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27B1 -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27B1
KR101652327B1 KR1020140009203A KR20140009203A KR101652327B1 KR 101652327 B1 KR101652327 B1 KR 101652327B1 KR 1020140009203 A KR1020140009203 A KR 1020140009203A KR 20140009203 A KR20140009203 A KR 20140009203A KR 101652327 B1 KR101652327 B1 KR 10165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erminal
service
smart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660A (ko
Inventor
이태환
이병권
김상민
권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링크
Priority to KR102014000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insert a coded card, e.g. a smart card carry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 기지국, 교환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클라우드 고유정보, 설치정보, 단말 위치정보 등 단말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외부기관에 단말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관리 모듈,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에 따라서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모듈,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를 사용하면서도 가입자 식별정보와 연계된 개인별로 할당된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수신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발신자의 신원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인별로 공중전화에 할당된 전화번호로서 사용자가 기 사용하던 모바일 전화번호가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로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모바일 전화번호를 그대로 공중전화에서 사용함으로써 기존 사용 번호의 연속성을 공중전화 시스템에서도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a public pay phone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which utilizing a smart card containing universal subscriber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와 공인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를 활용한 스마트형 공중전화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와 공인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를 활용하는 스마트 공중전화 단말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가입자가 아닌 경우, 혹은 모바일 가입자이더라도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일시적으로 모바일 가입을 휴지하고 있는 경우에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바일 가입정보를 활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필요에 따라 자신의 모바일 가입 정보 및/또는 공인인증 정보를 인증정보로 활용하여 스마트 공중전화 단말을 통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래에 설명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이 결합된 환경에서 스마트형 공중전화 운영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형 공중전화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공중통화 단말로,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중망 전화 단말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무선전화 단말장치, 기지국, 무선 교환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지역을 분할하여 기지국을 설치하고, 설치된 다수의 기지국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중앙의 무선 교환국 및 이동전화교환국으로 구성된다.
이때, 무선 교환국은 일반 전화망과 이동통신망을 접속하며, hand-off, 단말의 위치 검출 및 등록, 통화 상대번호와 과금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이동체와 무선 교환국간 접속을 수행하며, 착/발신 신호 송출, 통화채널 지정 및 감시, 자기진단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단말은 기지국 사이에서 사용자간 통화를 설정하며, 이동단말의 식별은 각각의 이동단말이 보유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USIM)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공중전화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화기인데, 종래에는 유선망으로 공중전화망을 구축하고 이를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동단말과 통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공용으로 사용하였기에 개인별로 할당받는 전화번호를 가질 수가 없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2-0073709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첫째, 공중전화로 운영하면서도 개인별 전화번호 할당이 가능하고 개인 사용자별 전화번호 할당이 된 상태에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신자가 서로 다른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공중전화 사용에 대한 과금을 기존의 통신카드 외에 가입자 식별정보(USIM)와 연계된 개인별로 통신사 서버에 저장된 가입자 계정에 대하여 직접 과금이 가능한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공중전화 시스템을 무선으로 구축하고 이를 개인사용자별 번호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공중전화를 사용함에 있어서 단순히 통화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자 식별정보(USIM)와 연계된 개인별로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인터넷, 결제, 금융 거래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수단을 가진다.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 기지국, 교환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SCP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클라우드 고유정보, 설치정보, 단말 위치정보 등 단말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외부기관에 단말 위치정보등을 제공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관리 모듈;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에 따라서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모듈;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관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기지국, 교환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가입자 식별정보를 읽어 들이는 스마트 카드 리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가입자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이 전송한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통화 및/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할당;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 전화번호와 소정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기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이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공중전화를 사용하면서도 가입자 식별정보와 연계된 개인별로 할당된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수신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발신자의 