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36B1 -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36B1
KR101655436B1 KR1020150079960A KR20150079960A KR101655436B1 KR 101655436 B1 KR101655436 B1 KR 101655436B1 KR 1020150079960 A KR1020150079960 A KR 1020150079960A KR 20150079960 A KR20150079960 A KR 20150079960A KR 101655436 B1 KR101655436 B1 KR 10165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winding
phase
voltage
hybri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진
안숙현
Original Assignee
동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레그; 제2레그; 제3레그;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상단, 상기 제2레그의 상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상단에 권취되는 전력수급을 위한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중단, 상기 제2레그의 중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중단에 권취되는 제1권선; 및 상기 제1레그의 하단, 상기 제2레그의 하단 및 상기 제3레그의 하단에 권취되는 제2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권선은, 일단이 각각 다른 위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위상선이고, 타단이 중성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권선은, 일단이 상기 중성점과 연결되고, 타단이 중성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조파를 제거하고, 불평형을 개선하며, 결상 시에도 정상전력을 공급하여, 전력품질을 향상시키고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HYBRID TRANSFORMER WITH HIGH-EFFICIENCY ENERGY-SAVING}
본 발명은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자체적으로 고조파를 제거하고, 불평형을 개선하며, 결상 시에도 정상전력을 공급하여, 전력품질을 향상시키고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변환장치, 회전장치 및 사무용기기 등 비선형 부하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고조파가 발생하고, 단상 부하 및 삼상 부하의 혼용으로 인하여 불평형이 발생함으로써 변압기, 케이블 및 콘덴서와 같은 전력기기가 과열되거나 소손되고 제어기기의 오동작을 야기하여 전력품질 저하와 전력손실로 인하여 전력비용이 증가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조파 제거장치 및 불평형 개선장치 등을 전력계통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고조파 제거기능 및 불평형 개선기능을 자체적으로 갖는 변압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로 송배전 계통에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와같은 변압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하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하손실(동손)과 부하사용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변압기 자체적인 무부하손실(철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력손실을 줄이고 변압기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무부하 손실과 부하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부하손실(동손)은 부하율에 비례하고, 부하의 종류에 따라 고조파와 불평형이 발생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초래하므로 이러한 고조파를 상쇄하고 불평형을 개선하는 변압기가 제안되어 있다.
고조파를 상쇄하고 불평형을 개선하는 변압기로써는 등록특허공보 10-0825058(이하, "종래기술 1" 이라 약칭함), 등록특허공보 10-1398599(이하, "종래기술 2" 이라 약칭함) 및 공개특허공보 10-2014-0111755((이하, "종래기술 3" 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의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 2의 회로도 및 벡터도, 그리고 도 3은 종래기술 3의 회로도 및 벡터도이다.
개시된 종래기술1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구비한 변압기로서, 제1레그, 제2레그 및 제3레그를 구비하는 철심과, 상기 제1레그, 제3레그, 제1레그, 제3레그 및 제1레그의 순서로 권취되어 중성선에 연결되는 2차 코일의 제1권선과, 상기 제2레그, 제1레그, 제2레그, 제1레그 및 제2레그의 순서로 권취되어 중성선에 연결되는 2차 코일의 제2권선 및 상기 제3레그, 제2레그, 제3레그, 제2레그 및 제3레그의 순서로 권취되어 중성선에 연결되는 2차 코일의 제3권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개시된 종래기술 2는 1차 코일, 2차 코일이 있고, 2차 코일에는 중성점이 있는 변압기로서, 상기 변압기는 제1레그와; 제2레그와; 제3레그와; 인덕턴스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1권선과 제2권선, 제3권선이 각자 상기 제1레그, 상기 제2레그, 상기 제3레그에 각각 순서대로 권취되고,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제2권선, 상기 제3권선의 일단은 중성점에 연결된 중성선이며,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제2권선, 상기 제3권선의 타단은 각각의 다른 위상으로 변압한 전력선이고, 상기 중성선과 상기 전력선의 3상중에 한상의 전력만 부하에서 사용하여도, 상기 제1레그, 상기 제2레그, 상기 제3레그에 각각 권취된 권선의 변압된 셋이상의 전력을 합하여 공급하는 상기 2차 코일의 상기 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이다.
