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31B1 - 복합정유량밸브 - Google Patents

복합정유량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631B1
KR101471631B1 KR1020130064233A KR20130064233A KR101471631B1 KR 101471631 B1 KR101471631 B1 KR 101471631B1 KR 1020130064233 A KR1020130064233 A KR 1020130064233A KR 20130064233 A KR20130064233 A KR 20130064233A KR 101471631 B1 KR101471631 B1 KR 10147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inlet
fluid
differential pressur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102013006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는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제공하는 밸브바디,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토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메인경로 상에 제공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유압차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상기 유입구의 유입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배출구의 배출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메인경로 상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게 제공되는 차압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정유량밸브{Complex set fluid valve}
본 발명은 복합정유량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과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유입되는 유체와 배출되는 유체의 차압을 조절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분기의 폐회로 배관으로 이루어진 난방순환배관에는 정유량밸브를 사용하여 각 분기배관에 그 개폐율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이 흐르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난방순환배관의 각 분기배관은 다른 분기배관의 개폐상태에 따라 유량이 변동하게 되며, 이때 정유량밸브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차압유량조절밸브를 부하기기의 리턴 배관에 설치하여 부하기기가 적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각 분기배관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정유량밸브와 차압유량조절밸브를 별도로 각각 제공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를 위한 장소에 제약이 발생하고, 다수의 밸브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내지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정유량밸브는 지역난방 또는 중앙난방 방식에 의해 각각의 세대에 난방을 위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에, 유량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카트리지 타입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카트리지 타입의 정유량밸브는 난방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취약하며, 상기 이물질이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유량밸브 본연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유량 조절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난방수 등의 유체를 적정 장소로 공급할 때 관 내부의 부식물 등이 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부식물 등의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이동할 때 관의 연결부분 등에 부착되게 되면 펌프의 펌핑력 저하와 펌프의 손상을 초래함과 아울러 열교환 효율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 타입의 정유량밸브는 설정 유량의 편차가 큰 단점 및 설정 유량의 변경을 위해서 정유량밸브가 설치된 현장에서 분해하여 다시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량 밸런싱 기능과 차압조절 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복합정유량밸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유량기능과 차압조절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며, 설정 유량 내지 차압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밸브 내에 이물질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정유량밸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는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제공하는 밸브바디,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토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메인경로 상에 제공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유압차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상기 유입구의 유입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배출구의 배출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메인경로 상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차압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차압조절유닛은 상기 유입구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입압조절부,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출압조절부, 상기 유입구의 유체와 상기 배출구의 유체의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차압세트부 및 상기 차압세트부의 상하이동을 지지토록,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밸브바디의 유량조절홀과 상기 차압세트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지지세트부는 상기 유량조절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구가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차압세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상기 차압세트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차압세트부는 상기 유입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배출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유압막 및 상기 유압막에 연계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세트부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세트부가 삽입되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세트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차압조절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밸브바디의 유량조절홀을 개폐하는 밀폐체가 제공되는 유량조절바, 상기 유량조절홀을 통과하는 유량을 설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바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유량조절부 및 상기 유량조절바에 연계되어 상기 유량조절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량조절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유량조절부는 수동동작하는 수동버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버튼 또는 열팽창을 이용한 열동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밸브바디는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하나에 메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는 유량조절유닛 및 차압조절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유량조절기능과 차압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설치를 위한 장소의 제약이 감소하고, 다수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압조절유닛은 차압세트부와 지지세트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할 수 있어,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유량조절부를 제공함으로써, 설치된 상태에서도 설정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를 도시한 절단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가 수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가 열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가 