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615B1 -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615B1
KR101654615B1 KR1020150158475A KR20150158475A KR101654615B1 KR 101654615 B1 KR101654615 B1 KR 101654615B1 KR 1020150158475 A KR1020150158475 A KR 1020150158475A KR 20150158475 A KR20150158475 A KR 20150158475A KR 101654615 B1 KR101654615 B1 KR 10165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low rate
differential pressure
valv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윤미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투엠
김영식
윤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투엠, 김영식, 윤미훈 filed Critical (주)에이스투엠
Priority to KR102015015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른 세대 난방유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각 룸난방부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즉, 본 발명은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130)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구비함으로써,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른 세대 난방유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각 룸난방부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와 유량집중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Heating flow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여서,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른 세대 난방유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각 룸난방부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유량집중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공급관의 압력과 환수관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와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 및 환수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로 구성하여서, 정유량조절부에 의하여 세대난방부 난방유량이 균일하게 조절되게 하고,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라 정류량조절부와 환수관의 압력차에 비례하여 각 룸난방부의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은 공동주택 각 세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서 세대난방부의 난방유량을 조절 및 계측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은 난방유체가 유입되는 정류량조절부와 난방유체가 분배되에 룸난방부로 공급되는 분배관, 상기 룸난방부를 난방한 난방유체가 모아져 배출되는 환수관, 상기 분배관에 각 룸난방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룸난방조절밸브 및 환수관에 구비되어 요금부과를 위하여 난방유량을 계측하는 난방계측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은 정유량조절공으로 유입된 난방유체가 분배관을 통하여 각 룸난방부를 순환하며 난방을 하고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환수관에 구비된 난방계측부에서 세대난방유량을 계측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은 분배관에 구비된 룸난방조절밸브의 조작에 따라 특정 룸난방부만을 사용하게 되면 세대난방부에서 필요되는 난방유량이 줄어들게 되나 정유량조절공으로 공급되는 난방유체의 압력에 따라 룸난방부의 난방유속이 증대되어 실제적인 세대 난방유량이 감소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룸난방부에서 난방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면 룸난방부를 통과하는 난방유체가 충분한 열교환에 의한 난방을 하지 않고 환수관을 통하여 퇴수되어 세대난방부에서는 실제 사용한 난방유량에 대비하여 난방 이득을 얻지 못하고 에너지 손실만 생기는 문제점과 세대에 유량집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0542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이 분배관에 구비된 룸난방조절밸브의 조작에 따라 특정 룸난방부 만을 사용하게 되면 세대난방부에서 필요하게 되는 난방유량이 줄어들게 되나 정유량조절공으로 공급되는 난방유체의 압력에 따라 룸난방부의 난방유속이 증대되어 실제적인 세대 난방유량이 감소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각 룸난방부에서 난방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면 룸난방부를 통과하는 난방유체가 충분한 열교환에 의한 난방을 하지 않고 환수관을 통하여 퇴수되어 세대난방부에서는 실제 사용한 난방유량에 대비하여 난방 이득을 얻지 못하고 에너지 손실만 생기는 문제점과, 세대에 유량집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공급관의 압력과 환수관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와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 및 환수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른 세대 난방유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각 룸난방부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유량집중이 방지되어 유량집중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를 공급관의 압력과 환수관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와 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 및 환수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로 구성함으로써, 정유량조절부에 의하여 세대난방부 난방유량이 균일하게 조절되는 효과를 갖고,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라 공급관과 환수관의 압력차에 비례하여 각 룸난방부의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압유량조절부와, 정유량조절부와, 압력조절구를 구성하여 난방유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환수관의 압력차에 비례하여 각 룸난방부의 난방유량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난방유에 포함된 열기를 각 룸난방부에 충분히 전도한 후 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효율의 향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관과 환수관 사이에 차압유량조절부와, 정유량조절부와, 압력조절구를 구성하여 둠으로써 난방유의 정확한 유입량 확인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정확한 비용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유량조절부의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조절부의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상세도.
