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459B1 -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459B1
KR101652459B1 KR1020150168299A KR20150168299A KR101652459B1 KR 101652459 B1 KR101652459 B1 KR 101652459B1 KR 1020150168299 A KR1020150168299 A KR 1020150168299A KR 20150168299 A KR20150168299 A KR 20150168299A KR 101652459 B1 KR101652459 B1 KR 10165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liquid
heating unit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효준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진효준
이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효준, 이원종 filed Critical 진효준
Priority to KR102015016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0Crew or passenger accommo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pparatus or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65D81/3423Packages shrinking in hot water, e.g. for boiling h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 Y02W90/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주에서 음식물을 가열하고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는 반투과성 재질로 캡슐화된 음식물을 가열된 액체를 이용해 음식물 가열부에서 가열한 후 캡을 통해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음식물 캡슐화를 위한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이 높아 잘 늘어나며, 물과 열에 의해 녹지 않으며,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재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가열된 음식물에 수분이 포함되므로 지구에서와 같이 식감이 좋은 음식물을 우주 관광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가열과 섭취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가능하므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에서도 음식물 조리와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Apparatus for heating and eating food in space}
본 발명은 우주에서 음식물을 가열하고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투과성 재질로 캡슐화된 음식물을 가열된 액체를 이용해 음식물 가열부에서 가열한 후 섭취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우주 여행이 현실화되면서 우주 여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우주 여행에 필요한 기술은 중력을 이용한 고속 우주여행, 동면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우주 여행을 하는 주체가 지구에 사는 사람들이므로 관광객의 편의 개선을 위한 기술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관광객의 기본적인 편의로는 의식주를 생각할 수 있는데, 현재 우주에서는 우주복을 입는 등 불편함이 따르고, 벽에 딱 붙은 침장 등에서 안대를 끼고 자야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러나 우주 여행 도중 착용할 옷은 하루 종일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익숙해져서 불편함이 시간이 갈수록 해소되며, 잠도 하루에 한 번 자는 것으로 한 번 잠에 들면 깨어날 때까지 불편함을 못 느끼므로 상대적으로 불편함이 적다. 이에 비해 식생활의 경우 하루에 3번 혹은 그 이상 음식을 먹게 되고 배고픔은 익숙함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우주에서의 식생활은 먹을 때마다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우주 음식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6812호에서는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우주 음식은 무중력 상태라는 우주 공간의 특이성으로 인해 대체로 건조 식품이거나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음식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음식만으로는 우주 여행 관광객에게 양질의 식사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우주에서도 지구에서와 같이 수분이 포함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6812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31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주에서도 수분이 포함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주에서 끓는 물을 이용해 쉽게 가열할 수 있는 음식물 포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는 액체 가열부, 음식물 가열부, 제1 레버, 제2 레버를 포함한다. 액체 가열부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액체를 가열한다. 음식물 가열부는 제1 출입구과 제2 출입구가 형성된다. 제1 출입구로는 액체 가열부에서 가열된 액체가 출입하며, 제2 출입구로는 음식물이 출입한다. 제1 레버는 음식물 가열부의 내부에서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레버는 제1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액체의 통과 여부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음식물은 제1 레버를 통과하지 못한다. 제2 레버는 제2 출입구에 부착되어 제2 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의 제2 레버는 사용자가 음식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음식물을 빨아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캡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의 액체 가열부는 엔진의 열에너지 또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액체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은 캡슐화될 수 있다. 캡슐화를 위한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 및 점성이 높아 잘 늘어나며, 물과 열에 의해 녹지 않으며,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재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의 캡슐 재질은 생분해성 PLGA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며 물이 반투막 캡슐을 통과해 음식물에 스며들어가므로 음식물에 수분이 포함된다. 따라서 관광객은 우주에서도 지구에서와 같이 식감이 좋은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가열과 섭취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가능하므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에서도 음식물 조리와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의 열에너지 또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액체를 가열하므로 우주선에 별도로 액체 가열을 위한 연료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 우주선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의 제1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고 섭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의 제1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고 섭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1000)는 액체 가열부(1100), 음식물 가열부(1200), 제1 레버(1300), 제2 레버(1400)를 포함한다.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1000)는 우주선과 같이 무중력 상태의 공간에 설치된다.
