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158B1 -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158B1
KR102242158B1 KR1020210007069A KR20210007069A KR102242158B1 KR 102242158 B1 KR102242158 B1 KR 102242158B1 KR 1020210007069 A KR1020210007069 A KR 1020210007069A KR 20210007069 A KR20210007069 A KR 20210007069A KR 102242158 B1 KR102242158 B1 KR 10224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adhesive layer
patch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57442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21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Priority to KR102021000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에 관한 것으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에는 나이아신아미드, 아데노신, 히알론산나트륨, 프로폴리스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및 병풀추출물이 함유된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웃도어 패치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보습 효과, 피부냉각 효과 및 피부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OUTDOOR PATCH FOR UV PROTEC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보습 효과, 피부냉각 효과 및 피부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용 패치제는 자외선 차단이나 보습과 같은 피부 미용을 위해 사용되며, 일반의 부직포에 각종 에센스 등의 제제를 함침시켜 피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하이드로 겔(hydro gel) 상태로서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외에도, 피부 패치제로서 우뭇가사리나 전분 등을 이용한 겔(gel) 타입의 패치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일반 부직포에 각종 에센스 등의 제제를 함침시켜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대기중으로 증발되는 양이 많아서 15분 내지 20분 정도면 완전히 건조되며, 점착성이 열화되어 피부로부터의 이탈 또는 상기 제제의 경피흡수의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 겔 타입 패치제의 경우는 피부와의 밀착성이 떨어지며, 밀착성을 제공하는 점착 제제들로 인해 화학적으로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고, 한정된 제제만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하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숙성 등에 장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제조경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뭇가사리나 전분 등을 이용한 겔 타입 패치제의 경우는 겔의 지지체로 망사 등을 사용하므로, 지지체가 완벽하게 겔을 지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부에 부착하는 동안 그 형태가 흐트러지거나 파손되며, 건조 후에는 잔여물이 가루로 변하여 청결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 뿐만 아니라, 골프, 등산 및 하이킹과 같은 레져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활동이적이거나 야외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패치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한극특허등록 제10-0903783호(2009.06.12)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38567호(2016.04.07)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보습 효과, 피부냉각 효과 및 피부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에는 나이아신아미드, 아데노신, 히알론산나트륨, 프로폴리스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및 병풀추출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 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500 내지 6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에는 나이아신아미드 1.5 내지 2.5 중량%, 아데노신 0.03 내지 0.05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0005 내지 0.0015 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05 내지 0.07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5 내지 0.15 중량% 및 병풀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 완충제 0.015 내지 0.025 중량%, 킬레이트제 0.2 내지 0.4 중량%, 냉각제 0.0005 내지 0.005 중량%, 향료 0.001 내지 0.003 중량%, 보습제 35 내지 45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방부제 0.2 내지 0.4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3 내지 4 중량%, 계면활성제 0.05 내지 0.15 중량% 및 증점제 8 내지 12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제는 멜틸락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한천,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접착층에 함유된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허브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허브 추출물은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라벤더, 이니스스타 및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보습 효과, 피부냉각 효과 및 피부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아웃도어 패치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를 기재층 방향에서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작성된 테스트보고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피부자극성을 (주)엘리드 연구소에 의뢰하여 작성된 인체적용시험 결과 요약서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500 내지 