신원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인별로 공중전화에 할당된 전화번호로서 사용자가 기 사용하던 모바일 전화번호가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로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번호를 그대로 공중전화에서 사용함으로써 기존 사용 번호의 연속성을 공중전화 시스템에서도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통신카드 외에 개인별로 가입자 식별정보와 연계된 통신사 서버에 저장된 가입자 계정에 대하여 직접 과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공중전화용 통신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가입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며, 기존 설정한 모바일 계정에 청구되도록 함으로써 통화 서비스 이용에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하여 공중전화를 모바일로 운영이 가능하며, 통화 서비스 외에도 개인별로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인터넷, 결제, 금융 거래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공중전화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이 군부대 등 다수 인원이 단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들은 기존에 모바일 단말 사용의 연속성을 유지한 채로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a)는 사용자 USIM을 탑재한 스마트 카드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공중전화 시스템의 구성-동작 결합도
도 3 (b)는 ID/PW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수성된 본 발명의 공중전화 시스템의 구성-동작 결합도
도 4는 공용 USIM에서 스마트 카드에 탑재된 사용자 USIM으로 전환하는 USIM 전환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
도 5 (a)는 스마트 카드에 탑재된 사용자 USIM을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동작/신호 흐름을 보이는 도면
도 5 (b)는 사용자 ID/PW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동작/신호 흐름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보이는 서비스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비스 흐름 및 각 단계별 기능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플로우 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의 신호 흐름을 보이는 도면
이하, 도면을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보인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을 포함하는 운영지원부(1), 무선망부(2), 교환망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본 발명에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특허출원 제 2013-162590호의 스마트 카드를 활용하는 특허출원 제 2013-168100호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 및 스마트 클라우드 운영시스템(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통사 서버(40)와 함께 연동되어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을 통한 통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하는 외부 네트워크 사업자(MNO, MVNE)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 및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SCP) 운영시스템(50)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본 발명에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특허출원 제 2013-162590호 및 특허출원 제 2013-168100호의 스마트 공중전화 단말 및 스마트 공중전화 시스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을 들어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5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50)은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관리모듈(51), 시스템 관리모듈(52), 서비스 관리모듈(55), 정산모듈(54), 게이트웨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50)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스템 관리모듈(52), 인증모듈(56)과 결제모듈(57)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관리모듈(5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들의 고유정보, 설치정보, 단말 위치정보 등 단말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외부기관에 단말 위치정보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기관에 단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을 포함하는 공중전화 시스템이 군부대 등에 설치되고 운영되는 경우 전제 단말기 설치위치 관련 정보 등을 군 통신망 관리시스템 등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템 관리모듈(52)은 이용자의 가입신청에 따른 가입자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관리 모듈(51)을 조회/등록 관리를 수행하며, 전체 서비스의 내역을 관리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모듈(52)는 후술하게될, 서비스 운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직접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53)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과 연동되어 단말 서비스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인증모듈(56) 또는 통신사 시스템(40)과 연계된 USIM 인증모듈(45)을 통하여 가입자를 인증하고, 인증 완료된 가입자에 대하여 정산모듈(54), 결제모듈(57)로 과금 정산 및 결제 승인 요청 등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53)는 사용자별로 서비스 이용 내역에 대한 로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USIM 인증모듈(45)은 이통사 시스템(40)의 내부 모듈로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50)의 모듈로 구성되어 이통사 시스템(40)과 연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모듈(56)은 이용자 스마트 카드(10)가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사용자 USIM)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군번,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들과 매칭되는 ID/PW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정산 모듈(54)은 이용자의 서비스 사용 데이터를 관리하며, 과금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요금 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외부 네트워크 사업자(MNO, MVNE)에 청구하는 정산정보를 관리한다.
결제모듈(57)은 PG/VAN 결제모듈을 탑재하고, PG/VAN사로 체크카드, 신용카드 결제 승인요청 및 응답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용자 스마트 카드(10)의 신용카드/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금융거래, 신용카드 거래 등을 수행하는 경우 이용승인 및 빌링 청구를 승인한다.
서비스 관리모듈(55)은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이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접수받고 접수받은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도 3을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을 공중전화로 운영하는 시스템을 보인다.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은 공용 USIM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 및 교환기(30)를 통하여 통신사 시스템(40)으로부터 단말인증을 받는다.