또한, 개시된 종래기술 3은 1차 코일, 2차 코일이 구비되며, 2차 코일에는 중성점이 있는 변압기에 있어서, 철심으로 이루어진 제1레그, 제2레그 및 제3레그; 상기 제1레그에 일정간격을 갖으면서 순서대로 권취되는 2차 코일의 제1권선 내지 제3권선; 상기 제2레그에 일정간격을 갖으면서 순서대로 권취되는 2차 코일의 제4권선 내지 제6권선; 상기 제3레그에 일정간격을 갖으면서 순서대로 권취되는 2차 코일의 제7권선 내지 제9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권선과 제5권선 및 제9권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7권선과 제2권선 및 제6권선이 연결되며, 상기 제4권선과 제8권선 및 제3권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이다.
하지만, 종래기술 1과 종래기술 2는 고조파를 제거하고 불평형을 어느 정도는 개선하는 장점은 있으나, 불평형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권선을 더 부가하여야 하므로 절연성 및 경제성이 재고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기술 3은 결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변압기 결선 및 벡터가 바뀌므로 결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변압기를 제작하여야 한다.
10-0825058 10-1398599 10-2014-011175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조파를 제거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평형을 개선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상이 발생하여도 정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품질을 개선하고, 전력비용을 절감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상 및 삼상으로 유연하게 제작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레그; 제2레그; 제3레그;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상단, 상기 제2레그의 상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상단에 권취되는 전력수급을 위한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중단, 상기 제2레그의 중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중단에 권취되는 제1권선; 및 상기 제1레그의 하단, 상기 제2레그의 하단 및 상기 제3레그의 하단에 권취되는 제2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권선은, 일단이 각각 다른 위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위상선이고, 타단이 중성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권선은, 일단이 상기 중성점과 연결되고, 타단이 중성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권선은, 병렬로 상기 제1레그 내지 상기 제3레그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권선은, 직렬로 상기 제1레그 내지 상기 제3레그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촉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조파를 제거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평형을 개선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상이 발생하여도 정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기기를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품질을 개선하고 전력비용을 절감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상 및 삼상으로 유연하게 제작할 수 있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의 회로도 및 벡터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 3의 회로도 및 벡터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도 5는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가 적용된 전력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제1레그(110), 제2레그(120), 제3레그(130), 1차코일(140) 및 2차코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1차코일(140)은, 상기 제1레그(110)의 상단, 상기 제2레그(120)의 상단 및 상기 제3레그(130)의 상단에 권취되는 전력수급을 위한 전력선(U, V, W)이다.
상기 2차코일(150)은, 제1권선(151) 및 제2권선(1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권선(151)은, 상기 제1레그(110)의 중단, 상기 제2레그(120)의 중단 및 상기 제3레그(130)의 중단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제1권선(151)은, 일단이 각각 다른 위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위상선(R, S, T)이고, 타단이 중성점(M)이다.
상기 제2권선(152)은, 상기 제1레그(110)의 하단, 상기 제2레그(120)의 하단 및 상기 제3레그(130)의 하단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제2권선(152)은, 일단이 상기 중성점(M)과 연결되고, 타단이 중성선(N)이다.
그리고, 상기 제1권선(151)은, 병렬로 상기 제1레그(110) 내지 상기 제3레그(130)에 권취되고, 상기 제2권선(152)은, 직렬로 상기 제1레그(110) 내지 상기 제3레그(130)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중성점(M)과 연결된 상기 제2권선(152)의 일단은, 제1레그(110) 내지 제3레그(130) 중 어느 하나에 권취되고 직렬로 다른 어느 두 개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제1권선(151)과 상기 제2권선(152)은 자속이 서로 상쇄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권선(151)과 상기 제2권선(152)은 각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탭(tab)을 구비하여 전력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코일(140)과 상기 2차코일(150)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촉방지판(160)을 더 부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연결 구성이 간단함으로 단상 및 삼상으로 유연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고조파 제거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코일(140)의 전력선(U, V, W)에 전력이 공급되면, 2차코일(150)의 위상선(R, S, T)에서 중성선(N)까지 위상별 전압은 위상선(R, S, T)에서 중성점(M)까지의 전압과 중성점(M)에서 중성선(N)까지의 전압이 합성되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1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2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3
수학식 1에서, VRH, VSH, VTH 는 제1권선(151)의 전압이고, VRH', VSH', VTH' 는 제2권선(152)의 전압이며, VRN, VSN, VTN은 위상별 전압이다(VRN, VSN, VTN은 도면 표기 없음).
