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84B1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84B1
KR101653484B1 KR1020150016567A KR20150016567A KR101653484B1 KR 101653484 B1 KR101653484 B1 KR 101653484B1 KR 1020150016567 A KR1020150016567 A KR 1020150016567A KR 20150016567 A KR20150016567 A KR 20150016567A KR 101653484 B1 KR101653484 B1 KR 10165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mart device
leveling
scree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372A (ko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준측량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서 제공되는 스타프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고 측정값을 저장시키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준측량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서 제공되는 스타프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면서 측정값을 스마트기기에 저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수준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와 누구나 쉽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중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auto leveling device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준측량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서 제공되는 스타프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고 측정값을 저장시키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설공사(토목,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측량이 먼저 이루어진다.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 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이 중에서 수준(level) 측량은 특정 점의 고저 차를 관측하는 것을 말하며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수준측량에는 표척(스타프, staff)과 표척을 확인하기 위한 수준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직접고저측량이있다.
이러한 수준측량은 일반적으로 기준점으로부터 목표점까지 하나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경로 상에 N개의 중간점을 설정한 후, 표척(스타프)과 수준측량장치를 이동하며 각각의 지점을 측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종래의 자동 레벨 수준측량 장치의 경우에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가에 형성되어 있어 도입 비용에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구체적으로 수준 측량 장치의 경우에는 자동레벨과 디지털레벨이 있으며, 자동 레벨의 경우에는 소모성 장치로서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면 수리보다는 새롭게 구매하는 경향이 있어 신규 도입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351070호(2014.01.07)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준측량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서 제공되는 스타프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면서 측정값을 스마트기기에 저장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기기와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거치대 구조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삼각대(20)와 수평조절수단(30) 및 오토레벨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오토레벨기의 외면을 감싸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 스마트기기거치대(8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출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대결합수단(500)과;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렌즈를 통해 제공된 일정 지점에 배치되는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9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20)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기기거치대(8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준측량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서 제공되는 스타프 이미지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면서 측정값을 스마트기기에 저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수준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와 누구나 쉽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중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스마트기기거치대의 고정수단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수단에 결합부가 위치한 상태도이며, 도 4는 스마트기기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수준측량어플의 블록도이다.
도 6은 프로젝트명 입력 페이지 예시이며, 도 7은 정준 화면 예시이며, 도 8a 내지 도 8b는 스타프 값 측량 화면 예시이며, 도 9는 지반고 입력 페이지 예시이며, 도 10은 전시 입력 화면 예시이며, 도 11은 후시 입력 화면 예시이며, 도 12는 종료 확인 화면 예시이며, 도 13은 레포트 출력 화면 예시이며, 도 14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스타프 이미지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삼각대(20)와 수평조절수단(30) 및 오토레벨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10)에 스마트기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성과 간편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는 거치대결합수단(500)과, 스마트기기거치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결합수단(500)은 오토레벨기의 외면을 감싸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는데, 종래의 오토레벨기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ㄷ'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결합 과정은 오토레벨기의 측면에서 밀어 넣어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어느 일측에 스마트기기거치대(8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출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결합수단(500)은 하측에 오토레벨기의 하면에 접촉되기 위한 하면접촉부(520)를 수직면에 연이어 형성하여 오토레벨기로부터 외력에 의해 쉽게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에는 오토레벨기의 렌즈부에 스타프 이미지가 촬상되도록 형성되는 촬상홀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스마트기기거치대의 고정수단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수단에 결합부가 위치한 상태도이며, 도 4는 스마트기기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거치대(800)는 결합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렌즈를 통해 제공된 일정 지점에 배치되는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9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20)이 형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스마트기기거치대(800)는 고정수단(820)과; 결합부(810)와; 결합볼트(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820)은, 제1고정부(821)와, 제2고정부(8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821)는 일측에 스마트기기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측면돌출부(822)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에 제2고정부의 이동홀(827)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823)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이동홀을 따라 좌우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스마트기기마다 그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사이즈별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볼트(850)가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결합홈(82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825)는 스마트기기의 타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측면돌출부(826)가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 