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312B1 -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312B1
KR101992312B1 KR1020160100047A KR20160100047A KR101992312B1 KR 101992312 B1 KR101992312 B1 KR 101992312B1 KR 1020160100047 A KR1020160100047 A KR 1020160100047A KR 20160100047 A KR20160100047 A KR 20160100047A KR 101992312 B1 KR101992312 B1 KR 10199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odule
electrodes
electrode
energ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092A (ko
Inventor
김성주
최석호
황재동
최현성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312B1/ko
Priority to US15/622,789 priority patent/US11377375B2/en
Priority to EP17176760.1A priority patent/EP3279152B1/en
Publication of KR2018001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B01D61/46Apparatus therefor
    • B01D61/48Apparatus therefor having one or more compartments filled with ion-exchange material, e.g. electro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442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을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처리 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WATER TREATING APPARATUS FOR SAVING ENERGY AND WATER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을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전식 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CDI) 전극 모듈은 하전된 전극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Electric Double Layer, EDL)에서의 이온 흡착 및 탈착 반응을 이용하여 원수 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의 전기분해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전위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에는 일정한 전하량이 하전되고, 하전된 전극에 이온을 포함한 염수(brine water)를 통과시키면 하전된 전극과 반대 전하를 가진 이온들이 정전기력에 의해 각각의 전극으로 이동하여 전극 표면에 흡착되며, 전극을 통과한 물은 이온이 제거된 순수(desalinated water)가 된다.
이때, 전극에 흡착되는 이온의 양은 사용된 전극의 정전용량(Capacitance)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CDI에 사용되는 전극은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전극(Carbon Electrode)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전극의 흡착 용량이 포화되면 더 이상의 이온을 흡착할 수 없게 되어 유입수의 이온들이 그대로 유출수로 나오게 된다. 이때 전극에 흡착된 이온들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전극들을 쇼트(short) 시키거나 전극에 흡착 전위와 반대 전위를 인가하면, 전극은 전하를 잃거나 반대 전하를 갖게 되고 흡착된 이온들은 빠르게 탈착되어 전극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CDI 기술은 전극의 전위만을 변화시켜서 흡착과 탈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의 운전이 매우 간편하고 탈염 과정에서 환경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탈염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CDI의 개량된 일 실시예인 MCDI(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Device)는 전극 표면에 이온교환막을 형성하여 흡착되는 이온의 선택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MCDI는 고가의 이온교환막 사용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CAPEX 비용을 높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CDI 또는 MCDI는 염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로를 100㎛ 정도로 좁게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에 따라, 좁은 유로로 인하여 파울링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처리량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좁은 유로로 인하여 대면적의 직렬구조 CDI 모듈을 제조하기 어려워,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탈염 전극 모듈은 사각 형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는데, 사각 형태의 전극은 모서리 부분에서는 탈염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부식이 일어나 탈염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기존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흡착 및 탈착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전체적으로 에너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다.
이에, 파울링 현상을 최소화하고 처리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이온성 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과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운영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3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파울링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유입용액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시 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너지 회수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커;를 포함할 수 있고,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2개가 한 세트를 구성하고, 한 세트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이 하나의 에너지 회수장치를 공유하며, 일방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저장하고, 이를 타방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원통형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한 쌍의 원형 전극; 및 한 쌍의 원형 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중간 전극;을 포함하되, 원형 전극 및 중간 전극은 직경이 30~40㎝일 수 있다.
