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869B1 -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869B1
KR101654869B1 KR1020150186062A KR20150186062A KR101654869B1 KR 101654869 B1 KR101654869 B1 KR 101654869B1 KR 1020150186062 A KR1020150186062 A KR 1020150186062A KR 20150186062 A KR20150186062 A KR 20150186062A KR 101654869 B1 KR101654869 B1 KR 101654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ozzle outlet
nozzle assembly
nozz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필
정성대
오에녹
이준형
김정윤
장현철
손수빈
Original Assignee
(주)하이레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레벤 filed Critical (주)하이레벤
Priority to KR102015018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설제가 상기 도로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정, 역회전시키는 제1 유닛; 및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노즐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연동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SCANNING NOZZLE ASSEMBLY FOR ROAD SNOW REMOVAL}
본 발명은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는 예측하지 못한 폭설, 압설, 한파로 인해 도로와 인도에 대량의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설방법은 겨울철 도로에 결빙이 발생하거나 결빙의 우려가 있는 지역에 등록특허 제10-1220886호와, 등록특허 제10-1150490호와, 공개특허 제10-2015-009396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제설제 살포용 차량이 제설 대상의 도로를 주행하며 일일이 제설제를 살포하게 된다.
그러나, 제설제 살포용 특장차의 보유 대수 및 각 제설제 살포용 특장차의 제설제 저장능력의 한계로 인해 겨울철 폭설이 내리거나 전국적인 한파가 몰아치게 되면 결빙구간이 너무 광범위하여 제설제 살포용 특장차를 이용한 제설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고 무작정 제설제 살포용 특장차의 보유대수를 확대하는 것도 사계절이 있어 겨울철이 비교적 짧은 기후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등록특허 제10-1220886호 등록특허 제10-1150490호 공개특허 제10-2015-00939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설제가 상기 도로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정, 역회전시키는 제1 유닛; 및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노즐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연동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설제가 분사되는 양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보다 상기 도로의 중심부측에 많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중심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설제가 분사되는 양은, 상기 도로의 중심부측보다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에 많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는,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도로의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중심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는, 상기 도로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설제가 상기 도로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의 전방측에서 분사되는 것을 회피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도로의 중심부까지, 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상기 도로의 중심부에서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90도 정,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기어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상기 노즐 출구와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된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제는 상기 노즐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기어의 중심부를 통하여 분사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즐 출구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즐 출구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메인 바디와,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유닛 중 제2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되는 양단 관통의 커버부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커버부 각각의 대향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가 개방된 정도를 축소 또는 확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노즐 출구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출구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체결통과, 상기 체결통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플랜지와,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는 상기 메인 플랜지의 대향면의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부와,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1 회동 돌편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복수의 회동 수용홈과, 상기 메인 플랜지 및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상기 체결통 및 상기 노즐 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 수용홈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커버부의 중심부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 기어가 형성되는 커버 몸체와, 상기 메인 바디의 메인 플랜지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 몸체의 대향면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부와,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2 회동 돌편이 수용되고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왕복하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과, 상기 커버 몸체 및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부 및 상기 노즐 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는 상기 메인 바디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1 안착 단차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2 안착 단차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커버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 날개 몸체와, 상기 날개 몸체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에 함몰 형성된 회동 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회동 돌편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 상기 날개 몸체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의 중심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상에 배치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에 일정 길이를 가지고 함몰 형성된 회동 왕복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2 회동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은 상기 제2 연통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 각각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연통홀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밸브와, 상기 복수의 밸브 중 일정 개수의 밸브들 각각의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밸브를 통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 및 분사되는 거리와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 가능한 밸브 컨트롤러와, 복수의 상기 밸브 컨트롤러들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 상부에 배치된 노즐 어셈블리를 제1 유닛이 정, 역회전시키고 제2 유닛이 노즐 어셈블리의 노즐 