액체 가열부(1100)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액체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는 물(water)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식용 가능한 액체가 될 수 있다. 이하 액체는 물이라고 설명한다. 액체 가열부(1100)는 액체 저장부(1110), 액체 이동관(1120), 열원 공급부(1130)를 구비한다. 액체 저장부(1110)에는 물이 저장된다. 액체 저장부(1110)에 저장된 물은 액체 이동관(1120)을 따라 열원 공급부(1130)를 통과한다. 물은 열원 공급부(1130)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열원 공급부(1130)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원을 공급하거나, 태양광 발전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이용해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1130a)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열원 공급부(1130)가 우주선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우주선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는 예를 들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이 될 수 있다.
액체 가열부(1100)는 설치 장소에 별다른 제약은 없다. 그러나 공간적인 효율성과 열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가열부(1100)는 우주선의 벽(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음식물 가열부(1200)는 섭취할 음식물을 가열 및 조리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식물 가열부(1200)는 플렉시블한 파이프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식물 가열부(1200)에는 제1 출입구(1210)와 제2 출입구(1220)가 형성된다. 제1 출입구(1210)는 액체 가열부(1100)와 연결된다. 제1 출입구(1210)를 통해 액체 가열부(1100)에서 가열된 물이 음식물 가열부(1200)로 유입된다. 음식물 가열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출입구(1210)를 통해 가열에 사용된 물이 다시 액체 저장부(1110)로 돌아간다. 제2 출입구(1220)는 제1 출입구(1210)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출입구(1220)를 통해 가열 전 음식물이 음식물 가열부(1200)로 유입되며, 가열이 완료된 음식물은 제2 출입구(1220)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다.
제1 레버(1300)는 음식물 가열부(1200) 내부에 설치된다. 제1 레버(1300)는 음식물 가열부(1200) 내부에서 제1 출입구(1210)와 제2 출입구(1220)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레버(1300)의 이동을 위해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는 음식물 가열부(12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레버(1300)는 제1 출입구(1210)를 통해 출입하는 물의 통과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물의 통과 여부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1300)는 몸체(1310), 관통홀(1320), 개폐부(133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310)는 음식물 가열부(1200)의 내부에 틈이 없도록 꽉 끼워진다. 관통홀(1320)은 몸체(1310)에 형성된다. 개폐부(1330)는 관통홀(1320)의 개폐를 조절한다. 물을 통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부(1330)를 조절하여 관통홀(1320)을 개방하고, 물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부(1330)를 조절하여 관통홀(1330)을 닫는다. 제1 레버(1300)의 관통홀(1320)은 음식물보다 크기가 크다. 따라서 음식물은 제1 레버(1300)를 통과하지 못한다.
제2 레버(1400)는 음식물 가열부(1200)의 제2 출입구(1220)에 설치되어, 제2 출입구(1220)의 개폐를 조절한다. 가열할 음식물은 제2 레버(1400)를 통해 음식물 가열부(1200)로 투입된다.
사용자는 음식물 가열부(1200)에서 가열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제2 레버(1400)를 통해 제2 출입구(1220)를 개방시킨 후 빨아서 흡입하게 된다. 이 때 캡(1410)이 없다면 사용자의 구강의 크기가 제2 출입구(1220)의 크기와 달라 흡입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하며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캡(1410)이 제2 레버(1400)에 부착될 수 있다. 캡(1410)이 부착되면, 캡(1410)에 사용자가 입을 대고 빨아서 음식물을 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명인 경우 각각 자신의 캡(1410)을 사용하면 하나의 장치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1000)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음식물은 캡슐화되어 음식물 가열부(1200)로 투입될 수 있다. 