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601B1 -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601B1
KR101651601B1 KR1020140063119A KR20140063119A KR101651601B1 KR 101651601 B1 KR101651601 B1 KR 101651601B1 KR 1020140063119 A KR1020140063119 A KR 1020140063119A KR 20140063119 A KR20140063119 A KR 20140063119A KR 101651601 B1 KR101651601 B1 KR 10165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lamp
patient
skin
c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921A (ko
Inventor
권병수
Original Assignee
권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수 filed Critical 권병수
Priority to KR102014006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수술부위로부터 혈액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드레인의 외측을 감싸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해제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단절된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클램프와, 복수의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환자의 피부에 지지봉합한 후 매듭을 묶은 실을 드레인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클램프와 드레인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게시된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Medical Holding Apparatus for Drain}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실을 이용하여 드레인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과, 산부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등 여러과의 여러 영역에서, 수술 후에 수술 부위에서 발생하는 혈액이나 체액 등을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Drain)이 사용된다. 이러한 드레인은 수술 부위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레인의 기본 구조로 일측은 복강내 분비물 흡인을 쉽게 하기 위해 다수의 미세 공기구멍이 있으며, 다른 일측은 복벽을 관통하여 일체 밖으로 위치하기 위한 날카로운 금속투관 바늘(Stainless steel trocar needle)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후 금속투관 바늘은 제거되고 흡입백이 연결된다.
개복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드레인 설치과정은 몇 가지 차이를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레인(Drain,1)은 피부에 봉합(Suture)한 실(Tread,20)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실로 크게 4개의 매듭(knot)을 형성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4개의 매듭은, 피부와 실을 고정하는 피부 봉합 매듭과, 피부에 고정된 실과 드레인(1)을 고접하는 1차 및 2차 고리 매듭 2개와, 1차와 2차 고리 매듭을 연결하는 고리 연결 매듭으로 구분된다.
한편, 개복수술과 복강경 수술에서의 드레인 설치과정은 몇 가지 차이가 있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개복수술에서 드레인 삽입 및 고정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레인을 위치시키기 위해 복부 상처 견인기(Retractor)를 이용하여 복강 내 시야를 확보한다. 수술을 위한 내복창상(Open hack)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드레인의 흡입부측을 복강내 수술부위에 위치시키고 도 3a와 같이, 금속투관 바늘을 이용하여 드레인을 복강 안쪽에서 밖으로 피부를 포함한 복벽 전층을 관통하여 인체 밖에 위치하게 되면, 금속투관 바늘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드레인을 길이를 결정한 후, 피부에 고정하기 위해 단순 봉합법(Simple suture)으로 지지봉합(Stay suture)을 시행한다.
상기 단순봉합법은 드레인과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서 바늘에 연결된 실(20)이 피부를 1회 관통하도록 한 후, 실과 피부고정을 위해 3회의 타이(tie)를 하여 피부연결 매듭(knot)을 형성한다.
만들어진 매듭의 양측 실 중앙에 드레인(1)을 위치시키고, 두 실을 엇갈려 한바퀴 둘려 감싼 후, 3회의 타이(tie)를 하여 실(2)과 드레인(1)을 고정시키는 1차 고리 매듭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안정장치의 목적으로 2차 고리 매듭을 시행한다. 1차 고리 매듭과 일정 거리 이격된 거리에서 3회의 타이(tie)하여 고리 연결 매듭을 완성한다. 완성된 부분을 드레싱으로 덮어주고 복강 밖에 위치한 드레인 끝에 복강내 분비물이 배액 되도록 흡입백을 연결하여 음압을 걸어주면 마무리된다.
복강경 수술에서 드레인을 설치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개복수술에서의 방법과 거의 유사하나 2가지 단계에서 차이점이 있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복강내 드레인을 위치시키는 방법이 다르다. 개복수술의 경우, 드레인의 위치는 수술을 위한 개복창상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금속 투관 바늘을 이용하여 복강 안에서 밖으로 관통하여 새로운 드레인 복부 관통 자상(Stab)을 만들게 된다. 반면에 복강경 수술에서는 도 4a와 같이, 드레인 삽입을 위한 새로운 복부 관창 자상을 만드는 것이 아닌 복강경 수술을 위해 삽입하였던 보조 5mm 투관침 한 곳을 통해 드레인의 흡입부측 끝을 복강 밖에서 안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다른 5mm 보조 투관침에 복강경 수술용 겸자를 삽입하여 복강내 드레인을 잡아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둘째는, 피부와 실을 고정하는 피부 봉합법인 지지봉합(Stay suture)에 차이가 있다.