출구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상호 협력에 의하여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가 가변됨에 따라 노즐 출구로부터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 또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설제의 분사 압력 조절에 따른 분사 거리의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들이 배치된 경우에는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도로의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제설제의 분사량이 많아지도록 하거나, 도로의 중심부를 따라 하우징들이 배치된 경우에는 도로의 중심부측으로부터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제설제의 분사량이 많아지도록 함으로써 제설제의 낭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개소에 제설제를 정확하게 분사하여 강설에 따른 도로 결빙을 초기에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노즐 어셈블리를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도로의 중심부까지, 또는 도로의 중심부에서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90도 정, 역회전시킴으로써, 제설제가 도로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의 앞쪽에서 분사되어 차량의 주행에 지장을 주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로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밸브 각각을 연결하는 배관과 함께 밸브 들 각각의 제1, 2 유닛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컨트롤러와 복수의 밸브 컨트롤러를 전부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도로 전체의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밸브들 중 일정 개수의 밸브들을 밸브 컨트롤러가 제어하고, 일정 개수의 밸브들에 제설제를 공급하는 펌프 또한 밸브 컨트롤러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사양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펌프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제설제가 분사되는 구역 또한 각 밸브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가 도로 주변에 배치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가 적용된 도로제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로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한 상태를, 도 3(b)는 도로 중간부를 향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일부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이 노즐 출구측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각 구성부의 결합 관계를, 도 5(b)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각 구성부의 결합 관계를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일부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 중 커버부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날개부의 결합 위치를, 도 7(b)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날개부의 결합 위치를 각각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 중 커버부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날개부들의 결합 위치를, 도 8(b)는 도 1의 ②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날개부들의 결합 위치를, 도 8(c)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가 배치될 때 날개부들의 결합 위치를 각각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가 도로에 배치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에서 투명한 화살표는 도로(400)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가 적용된 도로제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로(400)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한 상태를, 도 3(b)는 도로(400) 중간부를 향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일부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이 노즐 출구(501)측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각 구성부의 결합 관계를, 도 5(b)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각 구성부의 결합 관계를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일부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 중 커버부(220)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210)에 날개부(230)가 결합되어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날개부(230)의 결합 위치를, 도 7(b)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날개부(230)의 결합 위치를 각각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 중 커버부(220)를 제외하고 메인 바디(210)에 날개부(230)가 결합되어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도 1의 ①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날개부(230)들의 결합 위치를, 도 8(b)는 도 1의 ②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날개부(230)들의 결합 위치를, 도 8(c)는 도 1의 ③ 지점 부근을 향하여 노즐 출구(501)가 배치될 때 날개부(230)들의 결합 위치를 각각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점선은 전기적 연결 관계를, 실선은 배관으로 연결된 관계를, 일점 쇄선은 제설제가 분사되어 살포되는 영역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 상부에 배치된 노즐 어셈블리(500)를 제1 유닛(100)이 정, 역회전시키고 제2 유닛(200)이 노즐 어셈블리(500)의 노즐 출구(501, 이하 도 4 참조)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도로(400)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으로, 배관(t11, t12, t13, t21, t22, t31, t32, t41, t42, t43)과 연결되는 밸브(v11, v12, v13, v21, v22, v31, v32, v41, v42, v43)의 몸체를 구성하며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술할 제1 유닛(100) 또는 제2 유닛(200)을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 액추에이터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로(400)의 중심부, 즉 중앙선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노즐 어셈블리(500)는 하우징(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설제가 도로(400)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하우징(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노즐 어셈블리(500)를 정,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는 ①~③ 지점에 걸쳐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노즐 어셈블리(500)의 노즐 출구(501)측에 배치되어 제1 유닛(100)과 연동하고, 노즐 어셈블리(500)의 정, 역회전에 따라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는 ①~③ 지점에 걸쳐 제설제가 서로 다른 양만큼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2 유닛(100, 200)의 상호 협력에 의하여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가 가변됨에 따라 노즐 출구(501)로부터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 또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설제의 분사 압력 조절에 따른 분사 거리의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2 유닛(100, 200)과 하우징(300) 및 노즐 어셈블리(500) 등 각 구성요소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 전에,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적용한 도로제설 시스템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와, 배관(t11, t12, …, t1n, t21, t22, …, t2n, …, tn1, tn2, …, tnn)과,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와, 메인 컨트롤러(CTR)를 포함하는 도로제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들은 후술할 제1, 2 유닛(100, 200)과 하우징(300) 및 노즐 어셈블리(500)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로(400)에 복수로 배치된다.
