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960B1 -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960B1
KR101650960B1 KR1020110015486A KR20110015486A KR101650960B1 KR 101650960 B1 KR101650960 B1 KR 101650960B1 KR 1020110015486 A KR1020110015486 A KR 1020110015486A KR 20110015486 A KR20110015486 A KR 20110015486A KR 101650960 B1 KR101650960 B1 KR 10165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ommand set
bit pattern
type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632A (ko
Inventor
이치로 사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96Synchronisation or controll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맨드 세트를 구성하는 상기 1종 이상의 커맨드를 상기 소정의 순번으로 나열한 때에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수신 장치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Description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TRANSMITTER, DISPLAY, SHUTTER EYEGLASS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ISPLAY SYSTEM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본 발명은 셔터 안경 등의 수신 장치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 및 표시 시스템, 및 그들의 시스템에 알맞게 사용되는 송신 장치, 셔터 안경, 표시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입체 표시가 가능한 표시 시스템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그들의 표시 시스템의 하나에, 셔터 안경을 이용한 표시 시스템이 있다. 이 표시 시스템에서는 서로 시차가 있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이, 표시 장치에 교대로 시분할적으로 표시됨과 함께, 이들 화상의 전환(표시 타이밍)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에서의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가 전환 제어된다. 이 전환 동작을 반복함에 의해, 관찰자는 이들 일련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을 깊이가 있는 입체적인 영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 안경에서의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 제어는 각각, 통상적으로, 표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셔터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는 것이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Standard Connector and Signal Standards for Stereoscopic Display Hardware", Version 1, November 5, 199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셔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셔터 제어 신호로서, 듀티(duty)비가 50%의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셔터 제어 신호의 레벨 신호가 고레벨일 때에는 표시 장치에 좌안용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셔터 안경의 좌안용 셔터를 여는 한편, 저레벨일 때에는 표시 장치에 우안용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셔터 안경의 우안용 셔터를 열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다른 전자 기기의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적외선 신호 등) 등이 난비하고 있는 것이 많다. 따라서 표시 시스템에서 표시 장치(송신측)로부터 셔터 안경(수신측)로 보내지는 셔터 제어 신호가 그와 같은 다른 외부 신호의 영향을 받고아, 노이즈(외부 노이즈)를 포함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셔터 제어 신호에 외부 노이즈가 포함되면, 수신측에서 오동작 등을 발생하는 요인이 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의 실현이 곤란해진다.
그런데, 상기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Standard Connector and Signal Standards for Stereoscopic Display Hardware", Version 1, November 5, 1997의 수법을 포함하여, 종래의 셔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그와 같은 외부 노이즈에 대한 대책이 이루어져 있지 않던지, 또는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통신할 때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법의 제안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에서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커맨드 세트를 구성하는 1종 이상의 커맨드를 상기 소정의 순번으로 나열한 때에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은 수신 장치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복수 종류의 화상을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화상의 표시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셔터 안경에 대해,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송신부는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맨드 세트를 구성하는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상기 소정의 순번으로 나열한 때에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은 셔터 안경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셔터 안경은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표시 장치로부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표시 장치에서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복수 종류의 화상의 표시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와, 커맨드 세트를 구성하는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상기 소정의 순번으로 나열한 때에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과 동일한 비트 패턴을 보존하는 보존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송신 장치와, 상기 본 발명의 셔터 안경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표시 장치와, 상기 본 발명의 셔터 안경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수신 방법은 송신 장치에서, 각각이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그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셔터 안경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면서, 셔터 안경에 대해 반복하여 송신하고, 이 셔터 안경에서, 상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가 각각, 복수 종류의 화상을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의 복수 종류의 화상의 표시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에서는 복수 종류의 커맨드(또는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커맨드가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송신 장치(또는 송신부)로부터 반복하여 송신된 커맨드 세트에 있어서, 이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수신 장치(또는 셔터 안경)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커맨드 세트를 포함하는 신호의 통신을 행할 때에, 수신측에서, 그 커맨드 세트가 외부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송신 장치(또는 송신부)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커맨드 세트에 있어서, 이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수신 장치(또는 셔터 안경)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송신측부터 수신측으로 커맨드 세트를 포함하는 신호의 통신을 행할 때에, 그 커맨드 세트가 외부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측에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 또는 회피하기 쉽게 되고,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구동부 및 표시부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화소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셔터 안경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커맨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동기 제어 신호와 송신 모드 등과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에서의 정상 상태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동작례에 있어서의 커맨드 세트 및 비트 패턴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에서의 시작 처리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에서의 중단/종료 처리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례 1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례 2에 관한 표시 시스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한 표시 시스템의 한 동작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실시의 형태(송신 장치가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입체시 표시 시스템의 예)
변형례
변형례 1(송신 장치가 표시 장치의 외부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입체시 표시 시스템의 예)
변형례 2(멀티 뷰 시스템의 예)
실시의 형태
표시 시스템(1)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표시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 이 표시 시스템(1)는 서로 시차(視差;parallax)를 갖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교대로 시분할적으로 표시함과 함께, 이들의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의 전환(표시 타이밍)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의 좌우의 셔터의 개폐를 전환 제어함에 의해, 입체시 표시를 행하는 입체시 표시 시스템이다. 표시 시스템(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로서의 표시 장치(10)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셔터 안경(수신 장치)으로서의 셔터 안경(60)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0)의 상세 구성
표시 장치(10)는 신호 처리부(20), 표시 구동부(11), 표시부(12), 음성 증폭부(13), 스피커(14) 및 셔터 제어부(15)를 갖고 있다. 이 표시 장치(10)는 입체시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Din)에 의거하여, 표시부(12)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스피커(14)로부터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입체시용 영상 신호란, 서로 시차를 갖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시간축에 따른 교대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인 것이다. 또한, 셔터 제어부(15)가, 본 발명에서의 "송신 장치" 및 "송신부"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20)
신호 처리부(20)는 입력 신호(Din)에 의거하여, 좌안용 화상 신호와 우안용 화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D1)와, 음성 신호(D2)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신호 처리부(20)는 또한, 셔터 제어부(15)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신호 처리부(20)에서의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후술)는 좌안용 화상 신호와 우안용 화상 신호에 동기한 동기 제어 신호(Sync)를 출력하고, 셔터 제어부(15)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튜너(21),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22),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 그래픽 생성 회로(24), 음성 신호 처리 회로(25),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레시버(2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갖고 있다.
