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22B1 -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22B1
KR101650622B1 KR1020140099025A KR20140099025A KR101650622B1 KR 101650622 B1 KR101650622 B1 KR 101650622B1 KR 1020140099025 A KR1020140099025 A KR 1020140099025A KR 20140099025 A KR20140099025 A KR 20140099025A KR 101650622 B1 KR101650622 B1 KR 10165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ing
plate
condensing plate
coating layer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155A (ko
Inventor
박원찬
여정현
임예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1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1응축판; 제1응축판과 이격 배치되고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2응축판; 제1응축판에 설치되어 제1응축판을 냉각하는 제1냉각관; 제2응축판에 설치되어 제2응축판을 냉각하는 제2냉각관; 제1응축판 및 제1냉각관을 피복하는 제1단열재; 및 제2응축판 및 제2냉각관을 피복하는 제2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Apparatus for condensing solvent vapor in film coating system}
본 발명은 필름 코팅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를 응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필름 코팅 장치의 구성도로서, 필름 기재(10) 표면에 코팅액(26)을 도포하여 필름에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기존 코팅 시스템은 코팅장치(20), 이송장치(40, 42) 및 건조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장치(20)는 코팅액(26)을 수용하는 코팅액 용기(24) 및 코팅액(26)을 필름 기재(10)에 코팅하는 코팅 롤(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장치(40, 42)는 코팅층(30)이 형성된 필름 기재(10)를 건조장치(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롤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50)는 예를 들어 건조 오븐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필름 기재(10)가 코팅된 후 용매 건조를 위한 건조장치(50)로 이송되는 구간에서 코팅층(30)의 용매가 증발하여 작업자에게 유해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휘발성이 강한 용매의 경우 많은 양의 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증기를 회수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코팅층에서 증발한 용매 증기를 응축 및 회수하여 작업 공간에 용매 증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된 용매 방울이 코팅층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코팅층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면적을 증대시켜 응축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1응축판; 제1응축판과 이격 배치되고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2응축판; 제1응축판에 설치되어 제1응축판을 냉각하는 제1냉각관; 제2응축판에 설치되어 제2응축판을 냉각하는 제2냉각관; 제1응축판 및 제1냉각관을 피복하는 제1단열재; 및 제2응축판 및 제2냉각관을 피복하는 제2단열재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제공한다(도 4 참조).
본 발명에서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은 응축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냉각관과 제2냉각관은 각각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양면 중에서 응축면의 반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단열재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가장 가깝고, 제2단열재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가장 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는 제2응축판 또는 제2단열재의 상단과 연결되고,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제1단열재 사이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와 응축판 상단 사이에 제2유로가 형성되며,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 사이에 제3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는 제1응축판 또는 제1단열재 그리고 제2응축판 또는 제2단열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는 배기 덕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액을 수용하는 응축액 받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은 금속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응축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홈은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열재는 우레탄 폼, 스티로폼, 글래스 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코팅층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며, 응축면에 코팅층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응축판; 응축판의 응축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응축판을 냉각하는 냉각관; 응축판 및 냉각관을 피복하는 단열재; 및 응축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액을 수용하는 응축액 받이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제공한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은 필름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장치;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 상술한 용매 증기 응축장치; 및 코팅층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사용하면, 필름 코팅층에서 증발한 용매 증기를 응축 및 회수하여 작업공간에 용매 증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측면이 코팅층과 대면하지 않도록, 2개의 응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용매 증기 및 용매 응축액이 흐르는 유로를 마련함으로써, 응축된 용매 방울이 코팅층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코팅층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응축판을 사용하여 