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04B1 -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04B1
KR101649504B1 KR1020150002601A KR20150002601A KR101649504B1 KR 101649504 B1 KR101649504 B1 KR 101649504B1 KR 1020150002601 A KR1020150002601 A KR 1020150002601A KR 20150002601 A KR20150002601 A KR 20150002601A KR 101649504 B1 KR101649504 B1 KR 10164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order
prescription
medicine
tr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513A (ko
Inventor
김하덕
이주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5000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방법은,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에 기준하여,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RDERS OF MEDICINES}
본 발명은 병의원 등의 요양기관에서 처방되는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분석하고, 분석된 처방추세에 맞춰 약국/제약사/약품 유통사에서 상기 약품 및 상기 약품의 대체약품에 대한 주문/생산/영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방식에 의하면, 약국에서 처방(판매)되는 약품의 재고량을 모니터링하여, 재고량이 일정 수준이 이하가 되면 약국 단말에 알려 해당 약품을 일정 양만큼 제약사 또는 약품 유통사에 주문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약품의 재고량에 근거해, 해당 약품의 주문 여부 및 주문량을 결정하고 있을 뿐, 해당 약품의 현재 처방되는 추세를 고려하여, 이전보다 많이 혹은 적게 처방되고 있는 약품(예, 환절기 감기약)의 주문량을 늘리거나 줄여 주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약품의 재고량이 부족하면, 해당 약품을 부족분 만큼 자동으로 주문하고 있을 뿐, 해당 약품의 부족분을 고려해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자동으로 조정해 주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따라, 병의원 등의 요양기관에서 처방되는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고려하여, 약국/제약사/약품 유통사에서 상기 약품 및 상기 약품의 대체약품에 대한 주문/생산/영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수집한 처방정보로부터, 약품에 대한 처방횟수를 카운트하고,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고,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해 약국 단말,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 등에 제공 함으로써, 약품 재고 및 주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방법은,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에 기준하여,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약품에 기준하여,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단말로부터 수집한 처방정보로부터, 약품에 대한 처방횟수를 카운트하고,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고,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해 약국 단말,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 등에 제공 함으로써, 약품 재고 및 주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과, 병의원 단말과 약국 단말 및 서버들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약품 및 대체약품 각각의 처방추세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과, 병의원 단말과 약국 단말 및 서버들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110)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병의원 단말(110)은 상기 약품을 처방 시마다, 약품표준코드, 약품성분코드(예, ATC 코드), 약품수 및 병원지역(예, 우편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선정된 기간(예를 들어, '5일') 동안에 상기 약품이 처방되어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는, 상기 기간 동안에 약품이 처방되는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선정된 기간 '12월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16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간 카운트된 횟수 '28회'를 차비교하고(즉, '-12'),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음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감소"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는 상기 약품의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12'를 고려해 상기 약품을 예컨대 '12'만큼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12' 만큼 증가시켜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체약품은 상기 약품과 동일한 약품성분코드를 공유하는 약품일 수 있다.
또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가, '양수(+)'일 경우,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가는 상기 약품의 처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진행 중인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6'를 고려해 상기 약품을 예컨대 '6'만큼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또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즉, '0'이면),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되어 상기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2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가, 상기 약품과 연관되어 상기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약품에 대해 추세확정을 결정하여,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예측한 기간 '6일~10일까지의 5일'의 직전 '5일' 동안,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처방정보 수집 횟수(즉, 약품과 대체약품의 처방량)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경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예측한 처방추세 '감소'를 "감소확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증가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정해진 주문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추세확정의 결정과 무관하게,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도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약국 단말(120)에 안내하고, 상기 약품 또는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된 제약사 서버(130) 및 약품 유통사 서버(140)로,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전송하여, 약국, 제약사 및 약품 유통사에서 약품 재고 및 주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약국 단말(120)은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에 기초하여, 약품 및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 단말(120)은 A약품의 평균 주문량이 '100'이라고 가정하면, A약품의 처방추세가 '감소'이고, A약품과 약품성분코드가 동일한 B약품(대체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일 경우, A약품의 주문량을 '50'으로 줄이고, B약품을 신규로 '50' 만큼 주문할 수 있다. 또는, 약국 단말(120)은 A약품의 평균 주문량이 '100' 이라고 가정하면, A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일 경우 평균 주문량을 '150'으로 조정하여 주문할 수 있다.