개복수술시 드레인을 위치시키기 위해 날카롭고 얇은 금속투관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판을 포함한 복벽 전층을 관통하는 자상(Stab)을 만들게 되고, 이는 드레인과 복벽 관통 면 사이에 누수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복강경 수술시 복강내 5mm 투과침 삽입은 피부에 메스로 5mm 직선 절개(incision)을 넣고 투관침을 삽입하기 때문에 관통 창상(Hack, Cut)을 만들게 되고, 드레인과 복벽 관통면 상에는 누수 공간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드레인 상처부위는 개복 수술시 작은 관통 자상(Stab)을 만들게 되나, 복강경 수술에서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넓은 관통 창상(Hack, Cut)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개복 수술시에는 드레인 고정을 위한 지지봉합(Stay suture)을 관통자상에 직접하는 것이 아닌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단순 봉합(simple suture)만 하여도 복강안의 양압과 복강 밖의 드레인 끝에 연결된 흡입백의 음압에 의해 복강내 분비물이 배액된다. 드레인은 보통 수술 후 2~4일 사이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제거되고, 남게 되는 관통 자상은 추가적인 봉합 없이 자연적으로 아물게 된다.
그러나, 복강경 수술시에는 드문 경우이나 5mm 투관침 삽입 창상으로 내장탈장의 합병증이 보고된 경우도 있으며, 직선 절개의 넓은 창상은 수쳐 봉합을 해야 아물게 된다. 이를 위하여 드레인 고정을 위한 지지봉합(Stay suture)은 드레인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는 것이 아닌, 도 4b와 같이, 투관침이 제거된 관통 창상(Hack, Cut)의 한쪽 끝에 드레인을 밀착시키고, 다른 쪽에 수직매트리스봉합(vertucal mattrtrerss suture)하여 누수 공간을 막는다. 드레인은 제거 후에도 관통 창상(Hack, Cut)에 시행한 수직내트리스봉합(vertucal mattrtrerss suture)은 2~3일 더 유지한 후에 제거해야만 피부판이 봉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드레인(1)을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드레인(1)을 피부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봉합(Stay suture)과 1차, 2차 고리 매듭을 시행한 경우, 드레인의 교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드레인의 위치 교정이 필요한 몇 가지 경우가 있는데 가장 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복강 내에서 드레인의 흡입부측 말단이 인체 장기를 자극, 압박하여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통증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드레인의 위치는 적절하나 드레인과 피부에 연결될 실을 고정하는 1차, 2차 고리 매듭의 강도가 적절치 않은 경우가 있다. 고리 매듭이 너무 세게 고정되면 드레인 내경이 좁아지고, 너무 약하게 되면 드레인이 움직이면서 복강내 흡입부측에 있는 미세 흡수공의 일부가 인체 밖으로 노출되어 흡입백의 음압이 걸리지 않게 되어 복강내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두 경우 모두 1차, 2차 고리 매듭을 풀어 그레인의 위치를 교정하거나, 1차, 2차 고리 매듭의 강도를 조절해야 하나 기술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다시 환자를 국소 마취하여 드레인을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봉합(Stay sture)부터 다시 시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복벽 관통 면과 드레인 사이에서 누수(water leakage)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 설치한 드레인에서 잘 발생한다. 이는 투관침이 제거된 자리에 드레인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누수 공간이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통 창상의 한쪽 끝으로 드레인을 밀착시킨 후 다른 한쪽을 수직매트리스봉합(vertucal mattrtrerss suture)한다. 이때, 봉합이 올바르게 시행되지 않은 경우는 두껍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봉합(Stay suture)을 다시 시행하거나, 심하지 않은 경우는 두껍게 거즈를 대고 드레싱을 자주 시행해야하는 번거로운 일리 발생하고, 복강 내 감염의 위험이 발생한다.
