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554B1 -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554B1
KR101652554B1 KR1020117019656A KR20117019656A KR101652554B1 KR 101652554 B1 KR101652554 B1 KR 101652554B1 KR 1020117019656 A KR1020117019656 A KR 1020117019656A KR 20117019656 A KR20117019656 A KR 20117019656A KR 101652554 B1 KR101652554 B1 KR 10165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exhaust gas
gas flow
closed position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188A (ko
Inventor
퀸 아브람
로빈 윌래츠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363,901 external-priority patent/US8201401B2/en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11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5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having means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exhaust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차량 배기 시스템을 위한 수동 밸브 조립체는, 배기 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 구성요소와, 배기 가스 유로 내에 위치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베인은 초기 시작 위치에 위치되며, 최소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와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시작 위치는 폐쇄 위치에 대하여 음의 각도로 배향된다.

Description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PASSIVE VALVE ASSEMBLY WITH NEGATIVE START ANGLE}
본 발명은 차량 배기 시스템의 수동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플러터를 줄이도록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기 시스템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연소 엔진과 함께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배기 시스템은 엔진에서 나온 고온 배기 가스를 머플러, 공진기 등과 같은 다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로 이송하는 배기관을 포함한다. 머플러와 공진기는 배기 가스에 의해 전달되는 음파를 소멸시키는 음향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종종 크기가 비교적 매우 크고 소음 감쇠가 제한된다.
머플러 체적을 증가시키거나 배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주파수 소음 감쇠를 개선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머플러 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비용, 재료 및 패키징 공간 면에서 불리하다. 배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엔진 출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저주파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른 해결책은 수동 밸브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의 수동 스로틀링 밸브 구성에 있어서의 한가지 단점은 "플러터"라고 하는 현상이다. 밸브 플러터(flutter)는, 수동 밸브가 개방되기 시작할 때, 즉 완전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압력 변화(압력 펄스)와 관련된다.
수동 밸브는, 배기 파이프 내에 위치되는 플래퍼(flapper) 밸브체 또는 베인(vane)을 포함하며, 이때 베인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다. 폐쇄 위치는, 밸브체가 배기 가스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향되는 밸브에 대한 시작 위치를 포함한다. 수동 밸브는 폐쇄 위치를 향해 스프링 압박되고, 밸브에 대한 지지/폐쇄 위치를 규정하는 밸브 상부를 포함한다. 배기 가스 압력이 이러한 스프링 압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 베인은 개방 위치를 향해 피봇된다.
밸브가 개방될 때 밸브의 개방에 기여하는 압력이 줄어드는 경우에 밸브 플러터가 초래된다. 압력의 감소는 밸브 개방력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고, 스프링 압박력이 밸브를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후속하는 압력 펄스(후속하여 압력의 감소가 뒤따르는 압력의 증가)로 인해, 플래퍼 밸브체는 압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개방되기 시작하고, 즉시 압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폐쇄 이동이 후속한다. 엔진이 예컨대 저속으로 작동할 때와 같이 이러한 일련의 압력 펄스가 발생될 때, 밸브 "플러터"는 개방과 폐쇄 사이에서 왔다갔다 한다. 이것은, 각각의 폐쇄 이동 중에 플래퍼 밸브체가 밸브 정지부에 충돌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충돌 이벤트는 밸브체에 대한 조기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플러터를 줄이고, 이에 따라 밸브체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배기 시스템을 위한 수동 밸브 조립체는, 밸브 플러터의 영향을 줄이도록 음의 시작 각도로 배향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수동 밸브 조립체는, 배기 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수동 밸브 조립체는 배기 가스 유로 내에서 초기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베인은 최소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와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시작 위치는 폐쇄 위치에 대하여 음의 각도로 배향된다.
일례에서, 배기 가스 흐름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이 형성된다. 베인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직면과 동일한 높이이며,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수직면에 대해 양의 각도로 배향된다. 베인은, 시작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수직면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된다.