디지털 튜너(21)는 안테나(도시 생략)에서 수신되어 안테나 단자(TA)를 통하여 공급된 방송파(도 1에서의 입력 신호(Din)에 대응)로부터, 소망하는 신호(스트림)를 선택하는 것이다. MPEG 디코더(22)는 디지털 튜너(21)에서 선택된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는 MPEG 디코더(22)에서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해, 감마 처리, YUV-RGB 전환, 프레임 순차 출력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동기 제어 신호(Sync)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생성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래픽 생성 회로(24)는 OSD(On Screen Display)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로부터 공급된 영상에 대해 중첩시켜, 그 출력 신호를 영상 신호(D1)로서 표시 구동부(11)에 공급하는 것이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25)는 MPEG 디코더(22)에서 추출된 음성 신호에 대해, 서라운드 처리 등의 음성 신호 처리를 시행하고, 그 출력 신호를 음성 신호(D2)로서 음성 증폭부(13)에 공급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방송파 외에, 복수의 신호를 입력 신호(Din)로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BD(Blu-ray Disk) 레코더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신호나, IP(Internet Protocol) 방송 신호 등을 입력 신호(Din)로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HDMI 레시버(26)는 외부 기기(도시 생략)로부터 HDMI 단자(TH)를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이다. 이 HDMI 레시버(26)는 그 수신한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에 공급함과 함께,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 회로(25)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인터넷에 접속된 네트워크 단자(TN)을 통하여 공급되는 IP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신호를 MPEG 디코더(22)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20)는 내부 버스(31)에 의해 서로 접속된, 메모리(32), 플래시 ROM(33) 및 CPU(34)를 또한 갖고 있다. 이 내부 버스(3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와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20)는 또한, 리모트 콘트롤 수신부(35)를 갖고 있다. 이 리모트 콘트롤 수신부(35)는 외부의 리모트 콘트롤(도시 생략)로부터의 지시 신호인 리모트 콘트롤 신호(RS)(예를 들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CPU(34)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 구동부(11) 및 표시부(12)
도 1에서, 표시 구동부(11)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D1)에 의거하여, 표시부(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표시부(12)는 이 표시 구동부(1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표시 구동부(11) 및 표시부(12)의 한 구성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표시 구동부(11) 및 표시부(12)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2)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45) 및 백라이트(46)를 갖고 있다. 또한, 표시 구동부(11)는 타이밍 제어부(41), 게이트 드라이버(42), 데이터 드라이버(43) 및 백라이트 구동부(44)를 갖고 있다.
액정 표시 디바이스(45)는 데이터 드라이버(43)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 액정 표시 디바이스(45)에서는 화소(50)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소(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51), 액정 소자(52) 및 보존용량 소자(53)를 갖고 있다. TFT 소자(51)는 예를 들면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Field Effect Transisto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TFT 소자(51)는 게이트가 게이트선(G)에 접속되고, 소스가 데이터선(D)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액정 소자(52)의 일단 및 보존용량 소자(53)의 일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액정 소자(52)는 일단이 TFT 소자(5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보존용량 소자(53)는 일단이 TFT 소자(5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타단은 보존용량선(Cs)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선(G)은 게이트 드라이버(42)에 접속되고, 데이터선(D)은 데이터 드라이버(43)에 접속되어 있다.
백라이트(46)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45)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고,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나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제어부(41)는 게이트 드라이버(42), 데이터 드라이버(43) 및 백라이트 구동부(44)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함과 함께, 신호 처리부(20)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D1)를 데이터 드라이버(42)에 공급하는 것이다. 게이트 드라이버(42)는 타이밍 제어부(41)에 의한 타이밍 제어에 따라, 액정 표시 디바이스(45) 내의 화소(50)를 열마다에 선택하여, 선순차 주사하는 것이다. 데이터 드라이버(43)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45)의 각 화소(50)에, 영상 신호(D1)에 의거한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신호(D1)에 대해 D/A(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행함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인 화소 신호를 생성하고, 각 화소(5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44)는 타이밍 제어부(41)에 의한 타이밍 제어에 따라, 백라이트(46)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부(12)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42)에 의해 선택된 화소(50)에 대해, 데이터 드라이버(43)로부터 화소 신호가 공급된다. 그 결과, 백라이트(46)로부터의 광이, 그 화소(50)의 액정 소자(52)에 의해 변조된다. 이들의 동작이, 액정 표시 디바이스(45)의 표시면에 대해 선순차 주사에 의해 행하여짐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부(12)는 교대로 공급되는 좌안용 화상 신호 및 우안용 화상 신호의 각각에 대해 이와 같은 표시 동작을 행함에 의해,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교대로 시분할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음성 증폭부(13) 및 스피커(14))
도 1에서, 음성 증폭부(13)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D2)를 증폭하는 것이다. 또한, 스피커(14)는 음성 증폭부(13)에서의 증폭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셔터 제어부(15)
셔터 제어부(15)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공급된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고, 예를 들면 적외선이나 전파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셔터 안경(60)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셔터 제어 신호(CTL)는 셔터 안경(6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화된 신호임과 함께, 후술하는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신호이고, 표시 장치(10)에 표시되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에 동기한 신호로 되어 있다. 여기서, 커맨드 세트(CS)란,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여기서는 2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셔터 제어부(15)는 입체 영상을 시인할 때의 크로스토크 현상(영상의 혼입)이나 플리커(영상의 어른거림)를 억제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복수의 송신 모드로의 송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복수의 송신 모드마다, 다른 커맨드 세트(CS)가 준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셔터 제어부(1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 비트 패턴 보존부(152) 및 송신부(153)를 갖고 있다.
비트 패턴 보존부(152)는 후술하는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복수 종류 보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마다의 비트 패턴, 및 상기한 복수의 송신 모드마다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송신 순서(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를 보존하고 있다.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고, 송신부(153)에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에 의거하여, 복수의 송신 모드로부터 하나의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비트 패턴 보존부(152)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이용하여, 선택한 송신 모드용으로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셔터 제어 신호(커맨드 세트(CS))의 생성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송신부(153)는 예를 들면 적외선이나 전파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셔터 제어 신호(CTL)를 송신하고, 셔터 안경(60)에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3)에 의해 생성된 커맨드 세트(CS)를, 반복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송신부(153)는 셔터 제어 신호(CTL)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유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송신부(153)는 기존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콘트롤 등)의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적외광의 파장과는 다른 파장의 적외광, 또는 그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부(sub)반송파 주파수와는 다른 부반송파 주파수, 또는 그 쌍방을 이용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의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적외광으로는 일반적으로, 파장이 940㎚ 정도, 부반송파 주파수가 40kHz 정도이기 때문에,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이용하는 적외광으로서, 한 예로서, 파장이 850㎚ 정도, 부반송파 주파수가 25kHz 정도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셔터 제어 신호(CTL)와, 상기한 기존의 전자 기기에 대한 원격 조정 신호(예를 들면, 도 2중에 도시한 리모트 콘트롤 신호(RS))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셔터 제어 신호(CTL) 내에 외부 노이즈가 포함되는 것을 저감 또는 회피할 수 있다.