셋째, 드레인의 당김 현상으로 환자에게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드레인은 피부에 연결된 지지봉합(Stay suture)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봉합이 부적절하게 시행된 경우 또는 환자의 부주의로 드레인 또는 흡입백이 주위사물에 걸려 당겨지는 경우 피부가 실에 의해 당겨져서 환자에게 고통과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실을 풀어서 다시 매듭을 만들어야 하는데 다시 드레인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피부에 봉합을 위해서 다시 국소마취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드레인의 설치와 제거가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드레인(Drain,10)은 총 4회의 매듭(knot)을 통해 고정되며, 각각의 매듭은 3회의 타이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된다. 시술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각 매듭이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은 경우, 드레인의 내경이 좁아지거나 위치를 이탈하여 더 이상 그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드레인(1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개의 고리 매듭실(20)을 메스로 절단 후, 드레인을 복강에서 제거하게 된다. 이때 고리 매듭 실이 드레인과 밀착 연결되어 있어 메스로 드레인을 동시에 자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드레인에 남은 부분이 복강 안으로 들어갈 위험이 생기며 이런 경우 제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 중 피부에 대한 봉합 없이 드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예로 종래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85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레인이 관통되는 커버부와, 드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커버부를 관통한 드레인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피부에 대한 봉합 없이 드레인을 고정하기 때문에 환자가 겪는 불편이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 복강경 수술에서 드레인 고정시 직선 절재의 넓은 창상은 수쳐 봉합을 해야만 상처가 아물 뿐 아니라, 드레인과 복벽 관통면 사이에 누수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에서 드레인 고정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최근에는 일부 암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분과의 대부분 질환에서 복강경 수술이 시행되므로 상기 종래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는 그 활용 범위가 적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에 따르면, 커버부를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해 커버부의 넓이를 넓게 확보해야 하고, 고정부도 커버부로부터 놉게 돌출되게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환자의 피부에 설치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을 커버부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실을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서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결합부)를 더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부품 수가 증가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을 커버부와 고정부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드레인을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커버부를 통과하도록 작업하거나, 또는 이후에 드레인의 타단을 의료용 흡인기로부터 분리한 후 커버와 고정부를 통과시켜서 다시 흡입기에 연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8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드레인을 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하고,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 고정부위에 의한 환자 고통과 불편을 감소시키면서 복벽 관통 면과 드레인 사이에는 누수(water leakage)현상을 예방하고, 고리매듭 강도에 따라 드레인 내경이 결정되기 때문에 의사의 경험과 숙련도 등에 영향을 받던 것을 획일화할 수 있는 드레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는, 환자의 수술부위로부터 혈액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드레인의 외측을 감싸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해제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단절된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의 피부에 지지봉합한 후 매듭을 묶은 실을 상기 드레인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클램프와 드레인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드레인을 감싸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단절된 제1 및 제2단부를 서로 로킹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결합부; 및 상기 클램프 몸체의 내주에 설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단부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에는 표면으로부터 상기 클램프 몸체의 내주면 쪽으로 절개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로 상기 실이 통과하여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이 끼워져 통과 가능한 고리와; 상기 고리와 상기 클램퍼를 연결하는 연결 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제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몸체의 단부로부터 확장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는 접착부가 구비된 커버용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용 확장부는 상기 마찰패드로부터 깔대기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그 내측면이 환자의 피부에 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고정장치.
도 1은 일반적인 드레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4b는 종래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의 예를 각각 나타내 보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드레인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개복수술 후 드레인을 고정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드레인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개복수술 후 드레인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복강경 수술 후 드레인을 관통 창상을 통해 삽입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드레인을 관통 창상의 일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매트릭스 봉합을 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강경 수술 후 드레인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1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클램프(20)와, 한 쌍의 클램프(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드레인(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복강 내부로 삽입되어 복강내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한 다수의 미세 공기구멍(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복강내부에서 외부로 복벽을 관통하여 인체 밖으로 위치하기 위한 날카로운 금속투관 바늘(Stainless steel trocar needle,1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금속투관 바늘(1b)은 복강 내부에서 인체 밖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드레인(1)을 절단하여 제거되며, 제거된 드레인(1)의 타단(절단부)은 음압을 이용하여 복강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의료용 흡입백(3)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1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인체에 설치되는 드레인(1)을 인체에 대해 위치 고정시켜서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인체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클램프(20)는 인체 외부에 위치한 드레인(1)을 감싸도록 클램핑하여 드레인(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시 드레인(1)과의 사이에 환자의 수술부위의 피부를 지지봉합된 실(2)을 통과시킨 상태로 실(2)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클램프(20)는 드레인(1)을 감싸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몸체(21)와, 클램프 몸체(21)의 단절된 제1 및 제2단부(22,23)를 서로 로킹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결합부(24)와, 상기 제1 및 제2단부(22,23) 각각에 연결되는 손잡이(25)와, 상기 클램프 몸체(21)의 내주에 설치되는 마찰패드(27)를 구비한다.
