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87B1 -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 Google Patents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87B1
KR101649587B1 KR1020150064020A KR20150064020A KR101649587B1 KR 101649587 B1 KR101649587 B1 KR 101649587B1 KR 1020150064020 A KR1020150064020 A KR 1020150064020A KR 20150064020 A KR20150064020 A KR 20150064020A KR 101649587 B1 KR101649587 B1 KR 10164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roller
collet
cut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피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피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피엘티
Priority to KR102015006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인서트 사출물의 표피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1)와;, 상기 몸체(1) 상부에 구성되는 안착부(2)와;, 상기 안착부(2) 일측에 구성되는 컷팅부(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1)는,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11)와 상기 배출구(11)와 연결되면서 몸체(1) 측부로 경사 설치되는 배출통로(12)로 구성하고, 상기 안착부(2)는, 몸체(1) 상부 중심위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 설치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한 다수개의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 상단에 설치되면서 그 중심부에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공(22)을 가지는 안착판(23)과 상기 고정대(21)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부선상으로 다수개의 받침롤러(24)를 가지는 롤러이송대(25)와 롤러이송대(25) 일측단에 연결되어 롤러이송대(25)와 받침롤러(24)를 고정대(21) 내부에서 진출입시키는 이송실린더(26)로 구성하며, 상기 컷팅부(3)는, 칼대(31)와 상기 칼대(31)와 연결되면서 양측부로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32)을 가지는 위치조절대(33)와 상기 위치조절대(33)를 밀대(34)로 연결시켜 슬라이드 시키는 칼대이송실린더(3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량인서트사출물의 재활용 목적으로 실시하는 그 인서트물과 피복물의 박리 작업을 보다 신속,편리하게 도모하여 주는 이점이 있고, 나아가 상기 피복물의 절개시 작업자의 작업효율성과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Injection products incision device}
본 발명은 불량인서트사출물에 있어, 그 재활용을 위한 인서트물(고비철)과 피복물(합성수지)의 박리를 도모하여 주는 불량인서트사출물의 표피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인서트사출물은 그 제작시 인서트물로 피복되는 피복물의 사출불량 또는 색상불량 등에 의한 불량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었고, 또 이러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은 종래 자원낭비와 폐기물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재료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상기 불량인서트사출물에 대한 재활용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내부 인서트물(고비철)로부터 외부 피복물(합성수지)를 박리하여 인서트물은 재사출작업하고 피복물은 파쇄 및 용융하여 피복물의 원료로 재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상기 불량인서트사출물을 재활용함에 있어 불량인서트사출물을 이루는 인서트물과 피복물의 박리 방법에 있다,
즉, 종래에는 불량인서트사출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인서트물로부터 피복물의 박리시, 통상 작업자가 불량인서트사출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컷팅칼로 인서트물을 감싸고 있는 피복물의 일측 표피를 절개 한 후 그 절개한 표피를 작업자가 일측방향으로 잡아 당겨 인서트물로부터 피복물을 박리시키는 수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위와 같은 박리작업시 표피의 절개과정에서 작업자가 수시로 컷팅칼에 손을 다치는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고, 특히 표피의 절개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과 신속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인서트물로부터 피복물을 벗겨내기 위한 적절한 표피 절개량을 일정하게 작업할 수 없어 후 공정인 피복물의 박리에도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안전상의 문제로 불량인서트사출물을 고정 바이스 장치에 고정하여 피복물 일측의 표피를 절개하는 방법이 안출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불량인서트사출물을 고정바이스장치로 탈부착시킬 때, 작업자의 번거로움이 매우 컸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현실상 기피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1996005449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불량인서트사출물의 재활용을 위한 인서트물과 피복물의 박리작업시, 우선적으로 피복물의 일측 표피를 기계적으로 적정량 절개하여 박리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 그리고 신속성을 최대한 도모하여주게 되고, 나아가 절개작업시 대두되었던 안전문제를 예방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발명 되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되는 본 발명의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상부에 구성되는 안착부(2)와;, 컷팅부(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1)는,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11)와 상기 배출구(11)와 연결되면서 몸체(1) 측부로 경사 설치되는 배출통로(12)로 구성하고,
