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137B1 -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137B1
KR101650137B1 KR1020150175618A KR20150175618A KR101650137B1 KR 101650137 B1 KR101650137 B1 KR 101650137B1 KR 1020150175618 A KR1020150175618 A KR 1020150175618A KR 20150175618 A KR20150175618 A KR 20150175618A KR 101650137 B1 KR101650137 B1 KR 10165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positive
voltage a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정상호
이재광
함가현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7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는 상호 이격된 양전극과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 및 양전극과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dissolved solids)을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하거나 양전극 및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모듈은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되거나 양전극과 음전극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른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한다.

Description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CAPACITIVE DEIONIZ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정전압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용수나 산업용수로서 물은 인간 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금속이나, 질산성 질소, 불소 이온 등 인체에 해로운 용존 고형물(dissolved solids)이 포함된 물을 사람이 장기간 음용하는 경우에, 건강에 매우 해로울 수 있다. 이에 역삼투(RO), 전기투석(ED), 및 이온교환법(EDI) 등 수 많은 수 처리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고비용과 고위험 기술조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역삼투 시스템은 고압과 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고 또한 농축된 물의 고부피(high volume) 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비록 고효율 박막 기술이 있다 하더라도 작동을 위해서 매우 위험하고 비싼 공정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전기투석의 경우에는 고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기소비가 크고, 경도 이온과 유기 물질로부터 박막 오염(membrane fouling)을 일으켜 생성과정이 복잡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는 이온교환법은 다양한 화학물질로 인하여 제2차 오염을 야기시키고 총 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흡착 및 전기 이중충 원리를 사용하는 정수기술을 이용하는 축전식 탈염장치(Capacitive deionization; CDI)가 개발되었다.
축전식 탈염장치(CDI)는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과 음극이 인가되는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과, 전극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양전극과 음전극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축전식 탈염장치는 용존 고형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하는 흡착공정과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탈착공정을 수행하며, 이러한 흡착공정과 탈착공정은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압변화만으로 가능하므로 그 작동이 단순하고 2차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축전식 탈염장치는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고형물의 양이 한계흡착용량에 도달하면 양전극과 음전극에 대한 전압 공급을 중단하고 양전극과 음전극에 교대로 변화하는 펄스를 인가하여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식 탈염장치는 흡착공정과 탈착공정이 반복됨에 따라 한계흡착용량이 변화되고 이로써 처리수 농도 변화가 커져 사용자가 균일한 농도의 처리수를 얻기 어려우며, 한계흡착용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증가되어 상용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4280호(2013.07.0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착공정과 탈착공정 중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정전압을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그 동작이 간단하고 처리수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격된 양전극과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dissolved solids)을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하거나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되거나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른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하는 축전식 탈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은 0 내지 1.5(V) 일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이 수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타측에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와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이 함유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수와 농축수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3웨이 밸브(3-wa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하여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 발생되는 전력을 회수하는 전력 회수부; 및 상기 3웨이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 회수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하여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처리수 및 농축수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되게 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전극 및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과,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하여 상기 전극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호 이격된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라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에 발생되는 전력을 회수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흡착 제거한 처리수와 양전극 및 음전극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이 함유된 농축수를 3웨이 밸브를 통해 분리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은 0 내지 1.5(V)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되거나 양전극과 음전극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른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축전식 탈염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동작이 간단하며 균일한 농도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전극과 음전극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어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조비용 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및 탈착공정에 의한 용존 고형물의 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및 탈착공정에 의한 전류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및 탈착공정에 의한 용존 고형물의 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및 탈착공정에 의한 전류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원수가 유입되고 처리수 및 농축수가 분리 배출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에 수용되며 상호 이격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을 구비한 전극모듈(300)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되거나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dissolved solids)의 양에 따른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하는 제어모듈(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용존 고형물이 흡착되는 흡착공정 시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하는 탈착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탈착공정 시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는 흡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지를 검출한 후 흡착공정 및 탈착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축전식 탈염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는 원수와,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전극모듈(300)에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와, 전극모듈(300)에서 탈착된 용존 고용물이 함유된 농축수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타측에 처리수와 농축수가 분리 배출되는 배출구(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30)를 각각 하나 이상 가질 수 있으며, 유입구(110)와 배출구(130)의 위치 및 개수를 조절하여 유체의 이동경로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유입구(110)를 통해 본체부(100)에 유입된 원수는 후술할 전극모듈(300)에 의해 처리수와 농축수로 분리된 후 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분리 배출된다.