이때,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한 쌍의 원형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활성탄층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 전극의 양 면에는 활성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원형 전극에만 전원공급장치가 연결되어,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 전극은 일면에 양극이 형성되며, 타면에 음극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 전극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전극 사이의 유로에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질 수 있고, 전극 사이의 유로에 채워지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가 정반대의 농도 구배(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질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수지는 음극 쪽에 다수 분포되어 있고, 음이온 교환수지는 양극 쪽에 다수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가 유로 중앙 부분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단계;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이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흡착단계;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너지 회수단계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킹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수된 에너지를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흡착된 염이 탈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고, 이를 흡착 과정에 재이용함으로써 수처리 장치를 운영하는 데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원형의 전극을 사용하여 부식(전극의 산화)을 방지함으로써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하우징 내부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원형 전극에만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각 전극에 전위를 인가하는 경우처럼 별도의 변압기를 구비하지 않고,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직경이 큰 전극을 사용하고, 유로의 크기를 키울 수 있어 파울링 현상을 최소화하고, 유입수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대면적의 직렬구조 또는 병렬구조로 운영할 수 있고, 별도의 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아 CAPEX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CDI 모듈 2개를 한 세트로 운영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복수 개의 CDI 모듈을 직렬로 연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복수 개의 CDI 모듈을 병렬로 연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CDI 모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CDI 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CDI 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10);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장치(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운영시 흡착된 이온이 탈착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회수장치(30)를 구비함으로써 저장된 에너지를 재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탈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최대 80%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큰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장치(Energy Recovery Device, ERD)(3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커(breaker)(31);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CDI 모듈이라고도 한다)(2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유입수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로 유입되면, 유입수 속에 포함된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흡착된다. 충분히 흡착되면, 탈착 과정을 거쳐 흡착된 이온을 제거한다. 이때, 브레이커(breaker)(31)를 이용해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면, 즉, 양극은 음극으로, 음극은 양극으로 바꿔주면, 흡착되었던 이온들은 바뀐 전극과 반발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흡착된 이온들이 탈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장치(Energy Recovery Device, ERD)(3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컨버터(converter)(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converter)(32)는 후술하는 커패시터(capacitor)(33)와 같은 에너지 저장수단과 연결되고,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및 커패시터(33) 사이에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탈착과정(방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커패시터(33)가 저장할 수 있도록 전달하고, 커패시터(33)에 저장된 에너지를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흡착과정(충전)에 사용하기 위해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로 다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장치(Energy Recovery Device, ERD)(30)는 회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패시터(33)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탈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컨버터(converter)(32)를 통해 전달되면 이를 저장하고, 이후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서 흡착과정이 진행되기 위해 저장된 에너지를 재공급할 수 있는 보조 전원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커패시터(33)로는 공지의 다양한 저장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대용량의 전기화학식 커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CDI 모듈(20) 2개를 한 세트로 운영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2개를 한 세트로 구성하고, 한 세트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하나의 에너지 회수장치(30)를 공유하도록 하며, 일방의 