일례에서, 음의 각도는 3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로 정해진다. 적어도 3도의 음의 각도가, 다양한 구성요소의 공차 누적(tolerance stack-up)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수직 시작 위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되는 도면과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플러터를 줄이고, 이에 따라 밸브체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배기 구성요소와 수동 밸브 조립체의 일례에 관한 사시도.
도 2a는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베인을 위한 정지부를 구비하는 배기 구성요소의 측면도.
도 2b는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베일을 위한 정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배기 구성요소의 측면도.
도 3은 배기 시스템 내의, 도 1의 배기 구성요소와 수동 밸브 조립체의 개략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 또는 배기 파이프(10)와 같은 배기 구성요소는 수동 밸브 조립체(12)라고도 하는 배기 스로틀링 밸브를 포함한다. 수동 밸브 조립체(12)는, 배기 가스 유로(16)를 최소로 차단하는 개방 위치와 배기 가스 유로(16)의 최대 부분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수동 밸브 조립체(12)는 폐쇄 위치를 향해 탄성 압박되고, 배기 가스 흐름이 압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생성할 때에만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도시된 예에서, 배기 파이프(10)는 배기 가스 유로(16)를 형성하는 단일 파이프 본체(14)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파이프 본체(14)는 외측 곡면(14a)과 배기 가스 유로(16)를 형성하는 내측 곡면(14b)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파이프 본체(14)는 원형 단면을 갖지만, 파이프 본체는 차량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패키징 공간 제약에 따라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수동 밸브 조립체(12)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배기 가스 유로(16)의 최대 부분을 차단하는 밸브체 또는 베인(18)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인(18)은, 배기 가스에 의해 베인(18)에 인가되는 압력에 응답하여 배기 가스 유로(16)의 차단을 최소로 하는 개방 위치를 향해 피봇된다.
일례에서, 베인(18)은 도 1에서 22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연결 아암에 의해 샤프트(20)에 고정된다. 파이프 본체(14)의 외측 곡면(14a) 내에는 슬롯(24)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 정사각형 금속 구조체로 제시된 하우징(26)이 이 슬롯(24) 내에 수용되며, 파이프 본체(14)에 용접된다. 다른 하우징 구성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20)가 제1 부싱 또는 베어링(28)과 제2 부싱 또는 베어링(30)에 의해 하우징(2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부싱(28)은 일반적으로 제1 샤프트 단부(32)에 위치된다. 제1 부싱(28)은 제1 샤프트 단부(32)를 위한 시일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샤프트(20)는, 제1 칼라(36)와 제2 칼라(38)를 갖는 샤프트 본체(34)를 포함한다. 제1 부싱(28)은, 제1 칼라(36)가 제1 부싱(28)의 단부면에 직접 맞닿아 시일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도록 제1 샤프트 단부(32)를 수용하는 제1 보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배기 가스는 샤프트(20)와 제1 부싱(28) 사이의 경로를 따라 제1 부싱(28)으로부터 누설될 수 없다.
제2 부싱(30)은 샤프트 본체(34)가 제1 샤프트 단부(40)로 연장되는 제2 보어를 포함한다. 제2 칼라(38)는 제2 부싱(30)의 축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샤프트(20)는 제2 부싱(30)에 대해 축방향 외측 위치로 제2 보어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예컨대 스프링(42)과 같은 탄성 부재가 스프링 리테이너(44)에 의해 제2 샤프트 단부(40)에 커플링된다. 스프링 리테이너(44)는 하우징(26)에 고정되는 제1 리테이너 부재(46)와 제2 샤프트 단부(40)에 고정되는 제2 리테이너 부재(48)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단부(50)는 제1 리테이너 부재(46)를 통해 하우징(26)에 결합되고, 제2 스프링 단부[스프링 리테이너(44)로 인해 도 1에서는 볼 수 없음]는 제2 리테이너 부재(48)를 통해 샤프트(20)와 결합된다.