냉각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응축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판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응축판 하부에는 배기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용매 증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응축판과 냉각관을 덮도록 단열재를 부착하여 공기 중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매 증기가 응결하는 응축판 표면에는 세로로 홈(주름)을 형성하여 응결된 용매 방울이 아래로 잘 흘러내려 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응축판 하부에 설치된 응축액 받이를 통해 용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필름 코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필름 코팅 시스템은 필름 기재(10)에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장치(20), 코팅층(30)이 형성된 필름 기재(10)를 이송하는 이송장치(40, 42), 코팅층(30)을 건조하는 건조장치, 응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기재(10)는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30)이 형성되는 코팅 기재로서,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기재(10)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코팅장치(20)와 이송장치(40, 42)를 거쳐 건조장치(5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코팅장치(20)는 필름 기재(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코팅액(26)을 수용하는 코팅액 용기(24) 및 코팅액(26)을 필름 기재(10)에 코팅하는 코팅 롤(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장치(20)에 의해 필름 기재(1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코팅층(30)이 형성되고, 코팅층(30)을 이루는 코팅액(26)은 용매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류; 클로르벤젠, 오르토-디클로르벤젠 등의 염화 방향족 탄화 수소류; 모노클로르메탄 등의 메탄 유도체, 모노클로르에탄 등의 에탄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염화 지방족 탄화 수소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에테르,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 수소류; 노멀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 수소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 수소의 혼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송장치(40, 42)는 코팅층(30)이 형성된 필름 기재(10)를 건조장치(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40, 42)는 코팅장치(20)와 건조장치(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장치(40, 42)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송장치(40, 42)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롤(40)은 하부에 설치하고, 제2롤(42)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름 기재(10)가 높이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서 이송되도록, 제1롤(40)과 제2롤(42) 사이에는 높이방향으로 경사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건조장치(50)는 코팅층을 건조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건조 오븐일 수 있다.
응축장치(60)는 코팅장치(20)와 건조장치(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송장치의 두 롤(40, 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장치(60)는 이송되는 필름 기재(10)에 형성된 코팅층(30)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장치(60)는 코팅층(30)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응축장치(60)와 코팅층(30)의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최대한 가까운 것이 좋다.
응축장치(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액(32)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응축장치(60)는 이송장치(40, 42) 사이의 필름 기재(10)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응축장치(60)의 설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5 내지 90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도일 수 있다.
응축장치(60)는 도면과 달리 챔버 형태로서, 코팅층(30)이 형성된 필름 기재(10)를 내부에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응축장치(60)는 이송되는 코팅층(3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코팅층(30)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응축판(62), 응축판(62)을 냉각하는 냉각관(64),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66), 응축판(62)에서 형성되어 떨어지는 응축액(32)을 수용하는 응축액 받이(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판(62)은 코팅층(30)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응축면을 포함하여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판(62)은 이송되는 코팅층(30)과 대면하도록, 코팅층(3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응축판(62)은 코팅층(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판(62)은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판으로는 가볍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플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응축판(62)의 재질, 형상과 크기(두께, 길이, 폭)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전도율과 냉각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응축장치(6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응축판(62)의 응축면에는 다수의 홈(62a)이 형성될 수 있다. 