탈착과정(방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에너지를 타방의 흡착과정(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 개의 CDI 모듈(20)을 직렬로 연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복수 개의 CDI 모듈(20)을 병렬로 연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복수 개의 CDI 모듈(2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고, 이때, 각 CDI 모듈(20)에 에너지 회수장치(30)를 구비하거나 2개의 CDI 모듈(20)이 하나의 에너지 회수장치(30)를 공유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유입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가 클 경우(3000ppm 이상), 직렬로 연결하여 운영하고, TDS가 적을 경우(3000ppm 미만), 병렬로 연결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량(feed flow)의 압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각 CDI 모듈(20)은 수평 방향에 대해서 0.5도 아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21); 원통형의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한 쌍의 원형 전극(22); 및 한 쌍의 원형 전극(2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중간 전극(23);을 포함한다. 이때, 유입수의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 전극(22) 및 원형 전극(2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전극(23)의 직경은 30~4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CDI 모듈은 대부분 사각 형태의 전극을 사용하고, 그 크기는 10x10cm인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유입수의 처리량은 2.5ton/day 정도이다. 또한, 사각 형태의 전극은 모서리 부근에서 탈염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부식(전극의 산화)이 일어나 탈염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직경이 30~40cm인 원형 형상의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을 쌓는 것이 용이하고, 전극의 전체에서 고르게 탈염 작용이 일어나 단위면적당 탈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10배 이상의 처리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산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CDI 모듈(20)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21)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것으로서, uPVC(un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와 같은 소재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1)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은 유입수가 지나가는 유로로서, 유입수가 하우징(21)의 일측으로 진입하여 타측으로 유출되면서 유입수 내의 이온들이 원형 전극(22) 및 중간 전극(23)에 흡착 또는 탈착이 일어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원형 전극(22)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고, 원통형의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중간 전극(23)이 한 쌍의 원형 전극(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21)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전극 중에서 최외각에 배치된 전극을 의미한다. 중심부에 형성된 홀은 하우징(21)의 홀과 연결되어 유입수의 유로가 된다. 한 쌍의 원형 전극(22)은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 전극을 사용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활성탄(active carbon)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전원 장치(power supply)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전극(23)은 한 쌍의 원형 전극(2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 형상으로, 기본적으로 한 쌍의 원형 전극(22)과 동일한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21) 내부에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원형 전극(22)과 달리 전극의 양면에 모두 활성탄층이 형성될 수 있고, CDI 모듈(20)의 운영방식(후술하는 바이폴라 또는 모노폴라 방식)에 따라 일측에 전원 장치(power supply)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은 바이폴라(bipolar)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바이폴라 방식이란, 하우징(21) 내부의 각 전극을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각각 양극 또는 음극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모노폴라(monopolar) 방식과 달리, 하우징(21) 내부의 복수 개의 전극 중 최외각에 있는 한 쌍의 원형 전극(22)만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일측은 양전위를 인가하고(양극), 타측은 음전위를 인가(음극)함으로써, 원형 전극(2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전극(23)의 일면은 양전위가 대전(양극)되도록 하고, 타면은 음전위로 대전(음극)되도록 한다. 바이폴라 방식에서 흡착과정 및 탈착과정이 수행될 때 하우징(21) 내부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원형 전극(22)은 각각 반대 전위로 대전된다. 즉, 흡착과정에서 양극으로 작용했던 경우, 탈착과정에서는 음극으로 작용하고, 흡착과정에서 음극으로 작용했던 경우, 탈착과정에서는 양극으로 작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전극(23)은 복수 개일 수 있고, 전원 장치에서 인가하는 전체 전압에 따라서 중간 전극(23)의 숫자를 조절할 수 있다. 즉, CDI 모듈(20)은 각 전극이 산화되지 않도록 1.5V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CDI 모듈(20)에 인가되는 전체 전압에 따라 중간 전극(23)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각 전극이 산화되지 않도록 1.5V 이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바이폴라 방식으로 운영할 경우, 하우징(21) 내부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형 전극(22)에만 전원 장치와 연결하는 전극부를 형성하면 되고, 각 전극에 전압을 걸기 위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전체 설비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전식 탈염전극 모듈은 모노폴라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전극(23) 역시 전원장치와 연결되도록 전극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에 사용되는 CDI 모듈(20)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각 전극 사이의 유로에는 양이온 교환수지(24) 및 음이온 교환수지(25)가 혼합되어 채워질 수 있다.