베인(18)은, 연결 아암(22)에 의해 샤프트(20)에 커플링되는 제1 부분(62)을 포함하는, 예컨대 디스크형 본체와 같은 본체 구조(60)를 포함한다. 본체 구조(60)는 제1 부분(62)으로부터 원위 팁(64)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원위 팁(64)은 회전축(A)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본체 구조(60)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디스크형 본체는 원형 디스크로 이루어지지만, 디스크형 본체는 임의의 타입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베인(18)의 외측 둘레(80)는 배기 구성요소의 내벽면(82)에 의해 형성된 윤곽 및 크기와 형상에 꼭 들어맞아야만 한다. 이에 따라, 베인(1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거의 모든 배기 가스 흐름이 차단된다.
일례에서, 정지부(66)가 파이프 본체(14)에 의해 지지되고, 배기 가스 유로(16) 내에 위치된다. 정지부(66)는 베인(18)을 위한 휴지 또는 시작 위치를 규정한다. 시작 위치는 폐쇄 위치와 상이하며, 이때 베인(18)의 시작 위치는 폐쇄 위치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된다(도 2a 참고). 스프링(42)이 개방 위치에서 시작 위치로 베인(18)을 복귀시킬 때, 베인(18)의 팁(64)은 정지부(66)와 맞물린다. 배기 가스 흐름이 스프링(42)의 압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 베인(18)은 시작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충분한 압력이 유지되면 폐쇄 위치를 지나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베인(18)이, 시작 위치에서의 베인의 음의 각도 배향으로 인해 베인이 베인 플러터링 이동을 나타내도록 하는 압력 펄스의 영향을 받으면, 플러터링 이동은 베인(18)과 정지부(66) 간의 접촉을 초래하는 일 없이 수직 폐쇄 위치 둘레에서 센터링된다. 이것은 베인(18)에 대한 마모와 소음을 줄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구성요소는 배기 가스 흐름 방향(E)에 상응하는 파이프 중심선(CL)과 수직한 수직면(P)을 형성한다. 베인(18)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직면(P)과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수직면(P)에 대해 양의 각도(A1)로 배향된다. 베인(18)은, 시작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수직면(P)에 대해 음의 각도(A2)로 배향된다. 이에 따라, 베인(1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인(18)은 배기 가스 흐름에 수직하고, 베인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인(18)은 일반적으로 배기 가스 흐름과 평행하다.
시작 위치에서의 음의 각도(A2)는 적어도 3도이다. 이것은 다양한 구성요소의 공차 누적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수직 시작 위치를 방지한다. 일례에서, 음의 각도(A2)는 3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66)는 베인(18)의 상류에 위치되어 시작 위치를 정한다. 이와 같이, 베인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정지부(66)의 정지면(70)은 베인(18)으로부터 이격된다. 정지부(66)의 이러한 위치로 인해, 밸브는 정지부(66)와 접촉하는 일 없이,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및 마모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플러터링 이동을 나타내게 된다. 선택적으로, 베인이 정지부(66)와 접촉할 때 충돌 소음을 더 줄이기 위해 탄성 패드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부재와 같은 컴플라이언트 부재(compliant member)(72)가 정지면(7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인(18)이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배기 가스 흐름이 증가되는 경우에 스프링(42)은 베인(18)을 시작 위치를 향해 압박한다. 정지부(66)는 음의 시작 각도 위치를 정할 수 있으며, 정지부(66)는 또한 베인(18)이 너무 멀리 후방으로 스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터(limite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스프링(42)은, 정지부가 음의 시작 각도를 정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프링(42)은 베인(18)을 압박하고 음의 시작 각도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배기 가스 흐름이 충분한 레벨로 증가할 때, 베인(18)은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폐쇄 위치를 통과한 후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배기 가스 압력이 스프링(42)의 압박력 아래의 레벨로 감소할 때, 스프링은 베인을 음의 시작 각도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고, 베인(18)을 이 시작 위치에 유지한다.
