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579B1 -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579B1
KR101655579B1 KR1020140166512A KR20140166512A KR101655579B1 KR 101655579 B1 KR101655579 B1 KR 101655579B1 KR 1020140166512 A KR1020140166512 A KR 1020140166512A KR 20140166512 A KR20140166512 A KR 20140166512A KR 101655579 B1 KR101655579 B1 KR 10165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low rate
pump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036A (ko
Inventor
이현재
안득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579B1/ko
Priority to US14/690,392 priority patent/US20160149238A1/en
Priority to DE102015208199.0A priority patent/DE102015208199A1/de
Publication of KR2016006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7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 시스템 내 스택을 냉각시키는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를 냉각수의 온도 및 유량(流量)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펌프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OOLING PUMP OF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시스템 내 스택을 냉각시키는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를 냉각수의 온도 및 유량(流量)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연소에 의해 열로 바꾸지 않고 스택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발전장치이며,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 구동용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소형의 전기/전자제품, 특히 휴대용 장치의 전력 공급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차량 구동을 위한 전력공급원으로는 연료전지 중 가장 높은 전력밀도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형태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낮은 작동온도로 인한 빠른 시동 시간과 빠른 전력변환 반응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이 이동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반응가스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DL:Gas Diffusion Layer), 반응가스들 및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가스들 및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단위 셀 구성을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을 조립할 때, 셀 내 가장 안쪽에 주요 구성부품인 막전극접합체 및 기체확산층의 조합이 위치하는데, 막전극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촉매가 도포된 촉매전극층, 즉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를 가지며, 애노드 및 캐소드가 위치한 바깥부분에 기체확산층, 가스켓 등이 적층된다.
기체확산층의 바깥쪽에는 반응가스(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유로(Flow Field)가 형성된 분리판이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단위 셀로 하여 복수의 단위 셀들을 적층한 뒤 가장 바깥쪽에 집전판(Current Collector) 및 절연판, 적층 셀들을 지지하기 위한 엔드플레이트(End Plate)를 결합하는데,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단위 셀들을 반복 적층하여 체결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적인 연료전지 반응을 위해서는 적정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스택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거나, 전후단 모두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온도 변화에 따라 펌프의 회전수를 가감 조절하되, 온도가 낮아지면 냉각수에 대한 절전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펌프의 회전수를 줄이고, 온도가 높아지면 냉각수에 대한 급속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치 이상 올라가면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도 냉각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을 간과한 기술로서,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로 인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 내 스택을 냉각시키는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를 냉각수의 온도 및 유량(流量)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 내 스택을 냉각시키는 펌프의 공회전수를 냉각수의 온도 및 유량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펌프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 초기 회전수(Z1)를 저장하는 저장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T)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부; 상기 유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량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펌프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온도 측정부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펌프 구동부가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 초기 회전수(Z1)를 저장하는 단계; 온도 측정부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T)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됨에 따라 유량 산출부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유량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 구동부가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 내 스택을 냉각시키는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를 냉각수의 온도 및 유량(流量)을 기반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온도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는, 저장부(11), 온도 측정부(12), 제어부(13), 및 펌프 구동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1)는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러한 테이블은 일례로 하기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4114654897-pat00001
여기서, X는 현재의 냉각수 온도를 의미하고, Y1 및 Y2는 임계온도를 의미한다. 즉,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Y1 이하(제 1 온도구간)이면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2,500이 되도록 제어하고,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Y1 초과 Y2 이하이면(제 2 온도구간)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2,200이 되도록 제어하며,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Y2를 초과하면(제 3 온도구간)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2,000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각 온도구간별 회전수는 일례로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제 1 온도구간 > 제 2 온도구간 > 제 3 온도구간의 순서로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많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온도가 높으면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높이고, 온도가 낮으면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낮추는 천편일률적인 방식이 아니라,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치 이상 올라가면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도 냉각 효과가 미미하다는 기술적 사상을 고려하여, 냉각수 온도가 Y2를 초과하기 전까지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초기값 대비 낮추고, Y2를 초과하면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음으로, 온도 측정부(12)는 일례로 온도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3)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온도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14)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펌프 구동부(14)는 제어부(13)의 제어하에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 즉, 냉각수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로 동작하도록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는, 저장부(21), 온도 측정부(22), 유량 산출부(23), 제어부(24), 및 펌프 구동부(25)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21)는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과, 초기 회전수를 저장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냉각수의 기준 온도구간,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온도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3에서, α는 기준 온도구간의 시작점을 나타내고, β는 기준 온도구간의 끝점을 나타내며, γ는 기준 온도구간의 시작점에서의 유량을 나타내고, δ는 기준 온도구간의 끝점에서의 유량을 나타낸다. 이때, α,β,γ,δ는 모두 상수이다.
다음으로, 온도 측정부(22)는 일례로 온도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유량 산출부(23)는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시키기 위해 순환시킬 냉각수의 유량(Liter Per Minute, LPM)을 산출한다.
즉, 유량 산출부(23)는 온도 측정부(22)에 의해 측정된 온도(T)가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되면, 저장부(2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의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을 산출한다. 일례로, 하기의 [수학식 1]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한다.
[수학식 1]
L = (δ-γ)÷(β-α)×(T-α)+γ
다음으로, 제어부(24)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4)는 유량 산출부(23)에 의해 산출된 유량과 저장부(21)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과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RPM)를 산출한다. 일례로,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Z)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Z = (γ÷L)×Z1
이후, 제어부(24)는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25)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4)는 온도 측정부(22)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구간 내 최대치를 초과하면, 상기 최대치에서의 유량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25)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펌프 구동부(25)는 제어부(24)의 제어하에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 즉, 냉각수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로 동작하도록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유량 산출부(23)와 제어부(24)를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유량 산출부(23)의 기능을 제어부(24)가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저장부(11)가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회전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한다(401).
이후, 온도 측정부(12)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다(402).
이후, 제어부(13)가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온도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14)를 제어한다(403).
이후, 펌프 구동부(14)가 제어부(13)의 제어하에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404).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저장부(21)가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 초기 회전수(Z1)를 저장한다(501).
이후, 온도 측정부(22)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T)를 측정한다(502).
이후, 유량 산출부(23)가 온도 측정부(22)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한다(503).
이후, 제어부(24)가 유량 산출부(23)에 의해 산출된 유량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25)를 제어한다(504).
이후, 펌프 구동부(25)가 제어부(24)의 제어하에 냉각 펌프를 구동시킨다(5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 : 저장부
12 : 온도 측정부
13 : 제어부
14 : 펌프 구동부

