.4)에서 시료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1시간 배양 후 GLP-1 분석을 위하여 상층액을 취하고(100μL), GLP-1 활성 ELISA 키트(EGLP-35K, Millipore)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GLP-1의 농도는 공급된 GLP-1 표준물질에 준하여 (pmole/mL) 계산되었으며, 결과는 시료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GLP-1의 농도를 대조군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농도와 비교하여 fold of control로 나타내었다.
3)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 측정 방법
세포내 칼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형광-기반 에세이(Fluorescence-based assay) 방법을 이용하였다. 96-well plate에 4.0 x104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취한 후 48 시간 후 Molecular device에서 구입한 칼슘-5 에세이 키트(Calcium-5 assay kit)를 사용하여 Fluorometric imaging plate reader (FLIPRTM)인 Flexstation III (Molecular Devices Co.,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세포내 Ca2+ 농도를 측정하였다. 즉 시료를 주입한 후 120초간 칼슘이 염색되어 나오는 형광을 파장 488nm (excitation)과 525 (emmision)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최대 형광치(maximum fluorescent value) - 최소 형광치(minimum fluorescent value) = 상대 형광 단위(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 (ΔRFU))로 자동으로 계산되었다.
특정 성분이 GPCRs를 활성화시키면 GPCRs과 연결된 G protein complex (Gα-gustducin, Gα-transtducin, Gα14, Gβ3, Gβ1, Gγ13)가 활성화되고, 이는 phospholipase 를 활성화시켜서 type Ⅲ IP3-receptor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세포질 (cytoplasm) 내에 Ca2+ 농도의 증가를 일으키므로 상기 세포내 Ca2+ ion 농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GPCRs의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TRP channels이 활성화되면 세포막 바깥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세포내 Ca2+ ion 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TRP channels의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cAMP 측정 방법
NCI-H716 세포주는 1 x 106 cells/mL의 농도로 24-well culture plate에 분취한 후 3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 시료와 함께 KRB 버퍼 안에서 37℃ in 5% CO2 배양기에서 배양되었으며, 반응된 배지는 제거하고 세포는 KRB 버퍼로 3회 수세과정을 거친 뒤 0.1N HCl 0.5mL을 넣고 150 rpm,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된 세포는 1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상층액을 얻고 바로 효소 면역분석법(EIA, 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한 cyclic AMP kit를 이용하였다.
5) 결과
GLP-1과 cAMP의 농도는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는 상대 형광 단위(△RFU)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triplicate로 실험한 3회 반복 실험으로 mean ± S.E.M (n=9)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 STC-1 세포 이용한 CCK 분비 실험
1) 세포 배양
STC-1 cell은 10% 소 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37℃와 5%의 CO2를 유지하면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소 태아 혈청(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은 Gibco에서 구입하였다.
2) CCK 분비 측정 방법
세포를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각 well당 2×105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HEPES 버퍼(4.5mM KCl, 1.2mM CaCl2, 1.2mM MgCl2, 10mM glucose, 140mM NaCl, 및 20mM Hepes-Tris, pH7.4)로 2회 세척하고 HEPES 버퍼에 물질을 첨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배지를 모아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얻어진 상층액은 -70℃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kit는 효소 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EIA)) kit (Phoenix Pharmaceuticals Inc., Belmont CA)이다.
3) STC-1 세포에서의 세포내 칼슘 반응 측정 방법
Poly-D-Lysine cotead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Thermo)에 8.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로 37°C에서 60분 배양하고 Flexstation III을 이용하여 Ca2+ 반응을 측정하였다. 형광 파장은 488nm(ex)과 525(em)으로 약 120초간 반응을 보았으며 시료의 주입은 20초에 실시하여 100초간의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 RIN14B 세포 이용한 5-HT 측정 방법
1) 세포배양
RIN14B cell은 10% 소 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RPMI medium 1640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37℃와 5%의 CO2를 유지하면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소 태아 혈청(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은 Gibco에서 구입하였다.
