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79B1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79B1
KR101655779B1 KR1020150048559A KR20150048559A KR101655779B1 KR 101655779 B1 KR101655779 B1 KR 101655779B1 KR 1020150048559 A KR1020150048559 A KR 1020150048559A KR 20150048559 A KR20150048559 A KR 20150048559A KR 101655779 B1 KR101655779 B1 KR 10165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rticle
particles
microbubbles
micro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홍
문을석
주승채
허만주
구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필텍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필텍,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필텍
Priority to KR102015004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6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particles in suspension
    • B01F3/0409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5/02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과 두 전극판 사이를 고전압으로 대전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오일 내 입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에 배관으로 연결되면서 메인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오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시스템과, 상기 오일탱크 및 배관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오일에 주입하여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와,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오일 중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일 입자제거방법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드라이어 및 필터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준 후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오일탱크에서 배관으로 흐르면서 순환되는 오일 내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는 단계와,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가 혼합되어 순환되는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전기 흡착 방식을 이용한 입자제거기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PARTICLE REMOVING SYSTEM AND METHOD FOR OIL USING MICRO 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버블과 두 전극판 사이를 고전압으로 대전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 입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를 소정의 장소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관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배관 내부 벽면이 산화되어 부식됨은 물론 배관 내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배관 내부 벽면에 달라붙어 스케일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케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고체화되어 배관의 유로를 좁게 하는 원인이 되며,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설계된 대로의 배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해 배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어,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즉각 제거하여 배관으로서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배관 내부로 화학약품이 첨가된 물을 통과시켜 물에 포함된 화학약품이 스케일과 접촉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스케일이 녹아내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 내부의 스케일 제거하는 것은, 화학약품을 사용하므로 시공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스케일 제거과정에서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 손상이 초래되고, 화학약품이 고가인 관계로, 시공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였다. 예를 들면, 배관 스풀(Pipe spool)을 제작한 후 배관 내부의 스케일인 녹이나 블라스팅 볼(Blasting ball)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였다.
배관 내부의 스케일(녹이나 블라스팅 볼(Blasting ball) 등)은 배관 내부의 습기에 의하여 배관 내부에 강하게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스케일을 완벽히 제거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배관 스풀 내부의 스케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로 건설현장 등에 납품되어 시운전되는 경우, 배관과 연결된 필터 혹은 스트레이너(Strainer)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스팀 블로잉(Steam Blowing)이나 오일 플러싱(Oil Flushing) 등의 중요 공정 등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5080호(2001.06.0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자제거기에서 발생된 전기 집진(흡착) 방식과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 버블 기술을 접목하여 초기 정제 능력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인 정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에 배관으로 연결되면서 메인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오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시스템과, 상기 오일탱크 및 배관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오일에 주입하여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와,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는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압축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주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드라이어 및 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오일 내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와,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오일에 주입하여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는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압력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주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드라이어 및 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드라이어 및 필터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준 후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오일탱크에서 배관으로 흐르면서 순환되는 오일 내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는 단계와,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가 혼합되어 순환되는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전기 흡착 방식을 이용한 입자제거기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오일이 순환되는 배관에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와 입자제거기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초기 