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02B1 -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02B1
KR101650302B1 KR1020150106498A KR20150106498A KR101650302B1 KR 101650302 B1 KR101650302 B1 KR 101650302B1 KR 1020150106498 A KR1020150106498 A KR 1020150106498A KR 20150106498 A KR20150106498 A KR 20150106498A KR 101650302 B1 KR101650302 B1 KR 10165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base sheet
outdoor
polym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15010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신장률이 400 내지 700%, 탄성회복률이 40 내지 80%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와 화장료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팩을 얼굴에 장착한 후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팩이 얼굴에 밀착되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유하여 야외 활동 시에도 마스크 팩의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를 이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을 이용하는 경우 마스크 팩을 착용한 상태로 다양한 외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BASE SHEET FOR OUT DOOR MASK PACK AND OUT DOOR MASK P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에 마스크 팩을 착용한 후 신체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마스크 팩이 안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이와 함께 자외선 차단 기능이 보유되어 야외 활동에 적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햇볕에 타고 피로할 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탄력 있게 가꾸기 위하여 깨끗이 세안한 후 마사지를 행하며, 이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이나 감귤 등의 천연 재료나 마사지용 크림, 영양 팩, 클렌징 팩 및 표백 팩 등을 바른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얼굴에 미용 티슈나 기타 보조 수단을 사용하여 덮어주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미용 티슈는 눈 부위, 코 또는 입 부분을 뚫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한 것이 부직포 및 미용 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씌울 수 있도록 원형이나 얼굴 모양으로 제조한 얼굴 미용 전용 마사지 팩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마사지 팩들은 마사지 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변경 또는 추가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고, 대부분의 마사지 팩은 얼굴 전체를 덮도록 타원형으로 재단되고, 입, 눈 및 코 절개선 등을 구비하여 얼굴 부위에 빠짐없이 미용 성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얼굴 일부에 팩을 적용하기 위해 눈 주위 팩 등과 같은 안면 부분 팩 또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팩을 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들은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각종 영양 재료들을 흡착시켜 얼굴에 단순 부착하는 형태이므로 얼굴의 움직임이 심할 경우 얼굴 부위에 부착되었던 마스크 팩이 쉽게 떨어지며, 따라서 마스크 팩의 성분이 안면 피부에 전달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계속 누워있는 등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 제2008-0101647호에서는 얼굴에 팩을 고정시켜 팩을 할 수 있는 고정부착형 마스크 팩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마스크 팩을 머리에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는 형태이므로, 여전히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부족하여 외부 활동을 수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얼굴에 밀착 및 고정되고, 자외선도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야외 활동에 적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얼굴에 밀착되고 자외선이 차단되어 야외 활동에 적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여 야외활동에 적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신장률이 400 내지 700%, 탄성회복률이 40 내지 80%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S),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평균 입경이 1.0 내지 10.0 μm인 산화아연, 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전체 베이스 시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어 섬유에 혼입되거나, 또는 섬유 표면에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 부직포 및 메쉬(망사)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귀 절개부를 포함하며, 안면 상부, 안면 하부 또는 안면 전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귀 절개부는 수직 방향의 중심 축(Y)을 기준으로 45°이내의 각도(X)로 형성된 절개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코 절개부, 눈 절개부 및 입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 및 화장료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하이드로겔 층 또는 카타플라즈마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타플라즈마 층은 친수성고분자, 피부유효성분, 다가알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젤라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염, 폴리메타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겔화 고분자, 다가알콜, 물 및 피부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팩을 얼굴에 장착한 후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팩이 얼굴에 밀착되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유하여 야외 활동 시에도 마스크 팩의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를 이용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을 이용하는 경우 마스크 팩을 착용한 상태로 다양한 외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가 안면 하부용으로 구현된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 부위의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유하여 마스크 팩 착용 후에도 다양한 외부 활동이 가능한 마스크 팩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 시트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신장률이 400 내지 700%, 탄성 회복률이 40 내지 80%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는 코어(core)부 및 시스(sheath)부로 구성된 섬유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 경우 보다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팩을 피부에 밀착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가 일정한 정도 이상의 탄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는 신장률이 400 내지 700%, 탄성회복률이 40 내지 80%인 섬유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신장률은 재료의 인장 시험 시 처음의 길이와 파단 때의 길이와의 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섬유의 신장률이 400%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이 떨어져 마스크팩이 찢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700% 이상인 경우에는 마스크팩이 늘어져 얼굴에 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섬유의 신장률은 450% 내지 600%인 것이다.