클램프 몸체(21)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 링 형상을 가지되, 서로 단절된 제1 및 제2단부(22,23)를 갖는다. 제1 및 제2단부(22,23)를 도 3과 같이 벌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드레인(1)을 끼운 상태에서, 제1 및 제2단부(22,23)를 밀착시켜서 로킹결합부(24)로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드레인(1)을 감싸서 클램핑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 몸체(21)는 탄성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단부(22,23)를 강제로 벌릴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단부(22,23) 사이의 중앙부분에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접힘부(21a)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 및 제2단부(22,23)를 양측으로 벌리면 접힘부(21a)를 기준으로 쉽게 벌어지게 되어 드레인(1)을 클램프 몸체(21) 내로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 로킹결합부(24)는 제1 및 제2단부(22,23)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단부(22)의 단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로킹홈(24a)과, 상기 제1단부(22)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킹홈(24a)에 상보적으로 삽입되어 로킹결합되도록 제2단부(2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로킹돌기(24b)를 가진다. 상기 구성의 로킹결합부(24)에 따르면, 로킹돌기(24b)를 로킹홈(24a)에 소위 원터치 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단부(22,23)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5)는 제1 및 제2단부(22,23)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단부(22,23) 각각에 손잡이(25)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20)를 드레인(1)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손잡이(25)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제1단부(22)쪽은 누르고, 제2단부(23)쪽의 손잡이(25)는 잡아당겨서 로킹결합부(24)의 로킹상태를 용이하게 로킹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수술부위의 피부(3)에 봉합한 실(2)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클램프들(20) 간의 간격, 드레인(1)의 위치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 클램프(20)를 용이하게 클램핑 해제한 뒤 다시 클램핑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마찰패드(27)는 클램프 몸체(21)의 내주에 소정 두께 설치된다. 이 마찰패드(27)는 클램프 몸체(21)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 몸체(21)를 링 구조로 클램핑 결합한 상태일 때, 드레인(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찰패드(27)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변형이 가능하고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찰패드(27)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7a)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절개부(27a)는 마찰패드(27)의 표면으로부터 클램프 몸체(21)의 내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7a)로 실(2)이 통과하도록 실(2)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클램핑 몸체(21)에 드레인(1)을 끼워 넣어 클램핑 고정하면, 실(2)이 마찰력이 큰 마찰패드(27)의 절개부(27a)에 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피부를 봉합한 실(2)을 클램프(20)를 이용하여 드레인(1)에 연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드레인(1)을 잡아당기거나 실(2)을 잡아당기더라도 실(2)이 한 쌍의 클램프(20)에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실(2)이 클램프(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8과 같이, 환자의 수술부위의 피부에 지지봉합한 실(2)은 한 번만 매듭을 묶은 후에, 매듭부분으로부터 연결된 두 갈래의 실을 복수(한 쌍)의 클램프(20) 내측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클램프(20)를 소정 거리 이격시켜서 드레인(1)에 클램핑하여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드레인(1)이 환자의 수술부위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램프(20)는 드레인(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서로 간의 설치위치(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고리(31)와, 고리(31)를 각각의 클램프(20)와 연결하는 연결 끈(33)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한 쌍의 클램프(20)를 연결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한 쌍의 클램프(20)가 단일 세트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31)는 도 5와 같이, 드레인(1)을 끼워서 결합한 상태로 제공되고, 클램프(20)는 드레인(1)에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10)의 고리만(31)만 드레인(1)과 연결된 상태로 보관, 포장 및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고리(31)를 생략하고, 연결 끈(33)만을 이용하여 한 쌍의 클램프(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10')는, 한 쌍의 클램프(20,20')와, 한 쌍의 글램프(20,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앞서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의료용 고정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클램프(20,20') 중에서 환자의 피부(4)에 가깝게 위치되는 클램프(20')의 경우에는, 클램프 몸체(21)의 단부쪽에서부터 확장되어 형성된 커버용 확장부(26)를 더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26)는 마찰패드(27)의 일단부로부터 소위 깔대기 모양 내지 반구형상으로 확장형성되며, 그 내측면에는 접착부(28)가 마련되어 환자의 피부(4)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용 확장부(26)는 마찰패드(27)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용 확장부(26)는 클램프 몸체(21)를 벌릴 때 함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26a)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28)는 확장부(26)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2와 같이, 환자의 인체에 드레인(1)을 설치한 상태에서, 드레인(1)을 고정하기 위한 실(2)로 인체에 지지봉합을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개복수술시의 드레인 설치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드레인(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실(2)을 지지봉합하고, 드레인(1)에 클램프(20')(20)를 결합하면서 실(2)을 클램프(20',20)로 클램핑하여 고정한다.