공용 USIM을 통한 단말기 인증후 본 발명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하던 모바일 USIM과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통신사 USIM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통신사 가입자 계정과 연계되어 상기 통신사 USIM과 별도로 발급되는 카드 USIM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통신사 가입자 계정과 연계되고 가상 USIM 서버에서 관리되는 가상 USIM 애플리케이션 중의 하나를 읽어들여 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여 통신사 시스템(40)으로부터 인증을 받는다.
도 5를 들어 사용자 인증 방식을 설명한다.
도 3(a)와 도 5(a), 도 6, 도 7을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10)가 서비스 이용신청을 하면,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50)의 서비스 관리 모듈(55)은 사용자의 인적 사항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접수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신청은 도 7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군입대자인 경우 신체검사장, 훈련소, 자대 복무중 또는 입소 전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 신청에 대하여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3-162590호에 제시된 것과 같이 개방형 플랫폼을 적용하여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50) 또는, 신용카드사 및 통신사에서 사용자 정보를 연계하고 각각의 신용카드 및 통신사 USIM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스마트 카드(100)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사 USIM을 발급받지 않고 군번,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와 매칭되는 ID와 PW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카드(100)는 도 7에 제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USIM으로 통칭되는 통신사 USIM, 카드 USIM, 가상 USIM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금융거래, 공인인증서, 전자화폐, ID 카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로 도 6에 제시된 것과 같이 입대전 휴대폰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신규로 전화번호를 부여받아서 스마트 카드 및 공중전화를 통하여 음성/영상전화, 주소록/문자사서함 서비스, 인터넷/부가 컨텐츠 서비스, 금융/신용거래/소액 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입대 예정자, 군 복무자는 군부대 내에 설치되는 SCP 단말(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SCP 단말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한다. 입대전 사용하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예를 들어 010-3333-4444 이었다면, 해당 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식별정보를 그대로 담아 사용하던 모바일 단말의 사용을 일시 정지하고, 대신 스마트 카드에 통신사 USIM을 발급받거나, 모바일 단말로부터 스마트 카드에 담기는 카드 USIM으로 번호 이동신청을 하거나 혹은 기존 사용하던 모바일 단말과는 상관없이 가상 USIM 신청을 하여 스마트 카드로 SCP 단말(20)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하던 전화번호인 010-3333-4444이 자신의 전화번호로 그대로 유지되도록 서비스 신청을 하거나 또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신규로 신청한다.
도 7에 제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 카드를 발급받고 수령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13-168100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단말기(스마트 클라우드 단말:20)를 통하여 상기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시스템(기지국/교환기:30, 이통사 시스템:40, USIM 인증모듈:45) 및 스마트 클라우드 운영시스템(50), 은행/카드사/결제대행사(60)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자 개인별로 통화 및 과금/정산/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사용자가 통신사 USIM을 탑재한 스마트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신청(S02)에 대하여, SCP(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50)은 가입처리를 진행하고(S04), 통신사 및 결제 대행사(60)에 이용자 정보를 제공한다. 도시하지 않은 절차에 의하여 오프라인상으로 스마트 카드(100)을 수령한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SCP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먼저, 단말(20)은 서비스 이용 시작에 앞서 단말 인증과정(S20)을 거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단말(20)이 모바일로 운영되는 경우, 공용 USIM을 사용하여 단말을 인증한후,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를 읽어들이고, 스마트 카드의 사용자 USIM으로 정보를 전환한 후 독출한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통신사 시스템(40)에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아 통신 채널을 단말에 할당하게 된다(S30, S40, S50, S60).