상기 탄성회복률은 섬유를 잡아당기면 늘어났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줄어드는 물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회복률이 40 % 미만인 경우에는 회복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얼굴에 밀착되기 어렵고,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팩의 탄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보다 바람직한 섬유의 탄성회복률은 50 내지 80%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S),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의 재질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며, 상기 시스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무기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전체 베이스 시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상기 본 발명 섬유의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어 섬유에 혼입되거나, 또는 섬유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섬유에 혼입된 경우에는 섬유 제조 시 섬유 제조를 위한 조성물에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을 섬유 표면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섬유 제조 후 후속적인 별도의 공정에 의해 상기 섬유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코팅 공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딥 코팅, 통상적인 도포, 스프레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 시트는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 부직포 및 메쉬(망사)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제조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mm인 것으로, 베이스 시트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어 베이스 시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고, 나아가 밀착력 및 부착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으며, 마스크 팩 착용 시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시트는 귀 절개부를 포함하며, 안면 상부, 안면 하부 또는 안면 전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귀 절개부는 수직 방향의 중심 축(Y)을 기준으로 45°이내의 각도(X)로 형성된 절개선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시트가 귀 절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귀 절개부를 귀에 걸어서 마스크 팩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귀 절개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형태는 안면 상부, 안면 하부 또는 안면 전면을 덮는 형태 중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시트는 필요에 따라 코 절개부, 눈 절개부 및 입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가 안면 하부를 덮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안면부에 있어서 눈 이상의 부위, 즉 이마 및 눈을 제외한 턱, 코 및 입 주변, 그리고 볼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고, 특히 안면 하부에 탄력, 주름 개선 및 윤곽 보정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도포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안면 하부 마스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가 안면 하부용 마스크 팩으로 구현된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마스크 팩은 코 절개부(1), 입 절개부(2) 및 귀 절개부(3)를 구비하며, 상기 귀 절개부는 양쪽 귀에 모두 적용되어야 하므로 마스크 팩의 양쪽 끝 단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의 귀 절개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귀 절개부에 귀를 삽입하여 착용하게 되므로 마스크 팩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의해 고정된다. 그 결과 본 고안의 마스크 팩을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므로, 마스크 팩을 도포한 상태로 일상 생활 및 운동이 가능하여 특히 스포츠용 마스크 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마스크 팩의 양끝 쪽에 구비된 두 개의 귀 절개부는 각각 중심 축(Y)을 기준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45° 이내의 각도(X)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면 상부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안면 상부를 덮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안면의 전면에 대한 관리 목적을 위하여 얼굴 전체를 덮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모두 상술한 귀 절개부를 형성하여 마스크 팩이 얼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경우 마스크 팩의 귀 절개부에 귀를 삽입하여 착용하게 되므로 마스크 팩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의해 고정되며, 나아가 베이스 시트의 신장률 및 탄성회복률에 기초한 탄성에 의해 마스크 팩이 얼굴의 피부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을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따라서 마스크 팩을 도포한 상태로 일상 생활 및 운동 등의 야외 활동이 가능하여 특히 스포츠용 마스크 팩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착용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안면을 전체적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마스크 팩의 구조에 의해 물리적으로 탄력 제공, 주름 개선 및 윤곽 보정 효과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 및 이에 기초한 마스크 팩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절개선 또는 개구부 형태일 수 있다. 코 절개부 및 입 절개부가 절개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입 주변 및 코 주변의 보다 넓은 범위에 미용 성분을 도포할 수 있으나 입의 움직임이 다소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목적 및 마스크 팩에 의해 피부에 전달되는 성분의 목적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맞게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 절개부는 U 자형 또는 개방부가 위를 향하는 형태의 'ㄷ' 자형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부는 또한 구멍이 형성된 개구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구부 주변에 있어서 안면 움직임이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는 마스크 팩의 뚫린 부위가 선이 아닌 일정한 도형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모든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형태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귀 절개부 역시 필요에 따라 절개선 또는 개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귀 절개부는 절개선 형태인 것으로, 귀 절개부는 사용 시 사용자의 귀에 걸려 당겨지기 때문에 절개부의 면적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귀 절개부가 절개선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귀 절개부는 중심 축(Y)을 기준으로 45°이내의 각도(X)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마스크 팩의 양끝 쪽에 구비된 두 개의 귀 절개부는 각각 중심 축(Y)을 기준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45°이내의 각도(X)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내지 2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의 입체적인 윤곽에 따라 본 발명의 마스크가 구부러지게 되며, 이때 상기 귀 절개부의 선이 45°이내의 각도(X),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내지 2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용 상태에서 마스크 팩의 밀착도가 향상될 수 있고, 안면에 균일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귀 절개부의 선이 중심 축(Y)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의 범위 미만이거나 또는 초과인 경우에는 마스크 팩의 얼굴 입체 구조에 대한 밀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상기 각 절개부가 절개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귀 절개부가 곡선인 경우 중심 축으로부터의 각도 측정은 곡선의 양끝 점을 이어서 형성된 직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 및 화장료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하이드로겔 층 또는 카타플라즈마 층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침되는 형태로 본 발명의 마스크 팩에 포함될 수 있다. 후자와 같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이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침되는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층이 베이스 시트 층과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이를 별도의 화장료 조성물 층으로 지칭한다.