이때, 처리수와 농축수를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후술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중 어느 하나에 연통홀(350)이 형성되며, 본체부(100)는 배출구(130)와 연통홀(350)을 상호 연통되게 하는 연결유로(1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를 흐르는 처리수와 농축수는 연통홀(350) 및 연결유로(170)를 따라 순차로 이동된 후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30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처리수와 농축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극모듈(3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라며 그 크기가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모듈(300)은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310)과, 양전극(310)에 이격되며 음극이 인가되는 음전극(330)과, 유체가 이동가능하도록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spacer,37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37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을 상호 이격시켜 유체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페이서(370)는 원수, 처리수 및 농축수 등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전극(310)에 연결된 제1 단자(311)와 음전극(330)에 연결된 제2 단자(331)가 본체부(100)의 일측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단자(311)는 본체부(100)의 일측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단자(331)는 본체부(100)의 타측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311) 및 제2 단자(331)가 본체부(100)에서 돌출될 경우에 유체가 본체부(100)에서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일면이 본체부(100)의 내면에 밀착되고 타면이 제1 단자(311) 및 제2 단자(331)에 밀착되는 실링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on) 상태에서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각각의 극성에 따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되며,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off) 상태에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은 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는 0(V) 내지 1.5(V) 정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1.5(V) 이하의 낮은 전위를 인가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일련의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서 용존 고형물의 흡착 및 탈착은 제어모듈(400)에 의해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400)은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되게 하거나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시키도록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모듈(400)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되거나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른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모듈(400)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10)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430)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45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410)는 양전극(310)에 연결된 제1 단자(311)와 음전극(330)에 연결된 제2 단자(331)에 연결되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단자(311)와 제2 단자(331)에 공급된 전력에 의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정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전류 측정부(43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 및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 변화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on) 상태에서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전기이중층이 형성되어 용존 고형물을 표면에 잡아주는 전류가 차지되므로(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전류를 잡아줄 수 있는 드라이빙 포스(driving force)가 작용) 작용 초기 100초 이내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값이 급격히 상승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이 200초 이후에는 전기이중층으로 인한 축전용량의 증가 영향이 거의 없어지면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은 특정 (+)값으로 수렴한다. 200초 이후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영역은 전력 손실에 해당하며 이때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은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on) 상태에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는 흡착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용전 고형물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순간적으로 흡착되므로 초기 전류 값은 급격히 상승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도(conductivity)는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은 감소하다가 특정 (+)값으로 수렴한다.
이와 반대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한 후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상태에서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전기이중층 형성에 있어서 드라이빙 포스로 작용했던 정전기적 인력이 사라지고 용존 고형물을 표면에 잡아주는 전류가 방전되므로 1000초 이후에는 전류 값이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고 급격이 하락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이 1200초 이후에는 용존 고형물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되므로 전류가 더 이상 흐르지 않아 전류 값이 0 또는 0에 수렴하는 특정 (-)값을 갖는다.
다시 말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한 후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하는 탈착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용전 고형물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순간적으로 탈착되므로 초기 전류 값은 급격히 하락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도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은 증가하다가 특정 (-)값으로 수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존 고형물에 대한 흡착공정과 탈착공정 중 전도도 변화와 전류 값의 변화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를 통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에서 변하는 전류 값의 특성을 이용하여 흡착공정과 탈착공정을 제어하므로 다양한 농도의 원수가 유입되거나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이 달라도 양전극(310)과 음전극 (330)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흡착공정과 탈착공정 중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시간을 짧게 하여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형성된 전기이중층이 가역적인 반응이므로 흡착공정에서 소모된 에너지는 탈착공정에서 회수될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회수된 에너지는 후술할 밸브 제어부(490)를 작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45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 또는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류 측정부(430)에 의해 측정된 전류 값은 스위치부(450)로 전송되며, 흡착공정에 따른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되게 하고, 탈착공정에 따른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용존 고형물이 흡착되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자동으로 연동하여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할 수 있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0)을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위치부(450)에 의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은 온오프되며, 이때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된 용존 고용물이 함유된 농축수는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와 농축수의 이동경로를 달리 안내하도록 배출구(130)에 연결된 3웨이 밸브(3-way valve,2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400)은 3웨이 밸브(200)에 연결되어 3웨이 밸브(200)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490)를 더 포함한다.
밸브 제어부(490)는 스위치부(450)에 연동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에 발생하는 전력을 회수하여 3웨이 밸브(200)를 제어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400)은 스위치부(450)에 연동하여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 발생되는 전력을 회수하는 전력 회부수를 더 포함한다.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사이에 충전된 전하의 이동에 의해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는 정전류 및 역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전력 회수부(47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발생된 정전류 및 역전류를 회수하고 이를 밸브 제어부(490)를 동작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전력 회수율은 90%에 달하며 3웨이 밸브(200)의 동작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원수는 본체부(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제어모듈(400)의 전원 공급부(4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고, 스위치부(45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인가된 정전압을 온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하여 제거한다(S100).