Claims (14)

  1.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공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펌프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3개의 온도구간을 포함하되, 제 3 온도구간, 제 2 온도구간, 제 1 온도구간의 순서로 온도가 높지만, 제 3 온도구간, 제 2 온도구간, 제 1 온도구간의 순서로 공회전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냉각 펌프의 공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4.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 초기 회전수(Z1)를 저장하는 저장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T)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부;
    상기 유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량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펌프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 A]를 기반으로 유량(L)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수학식 A]
    L = (δ-γ)÷(β-α)×(T-α)+γ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의 [수학식 B]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Z)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수학식 B]
    Z = (γ÷L)×Z1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구간 내 최대치를 초과하면, 상기 최대치에서의 유량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8. 저장부가 온도에 상응하는 냉각 펌프의 공회전수(Idle RPM)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온도 측정부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테이블을 기반으로, 냉각 펌프가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공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펌프 구동부가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3개의 온도구간을 포함하되, 제 3 온도구간, 제 2 온도구간, 제 1 온도구간의 순서로 온도가 높지만, 제 3 온도구간, 제 2 온도구간, 제 1 온도구간의 순서로 공회전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냉각 펌프의 공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11. 저장부가 기준 온도구간(α~β)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γ) 및 최대유량(δ), 초기 회전수(Z1)를 저장하는 단계;
    온도 측정부가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수 온도(T)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에 포함됨에 따라 유량 산출부가 상기 기준 온도구간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최대유량을 기반으로 냉각수의 유량(L)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유량과 상기 기준 온도구간 내 최소유량 및 초기 회전수(Z1)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 구동부가 상기 냉각 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산출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A]를 기반으로 유량(L)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수학식 A]
    L = (δ-γ)÷(β-α)×(T-α)+γ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B]를 이용하여 냉각 펌프의 회전수(Z)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수학식 B]
    Z = (γ÷L)×Z1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구간 내 최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최대치에서의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냉각 펌프의 회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 펌프가 상기 산출된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펌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방법.
KR1020140166512A 2014-11-26 2014-11-26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12A KR101655579B1 (ko) 2014-11-26 2014-11-26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4/690,392 US20160149238A1 (en) 2014-11-26 2015-04-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pump of fuel cell system
DE102015208199.0A DE102015208199A1 (de) 2014-11-26 2015-05-0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ühlpumpe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12A KR101655579B1 (ko) 2014-11-26 2014-11-26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36A KR20160063036A (ko) 2016-06-03
KR101655579B1 true KR101655579B1 (ko) 2016-09-07

Family

ID=5596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512A KR101655579B1 (ko) 2014-11-26 2014-11-26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49238A1 (ko)
KR (1) KR101655579B1 (ko)
DE (1) DE1020152081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7474B2 (en) 2019-10-11 2022-07-12 Hyundai Motor Company Cool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uel ce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7908A1 (de) * 2021-07-23 2023-01-2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DE102022200319A1 (de) * 2022-01-13 2023-07-1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Steuergerät
CN114976099A (zh) * 2022-04-27 2022-08-30 同济大学 一种燃料电池双极板流道优化设计方法
CN116666698B (zh) * 2023-06-13 2024-02-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暖机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874A (ja) * 2001-07-19 2003-02-0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780B1 (en) * 2000-07-07 2002-04-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waterpump, fluid control valve and electric cooling fan strategy
US8142946B2 (en) * 2004-12-15 2012-03-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874A (ja) * 2001-07-19 2003-02-0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7474B2 (en) 2019-10-11 2022-07-12 Hyundai Motor Company Cool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08199A1 (de) 2016-06-02
US20160149238A1 (en) 2016-05-26
KR20160063036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579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 펌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Ze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mechanism of variable fan speed control in Open cathode PEM fuel cell
JP512059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795245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770208B2 (ja) 空冷式燃料電池システム
US9897663B2 (en) Integrated DC/DC converte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s for analyz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working state of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JP497294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80042745A (ko)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Hu et al. Research on the long-term stability of a PEMFC stack: Analysis of pinhole evolution
JP622205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Yu et al. Application of self-adaptive temperature recognition in cold-start of an air-cooled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KR101664591B1 (ko) 연료전지 차량의 토크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JP5061594B2 (ja) 燃料電池運転システム
KR20180130685A (ko) 연료전지 운전 제어 방법
JP200515002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Atan et al. Temperature profiles of an air-cooled PEM fuel cell stack under active and passive cooling operation
US8968954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eaction condition of fuel in fuel cell
CN113839065B (zh) 一种燃料电池冷却水回路热补偿温度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90063313A (ko) 오픈 캐소드 타입 연료전지의 팬 제어 장치
KR20160116498A (ko) 연료전지 운전 제어 방법
JP4682572B2 (ja) 燃料電池の発電量制御装置
KR20170094925A (ko) 통합 연료전지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734760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0952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의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95243B1 (ko) 연료전지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