입자 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버블의 기화에 의해 오일 중 포함되어 있던 입자를 오일과 분리시켜주어 전기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도시한 내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입자제거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입자제거기의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으로 입자를 제거한 시험결과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도시한 내부 투영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의 입자제거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입자제거기의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자제거시스템은, 오일탱크(100), 배관시스템(200),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 입자제거기(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배관시스템(200)은 오일탱크(100)에 배관(120)으로 연결되어 메인순환펌프(110)의 작동으로 오일이 순환되어지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는 오일탱크(100)와 배관시스템(200) 사이의 배관(12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입자제거기(500)에 의한 오일 내 입자제거 시 초기 정제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는 압축기체(700)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압축기체(700)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주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로 공급하는 드라이어 및 필터(600)가 연결되어지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는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사이즈인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을 발생(생성)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본체(310)와, 장치본체(310) 내에 마련되는 회전유도안내부(3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장치본체(310)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311)와, 공기유입부(311)와는 다른 위치에서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유입부(312)와, 공기와 오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부(31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전유도안내부(320)는 장치본체(3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오일유입부(312)를 통해 장치본체(31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의 회전을 유도하여 공기유입부(3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안내부(320)는, 상기 오일유입부(312)로부터 오일배출부(313)로의 오일 흐름은 허용하면서 공기유입부(311)와 오일배출부(313)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안내벽체(321,322)를 포함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제거기(500)는, 오일의 유동을 균일화시켜주는 하니콤(510), 방전극프레임(520)에 연결되어 있는 방전극(530)과 접지극(540)으로 구성되어 있는 코로나발생부, 양극(음극)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550)과 상기 전극(55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극(550)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전기적인 극성과 반대 극성의 고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접지되는 전극(551), 상기 전극(550,551) 및 방전극(530)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발생장치(560) 및 케이싱(570)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들, 즉 서로 대항하는 극성을 가지는 전극(550)과 전극(551) 사이에는 상기 전극(550,55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오염물이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포집필터(580), 상기한 전극(550,551)의 외부에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코팅(550a,551a)이 구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입자제거기(500)로 오일 내 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은 오일탱크(100)로부터 오일이 입자제거기(500)로 유입되어 하니콤(510)을 지나면서 오일의 유동은 균일화된 유동이 되고, 균일화된 유동은 방전부를 지나게 되며, 상기 고전압발생장치(560)로부터 방전극프레임(520)에 고전압이 인가하면 방전극(530)과 접지극(540)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다량의 전하들이 발생하고, 이 전하들은 오일 속의 입자를 대전시킨다.
그리고, 방전부에서 대전된 입자는 정전포집부로 유입되고, 정전포집부에서의 서로 반대 극성의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550)과 전극(551) 사이로 통과할 때, 고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상기 전극 사이에는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며, 이때 오일 속에 포함된 입자는 전기력에 의하여 전극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기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입자는 전극 사이에 설치된 포집필터(580)의 표면에 포집되고, 입자가 제거된 오일은 오일탱크(100)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입자제거기(500)는 오일탱크(100)로부터 입자제거기용 오일 이송펌프를 통해 각각의 입자제거기(500) 하부로 흡입되고, 흡입되어진 오일은 각각의 전극(550,551) 사이 사이를 통과하며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일 내 이물질이 전극(550,551)에 흡착하게 되며, 입자제거기(500) 상부까지 오일이 만충되면 오일 이송펌프의 토출력에 의해 상부의 오일탱크(100)로 이송되는 Tank to Tank 순환 방식으로 작동되어지게 된다.
실시예 2.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오일이 저장 공급되는 오일탱크(100)와, 상기 오일탱크(100)에 연결되어 전기 흡착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 내에 포함된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500)와, 상기 오일탱크(10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연결되어 압축기체(700)가 공급되면서 압축기체(700)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주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어 및 필터(60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입자제거기(500)는 오일탱크(100)로부터 입자제거기용 오일 이송펌프를 통해 각각의 입자제거기(500) 하부로 흡입되고, 흡입되어진 오일은 각각의 전극(550,551) 사이 사이를 통과하며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일 내 입자가 전극(550,551)에 흡착하게 되며, 입자제거기(500) 상부까지 오일이 만충되면 오일 이송펌프의 토출력에 의해 상부의 오일탱크(100)로 이송되는 Tank to Tank 방식으로 순환되어지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오일탱크(100)로 마이크로 버블이 혼합된 오일을 순환시킨다.
한편, 상기 입자제거기(500) 및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는 상기 실시예 1에 설명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거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드라이어 및 필터(600)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압축기체(700)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준 후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로 공급하여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S100)를 포함하게 된다.