스마트 카드의 사용자 USIM으로 정보를 전환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환 방식은 상기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13-168100호에도 설명된 것과 같이 공용 USIM으로 단말기 인증을 받은 후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 USIM, 즉 사용자 USIM으로 단말이 사용하는 USIM 정보를 전환하여 향후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시 사용자 USIM에 할당되는 개인 식별 정보의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모든 서비스 및 과금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USIM은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13-162590호에 제시되고, 본 발명의 도 6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 가입신청 전에 사용하던 모바일 단말기의 USIM과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번호 이동신청을 하여 동일한 전화번호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스마트 카드에 통신사 USIM으로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USIM과 동일한 정보를 가지되 본 발명의 단말에만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카드 USIM으로 발급받아 사용할 수 도 있으며, 가상 USIM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가상 USIM 정보만을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서비스 채널을 할당(S60) 받은 후, 사용자는 SCP 단말(2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을 시작하게 된다(S70). 사용자 USIM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음성/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 각종 부가 서비스, 결제 서비스, 금융거래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과금 및 정산은 상기 사용자 USIM 정보에 대응하여 공지의 과금/정산 방식에 따라 통신사 시스템(40)에서 진행되지만, 본 발명의 SCP(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50)은 이와 같은 과금 및 정산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시작하면 SCP 단말(20)과 SCP 운영 시스템(50)은 서비스 이용 및 종료 신호를 상호 주고 받으며, 정산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 종료 직후 SCP 단말(2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은행/카드사 및 결제 대행사 또는 외부 네트워크 사업자(MNO, MVNE)에게 과금/정산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음은 사용자가 통신사 USIM이 탑재되지 않은 일반 신용카드나 통신카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 3(b), 도 5(b)를 들어 설명한다.
도 5(b)에서 단말 인증(S20)까지의 과정은 도 5(a)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가입자 식별정보의 취득부터 상술한 사용자 USIM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라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사 USIM이 탑재되지 않은 일반 신용카드나 통신사 카드를 이용하거나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SCP 단말(20)에 삽입되는 카드로부터 통신사 사용자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 신청을 할 때 기입한 사용자 ID/PW를 사용하여 서비스 이용 권한을 획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ID는 시스템 설치 기관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군장병을 위한 공중전화시스템으로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ID는 일률적으로 군번으로 정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SCP 운영시스템(50)의 시스템 관리 모듈(52) 및 인증모듈(56)은 군 통신망 관리시스템 등에 SCP 단말(20)의 위치 정보 등 시스템 관리 정보와 함께 사용자 ID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 인증(S20) 과정이 끝난후, 사용자는 ID/PW로 이루어진 가입자 식별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S30), 이는 스마트 카드가 공인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공인인증서 정보 입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ID/PW는 SCP 운영시스템(50)의 인증모듈(56)로 전송되어 이용자 인증과정이 수행된다(S50). 이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SCP 운영시스템(50)은 통신사 시스템(40)으로 채널할당 요청을 하게 되고(S55), 통신사 시스템(40)의 채널 할당(S60)에 의하여 가입자는 서비스 이용을 시작하게 된다(S70).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및 정산은 SCP 운영시스템(50)에서 별도 진행되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시작하면 SCP 단말(20)과 SCP 운영시스템(50)은 서비스 이용 시작 및 종료 신호를 상호 주고 받으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정산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 과정 또는 이용 직후 SCP 단말(2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은행/카드사 및 결제 대행사 또는 외부 네트워크 사업자(MNO, MVNE)에게 과금/정산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8을 들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통화 및 부가 서비스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SCP 단말(20)은 스마트 카드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스마트 카드를 사용할 것인지, ID/PW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SCP 단말(20)이 모바일로 운영되는 경우 공용 USIM을 사용하여 SCP 단말(20)의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USIM을 선택하는 경우 SCP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카드 삽입 안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Login을 선택하면, ID/PW를 입력받는다(S830, S840). 스마트 카드 또는 사용자 ID/PW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은 SCP 단말 및 SCP 운영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850).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 USIM 정보를 독출한 경우 SCP 단말(20)은 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USIM 전환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S50)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 USIM 정보를 독출한 경우 도 3에서 통신사 시스템(40)과 연계된 USIM 인증모듈(45)에 사용자 USIM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을 받으며, 사용자가 ID/PW 방식을 선택한 경우 SCP 운영 시스템(50)의 인증모듈(56)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SCP 단말(20)로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은 앞서 실시예 1, 2에서와 같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SCP 단말(20)의 표시화면에 과금방식 등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하며 승인과정을 거친다(S860).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승인이 있은 후, 음성/영상 통화 및 문자사서함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소액 결제, 금융거래 등의 부가 서비스의 이용을 진행한다(S870). 서비스 이용 종료후에는 과금/정산 및 고지가 행해진다(S890).
