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75B1 -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275B1
KR101654275B1 KR1020140144128A KR20140144128A KR101654275B1 KR 101654275 B1 KR101654275 B1 KR 101654275B1 KR 1020140144128 A KR1020140144128 A KR 1020140144128A KR 20140144128 A KR20140144128 A KR 20140144128A KR 101654275 B1 KR101654275 B1 KR 10165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aterproof
members
wall
support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142A (ko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14014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2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방수구조를 건식공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미장 전의 슬래브(S) 위에 방수공간을 구획하면서 설치되며 높이와 상부면을 갖는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코너부재(200); 및, 방수시트를 절곡 또는 접은 것으로 다수개의 상기 직선부재(100)와 다수개의 상기 코너부재(200)가 이루는 방수공간에 설치되어 바닥면은 상기 슬래브(S) 상부에 설치되고 단부는 접혀 모서리(310)가 상기 직선부재(100)의 상부면과 상기 코너부재(2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방수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상기 직선부재(100)와 상기 코너부재(200)에는 다수개의 실링홈(110, 210)이 형성되어 실링재(400)가 상기 방수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홈(110, 210)에 체결되므로,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직선부재(100) 및 상기 코너부재(200)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방수유닛구조{the assembly waterproof unit structure}
본 발명은 건식공법으로 설치되는 방수시공구조와 이를 이용한 복합패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현장에서 시행하던 습식공법에서 벗어나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하므로 방수, 타일, 건식벽체공사 등을 조립식으로 한 번에 시행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모델링시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므로 경제성이 우수한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거주공간 내의 물사용공간에 방수공법으로 재래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으며, 상기 재래식공법은 (1) 시멘트액체방수, (2) 도막방수, (3) 시트방수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 시멘트액체방수는 사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슬래브상부 및 벽면에 시멘트액체방수공사를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호몰탈을 시공하여 마감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시멘트액체방수는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고 자체 신축력이 없기 때문에 모체의 거동을 추종하지 못하고 파단, 들뜸, 탈락이 쉽게 발생하며, 이를 위해 코너부, 배수관주위, 이질재가 만나는 곳에 별도의 도막방수 보강조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일련의 공정이 수회에 걸쳐 현장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며 동절기 시공이 불가능하고 누수라멘조, 무량판구조등에 적용되는 건식벽체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2) 도막방수는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 혼합한 것을 도포해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잡한 형상이나 방수층의 신축이 필요한 부분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균일한 두께의 도포가 곤란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정확한 혼합이 필요하며 고른 바탕면이 선행되어져 하고 동절기 시공이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건식벽체 시공시 슬래브면과 건식벽체면 사이에 누수가 우려되어 별도의 방수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추가적 공기 및 비용등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3) 시트방수는 방수시트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품이 규격화되어 두께가 균일하고 다소 신축성을 가진다.
그러나 누수시 국부적인 보수가 곤란하고 시트 상호간 이음부위 정밀시공이 필요하며 고른 바탕면이 요구되고 복잡한 시공부위의 작업이 곤란하고 온도에 민감하여 동절기 작업에 제한을 가지고 벽체부위는 온도에 의해 박리,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재래식 공법은 공통적으로 (ㄱ) 동절기 시공이 제한적이고 (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고 (ㄷ) 고른 바탕면이 요구되며 (ㄹ) 이질재 접합부위의 신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후속공정에서 방수층 훼손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건식공법으로 UBR(Unit Bathroom)의 방수판을 적용하고 있다.
UBR은 욕실의 바닥, 벽 및 천장자재를 공장생산하여 현장에서 단순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을 말한다. 상기 재래식공법에 비해서 공기가 빠르고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양호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UBR의 방수판은 규격화된 평면을 대량 공급함이 목적으로 적용되며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때마다 해당 평면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금형제작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그 제작기간도 오래 걸려 본래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살리지 못하고 있으며, 그 형상의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형화장실등에 적용하기 어렵고 연관공정인 설비,창호,벽체공사 등과의 공정간섭으로서 실제적 공기단축효과를 누리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더불어 종래의 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상가건물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비내력벽체의 구성은 보통 (1) 습식공법과 (2) 건식공법으로 나뉜다.