전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는 통과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유입되는 유체와 배출되는 유체의 차압을 조절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유량조절기능과 차압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설치를 위한 장소의 제약이 감소하고, 다수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압조절유닛은 차압세트부와 지지세트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공할 수 있어,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를 제공함으로써, 분해 없이 설정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를 도시한 절단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는 유체의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제공하는 밸브바디(100), 상기 배출구(120)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토록,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메인경로(f1) 상에 제공되는 유량조절유닛(200) 및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의 유압차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상기 유입구(110)의 유입서브경로(f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배출구(120)의 배출서브경로(f3)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메인경로(f1) 상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게 제공되는 차압조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유량조절유닛(200)은 일단부에 상기 밸브바디(100)의 유량조절홀(130)을 개폐하는 밀폐체(220)가 제공되는 유량조절바(210), 상기 유량조절홀(130)을 통과하는 유량을 설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바(210)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유량조절부(230) 및 상기 유량조절바(210)에 연계되어 상기 유량조절바(2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량조절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밸브바디(100)는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20)의 적어도 하나에 메쉬부재(14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100)는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제공되어 후술할 유량조절유닛(200)이나, 차압조절유닛(300)으로 상기 유체가 흐르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바디(100)에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량조절홀(130), 메쉬부재(140), 밀착링(150), 결합너트(16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 사이의 메인경로(f1) 상에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2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유체가 유입하는 부분의 경로인 유입서브경로(f2) 및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의 경로인 배출서브경로(f3)에는 유체의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차압조절유닛(3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홀(130)은 후술할 유량조절유닛(200)의 밀폐체(220)가 삽입되어 메인경로(f1)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조절홀(130)은 상기 밀폐체(22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부재(140)는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20)의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 내의 이물질이 상기 밸브바디(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쉬부재(140)는 그물 형상의 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재질의 패킹(141) 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너트(160)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를 외부의 배관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결합너트(160)는 외부 배관과 나사결합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너트(160)는 전술한 패킹(141)에 의해서 외부 배관과 밀착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밀착링(150)은 후술할 유량조절유닛(200) 내지 차압조절유닛(300)이 상기 밸브바디(100)에 제공되는 경우에 밀착시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링(15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밀착링(150)은 오링(O-ring)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유닛(200)은 상기 배출구(120)로 이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량조절유닛(200)은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유량조절바(210), 밀폐체(220), 유량조절부(230), 유량조절탄성부재(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체(220)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유량조절홀(13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체(220)는 상기 유량조절홀(130)과 밀착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폐쇄할 수도 있으나, 상기 유량조절홀(13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유량조절홀(130)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폐체(220)의 경우에는 상기 유량조절바(210)의 일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체(220)는 상기 유량조절홀(130)과의 밀착시에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재질의 디스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유량조절바(210)는 일단부에는 밀폐체(220)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유량조절부(230)가 연결되어, 상기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밀폐체(220)와 상기 유량조절홀(130)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230)는 상기 유량조절바(2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폐체(220)와 상기 유량조절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조절부(230)는 수동버튼, 전동버튼, 열동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상기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유량조절탄성부재(240)는 상기 밀폐체(220)를 상기 유량조절홀(1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량조절부(230)가 제공하는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밀폐체(220)를 상기 유량조절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량조절탄성부재(240)는 상기 유량조절부(230)와 상기 밀폐체(2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a는 상기 유량조절홀(130)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상기 유량조절홀(130)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차압조절유닛(300)은 상기 유입구(110)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입압조절부(310), 상기 배출구(120)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출압조절부(321), 상기 유입구(110)의 유체와 배출구(120)의 유체의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차압세트부(330) 및 상기 차압세트부(330)의 상하이동을 지지토록, 상기 유량조절유닛(20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유량조절홀(130)과 상기 차압세트부(330)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세트부(34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지지세트부(340)는 상기 유량조절홀(13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구(341a)가 형성된 지지체(341) 및 상기 차압세트부(33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체(341)와 상기 차압세트부(330)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탄성부재(34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차압세트부(330)는 상기 