2) 5-HT 분비 측정 방법
세포를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각 well당 2×105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5-HT 에세이 버퍼(HBSS, 0.1% BSA, 1.25mM CaCl2, 2μM 플록세틴, pH 7.4)로 2회 수세하고 5-HT 에세이 버퍼에 물질을 첨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배지를 모아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얻어진 상층액은 -70℃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kit는 Serotonin(EIA) kit (Enzo Life Sciences)이다
3) 세포내 칼슘 반응 측정 방법
Black 96-well clear-bottom plates (Corning)에 5.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Calcium-5 assay kit (Moelcular device)로 37℃에서 60분 배양하고 Flexstation III을 이용하여 Ca2 + 반응을 측정하였다. 형광파장은 488nm(ex)과 525(em)으로 약 120초간 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주입은 20초에 실시하여 100초간의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I. 항당뇨 , 항비만 , 심장병 보호효과, 소화 장애 개선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 활성 확인
<실시예 1>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L.) 추출물
1. 삼잎국화 추출물의 제조
삼잎국화(뿌리를 제외한 전초)는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과 cAMP의 농도는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Δ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2.932 ± 0.132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37.814 ± 3.615**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물)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삼잎국화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삼잎국화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3. NCI-H716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반응
농도 cAMP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100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4.331 ± 0.772*
OEA (oleoylethanolamide) 20 μM 6.813± 1.63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물)는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PCRs의 신호전달 분자의 하나인 cAMP 농도를 측정하여 삼잎국화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이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삼잎국화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삼잎국화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μg/ml 10.98 ± 0.31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삼잎국화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μg/ml 52.94 ± 0.97 * 0.015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5,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삼잎국화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삼잎국화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삼잎국화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3. STC-1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59.12 ± 2.09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μg/ml 191.49 ± 24.68 ** 0.006
KCl 0.1mM 17.01 ± 0.93 *** <0.001
1mM 35.08 ± 3.43 ** 0.004
10mM 270.08 ± 9.57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1,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삼잎국화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잎국화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삼잎국화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삼잎국화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μg/ml 3.18 ± 0.33 *** <0.001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7의 결과에 따르면, 삼잎국화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삼잎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삼잎국화(50% 에탄올 추출) 500μg/ml 54.66 ± 1.06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삼잎국화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삼잎국화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
1. 우산나물 추출물의 제조
우산나물(뿌리를 제외한 전초)은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과 cAMP의 농도는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3.901 ± 0.035**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46.029 ± 7.264**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1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나물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우산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우산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3. NCI-H716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MP 반응
농도 cAMP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100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14.333 ± 2.425**
OEA (oleoylethanolamide) 20 μM 6.813 ± 1.634*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PCRs의 신호전달 분자의 하나인 cAMP 농도를 측정하여 우산나물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나물 추출물이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우산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우산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μg/ml 10.81 ± 1.99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1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우산나물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나물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μg/ml 35.11 ± 0.72 0.250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1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나물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산나물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우산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우산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3. STC-1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막 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59.12 ± 2.09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μg/ml 143.96 ± 7.40 *** <0.001
KCl 0.1mM 17.01 ± 0.93 *** <0.001
1mM 35.08 ± 3.43 ** 0.004
10mM 270.08 ± 9.57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1,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1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막 전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GPCRs의 활성화로 세포내 이온이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우산나물 추출물은 GPCRs를 활성화시켜 GLP-1 분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나물 추출물이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우산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우산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μg/ml 1.69 ± 0.16 * 0.016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5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15의 결과에 따르면, 우산나물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우산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우산나물(50% 에탄올 추출) 500μg/ml 21.55 ± 0.87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16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우산나물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산나물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
1. 고마리 추출물의 제조
고마리(뿌리를 제외한 전초)는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088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2.407 ± 0.165***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마리(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고마리(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0.632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500 μg/mL 30.683 ± 4.185**
포도당 100 mM 10.240±0.352**
250 mM 45.041±0.827***
500 mM 233.16±9.306***