(1) 습식공법은 슬래브 상부에 공간을 구획하여 벽돌이나 블록 등을 쌓은 후 외면을 시멘트 몰탈로 미장하여 마감하는 습식 조적공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공법은 공사기간이 길고 하중이 무거워 구조강도 개선을 위한 공사비용이 증가되며 전선, 급수관, 배수관, 가스관 등의 매립된 배관의 보수 및 교체가 어렵고 입주자의 구조변경 요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2) 건식공법 증가되고 있다. 상기 건식공법은 크게 ①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식과 ② 공장에서 건식패널을 사전제작한 후 현장에서 단순히 조립설치하는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①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보드류를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이며, ② 공장 제작 후 현장에서 설치하는 방식은 ALC패널, 시멘트 압출성형패널, 경량콘크리트 패널, UBR 등을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보드류를 이용한 방식은 대부분의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 노임 등이 증가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ALC패널, 시멘트 압출성형패널, 경량콘크리트 패널 등을 공장제작 후 현장설치하는 방식은 공기절감 및 노임절감 등에서는 효과를 보이나 중량이 무겁고 방수를 요하는 공간의 경우에는 재료의 특성상 흡수율이 높아 방수층 상부의 습기로 인한 타일부착강도저하, 자재의 특성상 통줄눈으로 구성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축물의 거동에 따른 방수층 파괴, 바닥슬래브와 건식패널의 이질재의 접합부 사이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현장에서 타일마감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UBR의 경우 타일마감층까지 구비되어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마감 및 구조상 별도의 지지벽체가 필요하며, 상부슬라브까지 막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내화구조벽체로서 기능을 할 수 없고, 배관설비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지지 벽체(옹벽, 조적, 건식벽체)에서 일정 공간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중벽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벽체하중의 증가와 전용면적이 감소하는 단점과 방수층은 별도의 성형된 방수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개별 현장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대응이 어렵고 일반 건축 및 설비 기능공의 보수 및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 별도의 전용타일이 필요하여 선택에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습식공법에서 벗어나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부재를 단순 조립하면 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고 공기 및 공비의 절감효과가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내부마감재가 부착된 건식벽체를 현장에서 바로 시공하므로 마감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없어 습식공법에 비해 경제성이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욕실 등 방수공간과 거실공간, 세대와 세대간 구획하는 칸막이벽체로서의 기능을 겸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주요부재인 벽체와 방수부재의 해체와 재설치가 용이하여 리모델링이 용이하고 공간의 재구성이 가능한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방수구조를 건식공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미장 전의 슬래브(S) 위에 방수공간을 구획하면서 설치되며 높이와 상부면을 갖는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코너부재(200); 및, 방수시트를 절곡 또는 접은 것으로 다수개의 상기 직선부재(100)와 다수개의 상기 코너부재(200)가 이루는 방수공간에 설치되어 바닥면은 상기 슬래브(S) 상부에 설치되고 단부는 접혀 모서리(310)가 상기 직선부재(100)의 상부면과 상기 코너부재(2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방수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상기 직선부재(100)와 상기 코너부재(200)에는 다수개의 실링홈(110, 210)이 형성되어 실링재(400)가 상기 방수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홈(110, 210)에 체결되므로,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직선부재(100) 및 상기 코너부재(200)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종래의 습식공법에서 벗어나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한다.
둘째,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부재를 단순 조립하면 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고 공기 및 공비의 절감효과가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한다.
셋째, 내부마감재가 부착된 건식벽체를 현장에서 바로 시공하므로 마감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없어 습식공법에 비해 경제성이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한다.
넷째, 욕실 등 방수공간과 거실공간, 세대와 세대간 구획하는 칸막이벽체로서의 기능을 겸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은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한다.
다섯째, 주요부재인 벽체와 방수부재의 해체와 재설치가 용이하여 리모델링이 용이하고 공간의 재구성이 가능한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9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배수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건식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직선부재 및 코너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9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는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방수구조를 건식공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미장 전의 슬래브(S) 위에 방수공간을 구획하면서 설치되며 높이와 상부면을 갖는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코너부재(200); 및, 방수시트를 절곡 또는 접은 것으로 다수개의 상기 직선부재(100)와 다수개의 상기 코너부재(200)가 이루는 방수공간에 설치되어 바닥면은 상기 슬래브(S) 상부에 설치되고 단부는 접혀 모서리(310)가 상기 직선부재(100)의 상부면과 상기 코너부재(2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방수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부재(200)는 제외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욕실마감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지벽체 없이 단일벽구조로 상부슬라브까지 설치되어 물사용공간과 거실공간, 물사용공간과 물사용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체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방수공간을 구획한 후 다수개의 직선부재(100)를 먼저 설치하고 직선부재(100) 상호간을 코너부재(200)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떤 구조로도 할 수 있으나 상호 중첩되게 하는 것이 결합력 증대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부재(100)는 하부에 슬래브(S)에 지지될 받침대를 형성하고 상부에 방수포(300)가 거치될 상부면이 확보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를 직선으로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이 방수포(300) 설치 및 바닥미장 공정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부재(200)는 2개의 직선부재(100)가 교차하는 모서리에서 직선부재(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직선부재(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현장사정에 따라 2개의 직선부재(100)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부재(100) 및 상기 코너부재(200) 중 벽체(W)에 밀착하는 부분은 벽체연장판(120, 2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벽체연장판(120, 220) 상기 벽체(W)에 접착 또는 나사 등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W)는 주로 구조체로 사용되는 벽체를 말하나 현장에 따라서는 선설치된 벽체를 통칭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포(300)의 단부를 접어 올려 모서리(310)가 상기 직선부재(100)의 상부면과 상기 코너부재(200)의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방수포(3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포(300)는 방수시트를 재단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재단없이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현장에 따라 상기 방수포(300) 상부에 바닥미장을 하여 바닥미장재가 방수포(300)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바닥미장재가 방수포(300)를 누르는 구조에서는 방수포(300)의 재단없이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방수성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할 것이며 실링재(400) 설치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부재(100)와 상기 코너부재(200)에는 다수개의 실링홈(110, 210)이 형성되어 실링재(400)가 상기 방수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홈(110, 210)에 체결되므로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직선부재(100) 및 상기 코너부재(200)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직선부재 및 코너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홈(110, 210)은 공사현장사정에 따라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하여 형성된다.