제약사 서버(130)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를, 약품 및 대체약품의 생산 계획 수립에 반영하여 생산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약품 및 대체약품의 영업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
약품 유통사 서버(140)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에 따라, 약국 단말(120) 및 제약사 서버(130)에 대해 주문 처리 및 주문 제안서를 작성하여 영업 및 유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유통사 서버(140)는 A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 또는 '증가확정'일 경우 A약품 확보를 판단하고, 약품성분 별 분석으로 A약품을 생산 가능한 제약사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수집부(210), 카운트부(220), 예측부(230) 및 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판단부(25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집부(210)는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제1 처방정보는 병의원 단말에 의해 상기 약품의 처방 시마다 생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처방정보는 상기 약품에 대한 대체약품의 처방 시마다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처방정보는 약품표준코드, 약품성분코드, 약품수 및 병원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은 동일한 약품성분코드(예, ATC 코드)를 공유할 수 있으며, 병원지역은 예를 들어, 각 처방정보 내 우편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카운트부(220)는 상기 약품에 기준하여,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는, 상기 기간 동안에 약품이 처방되는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트부(220)는 선정된 기간 '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상기 약품을 처방하는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 '16회'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간 동안에 약품이 처방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예측부(230)는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한다.
여기서, 처방추세는 특정 약품에 대해 시간(일/월)에 따른 처방횟수의 양태, 즉 기울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측부(230)는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기울기)를 "증가", "감소" 및 "유지" 중 적어도 하나로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예측부(230)는 상기 카운트된 횟수에서,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를 차비교하고,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면, 상기 부호에 따라, 상기 처방추세를 감소 또는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예측부(230)는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으면, 상기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예측부(230)는 선정된 기간 '12월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16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1일~5일)간 카운트된 횟수 '28회'를 차비교하고(즉, '-12'),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음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감소"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는 상기 약품의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도 3의 (ⅱ)을 참조하면, 예측부(230)는 선정된 기간 '12월11일~15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22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6일~10일)간 카운트된 횟수 '16회'를 차비교하고(즉, '+6'),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양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가는 상기 약품의 처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진행 중인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도 3의 (ⅲ)을 참조하면, 예측부(230)는 선정된 기간 '12월16일~2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22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11일~15일)간 카운트된 횟수 '22회'를 차비교하고(즉, '0'),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한다. 이때, 처리부(240)는 상기 약품(예, '타이레놀')과 약품성분코드(예, '0101')를 공유하는 약품을 상기 대체약품(예, '부루펜')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상기 처방추세가 감소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만큼을 증가시켜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처리부(240)는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을 대체약품으로 대체 함으로써 상기 약품과 대체약품의 전체 주문량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처리부(240)는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12'를 고려해 상기 약품 '타이레놀'을 예컨대 '12'만큼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12' 만큼 증가시켜 대체약품 '부루펜'의 주문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처리부(240)는 상기 처방추세가 증가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ⅱ)을 참조하면, 처리부(240)는 상기 처방추세가 증가와 관련되는 경우, 대체약품 '부루펜'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6'를 고려해 상기 약품 '타이레놀'을 '6'만큼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에 대한 주문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단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50)는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되어 상기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2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가, 상기 약품과 연관되어 상기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처리부(240)는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약품에 대해 추세확정을 결정하여,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표(300)를 참조하면, 판단부(250)는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예측한 선정된 기간이 '12월6일~10일까지의 5일'일 경우, 상기 선정된 기간의 직전 이전기간 '12월1일~5일' 동안, 상기 약품 '타이레놀'과 상기 대체약품 '부루펜'의 처방정보 수집 횟수(즉, 약품과 대체약품의 처방량)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이전기간 '12월1일~5일' 동안의 상기 약품 '타이레놀'과 상기 대체약품 '부루펜'의 처방정보 수집 횟수가 '28회'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예측한 처방추세 '감소'를 "감소확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증가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약품에 대해 "감소확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고, 상기 대체약품을 조정된 주문량만큼 늘려 주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처리부(240)는 상기 약품에 대해 "증가확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약품을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부(240)는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처방횟수가 동일해지면(예를 들어, 도 4의 P지점 참조),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확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약품이나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240)는 정해진 주문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추세확정의 결정과 무관하게,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도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약국 단말에 안내하고, 상기 약품 또는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된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로,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약국 단말은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에 기초하여, 약품 및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 단말은 A약품의 평균 주문량이 '100'이라고 가정하면, A약품의 처방추세가 '감소'이고, A약품과 약품성분코드가 동일한 B약품(대체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일 경우, A약품의 주문량을 '50'으로 줄이고, B약품을 신규로 '50' 만큼 주문할 수 있다.