상술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통화 서비스에 대하여 부연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화 서비스는 음성/영상 통화를 모두 제공하되, 기본적으로 사용자 식별을 통하여 공중전화로 활용되는 SCP 단말(20)을 통하여 개인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USIM 정보(통신사 USIM, 카드 USIM, 가상 USIM) 또는 ID/PW를 통한 개인별로 할당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화 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수신자는 발신하는 사용자 개개인에게 할당된 전화번호(사용자 USIM에 할당된 번호 또는 ID/PW에 의하여 SCP 운영시스템(50)에 의하여 할당된 번호)를 발신자 번호로 하여 개별 식별되는 통화호를 수신하게 된다.
각 개인 사용자별 인증방식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고, 통화 발신에 따른 이용 과금 및 정산에 있어서도 공중전화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각 개인의 개인 식별정보와 연계되며 사용자별로 과금/정산 및 고지가 된다. 즉, 개별 사용자가 삽입(또는 RF 방식 카드인 경우 접촉)하는 스마트 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사용자 USIM 정보에 따라서 통신사 시스템(40)은 기존 모바일 가입자에게 과금하는 방식 그대로 개별 사용자별로 과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SCP 운영시스템(50)에서 개별 사용자별로 과금/정산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USIM을 사용하지 않고 ID/PW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CP 운영시스템(50)의 정산모듈(54)에서 과금/정산이 수행되고, 과금/정산 데이터가 외부 사업자(60)에게 전송되어 사용자 과금이 진행된다.
도 9를 들어 본 발명의 문자/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대하여 부연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중전화 시스템은 별도의 사서함 서버(70)를 가질 수 있고, 사서함 서버(70)는 통신사 시스템(40) 및/또는 SCP 운영시스템(50)과 연계되어 문자/음성 메시지 데이터를 개인별로 관리한다. 상기 사서함 서버(70)는 별도의 서버 형태의 구성뿐만 아니라 통신사 시스템(40) 및/또는 SCP 운영시스템(50)에 포함되거나 연계되는 내부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통신사 USIM으로 인증받은 사용자가 문자/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선택하면(S710), SCP 단말(20)은 이통사 시스템(40)을 통하여 사서함 서버(70)로 사서함 로드 신호를 전송한다(S712). 사용자가 ID/PW로 인증하는 경우에 상기 사서함 로드 신호는 SCP 운영시스템(50)을 통하여 전송된다(S712). 이 때, 사서함 로드 신호와 함께 사용자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사서함 로드신호와 함께 사용자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사서함 서버(70)는 개인별 문자/음성 사서함 데이터를 로드하여 이를 이통사 시스템(40) 또는 SCP 운영시스템(50)을 통하여 SCP 단말(20)로 전송하고(S714, S714), SCP 단말은 전송받은 개인 사용자별 사서함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후 통상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 등에서 문자/음성 사서함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문자/음성 사서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S716, S718).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의 경우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는 수신자에게 전송됨과 동시에 사서함 서버(70)에 개인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전술한 방식에 따라 개인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음성 메시지는 사서함 서버(70)에 개인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SCP 단말(20)에서 서비스 이용을 개시하는 경우 개인 사서함으로 로드되어 문자/음성 사서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신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의 미확인 건은 사용자가 사서함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메시지 푸쉬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 인증 후 SCP 단말(20)의 메인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10, 420 이용자 스마트 카드
20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30 기지국/교환기
40 통신사 시스템
50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
400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통신모듈
54 정산모듈
56 인증모듈
57 결제모듈

Claims (16)

  1.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기지국, 교환기, 이동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더하여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대한 인증을 받기 위한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용 USIM 모듈;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USIM 정보를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USIM 정보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탑재된 사용자의 모바일 USIM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통신사 USIM 정보; 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통신사 가입자 계정과 연계된 카드 USIM 정보; 중의 하나이며,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고유정보, 설치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관리 모듈;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서비스 이용내역 데이터에 따라서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모듈;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서의 이용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과금정산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사업자 시스템;
    을 추가로 구비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의 정산모듈은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로부터 서비스 시작 및 종료 데이터를 수신받아 과금 정산을 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은;
    가입자 식별을 위한 인증모듈;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모듈;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5.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기지국, 교환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대한 인증을 받기 위한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용 USIM 모듈;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한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를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용 USIM 모듈의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이 전송한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식별정보를 단말 인증정보로 사용하여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 인증 결과 및 가입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통화 및/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할당;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이는 통신사 가입자 식별정보는,
    모바일 유심, 카드 유심, 가상 유심 정보 중에서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가입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가입자 식별정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는 상기 인증모듈에서의 가입자 인증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서비스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신청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요금 청구정보를 생성하는 정산모듈;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문자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 정보로 구분되는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문자 및/또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에 전송하는 사서함 서버;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운영 시스템.