도 5 내지 9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벽체(W) 상부 및 천장 어느 하나 이상에는 천장지지대(50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건식벽체(600)가 상단은 상기 천장지지대(500)에 하단은 상기 직선부재(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건식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건식벽체(6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프레임(610) 내외측에 각각 내벽지지판(620)과 외벽지지판(640)을 부착하고 상기 내벽지지판(620)에는 타일 등의 내부마감재(630)를 부착한다. 상기 내벽지지판(620)과 외벽지지판(640)은 일반 보드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단열 및 내화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 단열재 또는 내화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지지판(640) 상단에는 천장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프레임(650)이 설치된다. 상기 천장은 공사현장에 따라 상부슬래브 하부의 천장마감면이나 상부슬래브 하부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610) 하단은 도 6 및 7과 같이 상기 직선부재(100) 상부면에 거치되고 상기 내벽지지판(620)과 외벽지지판(640)의 하단이 상기 직선부재(100) 좌우면에 부착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도 11(b)는 상기 건식벽체(600)의 다른 실시예로써, 내벽지지판(620)과 외벽지지판(640) 사이에 내부채움재(610`)를 충진한 것이다. 상기 내부채움재(610`)는 건식벽체(600)에 중량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화 및 단열성능 그리고 방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량콘크리트혼합물이나 발포폴리스틸렌 등의 통상적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채움재(610`)는 판재 형식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액상 형태를 충진 내지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방수유닛구조에서 배수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는 도시된 개구부인 배수관(700)이 주로 설치되므로, 방수구조의 밀폐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배수관(700)과 방수포(300)의 연결구조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슬래브(S)에는 하부배수관(7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수관(720) 상단에는 하부지지날개(732)를 가진 내부배수관(730)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배수관(730) 외부에는 상부지지날개(712)를 가진 상부배수관(710)이 설치되어 배수관(700)을 이루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배수관(700)의 외주면에 맞추어 절단된 후 절단면이 상기 상부지지날개(712) 및 상기 하부지지날개(732)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맞물리는 부분은 실링재를 도포하거나 패킹을 체결하여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습식공법에서 벗어나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하며,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부재를 단순 조립하면 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고 공기 및 공비의 절감효과가 높으며, 내부마감재가 부착된 건식벽체를 현장에서 바로 시공하므로 마감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없어 습식공법에 비해 경제성이 높다. 또한 욕실 등 방수공간과 거실공간, 세대와 세대간 구획하는 칸막이벽체로서의 기능을 겸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으며, 주요부재인 벽체와 방수부재의 해체와 재설치가 용이하고 공간의 재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W: 벽체
S: 슬래브
100: 직선부재
110: 실링홈
120: 벽체연장판
200: 코너부재
210: 실링홈
220: 벽체연장판
300: 방수포
310: 모서리
400: 실링재
500: 천장지지대
600: 건식벽체
610: 프레임
610`: 내부채움재
620: 내벽지지판
620`: 보드판
630: 내부마감재
640: 외벽지지판
650: 상부프레임
700: 배수관
710; 상부배수관
712: 상부지지날개
720: 하부배수관
730: 내부배수관
732: 하부지지날개

Claims (9)

  1. 욕실 또는 발코니와 같이 바닥방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방수구조를 건식공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미장 전의 슬래브(S) 위에 상호간에 서로 연결되어 방수공간을 구획하면서 설치되며 높이와 상부면을 갖는 다수개의 직선부재(100); 및,
    방수시트를 절곡 또는 접은 것으로 다수개의 상기 직선부재(100)가 이루는 방수공간에 설치되어 바닥면은 상기 슬래브(S) 상부에 설치되고 단부는 접혀 모서리(310)가 상기 직선부재(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방수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건식공법으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선부재(100)에는 다수개의 실링홈(110)이 형성되어 실링재(400)가 상기 방수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홈(110)에 체결되므로,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직선부재(100)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다수개의 상기 직선부재(100)에서 벽체(W)에 밀착하는 부분은 벽체연장판(1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벽체연장판(120) 상기 벽체(W)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4. 제1항에서,
    천장에는 천장지지대(50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건식벽체(600)가 상단은 상기 천장지지대(500)에 하단은 상기 직선부재(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5. 제3항에서,
    상기 벽체(W) 상부 및 천장에는 천장지지대(50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건식벽체(600)가 상단은 상기 천장지지대(500)에 하단은 상기 직선부재(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슬래브(S)에는 하부배수관(7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수관(720) 상단에는 하부지지날개(732)를 가진 내부배수관(730)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배수관(730) 외부에는 상부지지날개(712)를 가진 상부배수관(710)이 설치되어 배수관(700)을 이루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배수관(700)의 외주면에 맞추어 절단된 후 절단면이 상기 상부지지날개(712) 및 상기 하부지지날개(732)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7. 제3항에서,