도 6 및 도 7은 압력변화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세대난방부의 룸난방부 선택 난방에 따른 세대 난방유량 변화에 따라 사용되는 각 룸난방부 난방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난방유체가 유입되는 공급관(110)과 난방유체가 분배되에 룸난방부로 공급되는 분배관(120), 상기 룸난방부를 난방한 난방유체가 모아져 배출되는 환수관(130), 상기 분배관(120)에 각 룸난방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룸난방조절밸브(141) 및 환수관(130)에 구비되어 요금부과를 위하여 난방유량을 계측하는 난방계측부(150)로 구성되는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공급관(110)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공급관(110)의 압력과 환수관(130)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10)와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20),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30) 및 환수관(13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40)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압유량조절부(10)는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상부 측에 형성된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과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의 하부에 구비된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에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상단부를 구속하여 공급관(110)과 환수관(130)의 압력차에 따라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를 밸브동작시키는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하부에 구비된 밸브체(13a),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밸브동작에 따른 밸브체(13a)와의 접촉에 따라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시트(15),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상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압력작용관(12b)을 통하여 작용되는 공급관(110)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공급압력작용부(12a) 및 상기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환수관(130)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밸브체(13a)의 중앙을 관통하여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 유량조절밸브실(12)로 연결되는 환수관압력작용부(13b)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유량조절부(20)는 관체로 형성된 정유량조절실(21)과 상기 정유량조절실(21)에 정유량조절스프링(22)에 탄성지지되며 유입되는 수압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게 가동되는 정유량조절실린더(2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정유량조절실린더(23)은 돌출된 단부가 밀폐된 관체로 형성되며 측면의 수압에 따른 수평 가동에 따라 통수유량이 조절되게 한 정유량조절공(23a)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구(40)는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동을 제안할 수 있게 한 압력조절밸브시트(41)와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력조절밸브시트(41)를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42)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밸브(42)의 외면에 난방유체 중 이물질을 걸러주는 난방유체의 유동소음을 줄여주는 스트레이너(30)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룸난방조절밸브(141)는 전자적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되며 룸환수관에는 미세조정밸브(14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130)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구비하되,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공급관(110)의 압력과 환수관(130)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10)와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20),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30) 및 환수관(13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4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압력조절구(40)에 의하여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최대 유량이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일정 유량 이하로 조절되어 차압유량조절부(10) 및 정유량조절부(20)에 의하여 동작 불량시 난방유체의 과도한 흐름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유량조절부(20)는 환수관(130)을 통하여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압력에 따라 그 개구량이 조절되어서 환수관(13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가 일정한 유량으로 유동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차압유량조절부(10)를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의 하부에 구비된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 공급관(110)과 환수관(130)의 압력차에 따라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를 밸브동작시키는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상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압력작용관(12b)을 통하여 작용되는 공급관(110)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공급압력작용부(12a) 및 상기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환수관(130)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밸브체(13a)의 중앙을 관통하여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 유량조절밸브실(12)로 연결되는 환수관압력작용부(13b)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룸난방부의 선택적 사용에 따라 소요 난방유체의 통수유량이 줄어들게 되면 공급관(110)으로 유입되는 난방유체의 압력보다 환수관(130) 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공급관(110)과 환수관(130)의 압력 차에 따라 하강 작동함에 따라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하가 밸브동작되어 그 열림량이 줄어 듬에 따라 룸난방부의 소요 난방유체의 유량에 따라 개구상태가 유지되어 난방유체의 고속 유동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고, 난방유체가 룸난방부에서 충분한 열교환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진 후 환수관(130)으로 환수되어 난방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정유량조절부(20)를 관체로 형성된 정유량조절실(21)과 상기 정유량조절실(21)에 정유량조절스프링(22)에 탄성지지되며 유입되는 수압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게 가동되는 정유량조절실린더(2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타 세대의 난방유량 변경에 따라 난방이 이루어지는 난방세대로 난방유체가 몰려 난방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입된 난방유체의 집중으로 인한 압력 상승에 의하여 정유량조절실린더(23)를 가압하여 정유량조절고(23a)의 개구량이 조절되어 난방유체가 집중되어도 환수관(130)으로 배출되는 난방유체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난방유체의 집중으로 인한 계량적으로 이루지는 난방비용의 증가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구(40)는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동을 제안할 수 있게 한 압력조절밸브시트(41)와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력조절밸브시트(41)를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4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최대 난방유체의 유동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밸브(42)의 외면에 난방유체 중 이물질을 걸러주는 난방유체의 유동소음을 줄여주는 스트레이너(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스케일과 같이 덩어리 상으로 이동되는 이물질이 미립화 분사되며, 난방유체의 유동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1 :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