셔터 안경(60)의 상세 구성
셔터 안경(60)은 표시 장치(10)의 관찰자(도시 생략)가 이용함에 의해, 입체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셔터 안경(6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를 갖고 있다. 이들의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에서의 차광 상태(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는 셔터 제어부(15)로부터 공급되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의해 제어되게 되어 있다.
도 5는 셔터 안경(60)의 상세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셔터 안경(60)은 수신부(61), 판별 회로(62)(판별부), 비트 패턴 보존부(63)(보존부), 셔터 구동 회로(64)(구동부),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를 갖고 있다.
수신부(61)는 표시 장치(10) 내의 송신부(29)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공급된 셔터 제어 신호(CTL)를 수신하는 것이다. 즉, 수신부(61)는 전술한 커맨드 세트(CS)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표시 장치(10) 내의 송신부(29)로부터, 그 커맨드 세트(CS)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비트 패턴 보존부(63)는 수신부(61)에서 수신한다고 예상(상정)되는 커맨드 세트(CS) 전체로 형성되는 비트 패턴과, 동일한 비트 패턴을 보존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비트 패턴 보존부(63)는 셔터 제어부(15) 내의 비트 패턴 보존부(152)와 동일한 비트 패턴을 미리 보존하고 있다. 즉,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복수 종류 보존하고 있고,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마다의 비트 패턴, 및 전술한 복수의 송신 모드마다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송신 순서(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를 보존하고 있다.
판별 회로(62)는 수신부(61)에서의 수신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제어 코드(커맨드 세트(CS) 전체의 비트 패턴)를 해독하고,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에의 개폐 지시를 판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한 커맨드 세트(CS) 전체에서 비트 패턴과,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의 보존되어 있는 대응한 송신 모드에 있어서 비트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셔터 구동 회로(64)는 판별 회로(62)로부터 공급된 신호(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에 의거하여,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에 대해, 그들의 개폐 동작의 구동을 행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좌안용 셔터(6L)에 대한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를 생성하여 좌안용 셔터(6L)에 공급함과 함께, 우안용 셔터(6R)에 대한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R)를 생성하여 우안용 셔터(6R)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좌안용 셔터(6L)는 셔터 구동 회로(63)로부터 공급된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에 의거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우안용 셔터(6R)는 셔터 구동 회로(63)로부터 공급된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R)에 의거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이들의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는 각각, 예를 들면 액정 셔터 등의 차광 셔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셔터 제어 신호(CTL)의 상세 구성
다음에,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의 상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 포함되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a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전체 구성례를 도시하고, 도 6b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과 커맨드 비트(CB)의 비트 패턴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커맨드 테이블(CT)의 한 예를 도시하고, 도 6c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타이밍 파형(펄스 파형)의 한 예를 도시한다.
셔터 제어 커맨드(CMD)는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비트로 이루어지는 스타트 비트(SB)와, 4비트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비트(CB)(상위 비트측부터 하위 비트 측으로 차례로, CB4 내지 CB1)를 포함하고 있다.
스타트 비트(SB)는 셔터 제어 신호 커맨드(CMD)에서의 제어 코드의 프리앰블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소정의 비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안경(60)에서의 판별 회로(62)는 이 스타트 비트(SB)를 검출하여, 커맨드 비트(CB)의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커맨드 비트(CB)
커맨드 비트(CB)는 예를 들면 도 6(B)중에 도시한 커맨드 테이블(CT)에서의 각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A" 내지 "F")와 같이, 복수 종류(여기서는 6종류)의 제어 커맨드(CMD)의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환언하면, 커맨드 비트(CB)는 셔터 안경(60)에서의 좌안용 셔터(6L) 또는 우안용 셔터(6R) 또는 그 쌍방의 개폐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커맨드 비트(CB)가 "1000"(CB4="1", CB3="0", CB2="0", CB1="0")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A")은 좌안용 셔터(6L)의 폐쇄 동작("L-Close")을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맨드 비트(CB)가 "0100"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B")은 좌안용 셔터(6L)의 개방 동작("L-Open")을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맨드 비트(CB)가 "0010"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C")은 우안용 셔터(6R)의 폐쇄 동작("R-Close")을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맨드 비트(CB)가 "0001"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D")은 우안용 셔터(6R)의 개방 동작("R-Open")를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맨드 비트(CB)가 "1010"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E")은 좌안용 셔터(6L)의 개방 동작 및 우안용 셔터(6R)의 폐쇄 동작"(L-Open/R-Close")을 각각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맨드 비트(CB)가 "0101"일 때,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F")은 우안용 셔터(6R)의 개방 동작 및 좌안용 셔터(6L)의 폐쇄 동작("R-Open/L-Close")을 각각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이 "E", "F"일 때는 좌안용 셔터(6L)의 동작 및 우안용 셔터(6R)의 동작을 통합하여 지시하는 것(복합 커맨드)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커맨드 비트(CB)에서의 그 밖의 비트 패턴에 관해서는 사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이밍 파형(펄스 파형)으로 되어 있다(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이 "B"일 때의 예). 즉, 여기서는 스타트 비트(SB)는 3펄스로 구성됨과 함께, 커맨드 비트(CB)에서의 각 비트(CB4 내지 CB1)는 각각, 2펄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의 Tb1, Tb2는 각각, 스타트 비트(SB)와 커맨드 비트(CB) 사이의 블랭크 기간(Tb1), 및 커맨드 비트(CB)와 다음 셔터 제어 커맨드(CMD)와의 사이의 블랭크 기간(Tb2)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표시 시스템(1)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1. 전체 동작의 개요
신호 처리부(20)는 서로 시차를 갖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교대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입체시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Din)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D1) 및 음성 신호(D2)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0)의 디지털 튜너(21)는 안테나에서 수신되어 안테나 단자(TA)를 통하여 공급된 방송파(입력 신호(Din))로부터, 소망하는 신호(스트림)를 선택한다. MPEG 디코더(22)는 디지털 튜너(21)에서 선택된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추출한다.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는 MPEG 디코더(22)에서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함과 함께, 동기 제어 신호(Sync)를 생성한다. 그래픽 생성 회로(24)는 OSD 정보를 생성하고,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로부터 공급된 영상에 중첩시켜, 영상 신호(D1)를 생성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25)는 MPEG 디코더(22)에서 추출된 음성 신호에 대해 음성 신호 처리를 행하여, 음성 신호(D2)를 생성한다. 표시 구동부(11)는 영상 신호(D1)에 의거하여 표시부(12)를 구동한다. 표시부(12)는 표시 구동부(1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한다. 음성 증폭부(13)는 음성 신호(D2)를 증폭하고, 스피커(14)를 구동한다. 스피커(14)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셔터 제어부(15)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23)로부터 공급된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표시 장치(10)에서의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의 표시에 동기한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셔터 안경(60)에 공급한다.