종래의 CDI 모듈 또는 MCDI 모듈은 염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로를 100㎛ 정도로 좁게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CDI 모듈 또는 MCDI 모듈은 좁은 유로로 인하여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처리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좁은 유로로 인하여 1개의 유로가 막히게 되면 전체 시스템이 정지하게 되는 관계로 대면적의 직렬구조 CDI 모듈을 제조하기 어려워, 대용량 담수화 등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염 제거효율을 유지하면서도 파울링 현상 및 처리량 감소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로를 확대하는 동시에 유로 내에 양이온 교환수지(24) 및 음이온 교환수지(25)를 채워 브릿지(bridge)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유로 내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로가 확대됨에 따라 파울링 현상이 저감되고 처리수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유로 내에 채워진 양이온 교환수지(24) 및 음이온 교환수지(25)가 염 제거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염 제거시에도 염 제거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가인 이온교환수지(약 100만원/톤)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축전식 탈염장치에서 염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던 고가의 이온교환막(약 10만원/m2)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CAPEX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파울링 현상 저감 및 처리수량 증가를 위하여 0.2mm ~ 10mm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의 폭이 0.2mm 미만인 경우 기존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과 같이 파울링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염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 사이의 유로에 채워지는 양이온 교환수지(24)와 음이온 교환수지(25)가 정반대의 농도 구배(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즉, 양이온 교환수지(24)는 음극 쪽에 다수 분포되어 있고, 음이온 교환수지(25)는 양극 쪽에 다수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도 8 참조). 이를 통해, 각 전극에서의 흡착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흡착된 이온을 탈착할 때, 탈착된 이온들이 이온교환수지 및 유속에 의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수지(24) 및 음이온 교환수지(25)는 유로 중앙 부분에 고르게 분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수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설명하는데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수처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방법(S100)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단계(S10);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이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흡착단계(S20);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운영시 흡착된 이온이 탈착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에너지 회수단계(S30)를 구비함으로써 저장된 에너지를 재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의 탈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최대 80%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큰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단계(S1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공지의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단계(S10)에서 전압을 인가할 때, 바이폴라 방식 또는 모노폴라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즉,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내의 최외각 전극에만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고, 각 전극에 각각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착단계(S2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이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단계로서, 공지의 CDI 모듈 흡착원리를 적용한다. 즉, CDI 모듈(20)이 전압을 인가 받아 각 전극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작용하면, 유입수 내의 양이온은 음극으로 흡착되고, 음이온은 양극으로 흡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단계(S3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킹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단계(S20)를 통해 CDI 모듈(20)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음이온 및 양이온이 흡착되고, 충분히 흡착되면, 탈착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흡착된 이온을 탈착하기 위해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준다. 즉, 양극은 음극으로, 음극은 양극으로 바꿔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단계(S30)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커패시터(33)로 전달하는 전달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패시터(33)와 같은 에너지 저장수단과 연결되어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20) 및 커패시터(33) 사이에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컨버터(converter)(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컨버터(converter)(32)를 통해 CDI 모듈(20)의 방전(탈착과정)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커패시터(33)로 전달하여 커패시터(33)에 저장하고, CDI 모듈(20)의 충전(흡착과정)시에 커패시터(33)에 저장된 에너지를 CDI 모듈(20)로 전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회수단계(S30)는 회수된 에너지를 커패시터(33)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지의 다양한 저장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용량의 전기화학식 커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단계(S33) 후에는 저장된 에너지를 CDI 모듈(20)로 전달하여 CDI 모듈(20)의 충전 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단계(S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수처리 장치 10 : 전원공급장치
20 :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21 : 하우징
22 : 원형 전극 23 : 중간 전극
24 : 양이온 교환수지 25 : 음이온 교환수지
30 : 에너지 회수장치 31 : 브레이커
32 : 컨버터 33 : 커패시터
S100 : 수처리 방법 S10 : 전원공급단계
S20 : 흡착단계 S30 : 에너지 회수단계
S31 : 브레이킹 단계 S32 : 전달단계
S33 : 저장단계 S34 : 재사용단계

Claims (15)

  1.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장치;를 포함하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원통형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만 하나의 홀이 형성된 한 쌍의 원형 전극; 및
    한 쌍의 원형 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심부에만 하나의 홀이 형성된 원형의 중간 전극;을 포함하고,
    한 쌍의 원형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중간 전극의 양 면에는 활성탄층이 형성되며,
    인접한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폭은 0.2~10mm이며,