홈(62a)은 응축액(32)이 잘 맺히고 아래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응축액(32)이 잘 흘러내리도록, 홈(62a)은 코팅층(30)의 이송방향,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세로방향(상하방향, 높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62a)의 크기(길이, 폭, 깊이), 형상, 간격,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냉각관(64)은 열 전달을 위해 응축판(62)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응축판(62)의 양면 중에서 응축이 일어나는 응축면의 반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응축판(62)의 내부에 냉각관(6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냉각관(64)에 응축판(62)에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냉각관(64)은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켜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냉각관(64)에는 냉각수 등과 같은 냉매가 흐르며,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냉매의 온도는 요구되는 냉각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냉각관(64)의 재질, 형상과 크기(길이, 직경,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열재(66)는 응축판(62)의 응축면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응축판(62)과 냉각관(64)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66)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에 의해 용매 증기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수분도 함께 응축될 수 있으므로, 단열재(66)를 응축판(62)에 설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열재(66)는 응축판(62)에 접착되거나, 체결부재(못, 나사, 볼트 등) 등을 이용하여 응축판(62)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재(66)는 우레탄 폼, 스티로폼, 글래스 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단열재(66)의 재질, 형상과 크기(두께, 길이, 폭)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응축액 받이(68)는 응축판(62)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액(32)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응축액 받이(68)는 응축판(62)이나 단열재(66)와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브라켓 등을 통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응축액 받이(68)의 재질,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 판재의 응축판을 코팅층에 인접하도록 설치하고, 응축판에서 용매 증기가 응축하도록 응축판 상부에 냉수 또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각배관을 설치하여 응축판의 표면온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휘발된 용매 증기를 응축한 후 회수하여 작업 공간에 용매 증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판 상부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공기 중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매 증기가 응결하는 응축판 표면에는 세로로 주름을 형성하여 응결된 용매 방울이 아래로 잘 흘러내려 가도록 할 수 있으며, 응축판 하단에 응축액 받이를 통해 용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2의 실시형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기재(10)가 코팅된 후 용매 건조를 위해 건조장치(50)로 이송되는 구간에서, 증발한 코팅층(30)의 용매를 코팅층(30)과 인접하게 상부에 위치한 저온의 응축장치(60)를 이용해서 응축하고, 응축장치(60)의 응축판(62)이 코팅층(30)과 대면하도록 마주보고 배치되므로, 응축된 용매 방울이 코팅층(30) 위로 떨어져 코팅층(30)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나의 응축판(62)만을 사용하므로, 응축이 되는 냉각 표면의 면적이 작아 응축 효율이 낮다.
도 4에 따른 실시형태는 도 2에 따른 실시형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응측면이 코팅층과 대면하지 않도록, 2개의 응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용매 증기 및 용매 응축액이 흐르는 유로를 마련함으로써, 응축된 용매 방울이 코팅층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코팅층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응축판을 사용하여 냉각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응축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판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응축판 하부에는 배기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용매 증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응축장치는 가이드 부재(61), 제1응축판(63), 제2응축판(62), 제1냉각관(65), 제2냉각관(64), 제1단열재(67), 제2단열재(66), 응축액 받이(68), 배기 덕트(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따른 응축장치는 도 2에 따른 응축장치와 비교하여, 응축판, 냉각관, 단열재를 각각 복수 개로 구성하여 응축판, 냉각관, 단열재의 한 세트를 추가하고, 가이드 부재(61)와 배기 덕트(69)를 추가로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도 2에 따른 응축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제1응축판(63)은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응축면을 포함하여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응축판(63)은 이송되는 코팅층(3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지만, 제1응축판(63)의 응축면이 코팅층(30)과 직접 대면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응측액(32)이 코팅층(3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응축판(63)은 코팅층(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볍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플레이트 등과 같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응축판(62)은 제1응축판(63)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응축판(62)과 제1응축판(63)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응축판(62)은 제1응축판(63)보다 코팅층(30)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응축판(62)은 제1응축판(6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플레이트 등과 같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응축판(63)과 제2응축판(62)은 응축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응축판(62, 63)을 사용하여 냉각면적을 증대시키고, 두 응축판(62, 