상기 카타플라즈마 층은 친수성 고분자, 피부 유효 성분, 다가 알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요에 따라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젤라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염, 폴리메타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다가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겔, 함수규산알루미늄, 카올린, 아세트산알루미늄, 락트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염화캄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및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피부에 대한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수분 공급, 탄력 증가 등의 효과를 갖는 미용 성분,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향료, 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겔화 고분자, 다가알콜, 물 및 피부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20 내지 90%의 물을 함유할 수 있고, 고함수 특성을 가지며, 마스크 팩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콜 및 피부 유효 성분은 상기 카타플라즈마 층과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 층이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마스크 팩의 경우, 상기 베이스 시트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망사 시트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상기 하이드로겔 층의 점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 층의 일 면에 베이스 시트가 적층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의 타면에 이형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형필름은 보호 필름으로 작용하여 하이드로겔 층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각각 별도로 완전히 용해시켜 방사 원액을 준비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부, 입자 크기(평균 입경)가 0.5μm인 이산화티탄 0.5중량%를 첨가한 폴리에틸렌수지를 시스부로 하여 50:50 중량비로 투입하고, 방사구금을 통해 공기 중 또는 질소 중으로 압출시켜 전기방사 하여 코어시스형으로 구성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기방사 시 전압은 약 20kV의 고전압을 인가하였고, 방사구와 집적판 사이의 거리는 30cm로 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신장율은 500%, 탄성회복율은 5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30중량%, 시스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신장율은 600%, 탄성회복율은 8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코어부로 폴리우레탄 50중량%, 폴리프로필렌5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신장율은 450%, 탄성회복율은 6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 폴리에스테르 3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부직포의 신장율은 550%, 탄성회복율은 4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내지 7
상기 실시예 1, 2, 및 3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를 베이스 시트(지지체)로 하고, 그 일면에 아래 표 1로 이루어진 카타플라즈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톰슨기로 절단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카타플라즈마 조성물 중량%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30
3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5
4 마치현 추출물 0.5
5 메틸파라벤 0.2
6 1,2-헥산디올 0.5
7 디소듐 EDTA 0.05
8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3
9 폴리아크릴릭액시드 5
10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11 향료 0.01
12 폴리소르베이트 60 0.1
비교예 1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부직포를 상기 실시예 5 내지 7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마스크 팩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코어, 시스부를 구분하지 않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PET 부직포의 신장율을 50%, 탄성회복율은 30%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를 베이스 시트(지지체)로 하고, 그 일면에 상기 표 1로 이루어진 카타플라즈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톰슨기로 절단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코어, 시스부를 구분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단일 섬유로 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PET 부직포의 신장율을 30%, 탄성회복율은 10%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를 베이스 시트(지지체)로 하고, 그 일면에 상기 표 1로 이루어진 카타플라즈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톰슨기로 절단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2. 자외선 차단시험
상기 실시예 5 내지 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을 5cm X 5cm 크기로 절단하여 실험을 위한 시료를 마련하였다. 그 후 30시간 동안 UV-VIS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에 대하여 자외선 영역에서의 투과되지 않는 양을 백분율로서 자외선 차단성 (%)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자외선 차단성 95% 96% 94% 60%
3. 마스크 팩의 밀착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2 및 3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을 귀걸이 형태의 마스크팩으로 제조하여 얼굴에 대한 팩의 밀착성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비교예 2 비교예 3
밀착성 X X
사용감 X x
(◎: 양호, ○: 보통, X: 불량)
비교예 2 및 3은 신장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코의 옆 부위가 뜨고, 얼굴의 굴곡에 맞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귀걸이 형으로 된 마스크 팩의 경우 귀부분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코 절개부
2: 입 절개부
3: 귀 절개부
100: 마스크 팩 본체
Y: 중심 축
X: 각도

Claims (16)

  1.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신장률이 400 내지 700%, 탄성회복률이 40 내지 80%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S),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평균 입경이 1.0 내지 10.0μm인 산화아연, 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전체 베이스 시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상기 코어부 및 시스부 중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어 섬유에 혼입되거나, 또는 섬유 표면에 코팅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코어부 및 시스부로 구성된 섬유를 이용하여직물, 부직포 및 메쉬(망사)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5mm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귀 절개부를 포함하며, 안면 상부, 안면 하부 또는 안면 전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귀 절개부는 수직 방향의 중심 축(Y)을 기준으로 45°이내의 각도(X)로 형성된 절개선 형태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코 절개부, 눈 절개부 및 입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베이스 시트; 및