이때, 클램프(20')의 커버용 확장부(26)를 도 11a와 같이 피부 표면에 닿게 놓은 상태에서, 피부 쪽으로 밀어서 밀착시키면, 커버용 확장부(26)가 변형되면서 접착부(28)가 피부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커버용 확장부(26)를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접착부(28)를 이용하여 피부표면에 접착고정하게 되면, 드레인(1)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드레인(1)이 당겨지는 경우라도 실(2)에 의한 매듭부분에서 통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개복수술한 후의 드레인(1)을 설치를 위해서는 드레인에 연결된 금속투관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에 새로운 드레인 복부 관통 자상(Stab)을 만들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드레인(1)이 관통된 자상(Stab)을 통해 누수가 발생 될 염려가 없으므로 실(2)을 자상(Stab)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단순 봉합법으로 지지봉합을 시행하고, 지지봉합한 실(2)을 앞서 설명한대로 클램프(20',20)를 이용하여 드레인(1)에 고정연결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지봉합을 한 후에, 실로 드레인(1)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1차, 2차 고리매듭은 물론, 고리연결 매듭을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드레인 고정작업이 용이하게되어 비숙련자도 드레인을 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레인(1)을 설치 후에, 실의 당김정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매듭을 풀거나, 실을 새롭게 봉합하여 설치할 필요 없이, 클램프(20)를 풀어서 위치조정하거나, 실의 장력을 조절한 뒤 다시 고정하면 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하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복강경 수술의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피부(4)에 복강경 수술을 위한 보조 투관침을 집어넣기 위해서, 5mm 투관침 삽입용 관통 창상(Hack, Cut;6)을 만들게 되는데, 이 관통 창상(6)은 피부에 메스로 5mm 직선 절개(incision)를 하게 된다. 따라서, 드레인(1)을 관통 창상(Hack, Cut;6)을 통해 복부 내로 집어넣게 되며, 드레인(1)과 복벽 관통 면 사이에 누수공간(S)이 발생된다.
따라서, 개복 수술시 드레인 고정을 위한 지지봉합(Stay suture)은 드레인(1)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지 않고, 도 13과 같이, 투관침이 제거된 관통 창상(Hack, Cut;6)의 한쪽 끝에 드레인(1)을 밀착시키고, 다른 쪽에 실(2)로 수직매트리스봉합(vertical mattress suture)하여 누수 공간을 막는다.
이와 같이 수직매트리스봉합(vertical mattress suture)을 한 상태에서, 앞서 도 11a 및 도 11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실(2)을 클램프(20',20')를 이용하여 드레인(1)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20')의 확장부(26)를 피부표면에 밀착시켜서, 접착부(28)를 피부에 접착함으로써, 도 14와 같이, 수직매트리스봉합(vertical mattress suture)된 부분과 관통 창상(Hack, Cut;6)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통 창상(Hack, Cut;6)을 통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이나 오염물이나 세균 등이 관통 창상(Hack, Cut;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복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에 상관없이, 드레인(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드레인(1)의 위치 조정은 물론, 실(2)의 장력 등을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환자에게 발생하는 통증 등에 대해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2)을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드레인(1)을 감아서 만드는 1차, 2차 고리매듭 및 연결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1차 및 2차 고리매듭의 매듭 강도에 따라 결정되던 드레인(1)의 내경이 의사의 경험과 숙련도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획일화할 수 있게 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애할 수 있을 것이다.