상기 안착부(2)는, 몸체(1) 상부 중심위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 설치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한 다수개의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 상단에 설치되면서 그 중심부에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공(22)을 가지는 안착판(23)과 상기 고정대(21)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부선상으로 다수개의 받침롤러(24)를 가지는 롤러이송대(25)와 롤러이송대(25) 일측단에 연결되어 롤러이송대(25)와 받침롤러(24)를 고정대(21) 내부에서 진출입시키는 이송실린더(26)로 구성하며,
상기 컷팅부(3)는, 칼대(31)와 상기 칼대(31)와 연결되면서 양측부로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32)을 가지는 위치조절대(33)와 상기 위치조절대(33)를 밀대(34)로 연결시켜 슬라이드 시키는 칼대이송실린더(3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인서트물과 피복물의 박리작업에서 선행되는 피복물의 표피 절개작업이 종래에 수작업으로 실시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수작업을 기계적으로 완벽 해결하여 피복물의 박리 작업시 가장 많은 시간과 작업이 요구되었던 표피절개작업의 편리함과 신속성을 제공하고, 나아가 기계적인 자동 절개작업으로 인서트물로부터 피복물의 박리에 가장 적합한 표피의 절개량을 제공하여 피복물의 박리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절개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여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착판의 조립상태예시도,
도 3은 a - a' 부분 단면도를 이용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의 안착 상태도,
도 4는 b - b' 부분 단면도를 이용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의 안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의 표피 절개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으로의 불량인서트사출물 안착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피복물의 표피를 절개한 불량인서트사출물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컷팅부의 부분 확대조립예시도.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은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해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절개장치는 크게 몸체(1)와, 상기 몸체(1) 상부에 구성되는 안착부(2) 그리고 컷팅부(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몸체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안착부는 몸체 상부 중심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컷팅부는 몸체 상부에 구성되면서 안착부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는,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11)와, 상기 배출구(11)와 연결되면서 몸체(1) 측부로 경사 설치되는 배출통로(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배출통로(12)는 일측부가 몸체(1) 상부의 배출구(11)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몸체(1) 측부에 연결되어 하향경사각을 가지게 한다. 단,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통로(12)를 배제하여도 무관하다. 다만 상기 배출통로(12)를 배제할 경우 몸체(1) 내부로 서랍구성(도면 미도시)을 제공하여 몸체(1) 내부로 낙하되는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배출을 편리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는, 몸체(1) 상부 중심위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 설치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한 다수개의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 상단에 설치되면서 그 중심부에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공(22)을 가지는 안착판(23)과, 상기 고정대(21)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부선상으로 다수개의 받침롤러(24)를 가지는 롤러이송대(25)와, 롤러이송대(25) 일측단에 연결되어 롤러이송대(25)와 받침롤러(24)를 고정대(21) 내부에 진출입시키는 이송실린더(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수개의 고정대(21)는 도2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 구성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하고 또 상기 안착판(23)은 고정대(21) 상단에 볼트로 결합구성한다.
또 상기 다수의 받침롤러(24)를 가지는 롤러이송대(25)는 상기 설명한 고정대(21)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면서 상부 받침롤러(24)가 안착판(23)의 하부면과 접촉회전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받침롤러(23)는 통상 중심선상으로 회전축(24')을 가지고 그 회전축(24')의 양측단은 롤러이동대(25) 양측에 축설되어 받침롤러(24)의 회전을 도모한다.
또 상기 이송실린더(26)는 실린더고정대(101)를 통해 몸체(1)상부에 설치되고 동시에 실린더로드(26')를 롤러이송대(25) 일측단에 연결하여 롤러이송대(25)의 이송을 도모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컷팅부(3)는, 칼대(31)와 상기 칼대(31)와 연결되면서 양측부로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32)을 가지는 위치조절대(33)와, 상기 위치조절대(33)를 밀대(34)로 연결시켜 슬라이드 시키는 칼대이송실린더(3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칼대(31)는 위치조절대(33) 하부측에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일체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대(33)는 그 일측을 칼대이송실린더(35)와 연결된 밀대(34)에 볼트 결합시키되, 위치조절대(33) 양측에 형성된 일정길이의 높낮이조절공(32)(장공)을 통해 볼트 결합하여 위치조절대(33)가 밀대(34)로부터 상,하 위치조절되면서 칼대(31)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밀대(34)는 칼대이송실린더(35)가 가지는 실린더로드(35')와 연결구성한다.