음식물 캡슐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점성이 높아 잘 늘어나며, 물과 열에 의해 녹지 않으며,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재질이 바람직하다. 캡슐의 재질은 선정할 때 녹는점, 수용성인지 여부, 점성, 반투과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음식물을 끓는 물에서 가열 및 조리하기 위해서는 안정성을 고려할 때 캡슐 재질의 녹는점이 최소한 130℃가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글리세롤은 녹는점은 약 18℃로 물의 끓는점보다 터무니없이 낮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캡슐의 재질이 수용성이면 물에서 녹기 때문에 끓는 물로 가열 및 조리할 수가 없다. 가열에 사용되는 액체에 따라 수용성 여부를 달리 판단할 수도 있지만,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안전한 액체는 물이므로 이 부분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측면에서 글리신은 수용성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캡슐 내부에는 건조된 음식물이 있는데, 끓는 물로 가열 및 조리하는 과정에서 건조된 음식물이 부풀게 되면 부피가 매우 커진다. 이 경우 캡슐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점도가 높은 물질로 캡슐을 형성해야 한다. 또한 캡슐은 물이 통과해야 내부의 건조된 음식물이 물에 의해 가열 및 조리가 되므로, 반투과성 재질이어야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캡슐의 재질을 생분해성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로 할 수 있다. 생분해성 PLGA은 amorphous의 상태, 즉 무정형의 상태이다. 따라서 특별한 녹는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PLGA를 비롯한 수많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알약 등의 재료로 쓰일 정도로 인체에 무해하다. 생분해성 고분자 플라스틱은 LA(lactic acid), GA(glycolic acid), CL(epsilon-caprolactone)의 세 가지 재료를 사용해서 제조한다. 이 중에서 PLGA는 LA와 GA의 중합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녹는점과 탄성력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LA의 경우에는 녹는점과 탄성력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PLGA 합성 시에 LA의 비율을 높이면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의 음식물이 물에 의해 부풀어 부피가 크게 증가했을 때도 높은 탄성력으로 캡슐이 터지지 않게 만들 수 있다. 또한, PLGA 큰 분자 상태에서는 아세톤과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용매에 잘 녹기 때문에 물과 섞여도 구조가 무너질 염려가 없으며, 체내에서 소화될 때는 작은 분자 상태로 분해되어 가수분해가 쉽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우주 음식물을 포장하는 식용 물질로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 가열에 사용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음식물 캡슐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및 섭취 장치를 이용해서 음식물을 가열하고 섭취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음식물 가열부(1200)에 캡슐화 된 음식물을 투입한다(S3100). 음식물은 제2 출입구(1220)를 개방시키고 투입하며, 음식물이 투입되면 제2 출입구(1220)를 닫는다.
음식물이 음식물 가열부(1200)로 투입되면, 액체 가열부(1100)에서 가열된 물을 음식물 가열부(1200)로 유입시킨다(S3200). 가열된 물은 제1 출입구(1210)를 통해 음식물 가열부(1200)로 유입된다. 가열된 물이 음식물 가열부(1200)로 충분히 유입되면, 제1 출입구(1210)를 닫아 물의 유입을 막으며, 음식물 가열부(1200)를 밀폐한다. 이 때 음식물 가열부(1200) 내부로 물이 잘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레버(1300)의 관통홀(13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후 가열된 물에 의해 음식물 가열부(1200)에 투입된 음식물이 가열 및 조리된다. 이와 같이 물을 이용해서 음식을 가열 및 조리를 하는 경우 지구에서와 같이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음식물 가열 및 조리가 완료되면, 음식물 가열부(1200)의 물을 액체 가열부(1100)로 배출한다(S3300). 물의 배출은 제1 출입구(1210)를 개방시켜 배출한다. 이 때에도 제1 레버(1300)의 관통홀(13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1 레버(1300)를 제2 출입구(12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이동시킨다(S3400). 음식물은 제1 레버(130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1 레버(1300)가 움직이면 음식물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 제2 출입구(1220)를 개방시키면, 음식물을 음식물 가열부(1200) 외부로 나오게 된다.