셔터 안경(60)의 수신부(61)는 셔터 제어부(15)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공급된 셔터 제어 신호(CTL)를 수신한다. 판별 회로(62)는 수신부(61)에서 수신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제어 코드(커맨드 세트(CS) 전체의 비트 패턴)를 해독하고,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에의 개폐 지시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한 커맨드 세트(CS) 전체에서의 비트 패턴과,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 보존되어 있는 대응하는 송신 모드에서의 비트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별한다. 셔터 구동 회로(64)는 판별 회로(62)로부터 공급된 신호(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에 의거하여,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를 생성하여 좌안용 셔터(6L)에 공급함과 함께,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R)를 생성하여 우안용 셔터(6R)에 공급한다. 좌안용 셔터(6L)는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에 의거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고, 우안용 셔터(6R)는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R)에 의거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도 7a 및 도 7b는 표시 시스템(1)의 전체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에서, 도 7a는 좌안용 화상(L)을 표시한 때(표시광(LL)이 출사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고, 도 7b는 우안용 화상(R)을 표시한 때(표시광(LR)이 출사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0)가 좌안용 화상(L)을 표시하고 있을 때, 셔터 안경(60)에서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셔터(6L)가 열린 상태가 됨과 함께, 우안용 셔터(6R)가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관찰자(9)는 좌안(9L)으로 좌안용 화상(L)을 보게 된다. 한편, 표시 장치(10)가 우안용 화상(R)을 표시하고 있을 때, 셔터 안경(60)에서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셔터(6L)가 닫힌 상태가 됨과 함께, 우안용 셔터(6R)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 관찰자(9)는 우안(9R)으로 우안용 화상(R)을 보게 된다. 이들의 동작이 교대로 반복되면, 좌안용 화상(L)와 우안용 화상(R) 사이에는 시차가 있기 때문에, 관찰자(9)는 이들의 일련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을 깊이가 있는 입체적인 영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2. 셔터 제어 신호(CTL)의 생성 및 송/수신 동작
다음에, 도 8 내지 도 13 등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20) 및 셔터 제어부(15)에 의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생성, 및 셔터 제어부(15) 및 셔터 안경(60)에 의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송/수신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2-1. 신호 처리부(20)에 의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생성 동작
우선, 신호 처리부(20) 내의 영상 신호 처리 회로(20)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좌안용 영상 신호 및 우안용 영상 신호)의 내용이나 전환 타이밍, 유저로부터의 리모트 콘트롤 신호(RS)를 통한 지시 내용 등에 의거하여, 동기 제어 신호(Sync)를 생성한다.
도 8은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되는 동기 제어 신호(Sync)와, 전술한 셔터 제어 신호(CTL)에서의 송신 모드 등과의 관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제어 신호(Sync)는 2치 논리에 의해 표현되는 신호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동기 제어 신호(Sync)에서는 그 1주기 기간(예를 들면, 100ms 내지 4ms 정도)의 전반(前半)에, 논리치 상태가 "H(하이)"인 H기간(TH)이 마련됨과 함께, 후반에 논리치 상태가 L(로우)인 L기간(TL)이 마련되어 있다. 단,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0% 내지 100% 사이의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한 예에서는 듀티=약 48%). 또한, 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는 기본적으로,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의 각 상대적 개방 기간 길이(Open 기간 장)를 나타내는 개방 듀티(Duty)(%)를 규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크기(상기한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의 개방 듀티(Duty)(%)의 크기)에 응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에서의 송신 모드 등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복수의 송신 모드는 각각, 개방 듀티(Duty)(%)의 범위(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범위)를 복수로 구분한 때의 각 듀티 구분 범위(△Duty1 내지 △Duty3)에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이상이면서 44% 미만(듀티 구분 범위(△Duty1))일 때에는 후술하는 송신 모드(A)(5%≤Duty<44%)가 된다. 또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45% 이상이면서 55% 이하(듀티 구분 범위(△Duty2))일 때에는 후술하는 송신 모드(B)(Duty=50%)가 된다.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테이(TH/Tsync)가 56%보다도 크면 또한 95% 이하(듀티 구분 범위(△Duty3))일 때는 후술하는 송신 모드(C)(56%<Duty≤95%)가 된다. 즉, 송신 모드(A, C)에서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이, 그대로 개방 듀티(Duty)의 값이 된다(개방 듀티(Duty)가 변동치이다). 한편, 송신 모드(B)에서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에 의하지 않고, 개방 듀티(Duty)의 값이 고정치(50%)가 된다.
또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미만 또는 95%보다도 큰 때에는 후술하는 중단/종료 처리가 행하여지는 모드가 된다. 또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44% 이상이면서 45% 미만, 또는 55%보다도 크면서 56% 이하일 때에는 후술하는 혼재(混在;mixed) 에어리어 처리가 행하여지는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영상 신호 처리 회로(20)는 영상 신호의 내용이나 전환 타이밍, 유저로부터의 리모트 콘트롤 신호(RS)를 통한 지시 내용 등에 의거하여,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를 설정함에 의해, 동기 제어 신호(Sync)를 생성한다.
2-2. 셔터 제어부(15)에 의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생성 및송신 동작
다음에, 셔터 제어부(15)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전술한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여기서는 2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CS)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커맨드 세트(CS)를 셔터 안경(60)에 대해 반복하여 송신함에 의해, 셔터 제어 신호(CTL)의 송신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제어부(15) 내의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고, 송신부(153)에 공급한다. 상세하게는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우선,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에 응하여, 복수의 송신 모드로부터 하나의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다른 처리 모드를 선택한다). 즉, 예를 들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이상이면서 44% 미만일 때에는 송신 모드(A)(5%≤Duty<44%)를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45% 이상이면서 55% 이하일 때에는 송신 모드(B)(Duty=50%)를 선택한다.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6%보다도 크면서 95% 이하일 때에는 송신 모드(C)(56%<Duty≤95%)를 선택한다.
다음에,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비트 패턴 보존부(152)로 보존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이용하여, 도 10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선택한 송신 모드용에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한다. 이 때,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후술하는 셔터 안경(60) 내의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도록, 커맨드 세트(CS)의 비트 패턴(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나열 순서)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가, 송신부(153)로부터 셔터 안경(60)에 대해 송신된다.
여기서, 도 9는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에서의,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에 응한 모드 선택 동작의 한 예를 상태 천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8(B)에 도시한 동작에 대응하여 나타내고 있다.
최초에(표시 장치(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초기 검출 처리를 행한다(도 9의 스텝 S1). 구체적으로는 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주파수(fsync) 및 듀티(TH/Tsync)의 값이 각각, 이하 설명하는 정상 상태(입체 영상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의 통상 상태)(송신 모드(A 내지 C))에서의 송신 동작(또는 혼재 에어리어 처리)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파수(fsync)의 값이 10Hz 이상이면서 250Hz 이하임과 함께, 듀티(TH/Tsync)의 값가 5% 이상이면서 95% 이하인 경우에는 이하의 Sync 듀티(TH/Tsync)검출 처리(스텝 S2)로 이행한다. 한편, 주파수(fsync) 및 듀티중(TH/Tsync)의 적어도 한쪽의 값이, 이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났던 값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쌍방이 이들의 범위 내의 값이 될 때까지 초기 검출 처리를 계속해서 행한다.