배관(t11, t12, …, t1n, t21, t22, …, t2n, …, tn1, tn2, …, tnn)은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 각각과 연결되어, 제설제 공급원으로부터 제설제가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들에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는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 중 일정 개수의 밸브(v11, v12, …, v1n 또는 v21, v22, …, v2n 또는 vn1, vn2, …, vnn)들 각각의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는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를 통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 및 분사되는 거리와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CTR)는 복수의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들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들에 의하여 도로(400)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a) 노즐 어셈블리(500)로부터 제설제가 분사되는 양은, 도로(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 도로(400)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도로(400)의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설제는 도로(400)의 가장자리측보다 도로(400)의 중심부측에 많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b) 노즐 어셈블리(500)로부터 제설제가 분사되는 양은, 도로(400)의 중심부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 도로(400)의 중심부측으로부터 도로(400)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차 많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설제는 도로(400)의 중심부측보다 도로(400)의 가장자리측에 많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a) 및 b)와 같이 제설제가 분사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설제의 낭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개소에 제설제를 정확하게 분사하여 강설에 따른 도로 결빙을 초기에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c)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는, 도로(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 도로(400)의 가장자리측(도 3(a)의 상태 참조)으로부터 도로(400)의 중심부(도 3(b)의 상태 참조)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d)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는, 도로(400)의 중심부를 따라 하우징(300)들이 배치된 경우에, 도로(400)의 중심부측으로부터 도로(400)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c) 및 d)와 같이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a) 및 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설제의 분사량을 점차 증대시켜 제설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a) 내지 d)에 서술된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와 제설제의 분사량 차이와의 상관 관계는, 제1, 2 유닛(100, 200)의 상호 협력에 따른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 조절이, 노즐 출구(501)로부터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볼 수 있으므로, 제설제의 분사 압력 조절에 따른 분사 거리의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제설제가 도로(400)에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이하 도 1의 투명한 화살표 방향 참조)의 전방측에서 분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노즐 어셈블리(500)를 도로(400)의 가장자리에서 도로(400)의 중심부까지 90도 정, 역회전시키거나, 노즐 어셈블리(500)를 도로(400)의 중심부에서 도로(400)의 가장자리까지 90도 정,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설제가 차량의 주행 방향 전방측에서 분사됨으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에 지장을 주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로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3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베이스 블록(130)과, 베이스 블록(13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기어(110)와, 베이스 블록(1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노즐 어셈블리(500)의 노즐 출구(501)와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제1 기어(110)와 맞물리는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된 제2 기어(1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설제는 노즐 출구(501)로부터 제2 기어(120)의 중심부를 통하여 분사되고, 후술할 제2 유닛(200)은 노즐 출구(501)와 제2 기어(1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노즐 어셈블리(5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3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 유닛(100)의 베이스 블록(130) 상면에 안착되는 회전 원판(510)과, 회전 원판(510)의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하우징(300)의 외부로부터 배관 연결되며, 단부에 노즐 출구(501)가 형성된 노즐 몸체(5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회전 원판(510) 및 노즐 몸체(520)는 제1 유닛(100)에 의하여 일체로 정, 역회전 가능하고, 제2 유닛(200)은 노즐 몸체(520)의 노즐 출구(501)와 제1 유닛(100) 중 제2 기어(120)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 바디(210)에 대하여 정, 역회전하는 커버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230)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움직이면서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바디(210)는 노즐 출구(501)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로, 후술할 커버부(220)의 정, 역회전 및 날개부(230)의 가동에 따른 뒤틀림 변형력을 견디고 견고한 체결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커버부(220)는 외주면을 따라 제1 유닛(100) 중 제2 기어(120)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210)와 연결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로, 제2 기어(120)와 제1 기어(110)의 맞물림 결합에 따라 정, 역회전하는 부분이다.
날개부(230)는 일단부는 메인 바디(210)에 복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커버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 바디(210)와 커버부(220) 각각의 대향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제2 기어(120)의 회전에 따라 노즐 출구(501)가 개방된 정도를 축소 또는 확대시키는 것이다.
메인 바디(210)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통(211)과 메인 플랜지(212)와 제1 안착 단차부(213)와 회동 수용홈(214) 및 제1 연통홀(215)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체결통(211)은 노즐 출구(501)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내주면을 형성하고, 노즐 출구(501)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체결통(211)은 노즐 몸체(520)와의 견고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체결 슬롯(211s) 및 체결 걸림부(211h)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 슬롯(211s)은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술할 메인 플랜지(212)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된 것이며, 체결 걸림부(211h)는 체결 슬롯(211s)을 따라 체결통(211)을 노즐 몸체(520)에 끼운 후 돌려서 체결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체결 슬롯(211s)의 단부로부터 절곡하여 절개 형성된 부분이다.