  12. 통신사 시스템을 통하여 공용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인증받는 단말 인증단계;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은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따른 소정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통신채널 및 소정의 사용자 전화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 시스템은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상기 할당된 소정의 사용자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 인증 단계에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이 구비하는 공용 USIM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에서의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이는 인증 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에 직접 입력하는 인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카드로부터 읽어들이는 인증 정보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에 탑재된 사용자의 모바일 USIM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통신사 USIM 정보; 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통신사 가입자 계정과 연계된 카드 USIM 정보; 또는 사용자의 공인인증서 정보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에서:
    사용자 식별정보가 사용자의 공인인증서 정보인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에 직접 입력하는 인증 정보인 경우, 통신사 시스템과 별도의 스마트 클라우드 단말 운영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서비스는: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는: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을 사서함 서버로부터 로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사서함의 데이터를 상기 공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009203A 2014-01-24 2014-01-24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65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03A KR101652327B1 (ko) 2014-01-24 2014-01-24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03A KR101652327B1 (ko) 2014-01-24 2014-01-24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660A KR20150088660A (ko) 2015-08-03
KR101652327B1 true KR101652327B1 (ko) 2016-09-09

Family

ID=5387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203A KR101652327B1 (ko) 2014-01-24 2014-01-24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44B1 (ko) * 2006-02-0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101327261B1 (ko) * 2013-06-12 2013-11-18 양봉영 가상의 유심(v-usim)을 활용한 스마트형 공중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142B1 (ko) 2001-03-15 2003-07-22 (주) 쎄믹스 웨이퍼 프로버에 있어서 핀과 패드의 정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44B1 (ko) * 2006-02-0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101327261B1 (ko) * 2013-06-12 2013-11-18 양봉영 가상의 유심(v-usim)을 활용한 스마트형 공중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660A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19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erce
US114881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ransferring money
US10318954B1 (en) Processor routing number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billing
US10305966B2 (en) System for authorization of access
JP6053076B1 (ja) 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システム
US8380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a transaction, corresponding transactional terminal and program
FR2725579A1 (fr) Procede de communication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s
CN106169137B (zh) 一种资源转移方法、装置及系统
KR100570843B1 (ko) 전화번호와 계좌잔액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03207B1 (ko) 모바일 결제 중개 시스템
KR20140046831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327261B1 (ko) 가상의 유심(v-usim)을 활용한 스마트형 공중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1237989A (ja) 情報表示型携帯電話所有者に対する課金代行システム
KR101652327B1 (ko) 통신사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824058B1 (ko) 아이피 기반 교환기(ip pbx)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110125757A (ko) 분할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KR101355682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스마트 공중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851165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2315A (ko) 전화 인증을 통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48885B1 (ko) 통신사 가입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스마트 공중전화 단말 및 그 운용방법
KR101288288B1 (ko) 모듈형 공동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030075424A (ko) 특정공간에서 블루투스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와 통신하여다양한 멀티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21848B1 (ko)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672912B1 (ko) 다수의 타사 카드들을 하나의 대표카드로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6840A (ko) 통화채널을 이용한 청구 결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