결합돌출부가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827)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이동홀의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결합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810)는 원형부(815)와, 수평부(816)와, 결합부이동홀(8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부(81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51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나사홈부(811)를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원형부의 중앙 부위에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멍부(812)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구멍부 대신에 투명재질로 마감을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투명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평부(816)를 원형부에 연이어 수평하게 형성하게 되며, 결합부이동홀(813)을 수평부의 중앙 부위에 길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스마트기기의 높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므로 결합부이동홀이 길게 형성되어 있기에 결합볼트를 고정 결합하기 전에 위치를 맞춘 후 결합볼트를 돌려 결합시키게 되면 고정수단에 결합부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결합볼트(850)는 결합부이동홀을 관통하여 제1고정부결합홈(82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820)에 결합부(810)를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900)는 렌즈를 통해 제공된 일정 지점에 배치되는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카메라를 통해 포착된 스타프의 눈금이 정준(수평)을 유지한 것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들은 오토레벨 수준측량장치의 일부에 수준기용 수포부를 구성하여 정준(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스마트기기에 적용하게 되면, 편리하게 현재 카메라에 잡히는 스타프가 정준(수평)을 유지하는 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의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수준측량어플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준측량 어플을 탑재한 스마트기기(900)는, 수준측량어플제공서버로부터 수준측량어플을 다운로드받아 설치 구성하게 된다.
수준측량어플(100)은, 프로젝트입력화면제공부(110)와, 정준화면제공부(120)와, 지반고입력페이지제공부(130)와, 후시입력페이지제공부(140)와, 전시입력페이지제공부(150)와, 종료확인페이지제공부(160)와, 입력값획득부(170)와, 메모리부(180)와, 레포트출력정보생성부(19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프로젝트입력화면제공부(1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입력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입력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입력페이지에 입력된 정보들을 일반적으로 중앙제어부의 처리에 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정준화면제공부(1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정준(수평) 조절을 위한 정준 화면을 제공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센서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정준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준화면을 정준계라 정의할 수 있는데, 정준계를 초기화시켜 센서의 오차를 보정하여야 정확한 측정값이 입력될 수 있다.
즉, 정준계 초기화 기능은 정준화면에서 스마트폰(스마트기기)을 수평바닥에 내려놓고 정준 화면에 제공된 set 버튼을 누르게 되면 초기화되게 되는데, 이는 스마트폰마다 발생할 수 있는 센서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준계는 0.1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정준시 알림음을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오토레벨기에는 정준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30)을 구성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눈으로 정준하기 때문에 정준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준화면을 스마트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고입력페이지제공부(13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스타프 화면 상에 지반고 입력 아이콘인 'GH'를 생성하게 되며, 정준 화면에는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 수포 화면(125a)과, 수직을 맞추기 위한 수직 수포 화면(125b)과, 정준 위치 화면(125c)과, 현재 위치화면(125d)을 포함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정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수직과 수평을 맞추게 된다.
이때, 해당 아이콘(GH)을 선택할 경우에 도 9에 도시한 지반고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스타프에 표시된 숫자를 작업자가 읽고 이를 해당 값란에 기재하게 되는데, 해당값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계산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모란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기재하기를 원하는 내용을 기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해당 아이콘(GH)를 클릭할 경우에 중앙제어부에서는 해당 스타프 화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 과정은 전시 입력, 후시 입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게 된다.
상기 전시입력페이지제공부(15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시 입력이 완료되면, 스타프 화면 상에 전시 입력 아이콘(FS)을 생성하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이기점(TP) 혹은 중간점(IP)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 포함된 전시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중간점을 선택한 후, 해당 값을 입력하게 되며, 메모란에 메모 내용을 입력하게 되고, 확인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정보들이 메모리부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후시입력페이지제공부(14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고 입력이 완료되면, 스타프 화면 상에 후시 입력 아이콘(BS)을 생성하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후시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해당값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게 되면 입력된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지반고 입력이 완료되거나, 전시 입력이 완료되거나, 후시 입력이 완료될 경우에 다음 입력 화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입력 과정을 한 싸이클로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료확인페이지제공부(160)를 통해 전시(이기점)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프로젝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종료 확인 페이지 상에 그만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의 수준측량이 완료되는 것이며, 계속을 선택하게 되면 후시 입력 페이지부터 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중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값획득부(170)에서는 상기 입력된 지반고 입력값, 전시 입력값, 후시 입력값을 획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180)는 입력값획득부에서 제공한 입력값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입력값을 작업자에게 일목요연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레포트 페이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레포트출력정보생성부(19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입력값을 획득하여 상기 레포트 페이지 상에 획득된 입력값을 매칭시켜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도 13을 예를 들자면, 프로젝트(스테이션)2의 경우에 중간점-3.219 , 지반고-24.092가 입력되었다.
한편, 부수적인 구성으로 스마트폰의 경우에 위치 추적이 가능하므로 지도보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성하게 되면 해당 버튼을 클릭시, 측정된 각 측점과 높이를 표시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고 스타프 이미지, 전시 스타프 이미지, 후시 스타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폴더를 작업자가 확인하게 되면, 실제 촬영된 일시와 이미지를 보고, 추후 측정된 측량값이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오토레벨기에서는 단지 스타프를 측정하고 나면 추후에 이를 검증할 방법이 없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스타프 이미지와 측정값들이 저장되기 때문에 추후 검증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500 : 거치대결합수단
800 : 스마트기기거치대
900 : 스마트기기