오일탱크(100)에서 배관(120)으로 흐르면서 순환되는 오일 내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게 된다.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가 혼합되어 순환되는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전기 흡착 방식을 이용한 입자제거기(500)로 제거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입자제거기(500)로 오일 내에 함유된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S300)는, 상기 오일탱크(100)로부터 입자제거기용 오일 이송펌프를 통해 각각의 입자제거기(500) 하부로 흡입되고, 흡입되어진 오일은 각각의 전극(550,551) 사이 사이를 통과하며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일 내 입자가 전극(550,551)에 흡착하게 되며, 입자제거기(500) 상부까지 오일이 만충되면 오일 이송펌프의 토출력에 의해 상부의 오일탱크(100)로 이송되는 Tank to Tank 순환 방식으로 작동되어 오일 내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 및 입자제거기(500)를 이용하여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할 때보다 공정시간을 대략 77%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오일의 오염도 및 입자수량을 최단시간에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아래 표 1 내지 표 2(오일 내 입자제거 성능비교시험 데이터)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하여 오염도등급을 기준치로 낮추기 위해서는 대략 51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 및 입자제거기(500)를 이용함에 따라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를 제거하여 오염도등급을 기준치로 낮추는 시간이 대략 9시간이 소요되어지게 된다.
종래의 입자제거 성능(버블발생장치 OFF)
시료
번호
소요
시간
입자 분포도
총입자수 5 ㎛≤ 15㎛≤ 25㎛≤ 50㎛≤ 100㎛≤
1 0 hr 121,489 98,370 15,210 6,663 1,163 83
2 3 hr 59,806 47,943 7,540 3,413 800 110
3 6 hr 37,400 31,790 3,877 1,470 240 23
4 9 hr 21,179 19,663 1,243 230 40 3
5 12 hr 33,624 29,187 3,260 967 190 20
6 15 hr 17,644 15,230 1,577 670 150 17
7 18 hr 30,097 26,270 2,607 990 197 33
8 21 hr 17,640 15,457 1,423 613 130 17
9 24 hr 28,293 25,083 2,250 797 140 23
10 27 hr 23,887 22,030 1,457 353 37 10
11 30 hr 17,730 16,817 710 150 43 10
12 33 hr 28,540 27,390 957 173 20 0
13 36 hr 14,483 13,770 573 120 20 0
14 39 hr 17,479 16,140 1,043 243 40 13
15 42 hr 23,821 22,740 867 167 40 7
16 45 hr 27,110 25,990 927 163 30 0
17 48 hr 13,947 13,370 487 87 3 0
18 51 hr 7,996 7,473 470 53 0 0
본 발명의 입자제거 성능(버블발생장치 ON)
시료
번호
소요
시간
입자 분포도
총입자수 5 ㎛≤ 15㎛≤ 25㎛≤ 50㎛≤ 100㎛≤
1 0 hr 130,958 1132,687 13,230 3,543 468 30
2 3 hr 48,520 45,503 2,797 203 17 0
3 6 hr 40,857 37,660 2,957 227 10 3
4 9 hr 4,847 4,667 130 20 0 0
5 12 hr 8,130 7,370 650 97 13 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오일탱크(100)에 저장된 오일이 메인순환펌프(110)의 작동으로 배관시스템(200)을 통과하여 순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탱크(100)에 저장된 오일이 배관(120)으로 흐르면서 순환되어질 때 배관(12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입자가 포함된 오일에 주입하고 전기 흡착 방식의 입자제거기(500)에 공급하여 오일 내 혼합된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오일 내 입자제거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배관(120) 내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오일탱크(100)에 입자제거기(500)가 연결되어 입자제거기(500)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한 코로나 방전층이 형성되어 오일에 포함된 입자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를 통한 오일 내 마이크로 버블 발생과 두 전극(550,551) 사이를 고전압으로 대전하고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여 오일 내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로 대전시켜 두 전극(550,551)에 흡착시키는 입자제거기(500)를 설치함으로써 기존 이물질 제거 방식인 여과방식/전기 흡착 방식 보다 정제 능력은 뛰어나며,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게 된다.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300)의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정제 시작 초기 큰 입자(50마이크로 이상)의 경우 정제능력이 다른 크기보다 뛰어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오일탱크
110 : 메인순환펌프
120 : 배관
200 : 배관시스템
300 :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500 : 수분제거기
600 : 드라이어 및 필터
700 : 압축기체

Claims (5)

  1. 오일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여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메인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오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시스템;
    상기 오일탱크 및 배관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오일에 주입하여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진공 흡착 방식으로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기;
    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는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압축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주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어 및 필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오일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여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제거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에 드라이어 및 필터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압축기체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걸러준 후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
    오일탱크에서 배관으로 배관으로 흐르면서 순환되는 오일 내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가 혼합되어 순환되는 오일 중 마이크로 버블 및 입자를 전기 흡착 방식을 이용한 입자제거기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방법.