10 : 차압유량조절부 11 : 차압유량조절몸체
12 : 차압유량조절밸브실
12a : 공급압력작용부 12b : 압력작용관
13 : 차압유량조절밸브부
13a : 밸브체 13b : 환수관압력작용부
14 : 차압조절다이아프렘 15 : 유량조절밸브시트
20 : 정유량조절부
21 : 정유량조절실 22 : 정유량조절스프링
23 : 정유량조절실린더 23a : 정유량조절공
30 : 스트레이너
40 : 압력조절구
41 : 압력조절밸브시트 42 : 압력조절밸브
110 : 공급관 120 : 분배관
130 : 환수관
141 : 룸난방조절밸브 142 : 미세조정밸브
150 : 난방계측부

Claims (3)

  1. 난방유체가 유입되는 공급관(110)과 난방유체가 분배되에 룸난방부로 공급되는 분배관(120), 상기 룸난방부를 난방한 난방유체가 모아져 배출되는 환수관(130), 상기 분배관(120)에 각 룸난방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룸난방조절밸브(141) 및 환수관(130)에 구비되어 요금부과를 위하여 난방유량을 계측하는 난방계측부(150)로 구성되는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난방유량제어부의 환수관(130)에 각 난방부의 유량이 균일하게 유동되게 제어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구비하되,
    상기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1)를 공급관(110)의 압력과 환수관(130)의 압력에 비례하여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차압유량조절부(10)와 환수관(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이 세대난방부에 따른 설정 유량을 조절배출되게 하는 정유량조절부(20), 난방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트레이너(30) 및 환수관(13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단면적을 조절하여 최대 유량을 제한 조작하는 압력조절구(40)로 구성하고;
    상기 차압유량조절부(10)는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상부 측에 형성된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과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의 하부에 구비된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실(12)에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상단부를 구속하여 공급관(110)과 환수관(130)의 압력차에 따라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를 밸브동작시키는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하부에 구비된 밸브체(13a), 상기 차압유량조절밸브부(13)의 밸브동작에 따른 밸브체(13a)와의 접촉에 따라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통수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시트(15),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상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압력작용관(12b)을 통하여 작용되는 공급관(110)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공급압력작용부(12a) 및 상기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으로 유량조절밸브실(12)에 환수관(130)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밸브체(13a)의 중앙을 관통하여 차압조절다이아프렘(14)의 하부 측 유량조절밸브실(12)로 연결되는 환수관압력작용부(13b)로 구성하며;
    상기 룸난방조절밸브(141)는 전자적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되며 룸환수관에는 미세조정밸브(1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량조절부(20)는 관체로 형성된 정유량조절실(21)과 상기 정유량조절실(21)에 정유량조절스프링(22)에 탄성지지되며 유입되는 수압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게 가동되는 정유량조절실린더(23)로 구성되고;
    상기 정유량조절실린더(23)는 돌출된 단부가 밀폐된 관체로 형성되며 측면에 수압에 따른 수평 가동에 따라 통수유량이 조절되게 한 정유량조절공(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구(40)는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 환수되는 난방유체의 유동을 제안할 수 있게 한 압력조절밸브시트(41)와 차압유량조절몸체(11)의 하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력조절밸브시트(41)를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42)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42)의 외면에 난방유체 중 이물질을 걸러주는 난방유체의 유동소음을 줄여주는 스트레이너(30)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20150158475A 2015-11-11 2015-11-11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165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75A KR101654615B1 (ko) 2015-11-11 2015-11-11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75A KR101654615B1 (ko) 2015-11-11 2015-11-11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615B1 true KR101654615B1 (ko) 2016-09-06

Family

ID=5694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475A KR101654615B1 (ko) 2015-11-11 2015-11-11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047A (ko) 2021-10-27 2023-05-04 (주)알레스테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420A (ko) 2006-04-26 2007-10-31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
KR20090029933A (ko) * 2007-09-19 2009-03-24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1471631B1 (ko)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복합정유량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420A (ko) 2006-04-26 2007-10-31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
KR20090029933A (ko) * 2007-09-19 2009-03-24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1471631B1 (ko)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복합정유량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047A (ko) 2021-10-27 2023-05-04 (주)알레스테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43913A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способный давать обогревающую воду и горячее водоснабжение одновременно
CN205002407U (zh) 一种恒温燃气热水器
WO2013005976A3 (ko) 가스 온수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공급장치
WO2019201191A1 (zh) 水加热调节控制装置及使用控制方法和待机循环加热方法
KR101654615B1 (ko)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20190052662A (ko) 차압유량조절밸브
DE102005005733B8 (de) Regelsystem für Fussbodenheizung
DE602005014538D1 (de)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an unter druckdifferential arbeitende stromventile angelegten stroms
KR101654613B1 (ko)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KR101478261B1 (ko) 정유량 복합밸브
KR20180016761A (ko) 차압유량조절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CN202733099U (zh) 自动调节压差的自力式流量控制阀
CN206655985U (zh) 恒温管道阀
KR101669488B1 (ko) 스마트 복합밸브
CN204756040U (zh) 一种可调节止回阀
TWI654391B (zh) 節能型大容量直動式精密調壓附過濾閥
TW200637655A (en) Adjustable water gun
CN103511695A (zh) 自力式平衡电动调节阀
CN201909068U (zh) 自动恒温出水装置
CN204574525U (zh) 燃气采暖热水炉内的板换水路模块
CN201368251Y (zh) 一种单柄水龙头
KR100835726B1 (ko) 비례제어식 차압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온수분배기의 차압조절시스템
CN204373052U (zh) 一种温控混水罐
CN204512521U (zh) 温控管道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