도 2b에 제시된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한가지 장점은 정지부가 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소음과 비용을 더 줄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예컨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엔진이 증가된 회수의 시작 정지를 갖는 차량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베인이 시작 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 정지부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임의의 소음이 이제는 제거된다.
전술한 해당 수동 밸브 조립체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시스템(90) 내에서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시스템(90)은 배기 가스를 엔진(92)으로부터 다양한 배기관 또는 배기 파이프(94)를 거쳐, 머플러, 공진기, 컨버터, 바이패스 등과 같은 다양한 배기 구성요소를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수동 밸브 조립체(12)는 저주파수 소음을 감쇠시키는 데 필요하다면 이러한 파이프(94)와 구성요소(96)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인(18)의 음의 시작 각도는 소음과 마모를 줄인다. 상기 베인(18)의 초기 개방 거동으로 인해, 흐름 단면적이 감소되고, 이는 베인(18) 상류의 압력의 상승을 유발하며, 이에 따라 플러터를 유발하는 압력 손실을 방지한다. 베인(18)이 파이프 중심선[수직면(P)과 동일한 높이임]에 수직한 위치를 통과할 때, 흐름 단면적은 증가한다. 이것은, 부분 개방 위치 둘레의 임의의 진동이 임의의 다른 배기 구성요소 구조와의 접촉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개방 시점에서는 허용 가능한 거동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소정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후속하는 청구 범위가 본 발명의 실제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하는 것으로 검토되어야만 한다.
10 : 배기 파이프
12 : 수동 밸브 조립체
14 : 배기 파이프 본체
16 : 배가 기스 유로
18 : 베인
20 : 샤프트
42 : 스프링
66 : 정지부

Claims (25)

  1. 차량 배기 시스템을 위한 수동 밸브 조립체로서,
    배기 가스 유로 내에서 시작 위치에 위치하는 베인(vane)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최소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와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시작 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어, 상기 베인은 상기 시작 위치에서 출발한 후,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폐쇄 위치를 통과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흐름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직면과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베인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수직면에 대해 양의 각도로 배향되며, 상기 베인은 상기 시작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수직면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각도는 적어도 3도인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각도는 10도 이하인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시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압박되고, 상기 베인은 단지 상기 탄성 부재의 압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배기 가스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단지, 배기 가스 압력이 상기 압박력 아래로 떨어지면 상기 베인을 상기 시작 위치에 복귀시키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시작 위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임의의 다른 배기 구성요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를 정하도록 위치되는 정지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부분이 상기 정지부와 접촉할 때 충돌 소음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정지부의 접촉면 상에 배치되는 컴플라이언트 부재(compliant member)를 더 포함하는 수동 밸브 조립체.