다음에,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검출 처리를 행한다(스텝 S2). 그리고, 이 듀티(TH/Tsync)의 값에 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모드(A 내지 C)로부터 하나의 송신 모드를 선택하여 송신 동작을 행한다. 즉, 송신 모드(A) 처리(스텝 S3), 송신 모드(B) 처리(스텝 S4) 또는 송신 모드(C) 처리(스텝 S5)를 선택하여 송신 동작을 행한다. 또는 듀티(TH/Tsync)의 값에 따라서는 다른 처리 모드(혼재 에어리어 처리(스텝 S6) 또는 중단/종료 처리(스텝 S7))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이상이면서 44% 미만일 때에는 송신 모드(A) 처리(5%≤Duty<44%)를 선택한다. 또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45% 이상이면서 55% 이하일 때에는 송신 모드(B) 처리(Duty=50%)를 선택한다.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6%보다도 크면서 95% 이하일 때에는 송신 모드(C) 처리(56%<Duty≤95%)를 선택한다. 한편,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미만 또는 95%보다도 큰 때에는 중단/종료 처리를 선택한다. 또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44% 이상이면서 45% 미만, 또는 55%보다도 크면서 56% 이하일 때에는 혼재 에어리어 처리를 선택한다.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
여기서, 최초에, 정상 상태(송신 모드(A 내지 C))에서의 송신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정상 상태시의 한 동작례를 타이밍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및 후술하는 도 12, 도 13)에어서, (A), (D)는 송신 모드(A) 처리시의 동작을 도시하고, (B), (E)는 송신 모드(B) 처리시의 동작을 도시하고, (C), (F)는 송신 모드(C) 처리시의 동작을 도시한다. 또한, (A) 내지 (C)에서는 각각, 도면중의 위로부터 차례로,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 및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의 타이밍 파형(펄스 파형), 셔터 제어 신호(CTL)에 포함되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도 6(B)중의 A 내지 F에 대응), 및 동기 제어 신호(Sync)의 타이밍 파형(펄스 파형)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D) 내지 (F)에서는 각각, 커맨드 세트(CS)를 구성하는 각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시간축에 따른 나열 순서, 및 각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A 내지 F) 및 커맨드 비트(CB)의 각 비트(CB4 내지 CB1)의 논리치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각 셔터 제어 커맨드의 내용중의 "E", "F"에 관해서는 도 6(B)중의 "L-Open/R-Close", "R-Open/L-Close"를 각각, "L-O/R-C", "R-O/L-C"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커맨드 비트(CB)의 각 비트(CB4 내지 CB1)의 논리치에 관해서는 "1"만을 나타내고, "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A) 내지 (C)중에 도시하였던 것처럼, 좌안용 셔터(6L)는 좌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L)가 "H"레벨일 때에 열린 상태(Open 상태)가 되고, "L"레벨일 때에 닫힌 상태(Close 상태)가 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우안용 셔터(6R)는 우안용 셔터 제어 신호(CTLR)가 "H"레벨일 때에 열린 상태가 되고, "L"레벨일 때에 닫힌 상태가 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0a 및 도 10d에 도시한 송신 모드(A) 처리일 때에는 5%≤개방 듀티(Duty)<44%이기 때문에,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은 "B"(L-Open), "A"(L-Close), "D"(R-Open), "C"(R-Close), …의 순서로 반복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때의 커맨드 세트(CS)는 도 10(D) 및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B, A, D, C의 순서로 나열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00100000010010"이 된다.
또한, 도 10(B), (E)에 도시한 송신 모드(B) 처리일 때에는 개방 듀티(Duty)=50%이기 때문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의 동작 전환 타이밍이 동시에 행하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송신 모드(B) 처리에서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은 복합 커맨드를 이용한 것이 되고, "E"(L-Open/R-Close), "F"(R-Open/L-Close), …의 순서로 반복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때의 커맨드 세트(CS)는 도 10(E)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2개의 복합 커맨드)를, "E", "F"의 순서로 교대로 나열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100101"이 된다.
또한, 도 10(C), (F)에 도시한 송신 모드(C) 처리일 때에는 56%<개방 듀티(Duty)≤95%이기 때문에,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은 "B"(L-Open), "C"(R-Close), "D"(R-Open), "A"(L-Close), …의 순서로 반복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때의 커맨드 세트(CS)는 도 10(F) 및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B", "C", "D", "A"의 순서로 나열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00001000011000"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송신 모드(여기서는 3개의 송신 모드(A 내지 C))마다, 다른 비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CS)가 생성되고, 셔터 제어 신호(CTL)에 포함되어 반복하여 송신된다.
시작 처리에서의 동작
다음에, 전술한 도 8(B) 및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소정의 시작 처리일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시작 처리는 표시 장치(10)의 전원 기동시나, 표시 장치(10)에서 2차원 표시 모드로부터 3차원(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 모드를 이행할 때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2(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 처리시의 각 송신 모드 처리(송신 모드(A) 처리, 송신 모드(B) 처리, 송신 모드(C) 처리)에서의 송신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도 10(A) 내지 (C)에 도시한 정상 상태에서의 송신 동작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즉, 각 송신 모드에서의 커맨드 세트(CS)의 비트 패턴은 도 11(A) 내지 (C)에 도시한 정상 상태에서의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 도 12(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표시 모드로 이행하기 전(2차원 표시 모드시)에서는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의 쌍방이 열린 상태(Open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시작 처리시에는 셔터 안경(60)측에서는 커맨드 세트(CS)에서의 비트 패턴의 반복 패턴를 복수회 연속하여 수신한 것으로 판별한 때에, 처음으로 표시 모드의 이행 지시를 인식하고, 3차원 표시 모드로의 동작을 시작한다.
혼재 에어리어 처리에서의 동작
다음에, 혼재 에어리어 처리(도 9중의 스텝 S6)일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혼재 에어리어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처리이지만, 가사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에 의해 이 처리로 천이한 경우, 이하와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 혼재 에어리어 처리에서는 그 직전의 송신 모드 처리(송신 모드(A) 처리, 송신 모드(B) 처리 또는 송신 모드(C) 처리)일 때로부터 커맨드 세트(CS)의 비트 패턴의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고, 개방 듀티(Duty)의 값에 응한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송신 타이밍의 설정만이 이루어진다.