650㎛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 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에 자외선 차단성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아웃도어 패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신축성을 부여하는데, 아웃도어 패치에 기계적 물성과 신축성 등을 고려하여 면과 폴리우레탄의 혼방섬유나 부직포 또는 피케 원단 형태의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500㎛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650㎛를 초과하게 되면,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기계적 물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신축성을 저하시키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정제수, 완충제, 킬레이트제, 냉각제, 향료, 보습제, pH 조절제, 방부제, 피부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지는데,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 완충제 0.015 내지 0.025 중량%, 킬레이트제 0.2 내지 0.4 중량%, 냉각제 0.0005 내지 0.005 중량%, 향료 0.001 내지 0.003 중량%, 보습제 35 내지 45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방부제 0.2 내지 0.4 중량%, 피부컨디셔닝제 3 내지 4 중량%, 계면활성제 0.05 내지 0.15 중량% 및 증점제 8 내지 12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0)은 상기 기재층(10)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피부보습 효과와 피부냉각 효과를 부여하며, 피부 저자극성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완충제는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제는 0.0005 내지 0.005 중량%가 함유되며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멘틸락테이트(Menthyl Lact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제의 함량이 0.00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냉각제의 함량이 0.00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향료는 0.001 내지 0.003 중량%가 함유되는데, 멘톨과 멘톡시프로판디올이 1:1의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35 내지 45 중량%가 함유되며, 글리세린과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데,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디프로필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0.1 내지 0.3 중량%가 함유되며, 타타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부제는 0.2 내지 0.4 중량%가 함유되며,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3 내지 4 중량%가 함유되며,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리세린, 정제수, 잔탄검, 프로폴리스 추출물, 부틸렌글리콜, 병풍 추출물,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1,2-헥산디올,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라벤더오일, 아데노신, 글루타티온 및 히알론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1.5 내지 2.5 중량%가 함유되며, 니코틴아미드라고도 하는데, 니코틴산과 같이 수용성의 비타민 B복합체의 하나로 사람의 항(抗)펠라그라 인자(因子), 개의 항흑설병(抗黑舌病)인자, 미생물의 생육인자이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식물계에 니코틴산과 공존하며 널리 분포하며, 생체 내에서는 비타민의 조효소형(助酵素型)인 니코틴아미드뉴클레오티드, 즉 NAD+ 및 NADP+로서 존재하며, 탈수소효소의 조효소로서 많은 산화 및 환원반응에 관여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토사이트에서 형성된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까지 이동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방해하여 이를 통해 보다 맑고 깨끗한 피부톤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데노신은 0.03 내지 0.05 중량%가 함유되며, 아데닌, 리보스 성분이 결합한 유기화합물로, 세포외부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뉴클레오사이드로서 모든 생물체에 존재하는데, 세포의 성장, 분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주름개선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아데노신은 세포 내 존재 하는 물질로 세포 에너지 대사의 주성분으로 분자량이 적고 열역학적으로 안전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축적되지 않는다. 레티놀과 달리 피부에 침투 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뛰어나고 특히 자외선에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밤과 낮 구분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히알론산나트륨은 0.0005 내지 0.0015 중량%가 함유되며, 피부에서 수분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피부의 수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켜주며, 혈류랑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0.05 내지 0.07 중량%가 함유되며, 꿀벌이 식물의 표피에서 채취하여 벌의 타액과 효소를 혼합시킨 검(GUM)형태의 수지물질로, 벌통의 틈을 메우거나 벌집을 소독하는데 사용되는데, 비타민 P로 알려져 있는 플라보노이드가 주성분이며, 포도상구균이나 살모넬라균 등에 특히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며,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며,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해 저항력이 강하며 맛도 좋아 전세계적으로 양식이 활발한 어종인 틸라피아로부터 얻은 성분으로 피쉬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피부에 흡수되기 쉬운 저분자 형태로 만든 원료인데, 식품첨가물로도 사용가능한 성분으로 피부친화적이며, 피부속 세포간 결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19가지의 다양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피부 보호, 수분 공급, 주름 방지 및 노화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데, 병풀은 인도양의 열대지방에서 기원하였으며 습하고 그늘진 해발 600미터에서 