  9. 차량 배기 시스템을 위한 수동 밸브 조립체로서,
    배기 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면을 갖는 배기 구성요소;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 구성요소의 벽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
    배기 가스 유로 내에서 시작 위치에 위치하는 베인으로서, 상기 베인은 최소 배기 기스 흐름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와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고, 상기 시작 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인, 베인; 및
    상기 베인을 상기 시작 위치에 복귀시키고 유지하는 탄성 압박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단지 상기 탄성 부재의 압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배기 가스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한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흐름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직면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상기 베인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수직면에 대해 양의 각도로 배향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시작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각도는 적어도 3도인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각도는 10도 이하인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형상에 있어서 상기 배기 구성요소의 상기 내벽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형상과 거의 일치하는 외측 둘레를 갖는 디스크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형 본체의 상기 외측 둘레는, 상기 베인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거의 모든 배기 가스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벽면에 대해 밀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임의의 다른 배기 구성요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단지 상기 베인을 상기 시작 위치에 복귀시키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16.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으로서,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단계;
    베인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인을 수직면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배향시키는 단계;
    베인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베인을 수직면에 대해 양의 각도로 배향시키는 단계;
    수직면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된 시작 위치로 상기 베인을 탄성 압박하는 단계; 및
    단지 탄성 압박 복귀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배기 가스 흐름 압력에 응답하여, 베인을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통과한 다음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3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로 상기 음의 각도를 배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베인을 시작 위치에 복귀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베인을 탄성 압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단지 배기 가스 압력이 탄성 압박 복귀력 아래로 떨어지면 베인을 시작 위치에 복귀시키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은 상기 원위 팁 부분이 상기 시작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임의의 다른 배기 구성요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기 구성요소 조립체 내에서 베인을 피봇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최소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완전 폐쇄 위치와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인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작 위치는 상기 최소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많고 상기 최대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적은 양의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평한 디스크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면을 통과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의 작동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는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상기 최소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많고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상기 최대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적은 양의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23. 차량 배기 시스템을 위한 수동 밸브 조립체로서,
    시작 위치에서 배기 가스 유로 내에 위치하는 베인으로서, 상기 베인은 최소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와 최대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시작 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인, 베인; 및
    배기 가스 흐름의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평한 디스크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면을 통과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는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상기 최소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많고 소정의 배기 가스 배압을 위한 상기 최대 배기 가스 흐름보다 더 적은 양의 배기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25. 제9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흐름의 방향에 수직한 수직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 팁 부분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평한 디스크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윈위 팁 부분은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면을 통과하는 것인 수동 밸브 조립체.
KR1020117019656A 2009-02-02 2009-12-10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 KR101652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63,901 US8201401B2 (en) 2009-02-02 2009-02-02 Passive valve assembly with negative start angle
US12/363,901 2009-02-02
US12/570,413 US8776508B2 (en) 2009-02-02 2009-09-30 Passive valve assembly with negative start angle
US12/570,413 200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188A KR20110116188A (ko) 2011-10-25
KR101652554B1 true KR101652554B1 (ko) 2016-08-30

Family

ID=4239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56A KR101652554B1 (ko) 2009-02-02 2009-12-10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76508B2 (ko)