따라서, 노즐 몸체(520)의 외주면에 돌출된 체결 돌편(521)은 체결 슬롯(211s)을 따라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체결 걸림부(211h)에 정지됨으로써 체결 상태가 완료된다.
메인 플랜지(212)는 체결통(21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후술할 날개편(230)의 타단부가 접촉 슬라이딩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안착 단차부(213)는 커버부(220)와 마주보는 메인 플랜지(212)의 대향면의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회동 수용홈(214)이 형성되는 면적과 함께, 후술할 복수의 날개편(230)들이 동시에 회동하여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회동 수용홈(214)은 제1 안착 단차부(213)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후술할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제1 안착 단차부(213)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1 회동 돌편(23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연통홀(215)은 메인 플랜지(212) 및 제1 안착 단차부(213)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체결통(211) 및 노즐 출구(501)와 상호 연통되는 것으로, 제설제의 분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커버부(220)에는 복수의 회동 수용홈(214)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223)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제1 연통홀(215)은 커버부(220)의 중심부와 상호 연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 돌편(232)의 직경은, 회동 수용홈(214)에 안착 결합되어 원활하게 회동 동작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회동 수용홈(214)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220)는,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커버 몸체(221)와 제2 안착 단차부(222)와 회동 왕복 수용홈(223)과 제2 연통홀(22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커버 몸체(221)는 외주면을 따라 제2 기어(120)가 형성되는 것이며, 제2 안착 단차부(222)는 메인 바디(210)의 메인 플랜지(212)와 마주보는 커버 몸체(221)의 대향면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회동 왕복 수용홈(223)이 형성되는 면적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할 날개편(230)이 회동하여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회동 왕복 수용홈(223)은 제2 안착 단차부(2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 안착 단차부(222)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것이다.
회동 왕복 수용홈(223)은 후술할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타단부로부터 제2 안착 단차부(222)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2 회동 돌편(234)이 수용되고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왕복하면서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통홀(224)은 커버 몸체(221) 및 제2 안착 단차부(222)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메인 바디(210)의 중심부 및 노즐 출구(501)와 상호 연통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바디(210)에는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223)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수용홈(214)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날개부(230)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회동 왕복 수용홈(223)이 형성된 길이는, 제2 회동 돌편(234)이 원활하게 왕복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회동 돌편(234)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220)는, 도 6의 A-A'선 확대 단면도와 같이 제2 안착 단차부(22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커버 몸체(221)의 대향면과 일체를 이루는 이탈 방지편(22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탈 방지편(225)은 회동 왕복 수용홈(223)에 수용된 제2 회동 돌편(234)을 포함한 날개부(230)의 타단부가 커버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커버부(220)에 대하여 왕복 및 회동 동작을 지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다.
한편, 날개부(230)는, 도 6의 하부측에 표시된 확대 사시도와 같이, 날개 몸체(231)와 제1, 2 회동 돌편(232, 234) 및 연장편(23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날개 몸체(231)는,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부(220)와 마주보는 메인 바디(210)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1 안착 단차부(213)의 외측 가장자리와 메인 바디(210)와 마주보는 커버부(220)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2 안착 단차부(222)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 부재이다.
여기서, 날개 몸체(231)는, 내측 가장자리가 메인 바디(2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215)과 커버부(22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224)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 부재이다.
이때, 날개 몸체(231)의 외측 및 내측 가장자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 안착 단차부(213, 222)와 제1, 2 연통홀(215, 224)에 대응할 경우는,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로, 도 7(b)와 같은 상태이다.
그리고, 제1 회동 돌편(232)은 날개 몸체(231)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안착 단차부(213)에 함몰 형성된 회동 수용홈(214)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회동 수용홈(214)에 맞물려 날개 몸체(231)가 회동하는 일측의 회동축을 제공한다.