사용자는 제2 레버(1400)에 부착된 캡(1410)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한다(S3400). 캡(1410)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캡(1410)에 입을 대고 빨면 음식물이 사용자의 입 속으로 빨려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우주 공간에서 음식물이 우선 내부를 떠다니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1100 : 액체 가열부 1110 : 액체 저장부
1120 : 액체 이동관 1130 : 열원 공급부
1200 : 음식물 가열부 1210 : 제1 출입구
1220 : 제2 출입구 1300 : 제1 레버
1310 : 몸체 1320 : 관통홀
1330 : 개폐부 1400 : 제2 레버
1410 : 캡

Claims (5)

  1. 무중력 상태에서 음식물을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식용 가능한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부;
    상기 액체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액체 가열부;
    일단은 상기 액체 가열부에서 가열된 액체가 출입하는 제1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음식물의 출입이 가능한 제2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된 액체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가열되는 음식물 가열부;
    상기 음식물 가열부의 내부에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제2 출입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관통홀이 상기 음식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의 이동을 저지하며, 개폐부에 의해 상기 관통홀의 개폐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액체의 통과여부 조절이 가능한 제 1레버; 및
    상기 제2 출입구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는 제2 출입구에 가해지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음식물 가열부로 이동되며, 상기 음식물은 상기 제 1레버의 이동에 의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에는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음식물을 흡입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구강구조에 부합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가열부는,
    상기 액체 가열부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점성이 높아 잘 늘어나며, 열에 의해 녹지 않으며, 상기 식용 가능한 액체가 투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재질로 캡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캡슐 재질은 생분해성 PLG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KR1020150168299A 2015-11-30 2015-11-30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KR10165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99A KR101652459B1 (ko) 2015-11-30 2015-11-30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99A KR101652459B1 (ko) 2015-11-30 2015-11-30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459B1 true KR101652459B1 (ko) 2016-09-02

Family

ID=5694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299A KR101652459B1 (ko) 2015-11-30 2015-11-30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4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430A (ja) * 2003-10-02 2005-04-21 Jamco Corp 航空機用ギャレー
KR20090106812A (ko) 2008-04-07 2009-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
KR20110093126A (ko) 2010-02-11 2011-08-1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한 극한환경에서도 저장이 가능한 불고기 스테이크의 제조 방법
KR20130045849A (ko) * 2010-02-26 2013-05-06 쎈뜨로 나씨오날 데 테끄놀로히아 이 세구리다드 알리멘따리아, 라보라토리오 델 에브로 화합물을 캡슐화하기 위한 나노입자, 그 제조 및 용도
KR20150124165A (ko) * 2014-04-28 2015-11-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직축 블레이드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한 유체 가열 장치 및 이를 위한 발열 조립체
JP2015202132A (ja) * 2014-04-11 2015-11-16 湘南メディカルパートナー株式会社 経口摂取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430A (ja) * 2003-10-02 2005-04-21 Jamco Corp 航空機用ギャレー
KR20090106812A (ko) 2008-04-07 2009-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
KR20110093126A (ko) 2010-02-11 2011-08-1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한 극한환경에서도 저장이 가능한 불고기 스테이크의 제조 방법
KR20130045849A (ko) * 2010-02-26 2013-05-06 쎈뜨로 나씨오날 데 테끄놀로히아 이 세구리다드 알리멘따리아, 라보라토리오 델 에브로 화합물을 캡슐화하기 위한 나노입자, 그 제조 및 용도
JP2015202132A (ja) * 2014-04-11 2015-11-16 湘南メディカルパートナー株式会社 経口摂取具
KR20150124165A (ko) * 2014-04-28 2015-11-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직축 블레이드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한 유체 가열 장치 및 이를 위한 발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0418B (zh) 新型空气炸锅
CN105050940B (zh) 饮水机
ES2589147T3 (es) Cápsula con filtro antimicrobiano integrado
CN108006997B (zh) 一种自动补水智能恒温的太阳能热水系统
CN110269806A (zh) 一种儿科多功能流食喂养装置
KR101652459B1 (ko) 우주에서 음식물 가열 및 섭취하기 위한 장치
CN203970924U (zh) 一种喂药装置
CN104921963A (zh) 迷你果膜机
CN107136823A (zh) 一种婴儿安睡床垫的设计
EP3998919B1 (en) Sanitization uni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such a sanitization unit and beverage preparation method implementing such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208389958U (zh) 钡餐混匀加热装置
CN110150981A (zh) 粉末冲调搅拌器、混合仓、粉末冲调装置及其控制方法
CN208711853U (zh) 一种消化内科用流食破碎设备
KR20130006020U (ko) 이중용기
CN206978672U (zh) 一种荞头脱盐装置
CN102846200B (zh) 一种高压调改口味煮蛋器
CN207306907U (zh) 一种消毒柜
CN205885790U (zh) 一种熏蒸服装置
CN108209549A (zh) 一种烹饪设备
CN111840685A (zh) 一种肠道清理装置
CN209612012U (zh) 一种太赫兹驱动装置
KR20090010581U (ko) 음식물 가열 용기
CN208925956U (zh) 炖蒸器具
CN207733557U (zh) 一种冷鲜牛羊肉解冻、加工、包装生产线
EP3998918A1 (en) Sanitization uni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such a sanitization unit and beverage preparation method implementing such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