63)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응축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두 응축판(62, 63)의 응축면에는 도 3과 같이, 응축판(62, 63)의 세로방향(상하방향,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냉각관(65)은 제1응축판(63)에 설치되어 제1응축판(63)을 냉각하는 역할을 하고, 제2냉각관(64)은 제2응축판(62)에 설치되어 제2응축판(62)을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제1냉각관(65)과 제2냉각관(64)은 각각 제1응축판(63)과 제2응축판(62)의 양면 중에서 응축면의 반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응축판(63)과 제2응축판(62)의 응축면이 서로 마주하여 대면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냉각관(65)과 제2냉각관(64)은 각각 제1응축판(63)과 제2응축판(62)의 바깥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열재(67)는 제1응축판(63) 및 제1냉각관(65)을 피복하는 역할을 하고, 제2단열재(66)는 제2응축판(62) 및 제2냉각관(64)을 피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단열재(67)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30)과 가장 가깝고, 제2단열재(66)는 코팅층(30)과 가장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열재(67)가 제1응축판(63)보다 코팅층(30)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제1응축판(63)과 코팅층(30)이 대면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응측액(32)이 코팅층(3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1)는 용매 증기를 두 응축판(62, 63)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부재(61)는 응축장치의 상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61)는 제2응축판(62) 또는 제2단열재(66)의 상단과 연결되며,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30)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61)는 두 응축판(62, 63)의 위쪽으로 코팅층(30)부터 제2응축판(62)이나 제2단열재(66)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1)는 제2응축판(62) 또는 제2단열재(66)에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1)는 하나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61)는 유로를 형성하고 용매 증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1)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61)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배기 덕트(69)는 응축판(62, 63)을 통해 응축되지 않은 용매 증기를 회수하여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 덕트(69)는 응축장치의 하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덕트(69)는 제1응축판(63) 또는 제1단열재(67) 그리고 제2응축판(62) 또는 제2단열재(66)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배기 덕트(69)는 응축판(62, 63)과 단열재(66, 67)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응축장치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69)는 응축판(62, 63)과 단열재(66, 67)에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배기 덕트(69)는 복수의 판재로 구성되거나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69)는 유로를 형성하고 용매 증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69)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 덕트(69)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응축액 받이(68)는 배기 덕트(69)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액 받이(68)는 배기 덕트(69)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응축액 받이(68)를 배기 덕트(69)와 일체로 형성할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69)의 하부를 아래쪽으로 돌출시켜 응축액(32)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필름 코팅 시스템은 용매 증기가 흐르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30)과 제1단열재(67) 사이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61)와 응축판(62, 63) 상단 사이에 제2유로가 형성되며, 제1응축판(63)과 제2응축판(62) 사이에 제3유로가 형성되고, 배기 덕트(69)에 의해 제4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용매 증기는 도 4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응축판(62, 63)에서 응축되고, 응축되지 않은 용매 증기는 배기 덕트(69)를 거쳐 회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코팅층(30)에서 증발한 용매 증기가 응축장치(60)에 흡입되어 낮은 온도의 응축판(62, 63) 표면에서 응축된 후 회수되고, 미회수된 증기는 배기 덕트(69)를 통해 배출하여 작업 공간에 용매 증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필름 코팅 용매 증기 응축장치는 도 4와 같이 두 세트의 응축판(62, 63), 냉각관(64, 65), 단열재(66, 67) 등으로 구성된 형태이며, 용매 증기가 응축되도록 냉수 또는 냉매가 순환하는 배관(64, 65)을 설치하여 응축판(62, 63)의 표면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판(62, 63)의 외부에는 단열재(66, 67)를 부착하여 공기 중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매 증기가 응결하는 응축판(62, 63)의 표면에는 세로로 홈(주름)을 형성하여 응결된 용매 방울이 아래로 잘 흘러내려가도록 할 수 있으며, 응축판(62, 63)의 하부에 응축액 받이(68)를 통해 용매를 회수하고 미회수 증기는 배기 덕트(69)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필름 코팅 용매 증기 응축장치를 사용하면, 필름 코팅층(30)에서 증발한 용매 증기를 응축 및 회수하여 작업 공간에 용매 증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필름 기재
20: 코팅장치
22: 코팅 롤
24: 코팅액 용기
26: 코팅액
30: 코팅층
32: 응축액
40, 42: 이송장치
50: 건조장치
60: 응축장치
61: 가이드 부재
62, 63: 응축판
62a: 홈
64, 65: 냉각관
66, 67: 단열재
68: 응축액 받이
69: 배기 덕트

Claims (14)

  1.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서 발생하는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1응축판;
    제1응축판과 이격 배치되고 용매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제2응축판;