KR1020150048559A 2015-04-06 2015-04-06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KR10165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59A KR101655779B1 (ko) 2015-04-06 2015-04-06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59A KR101655779B1 (ko) 2015-04-06 2015-04-06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79B1 true KR101655779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59A KR101655779B1 (ko) 2015-04-06 2015-04-06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38B1 (ko) 2019-05-27 2019-10-02 이경희 오일 불순물 제거용 고압 발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707A (ja) * 1999-03-31 2000-10-10 Sanbi Tex:Kk 油水分離装置
KR20010045080A (ko) 1999-11-02 2001-06-05 추호석 난류를 이용한 엔진 오일 플러싱 장치 및 방법
JP2003195510A (ja) * 2001-12-27 2003-07-09 Koganei Corp 薬液供給装置および薬液供給装置の脱気方法
JP2006051484A (ja) * 2004-08-16 2006-02-23 Fukuhara Co Ltd ドレン水の油水分離方法および油水分離装置
JP2015042398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東芝 気泡除去装置、気泡除去方法、及び半導体製造装置の薬液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707A (ja) * 1999-03-31 2000-10-10 Sanbi Tex:Kk 油水分離装置
KR20010045080A (ko) 1999-11-02 2001-06-05 추호석 난류를 이용한 엔진 오일 플러싱 장치 및 방법
JP2003195510A (ja) * 2001-12-27 2003-07-09 Koganei Corp 薬液供給装置および薬液供給装置の脱気方法
JP2006051484A (ja) * 2004-08-16 2006-02-23 Fukuhara Co Ltd ドレン水の油水分離方法および油水分離装置
JP2015042398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東芝 気泡除去装置、気泡除去方法、及び半導体製造装置の薬液供給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38B1 (ko) 2019-05-27 2019-10-02 이경희 오일 불순물 제거용 고압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3941B2 (ja) 液体塗料の過剰噴霧を分離するデバイス
KR101064498B1 (ko)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TWI423840B (zh) 處理氣體之裝置
JP2013222947A (ja) 液処理装置及び液処理方法並びにフィルタ装置
WO2017030329A1 (ko) 다이캐스팅 공정용 재활용 이형제의 공급 및 순환시스템
KR101144230B1 (ko)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JP2009279496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械加工システム
KR101655779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오일 내에 존재하는 입자제거시스템 및 방법
KR101221962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 시스템
KR101833607B1 (ko) 전기 집진장치
KR101971917B1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KR101112441B1 (ko) 재생시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20110067285A (ko)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836953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파이프 배관의 플러싱 시스템
KR20110094808A (ko) 반도체 오염폐수 처리장치
JP6096526B2 (ja) 研磨機及びこれを用いた汚染物質除去システム並びに汚染物質除去方法
JP2013221312A (ja) 路面処理方法及び路面処理装置
KR20190024120A (ko) Ipa를 포함하는 공정 배기 스트림의 처리 시스템
KR101782892B1 (ko) 이형제 크리닝 장치
JP6780276B2 (ja) 塗料ミスト処理装置
CN212468991U (zh) 清洗设备
KR102160302B1 (ko)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CN208115396U (zh) 用于空气净化器的带有筒状滤网的二级净化装置
EP397631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r oberflächen von rohrinnenseiten
KR20200083696A (ko) 배관 플러싱 시스템의 마이크로 버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