연장편(233)은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 날개 몸체(231)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제1 연통홀(215) 및 제2 연통홀(224)의 중심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회동 돌편(234)은 연장편(233)의 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안착 단차부(222)에 일정 길이를 가지고 함몰 형성된 회동 왕복 수용홈(223)에 수용되고, 회동 왕복 수용홈(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회동 왕복 수용홈(22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회동 왕복 수용홈(223)에 수용되어 날개 몸체(231)가 왕복 및 회동하는 타측의 회동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223)은 제2 연통홀(22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회동 왕복 수용홈(223) 각각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는 제2 연통홀(224)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7(a)와 같은 상태로부터 도 7(b)와 같은 상태로 메인 플랜지(212)에 대하여 커버 몸체(22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회동 돌편은 회동 왕복 수용홈(223)의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 사이를 왕복하면서 회동함에 의하여, 도 7과 같이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날개부(23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안착 단차부(213) 및 제2 안착 단차부(2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연결한 가상원의 원주상에서 임의의 두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직선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호 형상을 가진 날개 몸체(231)를 가진다.
단, 날개 몸체(231)는 전술한 가상원의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호 형상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셋 이상 구비되는 것이 단계적인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날개부(230)는 날개 몸체(231)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유닛(100)에 의하여 일정 범위내에서 정 역회전하는 노즐 어셈블리(500)의 회전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은 다양한 크기를 가진 노즐 출구(501)의 개방 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는 ,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개수의 밸브(v11, v12, …, v1n 또는 v21, v22, …, v2n 또는 vn1, vn2, …, vnn)들에 제설제를 공급하는 펌프(P 1, P2, 또는 P n)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 중 하나의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또는 vsc n)는 도로(400)의 일측 또는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개수만큼의 밸브(v11, v12, …, v1n 또는 v21, v22, …, v2n 또는 vn1, vn2, …, vnn)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는 도로(4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밸브(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들을 일정 개수만큼 묶어서 구역별로 제어하여 일정 개수만큼의 밸브(v11, v12, …, v1n 또는 v21, v22, …, v2n 또는 vn1, vn2, …, vnn)들이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 vsc n)당 일정 개수만큼의 밸브(v11, v12, …, v1n 또는 v21, v22, …, v2n 또는 vn1, vn2, …, vnn)들에 제설제를 공급하는 펌프(P 1, P2, 또는 P n)를 매칭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각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또는 vsc n)당 매칭된 펌프(P 1, P2, 또는 P n)는 비교적 낮은 사양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되므로, 펌프(P 1, P2, 또는 P n)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제설제가 분사되는 구역 또한 각 밸브 컨트롤러(vsc 1, vsc 2 또는 vsc n)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설제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도로 제설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기어
120...제2 기어
130...베이스 블록
200...제2 유닛
210...메인 바디
211...체결통
211s...체결 슬롯
211h...체결 걸림부
212...메인 플랜지
213...제1 안착 단차부
214...회동 수용홈
215...제1 연통홀
220...커버부
221...커버 몸체
222...제2 안착 단차부
223...회동 왕복 수용홈
224...제2 연통홀
225...이탈 방지편
230...날개부
231...날개 몸체
232...제1 회동 돌편
233...연장편
234...제2 회동 돌편
300...하우징
400...도로
500...노즐 어셈블리
501...노즐 출구
510...회전 원판
520...노즐 몸체
521...체결 돌편
v11, v12, …, v1n, v21, v22, …, v2n, …, vn1, vn2, …, vnn...밸브
t11, t12, …, t1n, t21, t22, …, t2n, …, tn1, tn2, …, tnn...배관
vsc 1, vsc 2, …, vsc n...밸브 컨트롤러
CTR...메인 컨트롤러
P 1, P2, …, P n...펌프

Claims (13)

  1. 도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설제가 상기 도로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정, 역회전시키는 제1 유닛; 및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노즐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연동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기어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상기 노즐 출구와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제는 상기 노즐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기어의 중심부를 통하여 분사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즐 출구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는,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도로의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설제가 상기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 전방 측에서 분사되지 않고,
    차량의 측면 쪽이나 후방 측에서 분사되며, 도로에 수직인 각도에서부터 도로에 수평인 각도까지 9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제설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도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설제가 상기 도로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정, 역회전시키는 제1 유닛; 및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노즐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연동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즐 출구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메인 바디와,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유닛 중 제2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되는 양단 관통의 커버부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커버부 각각의 대향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출구가 개방된 정도를 축소 또는 확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는,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기 도로의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설제가 상기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 전방 측에서 분사되지 않고,