중단/종료 처리에서의 동작
다음에, 중단/종료 처리(도 9중의 스텝 S7)의 제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중단/종료 처리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에서 3차원(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부터 2차원 표시 모드로 표시 모드를 이행할 때 등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중단/종료 처리는 도 8(B)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가 5% 미만 또는 95%보다도 큰 때에 더하여, 동기 제어 신호(Sync)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면 100ms) 이상 연속하여 H기간(TH)가 검출되지 않은 때에 이루어진다. 즉,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Sync 듀티(TH/Tsync) 검출 처리(도 9중의 스텝 S2)에서, 동기 제어 신호(Sync)의 듀티(TH/Tsync)의 값 또는 논리치 상태에 의거하여, 이하 설명하는 정지 커맨드 세트(CSf)의 생성·송신을 결정한다. 이 정지 커맨드 세트(CSf)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의 개폐 구동을 각각 열린 상태로 정지시키기 위한 커맨드 세트이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제어 신호 생성부(151)는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정지 커맨드 세트(CSf)의 생성·송신 동작을 행한다. 즉, 직전의 송신 모드 처리(송신 모드(A) 처리, 송신 모드(B) 처리 또는 송신 모드(C) 처리)일 때의 개방 듀티(Duty)의 값에 응한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송신 타이밍의 설정을 유지한 채로, 각 송신 모드에 공통의 정지 커맨드 세트(CSf)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이 때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은 "D("R-Open), "D"(R-Open), …의 순서로 복수회(여기서는 10회) 반복한 것이 된다. 따라서 정지 커맨드 세트(CSf)는 도 13(A) 내지 (F)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D", "D"의 순서로 10회 나열한 것이 된다(즉, "D"가 20회 연속하여 나열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010001"을 10회 반복한 것이 된다. 2개의 같은 커맨드를 1세트로 하여 복수회(10회) 송신함에 의해, 외부 노이즈에 대한 내성(耐性)을 올려서, 오동작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정상 상태에서 "B", "A", "D", "C"의 송신중에, 외부 노이즈에 기인하여 다른 주기의 "B", "A", "C어가 전부 떨어져 나가 "D"를 연속하여 송신할 가능성은 극히 낮아진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에서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내용이 "D"(R-Open)인 것을 복수회 연속하여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정지 커맨드 세트(CSf)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중의 다른 하나를 복수회 연속하여 반복함에 의해, 정지 커맨드 세트(CSf)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셔터 제어부(15)는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CS)(또는 커맨드 세트(CSf). 이하 마찬가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커맨드 세트(CS)를 셔터 안경(60)에 대해 반복하여 송신함에 의해, 셔터 제어 신호(CTL)의 송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셔터 제어부(15)는 이 때,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이하 설명하는 셔터 안경(60)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도록, 커맨드 세트(CS)의 비트 패턴을 설정하고 있다.
2-3. 셔터 안경(60)에 의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수신 동작
다음에, 셔터 안경(60)에서는 수신부(61)에서, 이와 같이 하여 셔터 제어부(15)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를 수신한다. 그리고, 판별 회로(62)가, 수신한 셔터 제어 신호(CTL)의 제어 코드(커맨드 세트(CS) 전체의 비트 패턴)를 해독하고, 좌안용 셔터(6L) 및 우안용 셔터(6R)에의 개폐 지시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한 커맨드 세트(CS) 전체에서의 비트 패턴과,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 보존되어 있는 대응하는 송신 모드에서의 비트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별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 수신부(61)에서 수신한다고 예상(상정)되는 커맨드 세트(CS) 전체로 형성되는 비트 패턴과, 동일한 비트 패턴이 보존되어 있다. 환언하면, 비트 패턴 보존부(63)는 셔터 제어부(15) 내의 비트 패턴 보존부(152)와 동일한 비트 패턴을 미리 보존하고 있다. 즉, 표시 장치(10)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커맨드 세트(CS)에 있어서,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셔터 안경(60)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신측(표시 장치(10))부터 수신측(셔터 안경(60))에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의 통신을 행할 때에, 셔터 안경(60)측에서, 그 커맨드 세트(CS)가 외부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판별 회로(62)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비트 패턴의 동일성을 판별한다. 즉, 우선, 송신 모드 등의 전환시에는 복수개의 커맨드 세트(CS)에서 연속하여 비트 패턴의 동일성이 확인된 경우에, 정상적인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한편, 수신한 커맨드 세트(CS) 내에, 비트 패턴 보존부(63)에서 보존하고 있는 비트 패턴과 다른 비트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는 외부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송신 모드의 전환 후에는 각 커맨드 세트(CS)에서, 비트 패턴의 동일성을 그때마다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그 밖에도, 판별 회로(62)에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수신한 커맨드 세트(CS)에 대한 판별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4비트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비트(CB)(CB4 내지 CB1)에서, 2비트를 초과하는(3비트 이상의) "1"을 수신한 경우에는 여기서는 도 6(B)에 도시한 각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어느것과도 다르기 때문에, 외부 노이즈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프리앰블로서 기능하는 스타트 비트(SB)를 수신하지 않고, 다른 어떠한 비트 패턴을 수신한 경우에도, 외부 노이즈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이들의 경우, 예를 들면 수신한 커맨드 세트(CS)를 파기하고, 그 직전에 수신한 커맨드 세트(CS)의 내용에 따라, 셔터 안경(60)에서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자주(自走)하도록) 한다. 또한, 표시 장치(10)측부터의 셔터 제어 신호(CTL) 자체의 송신이 도중절단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셔터 안경(60)에서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일정 시간(예를 들면삭초간) 자주(自走)하여 행하고, 그 후,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커맨드 세트(CS)(정지 커맨드 세트(CSf)를 제외한다)에서는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 사이에서, "1"이 되는(유효 상태를 나타내다) 비트 위치가, 반드시 상위부터 하위 또는 하위부터 상위 비트로 순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는 2개의 복합 커맨드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비트가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커맨드 세트(CS)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 사이에서, "1"이 되는 비트 위치가 소정의 규칙성을 갖고서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서로 인접하는 셔터 제어 커맨드(CMD) 사이에서, 동일한 위치에 비트가 서지(立)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들의 비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CS)를 송/수신할 때에, 이 규칙성으로부터 벗어나는 비트가 노이즈라고 판단하기 쉽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정지 커맨드 세트(CSf)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같은 셔터 제어 커맨드(CMD)가 연속하면서 다른 주기(타이밍)에 의한 비트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와 같은 비트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정지 커맨드 세트(CSf)를 송/수신할 때에, 정상 상태에서의 셔터 제어 커맨드(CMD)의 누락에 의한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 내의 셔터 제어부(15)로부터 반복 송신되는 커맨드 세트(CS)에서, 이 커맨드 세트(CS) 전체로서 형성되는 비트 패턴이, 셔터 안경(60)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송신측(표시 장치(10))부터 수신측(셔터 안경(60))에 커맨드 세트(CS)를 포함하는 셔터 제어 신호(CTL)의 통신을 행할 때에, 그 커맨드 세트(CS)가 외부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측에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의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 또는 회피하기 쉽게 되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례
계속해서, 상기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변형례 1, 2)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변형례 1
도 14는 변형례 1에 관한 표시 시스템(표시 시스템(1A))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 시스템(1A)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표시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입체시 표시를 행하는 입체시 표시 시스템이다. 표시 시스템(1)은 표시 장치(10A)와, 셔터 제어부(15)를 갖는 송신 장치(7)와, 셔터 안경(6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의 표시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송신부)로서의 셔터 제어부(15)가 표시 장치(10) 내에 내장되어 있었는데 대해, 본 변형례의 표시 시스템(1A)에서는 셔터 제어부(15)가 표시 장치(10A)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다(외장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7) 및 셔터 안경(60)가, 본 발명에서의 "송/수신 시스템"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와 같이, 송신 장치(송신부)로서의 셔터 제어부(15)가, 표시 장치(10A)와는 별체로서 외부에 마련되어 있도록 한 표시 시스템(1A) 및 송/수신 시스템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례 2