상기 표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서 고마리(50% 에탄올 추출물)는 세포내 cAMP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PCRs의 신호전달 분자의 하나인 cAMP 농도를 측정하여 고마리 추출물이 GLP-1 분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마리 추출물이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고마리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고마리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250μg/ml 7.20 ± 0.82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19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고마리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마리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29.64 ± 4.38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2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마리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고마리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고마리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고마리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250μg/ml 3.67 ± 0.38 *** <0.001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21의 결과에 따르면, 고마리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고마리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고마리(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7.25 ± 2.71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8)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2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고마리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마리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4> 매미나물(Hylomecon hylomeconoides) 추출물
1. 매미나물 잎 추출물의 제조
매미나물 잎은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100 μg/mL 1.151 ± 0.174
250 μg/mL 2.241 ± 0.217*
500 μg/mL 3.786 ± 0.230**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100 μg/mL 12.787 ± 0.994
250 μg/mL 16.441 ± 0.593**
500 μg/mL 35.955 ± 1.927***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2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미나물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매미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매미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250μg/ml 5.82 ± 1.00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2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매미나물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미나물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53.10 ± 3.13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2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미나물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하며,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매미나물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매미나물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매미나물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250μg/ml 9.07 ± 0.45 *** <0.001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27의 결과에 따르면, 매미나물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매미나물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매미나물(50% 에탄올 추출) 250μg/ml 41.56 ± 2.42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8)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28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매미나물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매미나물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I . 항비만 , 심장병 보호효과, 소화 장애 개선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 활성 확인
<실시예 5> 야관문(비수리, Lespedeza cuneata) 추출물
1. 야관문 추출물의 제조
야관문은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산채원 (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야관문(비수리)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088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3.202 ± 0.253*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야관문(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야관문 추출물은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0.632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43.797± 2.388***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3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야관문(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야관문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야관문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야관문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250μg/ml 6.41 ± 0.66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31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야관문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야관문 추출물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33.70 ± 5.32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3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야관문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야관문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야관문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야관문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100μg/ml 5.56 ± 0.96 *** <0.001
250μg/ml 10.27 ± 0.14 *** <0.001
500μg/ml 13.18 ± 0.38 *** <0.001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33의 결과에 따르면, 야관문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야관문(50% 에탄올 추출) 100μg/ml 11.15 ± 0.80 *** <0.001
250μg/ml 21.32 ± 0.97 *** <0.001
500μg/ml 45.19 ± 0.83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3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야관문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야관문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6> 소국(Chrysanthemum morifolium) 추출물
1. 소국 추출물의 제조
소국은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산채원 (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소국(들국화)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0.088
소국(50% 에탄올 추출) 100 μg/mL 1.356 ± 0.065***
250 μg/mL 2.755 ± 0.085***
500 μg/mL 3.143 ± 0.125***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국(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소국 추출물은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소국(들국화)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소국(50% 에탄올 추출) 100 μg/mL 11.466 ± 0.426
250 μg/mL 17.164 ± 0.534**
500 μg/mL 22.643 ± 0.880***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3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소국(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국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소국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소국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소국(50% 에탄올 추출) 100μg/ml 25.50 ± 1.23 *** <0.001
250μg/ml 26.91 ± 0.22 *** <0.001
500μg/ml 33.86 ± 1.97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3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소국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국 추출물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소국(50% 에탄올 추출) 100μg/ml 520.27 ± 24.26 *** <0.001
250μg/ml 604.05 ± 19.39 *** <0.001
500μg/ml 640.55 ± 38.25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3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국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국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소국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소국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소국(50% 에탄올 추출) 250μg/ml 5.66 ± 0.15 *** <0.001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39의 결과에 따르면, 소국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소국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소국(50% 에탄올 추출) 250μg/ml 20.12 ± 2.07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8)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40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소국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소국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7> 도깨비고비(Cyrtomium falcatum (L.) Presl) 추출물
1. 도깨비고비 추출물의 제조