이상적으로 자생하는 식물로, 뱅갈 호랑이가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풀 위에서 뒹굴고 먹었다고 해서 Tiger Grass 라고도 불리는데, 병풀에는 Triterpenoids(saponins)라 불리우는 asiaticoside, madecasosside, asiatic acid와 madecassic acid 성분 등이 함유되어 콜라겐합성 조절 및 촉진, 현관 강화 및 혈행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며, 케프릴글루코사이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8 내지 12 중량%가 함유되며, 상기 접착층(20)에 점도를 증가시키고 접착력을 부여하여 상기 접착층(20)이 사용자의 피부에 강력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한천,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20)에는 상기 접착층(20)에 함유된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허브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허브 추출물은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라벤더, 이니스스타 및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라벤더, 이니스스타 및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허브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열수 추출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20)에 허브 추출물이 함유되면 아로마테라피 효과로 인해 정신적인 안정과 케어효과를 얻을수 있는데, 상기 로즈마리는 깨끗하고 상쾌한 약초 향이 나는데, 심장박동을 강화해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고, 어깨결림 근육통, 관절통증, 요통 등에 좋으며,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인체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칼립투스는 상쾌하고 자극적인 향을 가지는데, 공기를 살균 소독하는 기능이 있으며, 몸과 마음을 상쾌하게 회복시키면서도 흥분을 가라앉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페퍼민트는 산뜻하고 시원한 박하향을 나타내는데, 몸과 마음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정신집중을도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항염 작용과 통증 및 붓기를 줄여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라벤더는 상쾌하고 달콤한 약초향과 깨끗한 꽃향이 섞인 냄새가 나는데, 우울한 감정을 씻고 안정을 찾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심신을 안정시키고 불면증 해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아니스스타는 아니스스타(Anise-Star) 또는 스타아니스, 팔각향이라고도 불리우는 과실로서,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고 편안한 마음을 주는 향기로 신체리듬을 정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타임(thyme)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짙고 따뜻한 풀향을 나타내는데, 항균성을 가지며 통풍, 류머티즘 관절염의 통증 그리고 운동부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며, 두통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피부트러블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허브 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허브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접착층(20)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재층(10) 및 접착층(20)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 완충제 0.015 내지 0.025 중량%, 킬레이트제 0.2 내지 0.4 중량%, 냉각제 0.0005 내지 0.005 중량%, 향료 0.001 내지 0.003 중량%, 보습제 35 내지 45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방부제 0.2 내지 0.4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3 내지 4 중량%, 계면활성제 0.05 내지 0.15 중량% 및 증점제 8 내지 12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용융조에 투입하고 13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용융된 혼합물을 기어펌프 또는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배관을 통해 도포장치의 헤드부분으로 이송시키고, 압출코팅, T-Die코팅, 스프레이코팅 및 나선형코팅(spiral)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층의 상붐녀에 40 내지 60㎛의 두께로 도포하고, 냉각롤(chilling roll)을 10 내지 30초 동안 통과시켜 합지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하에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아웃도어 패치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접착층용 혼합물의 제조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들을 혼합한 후에 용융조에 투입하고 17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과정을 통해 접착층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21006602438-pat00001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접착층용 혼합물을 기어펌프를 이용하여 배관을 통해 도포장치의 헤드부분으로 이송시키고, 압출코팅의 방법을 이용하여 중량이 160g/m2이며, 두께가 570 마이크로미터이고,너비가 510mm이며, 탄성률이 90%≤인 탄성 세미 피케원단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상부면에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코팅하고, 냉각롤(chilling roll)을 20초 동안 통과시켜 합지하는 과정을 통해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작성된 테스트보고서를 아래 도 3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UV-R, UV-A, UV-B에 대해 우수한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의 피부자극성을 (주)엘리드 연구소에 의뢰하여 작성된 인체적용시험 결과 요약서를 아래 도 4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피부자극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보습 효과, 피부냉각 효과 및 피부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다.