    상기 슬래브(S)에는 하부배수관(7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수관(720) 상단에는 하부지지날개(732)를 가진 내부배수관(730)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배수관(730) 외부에는 상부지지날개(712)를 가진 상부배수관(710)이 설치되어 배수관(700)을 이루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배수관(700)의 외주면에 맞추어 절단된 후 절단면이 상기 상부지지날개(712) 및 상기 하부지지날개(732)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8. 제4항에서,
    상기 슬래브(S)에는 하부배수관(7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수관(720) 상단에는 하부지지날개(732)를 가진 내부배수관(730)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배수관(730) 외부에는 상부지지날개(712)를 가진 상부배수관(710)이 설치되어 배수관(700)을 이루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배수관(700)의 외주면에 맞추어 절단된 후 절단면이 상기 상부지지날개(712) 및 상기 하부지지날개(732)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9. 제5항에서,
    상기 슬래브(S)에는 하부배수관(7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수관(720) 상단에는 하부지지날개(732)를 가진 내부배수관(730)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배수관(730) 외부에는 상부지지날개(712)를 가진 상부배수관(710)이 설치되어 배수관(700)을 이루되,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배수관(700)의 외주면에 맞추어 절단된 후 절단면이 상기 상부지지날개(712) 및 상기 하부지지날개(732)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KR1020140144128A 2014-10-23 2014-10-23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KR10165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28A KR101654275B1 (ko) 2014-10-23 2014-10-23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28A KR101654275B1 (ko) 2014-10-23 2014-10-23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704A Division KR101479031B1 (ko) 2013-10-10 2013-10-10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42A KR20150042142A (ko) 2015-04-20
KR101654275B1 true KR101654275B1 (ko) 2016-09-05

Family

ID=5303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28A KR101654275B1 (ko) 2014-10-23 2014-10-23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56B1 (ko) * 2015-12-09 2016-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272B2 (ja) * 1990-04-13 1999-11-0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庇状部用防水パン
KR101024963B1 (ko) 2010-08-20 2011-03-25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마감패널이 내재된 외벽 일체화 시공용 빌드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22A (ko) * 1999-11-05 2000-02-07 여명환 레인지 후드 전천후 자동 제어장치
KR100865483B1 (ko) * 2007-03-21 2008-10-27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272B2 (ja) * 1990-04-13 1999-11-0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庇状部用防水パン
KR101024963B1 (ko) 2010-08-20 2011-03-25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마감패널이 내재된 외벽 일체화 시공용 빌드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42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8342B (zh) 具有粘合到绝缘物的至少一个固化胶结层的预制绝缘建筑面板
US20180245347A1 (en) Insulating Panel for Stucco Exterior
EP2422025B1 (en) Thermal isolation and facade finishing panel, it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processes
EA020575B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зд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панелей
CN110106993A (zh) 装配式建筑预制剪力墙竖向防开裂、防水结构及施工方法
KR101335243B1 (ko)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RU2538573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быстровозводимого здания
KR101654275B1 (ko)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CN211523508U (zh) 一种用于住宅保温一体板外墙保温节点
JP2018003298A (ja) 建物の断熱構造、その建物の施工方法
KR101479031B1 (ko) 조립식 방수유닛구조
Straube et al. High Perform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Enclosures: Rain Control
JP4488371B2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体の製造法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AU2018100127A4 (en) Improved insulated building section
JPS5947784B2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における外壁の構造
US10633859B2 (en) Building element of mineral wool and fiber-reinforced plastic
KR100407870B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KR20130061340A (ko) 기밀성이 보강된 벽체
CN214615662U (zh) 一种整体装配式防水淋浴房
GB2469389A (en) A prefabricated insulation panel with a double layer render coating
JP5924512B1 (ja) 気密構造
KR200228546Y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CN112664006A (zh) 一种整体装配式防水淋浴房
EP3177780A1 (en) A wall panel embod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