    전극 사이의 유로에 이온교환막은 구비되지 않고,
    인접한 전극 사이의 유로에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지되, 전극 사이의 유로에 채워지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가 정반대의 농도 구배(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지며,
    전원공급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한 쌍의 원형 전극에만 연결되어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회수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커;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컨버터; 및 회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전극은 일면에 양극이 형성되고, 타면에 음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전극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1. 삭제
  12.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단계;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이 유입수 내의 이온을 흡착하는 흡착단계; 및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단계;를 포함하되,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원통형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만 하나의 홀이 형성된 한 쌍의 원형 전극; 및
    한 쌍의 원형 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심부에만 하나의 홀이 형성된 원형의 중간 전극;을 포함하고,
    인접한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폭은 0.2~10mm이며,
    전극 사이의 유로에 이온교환막은 구비되지 않고,
    인접한 전극 사이의 유로에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지되, 전극 사이의 유로에 채워지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가 정반대의 농도 구배(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지며,
    전원공급장치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의 한 쌍의 원형 전극에만 연결되어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회수단계는,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레이킹 단계;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에 흡착된 염들이 탈착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전달단계; 및 회수된 에너지를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00047A 2016-08-05 2016-08-05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99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7A KR101992312B1 (ko) 2016-08-05 2016-08-05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US15/622,789 US11377375B2 (en) 2016-08-05 2017-06-14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EP17176760.1A EP3279152B1 (en) 2016-08-05 2017-06-20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7A KR101992312B1 (ko) 2016-08-05 2016-08-05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05A Division KR102053774B1 (ko) 2019-06-18 2019-06-18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92A KR20180016092A (ko) 2018-02-14
KR101992312B1 true KR101992312B1 (ko) 2019-06-25

Family

ID=6122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47A KR101992312B1 (ko) 2016-08-05 2016-08-05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263B1 (ko) * 2018-04-04 2019-11-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바이폴라 cdi 전극, 바이폴라 cdi 전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536593B1 (ko) * 2021-04-20 2023-05-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기반 분산형 음용수 생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192A (ja) * 1999-08-27 2003-03-0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活性炭電極を用いた水からのイオン除去
KR100521628B1 (ko) * 2003-05-30 2005-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3445B2 (en) * 2009-09-30 2014-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148147A (ko) * 2013-06-21 2014-12-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563188B1 (ko) 2013-12-05 2015-10-27 주식회사 한화건설 다단유로 축전식 탈염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789093B1 (ko) * 2014-12-18 2017-10-20 죽암건설 주식회사 축전탈이온전극의 적층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192A (ja) * 1999-08-27 2003-03-0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活性炭電極を用いた水からのイオン除去
KR100521628B1 (ko) * 2003-05-30 2005-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92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162B1 (en) Single module, flow-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ous water desalination and ion separ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US20080198531A1 (en)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for water treatment
US11377375B2 (en)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KR102053774B1 (ko)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268476B1 (ko) 탈염 성능이 증가한 다중 채널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 장치
KR101978985B1 (ko)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KR101992312B1 (ko)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70119053A (ko) 대전원리를 이용한 cdi장치
KR102040394B1 (ko) 축전식 탈염 장치
KR20120030834A (ko) 전기흡착식 수처리장치
KR101929855B1 (ko) 축전식 탈염장치 및 축전식 탈염 모듈
KR101637539B1 (ko) 교차흐름을 이용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KR101692387B1 (ko) 전기적 단락에 의한 전극재생이 가능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US20130240362A1 (en) Flow-through condenser cell for purifying a fluid
KR102024925B1 (ko)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시스템
KR101394112B1 (ko) 전기 흡착식 수처리 셀, 이를 이용한 전기 흡착식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A3177306A1 (en) Improved chlorine tolerance of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modules
KR101788119B1 (ko) 축전식 탈염장치 및 축전식 탈염 모듈
KR102517536B1 (ko) 탈염 장치
KR102237038B1 (ko) 가정 정수기용 카본 전극 필터 모듈
US20230068559A1 (en) Electrochemical water deionization separators
KR101850787B1 (ko) 축전식 탈염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유입용액 내에 존재하는 이온을 흡착하는 방법
KR20170036442A (ko) 전기 흡착식 수처리 장치용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