10 ; 기재층
20 ; 접착층

Claims (9)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층은 면과 폴리우레탄의 혼방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 완충제 0.015 내지 0.025 중량%, 킬레이트제 0.2 내지 0.4 중량%, 냉각제 0.0005 내지 0.005 중량%, 향료 0.001 내지 0.003 중량%, 보습제 35 내지 45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방부제 0.2 내지 0.4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3 내지 4 중량%, 계면활성제 0.05 내지 0.15 중량% 및 증점제 8 내지 12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나이아신아미드 1.5 내지 2.5 중량%, 아데노신 0.03 내지 0.05 중량%, 히알론산나트륨 0.0005 내지 0.0015 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05 내지 0.07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5 내지 0.15 중량% 및 병풀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접착층에 함유된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허브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허브 추출물은 로즈마리, 이니스스타 및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500 내지 6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멘틸락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한천,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8. 삭제
  9. 삭제
KR1020210007069A 2021-01-18 2021-01-18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KR10224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69A KR102242158B1 (ko) 2021-01-18 2021-01-18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69A KR102242158B1 (ko) 2021-01-18 2021-01-18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158B1 true KR102242158B1 (ko) 2021-04-21

Family

ID=7574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69A KR102242158B1 (ko) 2021-01-18 2021-01-18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1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439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감광자외선차단용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9520A (ko)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휴먼텍 점착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15691A (ko) 2023-11-22 2024-02-05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885B1 (ko) 2023-11-22 2024-02-20 (주)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1501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가솔릭 파장변환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패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83B1 (ko) 2004-04-27 2009-06-1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피부패치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4330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의 제조방법
KR20120124823A (ko) * 2011-05-04 2012-11-14 (주)지에이치테크 청량제 조성물
KR20160038567A (ko) 2014-09-3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패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방법
KR101650302B1 (ko) * 2015-07-28 2016-08-24 주식회사 제닉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102165567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83B1 (ko) 2004-04-27 2009-06-1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피부패치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4330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의 제조방법
KR20120124823A (ko) * 2011-05-04 2012-11-14 (주)지에이치테크 청량제 조성물
KR20160038567A (ko) 2014-09-3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패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방법
KR101650302B1 (ko) * 2015-07-28 2016-08-24 주식회사 제닉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용 마스크 팩
KR102165567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439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감광자외선차단용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3960A (ko) 2022-03-18 2023-12-01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감광자외선차단용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9520A (ko)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휴먼텍 점착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51501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가솔릭 파장변환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240015691A (ko) 2023-11-22 2024-02-05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5690A (ko) 2023-11-22 2024-02-05 주식회사 뉴트리어드바이저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885B1 (ko) 2023-11-22 2024-02-20 (주)뉴트리어드바이저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158B1 (ko) 자외선 차단용 아웃도어 패치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4983647A (zh) 深层修复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403843A (zh) 一种手工皂及制备方法
CN104983648A (zh) 修复紫外线灼伤皮肤的面膜及其制备方法
CN102091014A (zh) 强化纳米元素中药负离子远红外功效性香水
CN108888563A (zh) 一种水润平衡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03356425A (zh) 剥离型人参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490713A (zh) 一种具有排浊紧致和抗皱活化肌肤功能的超软活泉护肤品
CN106821929A (zh) 一种用于细致毛孔的海洋生物功能面膜
CN106309340A (zh) 一种柚子汁抗皱去纹护肤配方
CN106176323A (zh) 植物精油美白护肤品
CN104434642B (zh) 一种晒后修护美白保湿凝露及其制备方法
CN107496598A (zh) 皮肤抑菌液及其制备方法
CN103027884B (zh) 洗面盐砂及其制备方法
CN107184538A (zh) 含熊胆汁的化妆品组合物
CN109125165A (zh) 一种紧致修颜舒缓面膜及其制备方法
CN109316392A (zh) 一种含有多种植物油的颜和悦舒活乐精油
KR101773115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188854A (zh) 营养型滋养无醇收敛水
CN107308075A (zh) 一种植物型缓解眼袋和浮肿的滋润眼霜
CN106038467A (zh) 一种婴童中药洗手液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9597B1 (ko)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7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709

Effective date: 202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