또는, 약국 단말은 A약품의 평균 주문량이 '100' 이라고 가정하면, A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일 경우 평균 주문량을 '150'으로 조정하여 주문할 수 있다.
제약사 서버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를, 약품 및 대체약품의 생산 계획 수립에 반영하여 생산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약품 및 대체약품의 영업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
약품 유통사 서버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정된 주문량과 약품의 처방추세에 따라, 약국 단말 및 제약사 서버에 대해 주문 처리 및 주문 제안서를 작성하여 영업 및 유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유통사 서버는 A약품의 처방추세가 '증가' 또는 '증가확정'일 경우 A약품 확보를 판단하고, 약품성분 별 분석으로 A약품을 생산 가능한 제약사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단말로부터 수집한 처방정보로부터, 약품에 대한 처방횟수를 카운트하고,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고,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해 약국 단말,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 등에 제공 함으로써, 약품 재고 및 주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동일한 약품성분코드 '0101'를 공유하는 약품 '타이레놀'과 상기 약품의 대체약품 '부루펜'의 '12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일별 처방횟수를 도시한 표(300)가 도시되어 있다.
병의원 단말에서는 약품 '타이레놀'의 처방 시마다 제1 처방정보를 생성하고, 대체약품 '부루펜'의 처방 시마다 제2 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2 처방정보가 각각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표(300)와 같이 일별 처방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선정된 기간 '12월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16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1일~5일)간 카운트된 횟수 '28회'를 차비교하고(즉, '-12'),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음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감소"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12'를 고려해 상기 약품 '타이레놀'을 예컨대 '12'만큼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12' 만큼 증가시켜 대체약품 '부루펜'의 주문량을 조정하여, 상기 약품과 대체약품의 전체 주문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의 (ⅱ)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선정된 기간 '12월11일~15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22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6일~10일)간 카운트된 횟수 '16회'를 차비교하고(즉, '+6'),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양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대체약품 '부루펜'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6'를 고려해 상기 약품 '타이레놀'을 '6'만큼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도 3의 (ⅲ)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선정된 기간 '12월16일~2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22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11일~15일)간 카운트된 횟수 '22회'를 차비교하고(즉, '0'),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약품 및 대체약품 각각의 처방추세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는 약품 '타이레놀'(이하, A약품)의 처방추세 그래프(401)와, 대체약품 '부루펜'(이하, B약품)의 처방추세 그래프(402)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A약품과 B약품은 동일한 약품성분코드를 공유할 수 있다.
A약품의 처방추세 그래프(401)는 시간 경과에 따라 처방횟수가 감소하는 처방추세를 나타내고, B약품의 처방추세 그래프(402)는 시간 경과에 따라 처방횟수가 증가하는 처방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A약품의 처방횟수와 B약품의 처방횟수가 동일해지는 P지점에서, A약품의 처방추세 '감소'를 '감소확정'으로 판단하고, B약품의 처방추세 '증가'를 '증가확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처방추세를 확정 함에 따라 A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고, B약품을 A약품의 감소분을 고려해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여기서, A약품의 처방추세는 처방추세 그래프(401)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B약품의 처방추세는 처방추세 그래프(402)의 기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기울기를, 단위 시간(예컨대, 1일) 동안의, 상기 선정된 기간 동안 처방정보의 수집횟수에서, 이전기간 동안의 처방정보의 수집횟수를 뺀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즉, '기울기'={'선정된 기간 동안 처방정보의 수집횟수'-'이전기간 동안의 처방정보의 수집횟수'}÷'기간').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주문 관리 방법은 상술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약품을 처방하는 병의원 단말로부터 제1 처방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처방정보와 후술하는 대체약품에 대한 제2 처방정보는 약품표준코드, 약품성분코드, 약품수 및 병원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은 동일한 약품성분코드(예, ATC 코드)를 공유할 수 있으며, 병원지역은 예를 들어, 각 처방정보 내 우편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에 기준하여,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선정된 기간 '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상기 약품을 처방하는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 '16회'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간 동안에 약품이 처방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한다.