도깨비고비 잎은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1.738 ± 0.043***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4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깨비고비(50% 에탄올 추출물)는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도깨비고비 추출물은 위장이 비워지는 속도를 늦추고,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키며 음식 섭취를 억제하는데 관여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44.789 ± 0.995***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4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도깨비고비(50% 에탄올 추출물)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도깨비고비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2.71 ± 0.83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4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도깨비고비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27.73 ± 5.93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4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음식물 섭취를 억제 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도깨비고비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깨비고비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5-HT 분비 자극 활성 측정
4-1. RIN14b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의 5-HT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2.25 ± 0.57 0.088
AITC 3μM 1.06 ± 0.03 0.721
30μM 1.45 ± 0.05 0.094
300μM 1.47 ± 0.14 0.06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6)
상기 표 45의 결과에 따르면, 도깨비고비 추출물은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HT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RIN14b 세포에서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77 ± 0.42
도깨비고비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28.57 ± 3.29 *** <0.001
AITC 30μM 8.39 ± 0.40 *** <0.001
300μM 26.48 ± 2.06 *** <0.001
500μM 39.15 ± 0.8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8)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46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도깨비고비 추출물을 처리한 RIN14B 세포의 ΔRFU 값은 5-HT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ITC의 ΔRFU 값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깨비고비 추출물은 CCK 분비에 관여하는 TRP에 channel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식욕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효율적인 소화 및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II . 항당뇨 , 심장병 보호효과, 소화 장애 개선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 활성확인
<실시예 8>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씨 추출물
1. 산초씨 추출물의 제조
산초씨(산초나무 열매)는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2.963 ± 0.082***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초씨(50% 에탄올 추출물)는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산초씨(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66.897 ± 4.31***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4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산초씨(50% 에탄올 추출물)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초씨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산초씨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산초씨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산초씨(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1.28 ± 0.22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49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산초씨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초씨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산초씨(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41.29 ± 10.98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5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산초씨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초씨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산초씨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산초씨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산초씨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9>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Jussieu) 추출물
1. 참죽나무 추출물의 제조
참죽나무 잎은 산채원(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2.719 ± 0.037***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5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참죽나무 잎(50% 에탄올 추출물)은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참죽나무 잎(50% 에탄올 추출물)은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89.540 ± 6.331***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5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참죽나무 잎(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죽나무 잎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참죽나무 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5.68 ± 2.79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5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참죽나무 잎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참죽나무 잎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참죽나무잎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30.33 ± 13.02 ** 0.002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1,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5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참죽나무 잎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참죽나무 잎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0> 큰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추출물
1. 큰여뀌 추출물의 제조
큰여뀌는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산채원 (전남 화순군 북면 송단길 370-114)에서 구매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시료 1g당 50 중량% 에탄올 40 mL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 2, 4, Japan)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고 회전감압 농축기(B-480,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한 후 다시 동결건조를 한 후 분말화 것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GLP-1 분비 자극 활성 측정
GLP-1은 EI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세포내 칼슘 반응은 △RFU (delta relative fluorescent units)로 maximum fluorescent value -minimum fluorescent value 으로 표현하였다. 모든 값은 mean ± S.E.M (n=3-4)으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vs control (대조군).
2-1. NCI-H716 세포에서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의 GLP-1분비의 영향
시료 농도 GLP-1 분비
(fold of control)
대조군 1.000 ± 0.088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3.643 ± 0.210***
포도당 100 mM 2.694 ± 0.024*
250 mM 4.269 ± 0.357**
500 mM 5.654 ± 0.270***
상기 표 5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큰여뀌(50% 에탄올 추출물)는 NCI-H716 세포에서 GLP-1를 분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큰여뀌(50% 에탄올 추출물)는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GLP-1 분비 효과가 매개됨으로써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 자극,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진, 췌장 베타세포 증식 증진 효과, 췌장 베타세포 생존 증진 효과,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 강하 등을 통해 당뇨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소 빈혈(ischemia)로부터 심장세포(cardiomyocytes) 보호 효과 및 심장마비 우려가 있는 환자의 심장기능 향상 효과를 통해 심장병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췌장 및 소장에서 소화효소 분비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소화, 흡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추출물은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및 뇌혈관(cerebrovascular) 질환을 치료하고, 신경세포 염증(Neuroinflammation)을 치료하고, 신경 조직 발생(Neurogenesis)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 NCI-H716 세포에서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내 Ca2 + 반응
시료 농도 Ca2 + 반응
(ΔRFU)
대조군 9.181 ± 0.632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
250 μg/mL 44.092 ± 2.672***
포도당 100 mM 10.240± 0.352**
250 mM 45.041± 0.827***
500 mM 233.16± 9.306***
표 5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큰여뀌(50% 에탄올 추출물)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GLP-1 분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큰여뀌 추출물이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서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큰여뀌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고, 큰여뀌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CCK 분비 자극 활성 측정
3-1. STC-1 세포에서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의 CCK 분비효과
No. Conc. Fold of control
(mean ± S.E.M.)