    화장료 조성물층
    을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하이드로겔 층 또는 카타플라즈마 층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함침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타플라즈마 층은 친수성고분자, 피부유효성분, 다가알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젤라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염, 폴리메타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겔화 고분자, 다가알콜, 물 및 피부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1-10중량%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1020150106498A 2015-07-28 2015-07-28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10165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98A KR101650302B1 (ko) 2015-07-28 2015-07-28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98A KR101650302B1 (ko) 2015-07-28 2015-07-28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302B1 true KR101650302B1 (ko) 2016-08-24

Family

ID=5688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98A KR101650302B1 (ko) 2015-07-28 2015-07-28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0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WO2018044138A1 (ko) * 2016-09-05 2018-03-08 이은주 자외선 차단 및 피부온도 유지용 패치
KR200486421Y1 (ko) 2016-11-25 2018-05-17 주식회사 에스겔코스메틱 운동중 사용 가능한 마스크팩
WO2019164152A1 (ko) * 2018-02-20 2019-08-29 정연호 마스크 팩
CN111535037A (zh) * 2020-05-07 2020-08-14 闽江学院 抗菌织物的制备方法、抗菌织物及口罩
KR102242158B1 (ko) * 2021-01-18 2021-04-21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KR102356338B1 (ko) 2021-06-09 2022-02-08 조덕현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200495244Y1 (ko) * 2021-12-03 2022-04-12 주식회사 신안코스메틱 귀걸이부가 형성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230134929A (ko) 2022-03-15 2023-09-22 전설화 수분 불투과성 친환경 미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992B1 (ko) * 1996-03-27 2004-08-09 가부시키가이샤 니혼큐슈타이기쥬츠겐큐죠 한방향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6346A (ko) * 2009-01-22 2010-07-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및 난연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0066A (ko) * 2010-01-04 2011-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0720U (ko) * 2010-05-11 2011-11-17 추봉세 마스크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992B1 (ko) * 1996-03-27 2004-08-09 가부시키가이샤 니혼큐슈타이기쥬츠겐큐죠 한방향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6346A (ko) * 2009-01-22 2010-07-3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및 난연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0066A (ko) * 2010-01-04 2011-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0720U (ko) * 2010-05-11 2011-11-17 추봉세 마스크 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138A1 (ko) * 2016-09-05 2018-03-08 이은주 자외선 차단 및 피부온도 유지용 패치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0486421Y1 (ko) 2016-11-25 2018-05-17 주식회사 에스겔코스메틱 운동중 사용 가능한 마스크팩
WO2019164152A1 (ko) * 2018-02-20 2019-08-29 정연호 마스크 팩
CN111535037A (zh) * 2020-05-07 2020-08-14 闽江学院 抗菌织物的制备方法、抗菌织物及口罩
CN111535037B (zh) * 2020-05-07 2021-06-04 闽江学院 抗菌织物的制备方法、抗菌织物及口罩
KR102242158B1 (ko) * 2021-01-18 2021-04-21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KR102356338B1 (ko) 2021-06-09 2022-02-08 조덕현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200495244Y1 (ko) * 2021-12-03 2022-04-12 주식회사 신안코스메틱 귀걸이부가 형성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230134929A (ko) 2022-03-15 2023-09-22 전설화 수분 불투과성 친환경 미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02B1 (ko)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101507301B1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KR100853301B1 (ko)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성형체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101372799B1 (ko) 전도성 팩 및 이의 사용방법
US10172768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jade powder for blocking blue light
HU216720B (hu) Hidrofil hordozót és C-vitamint tartalmazó kozmetikai és/vagy dermatológiai készítmény és alkalmazása
KR101682426B1 (ko) 다공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458171B1 (ko)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9422A (ko)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101825684B1 (ko) 미세홀이 형성된 마스크팩
KR102110141B1 (ko)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KR101743916B1 (ko) 화장용 마스크팩
KR20190040672A (ko) 센텔라아시아티카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20180006141A (ko)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
US8357129B2 (en) Skin rejuvena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JP2009108006A (ja)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US20150132351A1 (en)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mineral fillers to combat skin aging
KR20160055418A (ko) 피부 맞춤형 즉석겔을 형성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JP6193846B2 (ja) パック
KR10165030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70031474A (ko)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JP2009108008A (ja) ゲ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6204604B2 (ja) 化粧用ゲ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