여기서, 처방추세는 특정 약품에 대해 시간(일/월)에 따른 처방횟수의 양태, 즉 기울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기울기)를 "증가", "감소" 및 "유지" 중 적어도 하나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선정된 기간 '12월6일~10일까지의 5일' 동안 카운트된 횟수 '16회'에서, 상기 기간의 직전 '5일'(즉, 12월1일~5일)간 카운트된 횟수 '28회'를 차비교하고(즉, '-12'), 상기 차비교에 의해 도출된 부호 '음수(-)'에 따라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감소"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는 상기 약품의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540)에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ⅰ)을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차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 '12'를 고려해 상기 약품 '타이레놀'을 예컨대 '12'만큼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12' 만큼 증가시켜 대체약품 '부루펜'의 주문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정해진 주문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추세확정의 결정과 무관하게,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한다.
실시예에 따라,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처방횟수가 동일해지는 시점을,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에 대한 주문 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처방횟수가 동일해지면,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확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약품이나 대체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표(300)를 참조하면,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의 처방추세를 예측한 선정된 기간이 '12월6일~10일까지의 5일'인 경우, 상기 선정된 기간의 직전 이전기간 '12월1일~5일' 동안, 상기 약품 '타이레놀'과 상기 대체약품 '부루펜'의 처방정보 수집 횟수(즉, 약품과 대체약품의 처방량)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이전기간 '12월1일~5일' 동안의 상기 약품 '타이레놀'과 상기 대체약품 '부루펜'의 처방정보 수집 횟수가 '28회'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예를 들어, 도 4의 P지점 참조), 상기 예측한 처방추세 '감소'를 "감소확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증가확정"은 특정 약품에 대해서 처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정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에 대해 "감소확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고, 상기 대체약품을 조정된 주문량만큼 늘려 주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약품에 대해 "증가확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약품을 증가하여 주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단말로부터 수집한 처방정보로부터, 약품에 대한 처방횟수를 카운트하고, 이전기간 동안에 카운트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고,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해 약국 단말,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 등에 제공 함으로써, 약품 재고 및 주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210: 수집부 220: 카운트부
230: 예측부 240: 처리부
250: 판단부

Claims (16)

  1.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병의원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되는 제1 처방정보와, 대체약품과 연관되어 제2 처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전체 주문량이 정해진 수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2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가,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약품에 대해 추세확정을 결정하여,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추세가 감소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만큼을 증가시켜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추세가 증가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는 단계; 및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증가하여 주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에서,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를 차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면, 상기 부호에 따라, 상기 처방추세를 감소 또는 증가로 예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으면, 상기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약품과 약품성분코드를 공유하는 약품을 상기 대체약품으로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정해진 주문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추세확정의 결정과 무관하게,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약국 단말에 안내하고, 상기 약품 또는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된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로,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품 주문 관리 방법.