    차량의 측면 쪽이나 후방 측에서 분사되며, 도로에 수직인 각도에서부터 도로에 수평인 각도까지 9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제설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노즐 출구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출구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체결통과,
    상기 체결통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플랜지와,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는 상기 메인 플랜지의 대향면의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부와,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1 회동 돌편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복수의 회동 수용홈과,
    상기 메인 플랜지 및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상기 체결통 및 상기 노즐 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 수용홈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커버부의 중심부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2 기어가 형성되는 커버 몸체와,
    상기 메인 바디의 메인 플랜지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 몸체의 대향면 중심부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부와,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2 회동 돌편이 수용되고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왕복하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과,
    상기 커버 몸체 및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부 및 상기 노즐 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과 대응하는 개수의 회동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부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커버부와 마주보는 상기 메인 바디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1 안착 단차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의 대향면에 함몰된 제2 안착 단차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커버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2 연통홀의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 날개 몸체와,
    상기 날개 몸체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안착 단차부에 함몰 형성된 회동 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회동 돌편과,
    상기 노즐 출구의 개방 정도가 최대일 때, 상기 날개 몸체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의 중심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상에 배치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안착 단차부에 일정 길이를 가지고 함몰 형성된 회동 왕복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2 회동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 왕복 수용홈은 상기 제2 연통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 왕복 수용홈 각각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연통홀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밸브와,
    상기 복수의 밸브 중 일정 개수의 밸브들 각각의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밸브를 통하여 제설제가 분사되는 압력 및 분사되는 거리와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 가능한 밸브 컨트롤러와,
    복수의 상기 밸브 컨트롤러들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KR1020150186062A 2015-12-24 2015-12-24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KR10165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62A KR101654869B1 (ko) 2015-12-24 2015-12-24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62A KR101654869B1 (ko) 2015-12-24 2015-12-24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69B1 true KR101654869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62A KR101654869B1 (ko) 2015-12-24 2015-12-24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77B1 (ko) 2018-08-14 2019-03-28 창원시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2212U (ko) * 1976-09-17 1978-04-12
KR101054030B1 (ko) * 2011-01-31 2011-08-04 장현실 도로결빙 방지시스템
KR101150490B1 (ko) 2011-05-20 2012-05-31 서울특별시 성북구 버스를 이용한 제설장치 및 소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제설방법
KR101220886B1 (ko) 2010-07-07 2013-01-11 이종문 제설작업을 포함한 다목적 도로 작업용 차량
KR20150093960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노면 제설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2212U (ko) * 1976-09-17 1978-04-12
KR101220886B1 (ko) 2010-07-07 2013-01-11 이종문 제설작업을 포함한 다목적 도로 작업용 차량
KR101054030B1 (ko) * 2011-01-31 2011-08-04 장현실 도로결빙 방지시스템
KR101150490B1 (ko) 2011-05-20 2012-05-31 서울특별시 성북구 버스를 이용한 제설장치 및 소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 제설방법
KR20150093960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노면 제설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77B1 (ko) 2018-08-14 2019-03-28 창원시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62148B2 (en) Adjustable arc, adjustable flow rate sprinkler
EP2222408B1 (en) Irrigation nozzle assembly
US5226599A (en) Flush sprinkler
EP1289673B1 (en) Adjustable arc, adjustable flow rate sprinkler
US5992760A (en) Impact sprinkler unit
US8888023B2 (en) Self-retaining nozzle
CN201161216Y (zh) 快速切换组合喷头
US20040195360A1 (en) Rotating stream sprinkler with turbine speed governor
KR101654869B1 (ko) 도로제설용 스캐닝 노즐 어셈블리
EP1614481B1 (en) Reversible spray tip unit
WO2000007428A9 (en) Closed-case impact sprinklers
EP2002127A1 (de) Vordrall-leitvorrichtung
CN103303451B (zh) 一种液压驱动的全矢量喷水推进器喷口
US3887956A (en) Windshield wiper fluid dispenser
CA2639181C (fr) Aube a calage variable de turbomachine
US10920726B2 (en) Multi-function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ethod
CN104114923A (zh) 用于止回阀的可调节止动件
EP4249127A2 (en) Sprinkler device for delivery of an irrigation liquid and method of delivery using such device
JP6270777B2 (ja) 環状バルブ及び再生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
KR20160024954A (ko) 조절 가능 캠샤프트
US7258128B2 (en) Post yard hydrant with controlled adjustable flow
US11000866B2 (en) Rotary nozzles and deflectors
US10167866B2 (en) Displacement pump and a control ring for a displacement pump
CN112081050A (zh) 一种市政用可调节分水量的自动化洒水车
JP3228290U (ja) 移動流体の放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