상기 제1권선(151)과 상기 제2권선(152)은 자속이 상쇄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권선(151)과 상기 제2권선(152) 유기되는 전압은 VRH'= -VRH 이고, VSH'= -VSH 이며, VTH'= -VTH 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권선(151)과 상기 제2권선(152)의 자속이 상쇄되는 결합비로 권취되면,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위상별 전압은 상기 제1권선(151)에 유기되는 전압과 상기 제2권선(152)에 유기되는 전압이 중성점(M)에서 합성되어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4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5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6
한편, 상기 위상선(R, S, T)에 기본파 전압과 고조파 전압이 합성된 전압이 유기되면 상기 제1권선(151)의 위상별 전압은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7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8
Figure 112015054497278-pat00009
여기서, Vm1, Vm3, Vm5는 기본파, 제3고조파, 제5고조파 전압의 크기이다.
상기 수학식 3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위상별 전압은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0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1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2
상기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듯이 위상별 전압에는 제3고조파 전압(Vm3)이 0이 되어 상쇄되고 제거된다.
즉,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상기 제1권선(151)에 유기되는 고조파 전압과 상기 제2권선(152)에 유기되는 고조파 전압이 중성점(M)에서 합성되어 상쇄되고 제거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불평형 개선 원리를 설명하면, 위상선(R, S, T)에서 중성점(M)까지의 불평형 전압(VLM)과 상기 중성점(M)에서 중성선(N)까지 불평형 전압(VMN)은 수학식 5와 같다(VLM, VMN 은 도면 표기 없음).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3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4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불평형 전압(VLN)은,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점(M)까지 불평형 전압(VLM)과 상기 중성점(M)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불평형 전압(VMN)의 합이므로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5
상기 수학식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불평형 전압(VLN)은 상쇄되어 제거된다.
즉,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상기 제1권선(151)에 유기되는 불평형 전압과 상기 제2권선(152)에 유기되는 불평형 전압이 중성점(M)에서 합성되어 상쇄되고 제거된다.
또한, 수학식 2와 수학식 5의 관계식을 위상별로 정리하면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6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7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8
상기 수학식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전압은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점(M)까지의 위상별 전압에서 불평형 전압이 각각 가감된다.
즉,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상기 제1권선(151)에 유기되는 전압에서 상기 제2권선(152)에 유기되는 불평형 전압이 중성점(M)에서 합성되어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상, 고조파 전압 제거 원리 및 불평형 전압 개선의 원리를 상기 수학식 1내지 상기 수학식 7에 전압 방정식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고조파 전류 제거의 원리 및 불평형 전류 개선의 원리는 상기 수학식 1내지 상기 수학식 7과 동일한 전개 과정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으므로 전류 방정식을 이용한 전개는 생략한다.
도 5는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정상전압 공급의 원리를 설명하면, 위상선(R, S, T)에서 중성선(N)까지 위상별 전압은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19
Figure 112015054497278-pat00020
Figure 112015054497278-pat00021

상기 수학식 8을 위상별로 정리하면 수학식 9와 같다.
Figure 112015054497278-pat00022
Figure 112015054497278-pat00023
Figure 112015054497278-pat00024
상기 수학식 9에서 알 수 있듯이 위상별 전압은 그 위상을 제외한 나머지 위상들의 전압이 합성되어 보상된다.
즉,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상기 제1권선(151)에 유기되는 전압과 상기 제2권선(152)에 유기되는 전압이 중성점(M)에서 합성되어 보상된다.
상기 수학식 9에서 보상된 각각 위상의 전압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상기 위상선(R, S, T)에서 상기 중성선(N)까지 결상전압이 보상되므로,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전압의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 정상전류 공급의 원리는 상기 수학식 8내지 수학식 9와 동일한 전개 과정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으므로 전류 방정식을 이용한 전개는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가 적용된 전력계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계통(200)의 전력선(U, V, W)과 부하계통(300)의 위상선(R, S, T)과 중성선(N)에는 비선형 부하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조파 전류와 단상 부하 및 삼상 부하의 혼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불평형 전류가 합성되어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전원계통(200)과 상기 부하계통(300) 사이에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가 설치되면, 상기 위상선(R, S, T)에 흐르는 전류(IRH, ISH, ITH)와 상기 중성선(N)에 흐르는 전류(INL)은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에 유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고조파 제거 원리 및 불평형 제거 원리에 의하여 고조파 전류는 제거되고, 불평형 전류는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또한, 고조파 전압 및 불평형 전압도 상기한 바와 같은 고조파 제거 원리 및 불평형 제거 원리에 의하여 개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전압벡터도이다.