    제1응축판에 설치되어 제1응축판을 냉각하는 제1냉각관;
    제2응축판에 설치되어 제2응축판을 냉각하는 제2냉각관;
    제1응축판 및 제1냉각관을 피복하는 제1단열재;
    제2응축판 및 제2냉각관을 피복하는 제2단열재; 및
    제1응축판 또는 제1단열재 그리고 제2응축판 또는 제2단열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며,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은 응축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냉각관과 제2냉각관은 각각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양면 중에서 응축면의 반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단열재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가장 가깝고, 제2단열재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가장 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응축판 또는 제2단열재의 상단과 연결되고,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필름 코팅 시스템의 코팅층과 제1단열재 사이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와 응축판 상단 사이에 제2유로가 형성되며,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 사이에 제3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배기 덕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액을 수용하는 응축액 받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은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응축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다수의 홈은 제1응축판과 제2응축판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단열재는 우레탄 폼, 스티로폼, 글래스 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13. 삭제
  14. 필름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장치;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
    제1항에 따른 용매 증기 응축장치; 및
    코팅층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 시스템.
KR1020140099025A 2013-08-01 2014-08-01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KR101650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1766 2013-08-01
KR1020130091766 201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55A KR20150016155A (ko) 2015-02-11
KR101650622B1 true KR101650622B1 (ko) 2016-08-23

Family

ID=5257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025A KR101650622B1 (ko) 2013-08-01 2014-08-01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219B1 (ko) 2022-07-01 2023-10-04 주식회사 에이밍100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액형 주제의 믹싱 공급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1041A (en) * 1971-05-26 1975-07-16 Kores Holding Zug Ag Solvent recovery
JP2003106767A (ja) * 2001-09-27 2003-04-09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2004066505A (ja) * 2002-08-02 2004-03-04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した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47B1 (ko) * 2004-08-27 2006-08-03 장동복 제습기능이 구비된 아이시 디바이스 핸들러용 송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1041A (en) * 1971-05-26 1975-07-16 Kores Holding Zug Ag Solvent recovery
JP2003106767A (ja) * 2001-09-27 2003-04-09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2004066505A (ja) * 2002-08-02 2004-03-04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した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219B1 (ko) 2022-07-01 2023-10-04 주식회사 에이밍100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액형 주제의 믹싱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55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54353A1 (en) Heat pipe having a wick with a hybrid profile
KR101387192B1 (ko) 가열된 기판에 프린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211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heat generating structure
CN201919286U (zh) 电气设备柜内空气除湿器
US20170330819A1 (en) Heat exchang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40250938A1 (en) Sample cooling device
KR102058612B1 (ko) 증발된 재료를 증착시키기 위한 증발 소스, 및 증발된 재료를 증착시키기 위한 방법
JP5328426B2 (ja) シュリンク装置
KR101650622B1 (ko) 필름 코팅 시스템의 용매 증기 응축장치
EP3255362B1 (en) Semiconductor cooling refrigerator
US9316394B2 (en) Heat recovery system
US20110198060A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for Data Center
JP2007534843A (ja) 熱的真空被覆法および装置
TW201134964A (en) Apparatus of vacuum evaporating
US20080128117A1 (en) Multi-orientation single or two phase coldplate with positive flow characteristics
KR102221962B1 (ko) 증착 장치
KR20150021579A (ko) 기판에 가해진 유체 필름 건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21785B2 (ja) 基板に材料を適用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10033664A (ko) 증발챔버의 보호장치
SE1251074A1 (sv) Belysningsanordning
CN110243149A (zh) 电加热式干燥箱
JP2013057427A (ja) 乾燥装置
KR101297046B1 (ko) 베이퍼 핀을 구비하는 상변화 열전달 장치
KR102398356B1 (ko) 증착 장치
US202301075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ooled chemical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