t-test P-Value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16.37 ± 2.43 *** <0.001
AITC 0.1mM 11.38 ± 0.66 *** <0.001
1mM 21.71 ± 0.66 *** <0.001
10mM 28.39 ± 0.16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 ***P<0.001 vs. untrated control (대조군)
상기 표 5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큰여뀌 추출물은 STC-1 세포로부터 CCK 분비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큰여뀌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2. STC-1 세포에서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Ca2 + 반응
No. Conc. ΔRFU
(mean ± S.E.M.)
t-test P-Value
대조군 39.45 ± 3.14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
250μg/ml 227.07 ± 11.92 *** <0.001
AITC 0.1mM 667.12 ± 8.56 *** <0.001
1mM 716.38 ± 26.05 *** <0.001
10mM 897.94 ± 19.22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E.M.(n=3~4) ***P<0.001 vs. untreated control (대조군)
표 5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세포에서 큰여뀌 50%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CCK 분비 증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큰여뀌 추출물이 미주신경섬유의 CCK-A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항당뇨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위장의 장내 피드백 조절을 활성화하고, 위장 비워짐을 촉진하고,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며, 췌장 외분비 촉진 등을 통한 소화불량 치료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큰여뀌 추출물이 장 내분비세포로부터 CCK를 분비시킴으로써 GLP-1을 분비시켜서, 이 GLP-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인슐린 유전자 발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효과,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 수축작용 및 운동성을 조절하여 큰여뀌 추출물의 소화 및 흡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큰여뀌 추출물이 심장근육으로 전달되는 혈류를 조절하여 심장근육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1)

  1.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마리는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마리는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34101A 2014-03-24 2014-03-24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10165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01A KR101655982B1 (ko) 2014-03-24 2014-03-24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01A KR101655982B1 (ko) 2014-03-24 2014-03-24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35A KR20150110135A (ko) 2015-10-02
KR101655982B1 true KR101655982B1 (ko) 2016-09-08

Family

ID=5434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01A KR101655982B1 (ko) 2014-03-24 2014-03-24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8147A (zh) * 2016-08-01 2016-11-23 吉林大学 重瓣金光菊在制备黄嘌呤氧化酶抑制剂中的应用
KR102607247B1 (ko) * 2021-03-25 2023-11-29 한국식품연구원 도깨비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611924B1 (ko) * 2021-11-03 2023-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11957B1 (ko) * 2021-11-03 2023-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2119B1 (ko) * 2021-11-03 2023-06-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유발 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0949A1 (ja) * 2008-07-24 2010-01-28 味の素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163B1 (ko) * 2008-04-07 2010-11-17 김성진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0949A1 (ja) * 2008-07-24 2010-01-28 味の素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21(12), pp.1689-1697.
생약학회지. 2009. Vol.40, No.1, pp.41-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35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982B1 (ko) 신경펩타이드 분비 자극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101480899B1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굴피나무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굴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35082B1 (ko) Tgr5 작용제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EP2685998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JP2008528481A (ja) 脳卒中及び神経変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ための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複合生薬材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0824970B1 (ko)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24223B1 (ko) 장대여뀌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90136786A (ko)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79609B1 (ko) 큰뱀무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50071686A (ko) Tgr5 작용제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20050005630A (ko) 아이쥐에프-1 분비 촉진 활성이 뛰어난 인동 추출물,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KR100750879B1 (ko) 고련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080088163A (ko) 호장근 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50873B1 (ko) 천초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150113434A (ko)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535982B1 (ko) 백운풀 함유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40044078A (ko)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 분획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및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