Claims (10)

  1. 삼각대(20)와 수평조절수단(30) 및 오토레벨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10)에 있어서,
    오토레벨기의 외면을 감싸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 스마트기기거치대(8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출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대결합수단(500)과;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렌즈를 통해 제공된 일정 지점에 배치되는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기기(9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20)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기기거치대(800)와;
    지반고 입력, 전시 입력, 후시 입력을 수행하여 해당 입력값을 저장할 수 있는 수준측량어플(100);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결합수단(500)은,
    하측에 오토레벨기의 하면에 접촉되기 위한 하면접촉부(520)와,
    전면에 오토레벨기의 렌즈부에 스타프 이미지가 촬상되도록 형성되는 촬상홀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거치대(800)는,
    스마트기기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측면돌출부(822)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이동홀(827)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823)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볼트(850)가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결합홈(824)이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부(821)와,
    스마트기기의 타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측면돌출부(826)가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 결합돌출부가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827)이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부(8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수단(820)과;
    렌즈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부(7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나사홈부(811)와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스타프의 눈금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멍부(8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형부(815)와,
    상기 원형부에 연이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816)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 부위에 길게 형성되는 결합부이동홀(8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810)와;
    상기 결합부이동홀을 관통하여 제1고정부결합홈(82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820)에 결합부(81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볼트(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정준(수평) 조절을 위한 정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정준화면제공부(120)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스타프 화면 상에 지반고 입력 아이콘을 생성하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지반고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지반고입력페이지제공부(130)와,
    상기 지반고 입력이 완료되면, 스타프 화면 상에 후시 입력 아이콘을 생성하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후시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후시입력페이지제공부(140)와,
    상기 후시 입력이 완료되면, 스타프 화면 상에 전시 입력 아이콘을 생성하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이기점 혹은 중간점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 포함된 전시 입력값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시입력페이지제공부(150)와,
    상기 전시(이기점)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프로젝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종료확인페이지제공부(160)와,
    상기 지반고 입력값, 전시 입력값, 후시 입력값과 레포트 페이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80)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입력값을 획득하며, 상기 레포트 페이지 상에 획득된 입력값을 매칭시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레포트출력정보생성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준측량어플(100);을 탑재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지반고 입력시 촬영된 스타프 이미지, 후시 입력시 촬영된 스타프 이미지, 전시 입력시 촬영된 스타프 이미지를 저장하며,

    상기 정준 화면에는,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 기포관 화면(125a)과,
    수직을 맞추기 위한 수직 기포관 화면(125b)과,
    정준 위치 화면(125c)과,
    현재 위치화면(125d)과,
    정준계를 초기화 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0.1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정준시 알림음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며,