유입서브경로(f2)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배출서브경로(f3)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유압막(331) 및 상기 유압막(331)에 연계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세트부(340)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세트부(340)가 삽입되는 일단부(332a)는 상기 지지세트부(3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제공되는 차압조절부재(332)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압조절유닛(300)은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에서의 유체의 압력 차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입압조절부(310), 배출압조절부(321), 차압세트부(330), 지지세트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입압조절부(310)는 상기 유입구(110)에 제공되어,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압조절부(321)는 상기 배출구(120)에 제공되어,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압조절부(310)와 상기 배출압조절부(321)는 나사에 의해, 상기 유입서브경로(f2) 내지 배출서브경로(f3)에서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압조절부(310)가 제공되는 유입구(110)의 유입서브경로(f2)와 상기 배출압조절부(321)가 제공되는 배출구(120)의 배출서브경로(f3)는 후술할 차압세트부(330)의 유압막(331)에 의해서 유압 밸런스를 조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압세트부(330)는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에서의 유압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압세트부(330)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유압막(331), 차압조절부재(332), 차압부재홀더(333)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압막(331)은 상기 유입압조절부(310)와 상기 배출압조절부(321)의 사이를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유입압조절부(310)에서의 유압과 상기 배출압조절부(321)에서의 유압에 따라서, 상하로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막(331)은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더 크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 더 크면 타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유압막(331)과 연결된 차압조절부재(33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후술할 지지세트부(340)와의 간격이 조정되어, 통과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압막(331)은 유압막캡(331a)에 의해서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압조절부재(332)는 상기 유압막(331)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며, 후술할 지지세트부(340)와 연계되어 메인경로(f1)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차압조절부재(332)는 전술한 유량조절유닛(200)에 의해서 유량이 조절되는 것과는 별개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에서의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유체의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차압조절부재(332)는 상기 유입압조절부(310)와 상기 배출압조절부(321)에 의해서 설정된 유체 압력의 차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된 유압 차에 따라서 상기 유압막(331)이 상하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세트부(340)와의 간격이 조절되어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차이 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유체의 이동량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의 유체 압력 차이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유입구(110)의 유체의 압력을 배출구(120)의 유체의 압력보다 더 높이고 싶으면,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와 상기 지지세트부(340)의 간격이 줄어들게 상기 차압조절부재(332)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경로(f1)로 이동하는 유체의 양은 줄어들게 되어, 배출구(120)에는 유입구(110)보다 유체의 양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유입구(110)의 유체의 압력이 배출구(120)의 유체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의 일단부(332a)는 상기 지지세트부(3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유체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서 메인경로(f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차압조절부재(332)가 상기 지지세트부(340)를 삽입할 수 있게 상기 지지세트부(340)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만 제공되면, 상기 유체 내의 이물질이 통과하면서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와 상기 지지세트부(340) 사이에 끼어서 고착되기 때문에,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의 일단부(332a)를 상기 지지세트부(34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압부재홀더(333)는 상기 차압조절부재(332)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압부재홀더(333)에는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에 형성될 수 있는 탭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세트부(340)는 상기 차압세트부(330)와 연계되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에서의 유압차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세트부(340)는 상기 차압세트부(330)의 상하이동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차압세트부(33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세트부(340)는 지지체(341), 지지탄성부재(34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41)는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에 삽입되게 제공되어, 상기 유량조절홀(130)을 통과한 유체가 배출구(120)로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341)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구(34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의 상하이동에 의해서,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탄성부재(342)는 상기 지지체(341)와 상기 차압세트부(330)의 차압조절부재(332)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차압조절부재(332)가 상기 유압막(331)에 의한 가압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지체(3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탄성부재(342)는 상기 차압조절부재(332)와 상기 지지체(341) 사이로 최대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최대 간격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230)가 수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230)가 열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복합정유량밸브에서 유량조절부(230)가 전동버튼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유량밸브의 상기 유량조절부(230)는 수동동작하는 수동버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버튼 또는 열팽창을 이용한 열동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조절부(230)가 상기 밀폐체(220)와 상기 유량조절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동버튼, 전동버튼, 열동버튼 등의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동버튼은 작업자가 수동버튼을 회전하여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하게 제공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동버튼은 지지캡(231)에 의해 지지되는 상하이동탭(232)을 상하로 이동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동버튼은 상기 상하이동탭(232)을 회전시켜 작동시키는 것 이외에, 상기 상하이동탭(232)을 눌러서 작동하는 방식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동버튼은 모터 등에 의해 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동버튼은 다이얼식의 전동버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비례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동버튼은 열동버튼 내의 유체의 열팽창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체(2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100: 밸브바디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유량조절홀