1..드레인 2..실
10,10'..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20,20'..클램프
30..연결부재

Claims (7)

  1. 환자의 수술부위로부터 혈액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드레인의 외측을 감싸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해제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단절된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의 피부에 지지봉합한 후 매듭을 묶은 실을 상기 드레인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클램프와 드레인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드레인을 감싸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단절된 제1 및 제2단부를 서로 로킹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결합부; 및
    상기 클램프 몸체의 내주에 설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에는 표면으로부터 상기 클램프 몸체의 내주면 쪽으로 절개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로 상기 실이 통과하여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단부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이 끼워져 통과 가능한 고리와;
    상기 고리와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6. 환자의 수술부위로부터 혈액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드레인의 외측을 감싸서 클램핑하거나, 클램핑해제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단절된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의 피부에 지지봉합한 후 매듭을 묶은 실을 상기 드레인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클램프와 드레인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드레인을 감싸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단절된 제1 및 제2단부를 서로 로킹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결합부;
    상기 클램프 몸체의 내주에 설치되는 마찰패드; 및
    상기 클램프 몸체의 단부로부터 확장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는 접착부가 구비된 커버용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확장부는 상기 마찰패드로부터 깔대기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그 내측면이 환자의 피부에 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고정장치.
KR1020140063119A 2014-05-26 2014-05-26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KR10165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19A KR101651601B1 (ko) 2014-05-26 2014-05-26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19A KR101651601B1 (ko) 2014-05-26 2014-05-26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1A KR20150135921A (ko) 2015-12-04
KR101651601B1 true KR101651601B1 (ko) 2016-08-26

Family

ID=5486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19A KR101651601B1 (ko) 2014-05-26 2014-05-26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8176B (zh) * 2019-04-30 2024-05-24 威海柯西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引流器刻度挂尺
WO2021020606A1 (ko) * 2019-07-29 2021-02-04 정민영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262A (ja) 2003-08-25 2007-02-22 ジェン−プロウ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クランプおよび弾性クランプを備えるシリンジポンプ
US20070167922A1 (en) 2004-06-17 2007-07-19 Hammersmith Hospital's Nhs Trust Cannula components
JP2009541001A (ja) 2006-07-01 2009-11-26 スミスズ グループ ピーエルシー 医療外科チューブ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225A (en) * 1996-09-30 1998-05-26 Hutson & Associates, Inc. Medical tube-retaining device
KR101133854B1 (ko) 2011-06-29 2012-04-06 김재홍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262A (ja) 2003-08-25 2007-02-22 ジェン−プロウ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クランプおよび弾性クランプを備えるシリンジポンプ
US20070167922A1 (en) 2004-06-17 2007-07-19 Hammersmith Hospital's Nhs Trust Cannula components
JP2009541001A (ja) 2006-07-01 2009-11-26 スミスズ グループ ピーエルシー 医療外科チューブ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1A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6884A (en) Atriotomy access device
US20230050591A1 (en) Gastric sizing systems including instruments and methods of bariatric surgery
AU2003239407B2 (en) Adjustable balloon anchoring trocar
EP2617374A1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flexible and rigid liners
US10568618B2 (en) Surgical suture for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device
ES2924558T3 (es) Aparato de cierre de herida vascular
JP2005516686A (ja) 医療器具のための導入アセンブリ
JP2010005388A (ja) アクセスアセンブリ
KR101651601B1 (ko) 의료용 드레인 고정장치
US10499899B2 (en) Medical tube fixing apparatus
KR101535899B1 (ko) 의료용 튜브 고정구
EP3586770B1 (en) Incision and closure surgical device
JP6034858B2 (ja) 心臓手術のための動脈カニューレ
JP6956178B2 (ja) 痔瘻の治療のための装置
GB2472268A (en) Support for a catheter or drain tube
EP1631199B1 (en) Sizing and positioning adapter for medical instruments
KR20180020800A (ko) 체액배출용 튜브 고정구
US20220218954A1 (en) Sutureless adhesion system
JP2010172695A (ja) バネを含む外科用ポータル装置のための縫合糸管理システム。
US20200282192A1 (en) Suture-less chest tube
KR100293089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사 루프 결속 방법
JP3647025B2 (ja) 消化管吻合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3112874B2 (ja) 医療用チューブ
KR20170018858A (ko) 배액관 고정장치
CN213251757U (zh) 胸腔引流管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