    지반고 입력값 페이지, 전시 입력값 페이지 및 후시 입력값 페이지는,
    계산기 화면과 메모란을 제공하며,

    상기 수준측량 어플을 탑재한 스마트폰은,
    지도보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성하며,
    상기 해당 버튼을 클릭시, 측정된 각 측점과 높이를 지도 위에 표시하며,

    지반고 입력이 완료되거나, 전시 입력이 완료되거나, 후시 입력이 완료될 경우,
    다음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입력 과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상기 종료확인페이지제공부(160)를 통해,
    제공되는 종료 확인 페이지 상에 계속을 선택하게 되면 후시 입력 페이지부터 다시 시작되며,
    제공되는 종료 확인 페이지 상에 그만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의 수준측량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16567A 2015-02-03 2015-02-03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KR10165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67A KR101653484B1 (ko) 2015-02-03 2015-02-03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67A KR101653484B1 (ko) 2015-02-03 2015-02-03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72A KR20160095372A (ko) 2016-08-11
KR101653484B1 true KR101653484B1 (ko) 2016-09-01

Family

ID=5671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567A KR101653484B1 (ko) 2015-02-03 2015-02-03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270A (ko) *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물과환경 수자원 계측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71B1 (ko) * 2020-07-16 2020-12-08 박용식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를 결합한 측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00B1 (ko) * 2006-10-31 2007-05-3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관측도 자동 작도를 이용한국가수준기준점측량 결과 분석방법
KR101000949B1 (ko) * 2010-04-20 2010-12-13 (주)라이브라컨설턴트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83B1 (ko) * 2009-10-26 2011-11-30 이양재 다용도 측량기
KR101349347B1 (ko) * 2012-05-22 2014-01-20 에이알비전 (주) 증강현실을 위한 스마트폰 자이로센서 기반의 정면객체 생성시스템 및 방법
KR101351070B1 (ko) 2013-08-27 2014-01-14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국가수준점을 기초로 한 지표면의 표고 측량 전용 수준 측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00B1 (ko) * 2006-10-31 2007-05-3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관측도 자동 작도를 이용한국가수준기준점측량 결과 분석방법
KR101000949B1 (ko) * 2010-04-20 2010-12-13 (주)라이브라컨설턴트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270A (ko) *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물과환경 수자원 계측 관리 시스템
KR102428683B1 (ko) 2020-05-12 2022-08-03 주식회사 물과환경 수자원 계측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72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9157B2 (ja) 3次元測量システム及び電子的記憶媒体
US8629905B2 (en) Localization of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US9752863B2 (en) Calibration method for a device having a scan function
CN102980556B (zh) 一种测距方法及装置
US9146106B2 (en) Laser receiver using a smart device
US11835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survey points
CN101101209B (zh) 测量装置
CN105122000A (zh) 具有校准电子十字光标的显示图像位置的功能的测量装置
WO2005017644A2 (ja) 3次元測量装置及び電子的記憶媒体
US20070257836A1 (en) Site survey tracking
WO2019151292A1 (ja) 測量装置
CN105606076A (zh) 大地测量系统
KR101653484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오토 레벨 수준 측량장치
JP5007885B2 (ja) 3次元測量システム及び電子的記憶媒体
JP2018013343A (ja) 測量補助装置
JP6249199B1 (ja) 芯座標計測装置及び芯座標計測方法
CN104931021A (zh) 一种基于近景摄影测量的裂缝多参数观测装置
JP6431995B2 (ja) 改良型ポータブルプリズム受信装置及び改良型ポータブルgps受信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測量方法
KR101687251B1 (ko)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의 결합을 통한 측량장치
KR101655013B1 (ko) 수준측량 어플을 탑재한 스마트폰
KR101214087B1 (ko)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점 측정장치
JP2002344963A (ja) 撮影情報付加装置
El-Ashmawy Using smart phones for deformations measurements of structures
KR101646201B1 (ko) 스타프 컬러 바코드를 구비한 수준측량용 스타프 장치 및 스타프 컬러 바코드를 분석하여 수준측량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시스템
KR101665966B1 (ko) 스마트 수준 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