140: 메쉬부재 141: 패킹
150: 밀착링 160: 결합너트
200: 유량조절유닛 210: 유량조절바
220: 밀폐체 230: 유량조절부
231: 지지캡 232: 상하이동탭
240: 유량조절탄성부재 300: 차압조절유닛
310: 유입압조절부 321: 배출압조절부
330: 차압세트부 331: 유압막
332: 차압조절부재 333: 차압부재홀더
340: 지지세트부 341: 지지체
342: 지지탄성부재

Claims (7)

  1.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제공하는 밸브바디;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토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메인경로 상에 제공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유압차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상기 유입구의 유입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상기 배출구의 배출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메인경로 상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차압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차압조절유닛은,
    상기 유입구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입압조절부;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출압조절부;
    상기 유입구의 유체와 상기 배출구의 유체의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차압세트부; 및
    상기 차압세트부의 상하이동을 지지토록,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밸브바디의 유량조절홀과 상기 차압세트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세트부;
    를 포함하는 복합정유량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세트부는,
    상기 유량조절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구가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차압세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상기 차압세트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정유량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세트부는,
    상기 유입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배출서브경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유압막; 및
    상기 유압막에 연계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세트부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세트부가 삽입되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세트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차압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정유량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밸브바디의 유량조절홀을 개폐하는 밀폐체가 제공되는 유량조절바;
    상기 유량조절홀을 통과하는 유량을 설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바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유량조절부; 및
    상기 유량조절바에 연계되어 상기 유량조절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유량조절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정유량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수동동작하는 수동버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버튼 또는 열팽창을 이용한 열동버튼으로 제공되는 복합정유량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하나에 메쉬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정유량밸브.
KR1020130064233A 2013-06-04 2013-06-04 복합정유량밸브 KR10147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33A KR101471631B1 (ko) 2013-06-04 2013-06-04 복합정유량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33A KR101471631B1 (ko) 2013-06-04 2013-06-04 복합정유량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631B1 true KR101471631B1 (ko) 2014-12-11

Family

ID=5267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33A KR101471631B1 (ko) 2013-06-04 2013-06-04 복합정유량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6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15B1 (ko) * 2015-11-11 2016-09-06 (주)에이스투엠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1654613B1 (ko) * 2015-12-28 2016-09-06 (주)에이스투엠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1956546B1 (ko) 2017-09-08 2019-06-25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가변식 정유량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8563A (ja) * 2003-03-12 2004-10-07 Yokota Seisakusho:Kk 自動調整弁装置
KR101253666B1 (ko) * 2010-04-15 2013-04-11 송진한 유량 조절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8563A (ja) * 2003-03-12 2004-10-07 Yokota Seisakusho:Kk 自動調整弁装置
KR101253666B1 (ko) * 2010-04-15 2013-04-11 송진한 유량 조절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15B1 (ko) * 2015-11-11 2016-09-06 (주)에이스투엠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1654613B1 (ko) * 2015-12-28 2016-09-06 (주)에이스투엠 복합차압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세대 난방유량 조절시스템
KR101956546B1 (ko) 2017-09-08 2019-06-25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가변식 정유량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3124B (zh) 压力管理控制阀组件
KR100635107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장치
US85501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between set points
RU2008111645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ами в скважине
US82766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GB2446358A (en) Pressure regulation in remote zones
KR101471631B1 (ko) 복합정유량밸브
KR101401307B1 (ko) 복합 감압밸브
KR101040692B1 (ko) 차압정보를 이용한 비례유량조절시스템
KR101033847B1 (ko) 비례제어식 팽창수자동밸브를 이용한 팽창탱크시스템
KR100783370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20160074935A (ko)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KR100921663B1 (ko) 자동수압조절밸브
CN104534133B (zh) 一种定压稳流阻断器及高层供暖系统
KR101467890B1 (ko) 이젝터를 이용한 이물질 누설방지 기능을 갖춘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20160086180A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0421460B1 (ko)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KR20060131345A (ko) 헤더 및 밸브 일체형 난방용 온수 분배기
KR200287726Y1 (ko) 건축설비용 세대별 감압 밸브
KR100421461B1 (ko)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KR102120905B1 (ko) 정유량 밸브
RU2351748C2 (ru) Способ программно-регулируемого поддержания пластового давления в нефтедобыче
KR20100012792U (ko)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
RU2206116C2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KR200420616Y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