  9. 병의원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되는 제1 처방정보와, 대체약품과 연관되어 제2 처방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선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를,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와 비교하여, 상기 약품에 대한 처방추세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된 처방추세에 따라,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 시, 상기 약품과 상기 대체약품의 전체 주문량이 정해진 수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처리부; 및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2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가,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약품에 대해 추세확정을 결정하여,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추세가 감소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감소하여 주문하되, 상기 약품의 주문 감소분 만큼을 증가시켜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을 조정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추세가 증가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체약품의 주문량 조정을 생략하고,
    상기 비교에 따른 횟수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을 증가하여 주문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되는 횟수에서, 상기 이전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처방정보가 수집된 횟수를 차비교하고,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면, 상기 부호에 따라, 상기 처방추세를 감소 또는 증가로 예측하거나, 또는
    상기 차비교에 의해 부호가 도출되지 않으면, 상기 처방추세를 유지로 예측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약품과 약품성분코드를 공유하는 약품을 상기 대체약품으로 지정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정해진 주문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세확정의 결정과 무관하게, 상기 조정된 주문량으로 상기 대체약품을 주문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약국 단말에 안내하고, 상기 약품 또는 상기 대체약품과 연관된 제약사 서버 및 약품 유통사 서버로, 상기 조정된 주문량을 전송하는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KR1020150002601A 2015-01-08 2015-01-08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KR10164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601A KR101649504B1 (ko) 2015-01-08 2015-01-08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601A KR101649504B1 (ko) 2015-01-08 2015-01-08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513A KR20160085513A (ko) 2016-07-18
KR101649504B1 true KR101649504B1 (ko) 2016-08-19

Family

ID=5667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601A KR101649504B1 (ko) 2015-01-08 2015-01-08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125A (zh) * 2019-01-24 2019-03-26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医疗大数据的药品库存分析方法、存储介质及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77B1 (ko) * 2017-12-21 2018-08-07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장치 및 그의 자동 발주 방법
KR101886172B1 (ko) * 2017-12-21 2018-09-06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260104B (zh) * 2018-11-30 2022-07-29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订单信息动态调整方法和装置
KR102481248B1 (ko) * 2020-02-21 2022-12-26 (주)미소정보기술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백신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477788B1 (ko) * 2020-12-07 2022-12-15 서정욱 의료인을 위한 통합 자원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565425B1 (ko) * 2023-03-30 2023-08-09 신재은 의약품 온라인 유통 플랫폼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19A (ja) * 2000-11-15 2002-05-24 Kuraya Sanseido Inc 薬品卸業務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17B1 (ko) * 2000-04-06 2003-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 조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90038713A (ko) *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수요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252959B1 (ko) * 2011-02-22 2013-04-15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19A (ja) * 2000-11-15 2002-05-24 Kuraya Sanseido Inc 薬品卸業務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125A (zh) * 2019-01-24 2019-03-26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医疗大数据的药品库存分析方法、存储介质及设备
CN109524125B (zh) * 2019-01-24 2021-03-02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医疗大数据的药品库存分析方法、存储介质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513A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504B1 (ko)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US11080367B2 (en) System-wide probabilistic alerting and activation
Wachtel et al. Tactical increases in operating room block time for capacity planning should not be based on utilization
AU20232198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specific dosing
US8463619B2 (en) Integrated real-time and static location tracking
Dexter et al. Increased mean time from end of surgery to operating room exit in a historical cohort of cases with prolonged time to extubation
US20140278466A1 (en) Pharmacy workflow
KR101774327B1 (ko) 의약품 유통 회사의 약품 주문 관리 방법
JPWO2018042950A1 (ja) 発注数決定システム、発注数決定方法および発注数決定プログラム
CN104182824A (zh) 一种识别医保报销违规行为的规则校验系统及校验方法
Parker et al. An algorithm to identify medication nonpersistence using electronic pharmacy databases
US2021037541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lternatives for preexisting prescribed medications
KR101774329B1 (ko) 의약품 유통 회사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Miners Revisiting the cost‐effectiveness of primary prophylaxis with clotting factor for the treatment of severe haemophilia A
Klepser et al. Trends in community pharmacy counts and closu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Medicare part D
US70891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n inventory management
US8670864B2 (en) Dynamic refill level for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Takeda et al. TITE‐gBOIN: Time‐to‐event Bayesian optimal interval design to accelerate dose‐finding accounting for toxicity grades
Bonnabry et al. Return on investment: a practical calculation tool to convince your institution
CN110037490A (zh) 一种基于处方的药品管理系统
JP2018097557A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医薬品在庫管理装置、医薬品在庫管理方法、プログラム
Cashman et al. Integrated electronic health record facilitates a safer and more efficient rural outreach haematology service
US202100501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prediction in opioid prescriptions and pain management treatment
CN112652374B (zh) 一种药品库的库存基数调整系统和方法
Zemplenyi et al. Using Real-World Data to Inform Value-Based Contracts for Cell and Gene Therapies in Medic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