도 7은 Y-Y 형태의 연결구성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Y 형태의 연결구성으로, 동일한 수학식 전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과제 및 효과가 설명됨으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에 의하여 고조파가 제거되고, 불평형이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결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품질이 개선되고 전력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110: 제1레그 120: 제2레그
130: 제3레그 140: 1차코일
150: 2차코일 151: 제1권선
152: 제2권선 160: 혼촉방지판
200: 전원계통 300: 부하계통
M: 중성점 N: 중성선
R, S, T: 위상선 U, V, W: 전력선

Claims (3)

  1. 제1레그; 제2레그; 제3레그;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상단, 상기 제2레그의 상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상단에 권취되는 전력수급을 위한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코일은,
    상기 제1레그의 중단, 상기 제2레그의 중단 및 상기 제3레그의 중단에 권취되는 제1권선; 및 상기 제1레그의 하단, 상기 제2레그의 하단 및 상기 제3레그의 하단에 권취되는 제2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권선은,
    일단이 각각 다른 위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위상선이고, 타단이 중성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권선은,
    일단이 상기 중성점과 연결되고, 타단이 중성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선은,
    병렬로 상기 제1레그 내지 상기 제3레그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권선은,
    직렬로 상기 제1레그 내지 상기 제3레그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촉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20150079960A 2015-06-05 2015-06-05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165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60A KR101655436B1 (ko) 2015-06-05 2015-06-05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60A KR101655436B1 (ko) 2015-06-05 2015-06-05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436B1 true KR101655436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960A KR101655436B1 (ko) 2015-06-05 2015-06-05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58B1 (ko) 2008-01-30 2008-04-24 주식회사 에너테크 고조파 감쇄 변압기
KR20130020712A (ko) * 2013-02-04 2013-02-27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고조파 상쇄장치 및 그 절전방법
KR20130036264A (ko) * 2013-02-04 2013-04-11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KR20140110533A (ko) * 2013-03-08 2014-09-17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주상변압기
KR20140111755A (ko) 2013-03-12 2014-09-22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58B1 (ko) 2008-01-30 2008-04-24 주식회사 에너테크 고조파 감쇄 변압기
KR20130020712A (ko) * 2013-02-04 2013-02-27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고조파 상쇄장치 및 그 절전방법
KR20130036264A (ko) * 2013-02-04 2013-04-11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KR101398599B1 (ko) 2013-02-04 2014-05-28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KR20140110533A (ko) * 2013-03-08 2014-09-17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주상변압기
KR20140111755A (ko) 2013-03-12 2014-09-22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786B2 (en) Device for reducing harmonics in three-phase poly-wire power lines
US6101113A (en) Transformers for multipulse AC/DC converters
KR100825058B1 (ko) 고조파 감쇄 변압기
KR101398599B1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RU264458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управляемый заземляющи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US5781428A (en) Transformer for 12-pulse series connection of converters
KR101540998B1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Pinyol Harmonics: Causes, effects and minimization
KR101655415B1 (ko)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장치
JP5060244B2 (ja) リアクトル
KR100364513B1 (ko) 전력라인에서의 고조파 저감장치
JPS607115A (ja) 3相内鉄形変圧器
JP5033898B2 (ja) 受電設備
KR100990329B1 (ko) 고조파 제거 가능한 3상 정전압장치
KR20140120084A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고조파 상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135570A (ja) 多重整流回路
KR101655436B1 (ko)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2479522B1 (ko) 변위 교차권선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1783239B1 (ko)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전력품질개선장치
JP5026029B2 (ja) 電流バランサおよび低圧配電システム
KR20140110533A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주상변압기
KR101783241B1 (ko)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전기품질개선장치
KR101337948B1 (ko) 고조파 파형을 개선한 발전기
KR20080090007A (ko) 계통전원의 불평형을 제거하는 영상 전류 제거 장치
CN114362101B (zh) 一种用于双芯不对称移相变压器的励磁变差动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