또 상기 칼대이송실린더(35)는 실린더고정대(101)에 의해 몸체(1) 상부 일측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상기 실린더고정대(101) 하부에 단속장치(도면 미도시)를 가지는 레일(201)을 설치하여 칼대이송실린더(35)가 몸체(1) 상부에서 위치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표보았고 하기부터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절개장치는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재활용을 위해 그 인서트물(a1)과 피복물(a2)을 박리작업할 때, 인서트물(a1)로부터 피복물(a2)의 박리 즉 벗겨 냄이 용이하도록 도8에서와 같이 피복물(a2)의 일측 표피를 일정량 절개하여 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활용목적의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절개장치는. 절개하고자 하는 불량인서트사출물(a)을 도3에서와 같이 안착부(2)의 안착판(23)에 형성된 안착공(22)내에 안착시켜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피복물(a2) 상부표피(a21)가 안착판(23)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공(22)은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고 또 그 하부로 롤러이송대(25)의 받침롤러(24)가 상기 안착공(22)하부를 막음하고 있어, 안착공(22)으로의 불량인서트사출물(a)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안착판(23)은 그 두께(b)의 구성시, 안착공(22)으로 불량인서트사출물(a)을 안착하였을 때,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피복물(a2) 상부표피(a21)가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 즉, 도7에서와 같이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인서트물(a1)과 그 외주에 피복된 피복물(a2) 중 하부표피(a22)만을 포함하는 정도의 두께로 안착판(23)의 두께(b)를 설정하여, 안착공(22)내에 불량인서트사출물(a)을 안착시켰을 때,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가 안착판(23)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하여 준다.
참고로, 상기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는 인서트물(a1)을 감싸는 피복물(a2)의 일면을 지칭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작용 이해를 돕고자 표기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23)은 위와 같은 조건으로 구성하되,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형상이나 두께의 다양성에 따라 안착공(22)의 형상과 안착판(23)의 두께(b)를 해당 불량인서트사출물(a)에 적합한 조건으로 위와 같이 제작하여 고정대(21)에서 교체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안착판(23)을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교체할 시, 안착판(23) 상에서 슬라이드 시키는 칼대(31)의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데 이는 칼대(31)를 고정하고 있는 위치조절대(33)를 칼대이송실린더(35)의 밀대(34)로부터 높낮이조절공(32)을 통해 미세하게 조절하여 이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불량인서트사출물(a)이 안착판(23)의 안착공(22)에 안착 완료되면, 일측 컷팅부(3)에서 칼대(31)를 이송(도1에 표기된 방향표시를 참고할 때, 우에서 좌방향으로 이송됨)시켜 인서트물(a1)에 피복된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를 절개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컷팅부(3)는 칼대이송실린더(35)와 연결된 위치조절대(33)로 칼대(31)가 일체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칼대(31)가 안착판(23) 상에 위치하고 있어, 칼대이송실린더(35)의 작동에 따라 칼대(31)가 도5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이송작용하면서 안착판(23) 상에 돌출된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를 절개한다.
이때, 칼대(31)에 의한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 절개 정도는 상부표피(a21)가 피복물(a2)에서 이탈될 수 있는 완전 절개 또는 상부표피(a21)의 일부가 도8에서와 같이 피복물(a2)에 일부 부착되어 있는 정도의 량으로 절개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 절개가 완료되면, 상기 칼대(31)는 위 작용 역순으로 원위치하고 동시에 도6과 같이 일측 이송실린더(26)가 작동하면서 롤러이송대(25)와 그 상부의 받침롤러(24)를 고정대(21)에서 배출시킨다.(도1에 표기된 방향표시를 참고할 때, 전,후방향으로 작용함)
그러면, 상기 다수개의 받침롤러(24)가 위 작용에 의해 안착공(22) 내의 불량인서트사출물(a) 받침상태를 해제시켜 불량인서트사출물(a)이 몸체(1)의 배출구(11)를 통해 하부 배출통로(12)로 자연 낙하 이송(배출)시킨다.