그리고, 용존 고형물이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는 연통홀(350)과 연결유로(170) 및 배출구(130)를 따라 순차로 이동되고 3웨이 밸브(200)를 통해 분리배출된다(S200).
이때, 3웨이 밸브(20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전력 회수부(470)에 의해 회수된 전력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에 연동하는 밸브 제어부(49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은 점차 감소되는데 전류 측정부(43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을 측정하고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판별한다(S300).
그리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스위치부(45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하여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킨다(S400).
그리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을 함유한 농축수는 연통홀(350)과 연결유로(170) 및 배출구(130)를 따라 순차로 이동되고 3웨이 밸브(200)를 통해 분리배출된다(S500).
이때, 3웨이 밸브(20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전력 회수부(470)에 의해 회수된 전력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에 연동하는 밸브 제어부(49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라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역전류 값은 점차 증가되는데 전류 측정부(43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역전류 값을 측정하고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판별한다(S600).
그리고,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스위치부(45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하여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 용존 고형물을 흡착시킨다(S1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장치(10)는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하여 반복적으로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며, 또한 양전극(310)과 음전극(330)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축전식 탈염장치 100: 본체부
110: 유입구 130: 배출구
150: 실링부재 170: 연결유로
200: 3웨이 밸브 300: 전극모듈
310: 양전극 330: 음전극
350: 연통홀 370: 스페이서
400: 제어모듈 410: 전원 공급부
430: 전류 측정부 450: 스위치부
470: 전력회수부 490: 밸브 제어부

Claims (11)

  1. 상호 이격된 양전극과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dissolved solids)을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하거나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흡착되거나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서 탈착되는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른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은 0 내지 1.5(V) 인 축전식 탈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이 수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타측에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이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와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이 함유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수와 농축수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3웨이 밸브(3-way valve)를 더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하여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 발생되는 전력을 회수하는 전력 회수부; 및
    상기 3웨이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 회수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하여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유체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처리수 및 농축수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되게 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
  8. 양전극 및 음전극을 구비한 전극모듈과,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오프(on/off)하여 상기 전극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호 이격된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on)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의 양에 따라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온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오프(off)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흡착된 용존 고형물을 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역전류 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을 온하여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용존 고형물을 흡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 시에 발생되는 전력을 회수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원수에 함유된 용존 고형물을 흡착 제거한 처리수와 양전극 및 음전극에서 탈착된 용존 고형물이 함유된 농축수를 3웨이 밸브를 통해 분리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인가된 정전압은 0 내지 1.5(V) 인 축전식 탈염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75618A 2015-12-10 2015-12-10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18A KR101650137B1 (ko) 2015-12-10 2015-12-10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18A KR101650137B1 (ko) 2015-12-10 2015-12-10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137B1 true KR101650137B1 (ko) 2016-08-24

Family

ID=5688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618A KR101650137B1 (ko) 2015-12-10 2015-12-10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13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29B1 (ko) 2017-03-10 2017-06-15 (주) 시온텍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KR101882807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CN108455696A (zh) * 2018-01-10 2018-08-28 南开大学 一种半波交流电场原位高效清除多孔材料表面与内部盐分的方法
KR20180119142A (ko) * 2018-05-17 2018-11-01 (주) 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CN109320001A (zh) * 2018-12-10 2019-02-12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高盐高浊工业废水零排放系统及其工艺