도 15는 변형례 2에 관한 표시 시스템(표시 시스템 2)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 시스템(2)은 복수의 관찰자가, 하나의 표시 장치(10)에 표시되는 다른 영상을 보기 위한 멀티 뷰 시스템이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1에서는 복수 종류의 화상으로서 서로 시차를 갖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입체시 표시 시스템이였름에 대해, 본 변형례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화상을 시분할적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멀티 뷰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셔터 안경이,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1과는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도 1) 및 변형례 1(도 14)에서는 우안용 셔터(6R) 및 좌안용 셔터(6L)의 각각에 대해, 개폐 동작을 지시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본 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셔터 안경의 각각에 대해, 셔터 안경마다(한 쌍의 우안용 셔터 및 좌안용 셔터마다)의 개폐 동작을 지시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한 예로서, 2인의 관찰자를 대상으로 한 멀티 뷰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표시 시스템(2)의 구성
본 변형례의 표시 시스템(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와, 2개의 셔터 안경(60A, 60B)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0)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도 2)와 같지만, 입력 신호(Din)가 다르다. 즉, 표시 장치(10)는 2인분이 다른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Din)에 의거하여, 표시부(12)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2인분의 영상 신호는 한쪽의 관찰자를 위한 화상과 다른쪽의 관찰자를 위한 화상을 교대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이다. 표시 장치(10)의 셔터 제어부(15)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공급된 동기 제어 신호(Sync)에 의거하여 셔터 제어 신호(CTL)를 생성하고, 예를 들면 적외선이나 전파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셔터 안경(60A, 60B)에 공급하는 것이다.
셔터 안경(60A, 60B)은 표시 장치(10)에 표시된 2개의 다른 영상을 2인의 관찰자(도시 생략)가 각각 보기 위한 것이다. 셔터 안경(60A)은 한 쌍의 셔터(6A)를 가지며, 셔터 안경(60B)은 한 쌍의 셔터(6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셔터(6A)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의해 동시에 개폐 제어되고, 마찬가지로, 한 쌍의 셔터(6B)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의해 동시에 개폐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셔터 안경(60A)의 셔터(6A) 및 셔터 안경(60B)의 셔터(6B)는 셔터 제어 신호(CTL)에 의거하여, 표시 장치(10)에 시분할적으로 표시되는 관찰자(9A)를 위한 화상과 관찰자(9B)를 위한 화상에 동기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 시스템(2)의 작용 및 효과
도 16은 표시 시스템(2)의 전체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도 16에서, (A)는 관찰자(9A)를 위한 화상(A)을 표시할 때(표시광(LA)이 출사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고, (B)는 관찰자(9B)를 위한 화상(B)을 표시할 때(표시광(LB)이 출사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0)가 화상(A)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안경(60A)의 셔터(6A)가 열린 상태가 됨과 함께, 셔터 안경(60B)의 셔터(6B)가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관찰자(9A)가 화상(A)을 보게 된다. 한편, 표시 장치(10)가 화상(B)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안경(60A)의 셔터(6A)가 닫힌 상태가 됨과 함께, 셔터 안경(60B)의 셔터(6B)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 관찰자(9B)가 화상(B)을 보게 된다. 이들의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에 의해, 화상(A)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을 관찰자(9A)가 볼 수 있음과 함께, 화상(B)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을 관찰자(9B)가 볼 수 있다. 즉, 하나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의 각각을 복수의 관찰자가 볼 수 있는 멀티 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의 표시 시스템(2)일 것인 멀티 뷰 시스템에 있어도, 상기 실시의 형태나 변형례 1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변형례
이상,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의 형태 등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 설명한 동기 제어 신호(Sync), 셔터 제어 커맨드(CMD), 커맨드 세트(CS) 및 정지 커맨드 세트(CSf), 그들의 비트 패턴, 및 송신 모드 등의 구성이나 종류에 관해서는 설명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 등의 것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 등에서는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대신에, EL(Electro-Luminescence)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 DLP(Digital Light Processing)에 의한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셔터 안경은 모드의 전환에 의해, 입체시 표시 시스템 및 멀티 뷰 시스템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회로)로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17)

  1.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맨드 세트에 포함되는 각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고,
    상기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이, 수신 장치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송신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드마다, 다른 커맨드 세트가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 장치이고,
    상기 복수 종류의 커맨드는 각각, 상기 좌안용 셔터 또는 상기 우안용 셔터 또는 그 쌍방의 개폐 구동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송신 모드는 각각,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의 각 상대적 개방 기간 길이를 나타내는 개방 듀티의 범위를 복수로 구분한 때의 각 구분 범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외부에서 받아들인, 2치 논리에 의해 표현되는 동기 제어 신호의 듀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모드로부터 하나의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송신 모드용으로 준비되어 있는 커맨드 세트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개방 듀티의 값이 50%를 나타내는 송신 모드에서는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의 쌍방의 개폐 구동을 통합하여 지시하는 커맨드인 복합 커맨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 장치이고,
    상기 복수 종류의 커맨드는 각각, 상기 좌안용 셔터 또는 상기 우안용 셔터 또는 그 쌍방의 개폐 구동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복수 종류의 커맨드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의 개폐 구동을 각각 열린 상태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커맨드 세트인 정지 커맨드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정지 커맨드 세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외부로부터 수취한, 2치 논리에 의해 표현되는 동기 제어 신호의 듀티 또는 논리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 커맨드 세트의 송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세트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커맨드 사이에서, 유/무효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위치가 소정의 규칙성을 갖고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기존의 전자 기기의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적외광의 파장과는 다른 파장의 적외광, 또는 상기 기존의 전자 기기의 원격 조정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주파수와는 다른 부반송파 주파수, 또는 그 쌍방을 이용하여, 상기 커맨드 세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의 전환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셔터 안경장치에 대해,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고,
    상기 커맨드 세트에 포함되는 각 셔터 제어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고,
    상기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이, 상기 셔터 안경측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이, 서로 시차를 갖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셔터 안경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표시 장치로부터, 각 셔터 제어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의 전환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와,
    소정의 비트 패턴을 보존하는 보존부를 가지며,
    상기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이, 상기 보존부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커맨드 세트에서의 비트 패턴과, 상기 보존부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에 대한 개폐 구동을 행하는 셔터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장치.