이는 작업완료된 불량인서트사출물(a)을 배출통로(12)를 통해 몸체(1) 외부측으로 자연낙하이송시켜 앞서 설명한 다수의 작업이 연속으로 실시가능케 하면서 그 배출의 편리함을 얻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작업된 불량인서트사출물(a)은 피복물(a2)의 상부표피(a21)가 절개된 상태가 되므로 인서트물(a1)에서 피복물(a2)의 박리가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 : 불량인서트사출물 a1 : 인서트물
a2 : 피복물 a21 : 상푸표피
a22 : 하부표피 b : 두께
1 : 몸체 11 : 배출구
12 : 배출통로 2 : 안착부
21 : 고정대 22 : 안착공
23 : 안착판 24 : 받침롤러
24' : 회전축 25 : 롤러이송대
26 : 이송실린더 26' : 실린더로드
3 : 컷팅부 31 : 칼대
32 : 높낮이조절공 33 : 위치조절대
34 : 밀대 35 : 칼대이송실린더
35' : 실린더로드 101 : 실린더고정대
201 : 레일

Claims (1)

  1. 몸체(1)와;, 상기 몸체(1) 상부에 구성되는 안착부(2)와;, 상기 안착부(2) 일측에 구성되는 컷팅부(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1)는,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11)와 상기 배출구(11)와 연결되면서 몸체(1) 측부로 경사 설치되는 배출통로(12)로 구성하고,
    상기 안착부(2)는, 몸체(1) 상부 중심위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 설치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한 다수개의 고정대(21)와 상기 고정대(21) 상단에 설치되면서 그 중심부에 불량인서트사출물(a)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공(22)을 가지는 안착판(23)과 상기 고정대(21)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부선상으로 다수개의 받침롤러(24)를 가지는 롤러이송대(25)와 롤러이송대(25) 일측단에 연결되어 롤러이송대(25)와 받침롤러(24)를 고정대(21) 내부에서 진출입시키는 이송실린더(26)로 구성하며,
    상기 컷팅부(3)는, 칼대(31)와 상기 칼대(31)와 연결되면서 양측부로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32)을 가지는 위치조절대(33)와 상기 위치조절대(33)를 밀대(34)로 연결시켜 슬라이드 시키는 칼대이송실린더(3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KR1020150064020A 2015-05-07 2015-05-07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KR10164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20A KR101649587B1 (ko) 2015-05-07 2015-05-07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20A KR101649587B1 (ko) 2015-05-07 2015-05-07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587B1 true KR101649587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020A KR101649587B1 (ko) 2015-05-07 2015-05-07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600B2 (ko) * 1988-04-11 1993-12-17 Kawasaki Steel Co
KR20090032104A (ko) * 2006-07-21 2009-03-31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막 또는 표피 안에 약화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600B2 (ko) * 1988-04-11 1993-12-17 Kawasaki Steel Co
KR20090032104A (ko) * 2006-07-21 2009-03-31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막 또는 표피 안에 약화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30B1 (ko) 파인애플 오토필러
CN205184873U (zh) 全自动塑料瓶切口机
WO2014010468A1 (ja) ワイヤソー及びそのワイヤソーによるワーク加工方法
CN101623743A (zh) 智能型实心球头铆合机
KR101649587B1 (ko) 불량인서트사출물 표피 절개장치
CN110723490A (zh) 一种用于空气导流罩的外壁柱槽同步加工装置
CN110103271B (zh) 一种卷筒纸自动切纸机
CN114903185A (zh) 一种食品处理设备及方法
CN105382883B (zh) 料头冲切装置
CN113829571A (zh) 一种开关座自动注塑辅助装置
CN205551470U (zh) 活塞环自动切割机
JP4714533B2 (ja) 中空成形装置
CN105562722A (zh) 一种棒形工件数控车床自动上下料装置
KR101782325B1 (ko) 주조 성형품용 절단장치
CN205394947U (zh) 注塑件侧削式去水口装置
KR20150002537U (ko) 판재 절단장치
CN207824991U (zh) 一种全自动毁箔切料机
CN207038909U (zh) 一种剥线成型机
CN213260854U (zh) 一种具有自动切断机构的注塑模具
KR101613475B1 (ko) 권사용 지관의 잔사 제거장치
CN208853716U (zh) 一种自动上下料式车圆车方机床
CN113681661A (zh) 一种竹制工艺品加工用竹片制造台
CN209272632U (zh) 斜口管自动开料机
CN207868599U (zh) 自动裁线机的剥皮刀头结构
KR101953465B1 (ko) 자동차 블로워 성형제품의 스크랩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