EP (1) EP2391805B1 (ko)
KR (1) KR101652554B1 (ko)
CN (1) CN102301100B (ko)
WO (1) WO20100879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625A1 (en) 2010-12-01 2012-06-07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Exhaust valve combined with active noise control system
WO2013134399A2 (en) 2012-03-06 2013-09-12 KATCON USA, Inc. Exhaust valve assembly
US9624837B2 (en) 2012-05-08 2017-04-18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Adaptive valve spring retainer
FR3002658B1 (fr) * 2013-02-22 2016-07-22 Solios Environnement Dispositif d'equilibrage de debit de fluide, et installation de collecte et transport des gaz de cuves d'electrolyse le comportant
US9464559B2 (en) 2015-02-04 2016-10-11 Middleville Tool & Die Co. Passive exhaust valve assembly and forming method
WO2017111980A1 (en) 2015-12-24 2017-06-29 Middleville Tool & Die Co. Passive exhaust valve with floating spring stop
EP3403014B1 (en) 2016-01-15 2020-10-21 Middleville Tool & Die Co., Passive exhaust valve assembly with overlapping slip joint and method of forming and installation
CN108138989A (zh) * 2016-02-15 2018-06-08 双叶产业株式会社 轴封装置
CN109958498A (zh) * 2017-12-22 2019-07-02 天纳克(苏州)排放系统有限公司 排气控制阀
US11208934B2 (en) 2019-02-25 2021-12-2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 and reductant
US10961923B2 (en) 2019-07-26 2021-03-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ternally mounted in-line exhaust gas valve
US11274581B2 (en) 2019-07-26 2022-03-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ternally mounted in-line exhaust gas valve
US11371402B2 (en) 2019-07-26 2022-06-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ternally mounted in-line exhaust gas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024A1 (ja) 2007-06-06 2008-12-1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消音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5621A (en) * 1919-06-28 1921-04-19 Jr Hamilton Mercer Wright Gas-engine cut-out muffler
AT233326B (de) * 1962-07-12 1964-05-11 Michael Guillermo Dipl Ing May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minderung der Anteile der unverbrannten und teilverbrannten Bestandteile in den Abgasen von fremdgezündeten Viertakt-Verbrennungskraftmaschinen
US3300137A (en) * 1964-08-06 1967-01-24 Eaton Mfg Co Manifold heat control valve
US3703937A (en) * 1971-05-21 1972-11-28 William L Tenney Multiple rpm range tuned exhaust pipe and silencer for two-cycle engine
JPS5385217A (en) * 1977-01-06 1978-07-27 Toyota Motor Corp Controller for secondary ai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SE447290B (sv) * 1985-03-19 1986-11-03 Volvo Ab Anordning for dempning av avgasljud medelst en av avgasflekt beroende reglerventil
JPH05202730A (ja) * 1992-01-30 1993-08-10 Sango:Kk 内燃機関の排気系におけるバルブユニット
JP3248381B2 (ja) * 1995-01-09 2002-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タフライ弁
KR19980060197U (ko) 1997-03-05 1998-11-05 조규향 밸브시트링이 적용된 매연여과장치용 밸브
US6273119B1 (en) * 2000-03-06 2001-08-14 Delphi Technologies, Inc. Exhaust contro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189529B2 (ja) * 2002-08-07 2008-12-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小型船舶の排気出口装置
US6698717B1 (en) * 2002-10-24 2004-03-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dified butterfly valve and assembly
KR100968726B1 (ko) 2004-11-18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머플러
JP2008038723A (ja) * 2006-08-04 2008-02-21 Toyota Motor Corp 排気系熱交換器の支持構造
US7775322B2 (en) * 2007-03-16 2010-08-1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nap-action valve for exhaust system
JP2008255879A (ja) * 2007-04-04 2008-10-2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排気音制御方法及び車両用排気音制御装置
US20090019664A1 (en) * 2007-07-20 2009-01-22 Kwin Abram Square bushing for exhaust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024A1 (ja) 2007-06-06 2008-12-1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188A (ko) 2011-10-25
EP2391805A2 (en) 2011-12-07
CN102301100B (zh) 2014-02-12
US20100192560A1 (en) 2010-08-05
US8776508B2 (en) 2014-07-15
EP2391805B1 (en) 2019-07-24
EP2391805A4 (en) 2013-08-28
WO2010087902A2 (en) 2010-08-05
WO2010087902A3 (en) 2010-10-14
CN102301100A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554B1 (ko) 음의 시작 각도를 갖는 수동 밸브 조립체
US8201401B2 (en) Passive valve assembly with negative start angle
US9121315B2 (en) Passive valve with stop pad
EP2872750B1 (en) Adaptive valve spring retainer
US6176347B1 (en) Semi-active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79254B2 (ja) 排気消音装置
KR950032987A (ko) 자동차용 배기 소음 장치
JP2016079807A (ja) バルブ構造
US11549415B2 (en) Valve assembly for vehicle exhaust system
KR100367668B1 (ko) 배기파이프 구조
US20020189248A1 (en) Exhaust flap
KR101883589B1 (ko) 비틀림 댐핑을 동반하는 배기 시스템 스프링
KR20100105593A (ko) 배기 밸브 조립체
US11661871B2 (en) Muffler for vehicle
JP2017172510A (ja) バタフライバルブ構造
JP4451728B2 (ja) 消音器
JP6590081B2 (ja)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JP2010196598A (ja) 燃焼ガス用バルブ装置
JP2007056826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CN110894810A (zh) 排气阀
JP2012062878A (ja) 排気制御バルブ
JP2016098700A (ja) バル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