KR20190021532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트론 직물전극을 이용한 탈염 모듈장치
KR101965784B1 (ko) * 2017-11-21 2019-04-05 주식회사 오투엔비건축사사무소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연속 정수 처리 시스템
KR20190083012A (ko) * 2018-01-01 2019-07-11 주식회사 오투엔비건축사사무소 자체 전원 생성부를 구비한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연속 정수 처리 시스템
KR102341495B1 (ko) * 2020-09-18 2021-12-22 죽암건설 주식회사 처리수와 농축수의 배출 경로 분리에 의해 회수율이 향상된 cdi장치
KR102381081B1 (ko) 2020-12-14 2022-03-31 한국수자원공사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전극 표면 모니터링을 통해 공정 자동화한 축전식 탈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358A (ja) * 2011-02-25 2012-09-13 Kurita Water Ind Ltd 電気浸透脱水装置の洗浄方法
KR20130074280A (ko) 2011-12-26 2013-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기흡착식 탈염장치 및 탈염방법
KR20130136406A (ko) * 2012-06-04 2013-12-12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 탈이온 필터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탈이온 필터의 재생방법
KR20150052451A (ko) * 2013-11-05 2015-05-14 죽암건설 주식회사 단계적 전압인가에 의한 축전탈이온 반응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복합전극
KR101533978B1 (ko) * 2013-12-16 2015-07-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축전식탈염장치와 전기탈염장치의 결합형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358A (ja) * 2011-02-25 2012-09-13 Kurita Water Ind Ltd 電気浸透脱水装置の洗浄方法
KR20130074280A (ko) 2011-12-26 2013-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기흡착식 탈염장치 및 탈염방법
KR20130136406A (ko) * 2012-06-04 2013-12-12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 탈이온 필터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탈이온 필터의 재생방법
KR20150052451A (ko) * 2013-11-05 2015-05-14 죽암건설 주식회사 단계적 전압인가에 의한 축전탈이온 반응장치 제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복합전극
KR101533978B1 (ko) * 2013-12-16 2015-07-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축전식탈염장치와 전기탈염장치의 결합형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29B1 (ko) 2017-03-10 2017-06-15 (주) 시온텍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KR101882807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KR20190021532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트론 직물전극을 이용한 탈염 모듈장치
KR101965784B1 (ko) * 2017-11-21 2019-04-05 주식회사 오투엔비건축사사무소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연속 정수 처리 시스템
KR102007878B1 (ko) * 2018-01-01 2019-08-07 주식회사 오투엔비 자체 전원 생성부를 구비한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연속 정수 처리 시스템
KR20190083012A (ko) * 2018-01-01 2019-07-11 주식회사 오투엔비건축사사무소 자체 전원 생성부를 구비한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연속 정수 처리 시스템
CN108455696A (zh) * 2018-01-10 2018-08-28 南开大学 一种半波交流电场原位高效清除多孔材料表面与内部盐分的方法
CN108455696B (zh) * 2018-01-10 2021-04-30 南开大学 一种半波交流电场原位高效清除多孔材料表面与内部盐分的方法
KR20180119142A (ko) * 2018-05-17 2018-11-01 (주) 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KR101954141B1 (ko) * 2018-05-17 2019-06-11 (주)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CN109320001A (zh) * 2018-12-10 2019-02-12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高盐高浊工业废水零排放系统及其工艺
CN109320001B (zh) * 2018-12-10 2023-08-22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高盐高浊工业废水零排放系统及其工艺
KR102341495B1 (ko) * 2020-09-18 2021-12-22 죽암건설 주식회사 처리수와 농축수의 배출 경로 분리에 의해 회수율이 향상된 cdi장치
KR102381081B1 (ko) 2020-12-14 2022-03-31 한국수자원공사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전극 표면 모니터링을 통해 공정 자동화한 축전식 탈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137B1 (ko) 축전식 탈염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002963B2 (en) Charge barrier flow-through capacitor-based method of deionizing a fluid
KR101675749B1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US871547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on and selective recomposition of ions
KR101948006B1 (ko) 수처리 장치
US11597661B2 (en) Intercalation-base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softening water
US20080078672A1 (en) Hybrid Capacitive Deionization and Electro-Deionization (CDI-EDI) Electrochemical Cell for Fluid Purification
KR101978985B1 (ko)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KR20130107041A (ko) 수처리 장치
KR102053774B1 (ko)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301795B1 (ko)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KR101637539B1 (ko) 교차흐름을 이용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KR101992312B1 (ko)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460225B1 (ko) 양음극 동형 활성탄소전극을 이용한 대용량 전기흡탈착식물 정화장치 및 방법
JP2003200166A (ja) 通液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脱塩装置の運転方法
KR102220165B1 (ko) 전기 탈이온 방식의 수처리 장치
JP4090640B2 (ja) 通液型コンデンサの通液方法及び装置
KR20160010904A (ko) 미생물 감지 장치, 이를 갖는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4112B1 (ko) 전기 흡착식 수처리 셀, 이를 이용한 전기 흡착식 수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376174A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by cdi method
KR102237038B1 (ko) 가정 정수기용 카본 전극 필터 모듈
KR102423875B1 (ko) 스케일 방지와 cdi 공정 회수율 향상을 위한 농축수 순환재생 시스템
KR102517536B1 (ko) 탈염 장치
KR102024925B1 (ko)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시스템
KR102333809B1 (ko) 탈착공정용 순환탱크를 구비한 축전식 탈염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