  15.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와,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동작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셔터 안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셔터 안경 장치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의 전환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와,
    소정의 비트 패턴을 보존하는 보존부를 가지며,
    상기 커맨드 세트에 포함되는 각 셔터 제어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고,
    상기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이, 상기 보존부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16.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동작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셔터 안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부와,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셔터 제어 커맨드를 복수 종류 보존함과 함께, 이들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셔터 안경 장치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의 전환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와,
    소정의 비트 패턴을 보존하는 보존부를 가지며,
    상기 커맨드 세트에 포함되는 각 셔터 제어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고,
    상기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이, 상기 보존부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7.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복수의 비트에 의해 표현된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류의 셔터 제어 커맨드를 소정의 순번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커맨드 세트를, 그 커맨트 세트에 포함되는 각 셔터 제어 커맨드가 동기 제어 신호에 의거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되도록 생성함과 함께, 그 커맨드 세트를 셔터 안경 장치에 대해 반복하여 송신하고,
    셔터 안경 장치에서,
    상기 커맨드 세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커맨드 세트에 의거하여, 그 커맨드 세트 전체로서의 비트 패턴과 셔터 안경에서 보존되어 있는 비트 패턴을 비교함과 함께,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가 각각,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의 상기 복수 종류의 화상 스트림의 전환 타이밍과 동기한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KR1020110015486A 2010-03-02 2011-02-22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KR101650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5805A JP5447004B2 (ja) 2010-03-02 2010-03-02 送信装置、表示装置、シャッタ眼鏡、送受信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JPJP-P-2010-045805 201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632A KR20110099632A (ko) 2011-09-08
KR101650960B1 true KR101650960B1 (ko) 2016-09-05

Family

ID=4453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486A KR101650960B1 (ko) 2010-03-02 2011-02-22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88497B2 (ko)
JP (1) JP5447004B2 (ko)
KR (1) KR101650960B1 (ko)
BR (1) BRPI1101182A2 (ko)
TW (1) TWI466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780A2 (ko) * 2010-02-10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창치
CN102812717A (zh) 2011-02-04 2012-12-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影像的显示装置、辅助影像观看的眼镜装置、具备显示装置及眼镜装置的影像系统、以及影像系统的控制方法
US9426453B2 (en) * 2011-03-04 2016-08-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3D shutter glasses synchronization
JP5058354B1 (ja) * 2011-04-1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3003A (ja) * 2012-07-20 2014-02-0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10941B1 (ko) * 2012-08-03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컨텐츠 뷰 중 하나에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140066546A (ko) * 2012-11-23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517A (ja) * 2003-11-28 2005-06-16 Toytec:Kk リモコン玩具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6989A (ja) * 1986-05-23 1987-12-01 Sharp Corp 立体映像再生装置
US6057811A (en) * 1993-09-28 2000-05-02 Oxmoor Corporation 3-D glasses for use with multiplexed video images
JPH0829701A (ja) * 1994-07-18 1996-02-0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視内視鏡システム
US6005607A (en) * 1995-06-29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ereoscopic computer graphics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TV apparatus
US5701152A (en) * 1995-09-28 1997-12-23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bil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ervices
JP3066298B2 (ja) 1995-11-15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観察用眼鏡の制御方法
TW399192B (en) * 1997-01-25 2000-07-21 Wang Jiun Guei A display control system of stereoscopic images
CN2426254Y (zh) * 2000-05-12 2001-04-04 爱尔得资讯股份有限公司 立体影像同步信号扩充组件
ATE415786T1 (de) * 2003-10-21 2008-12-15 Barco Nv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stereoskopischen bildanzeige auf der basis von farbselektiven filtern
US20100060723A1 (en) 2006-11-08 2010-03-11 Nec Corporation Display system
US8717348B2 (en) * 2006-12-22 2014-05-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viewing device
WO2009069026A2 (en) * 2007-11-28 2009-06-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sualization
KR101446559B1 (ko) * 2008-03-24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한 신호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시청장치
KR20100052278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51325B2 (en) * 2009-01-25 2013-05-28 Sightcine Inc. Video customization and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00093638A (ko) * 2009-02-17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309535A1 (en) * 2009-06-08 2010-12-09 Reald Inc. Shutter-glass eyewear control
US8599107B2 (en) * 2009-06-10 2013-12-03 Panasonic Corporation Image system, display device and eyeglasses device used in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517A (ja) * 2003-11-28 2005-06-16 Toytec:Kk リモコン玩具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7004B2 (ja) 2014-03-19
US20120188349A1 (en) 2012-07-26
TWI466534B (zh) 2014-12-21
US8908019B2 (en) 2014-12-09
TW201206152A (en) 2012-02-01
US8988497B2 (en) 2015-03-24
JP2011182264A (ja) 2011-09-15
KR20110099632A (ko) 2011-09-08
BRPI1101182A2 (pt) 2012-08-14
US20110216161A1 (en) 2011-09-08
CN102196281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960B1 (ko) 송신 장치, 표시 장치, 셔터 안경 장치, 송/수신 시스템, 표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JP4886094B1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36266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362665B1 (en) Image display device, 3d view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951076B2 (ja) 表示装置、システム、及びメガネに関する
KR20140007703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EP2627092B1 (en) Three-dimensional glasse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90002482A1 (en)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video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EP2339858A2 (en) 3D Imag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CN103188454A (zh) 用于显示的装置和方法
US20120019639A1 (en) Active shutter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2036086A (zh) 图像显示观看系统、光调制器及图像显示设备
JP2011015119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視聴用眼鏡、及び映像システム
KR20120125150A (ko) 표시 장치, 셔터 장치, 셔터 제어 회로, 셔터 제어 방법, 및 표시 시스템
KR20130065611A (ko) 디스패리티 설정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JP2011182264A5 (ko)
KR201400732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07708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KR20130129174A (ko) 다중 3d 디스플레이들/장치들을 위한 셔터 신호들의 동기화
US9392251B2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US20120069161A1 (en) 3d glasses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ir signal and rf signal
US20120054371A1 (en) Emitter apparatus,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mmand sending method
CN102196281B (zh) 发送器、显示器、快门眼镜设备、发送/接收系统和方法
KR20110059374A (ko) 3차원 안경, 리모컨, 3차원 영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전원제어방법
KR20120056593A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관람 모드 제어 방법 및 관람 모드 변환 셔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