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31B1 -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31B1
KR101649331B1 KR1020150109139A KR20150109139A KR101649331B1 KR 101649331 B1 KR101649331 B1 KR 101649331B1 KR 1020150109139 A KR1020150109139 A KR 1020150109139A KR 20150109139 A KR20150109139 A KR 20150109139A KR 101649331 B1 KR101649331 B1 KR 10164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terminal
contract
importer
financi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조웅식
Original Assignee
삼정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정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무역거래 중개에 있어서 금융기관이 무역거래 당사자 간에 합의한 거래대금의 지급조건이 만족하는지를 직접 판단하고 만족하면 금융기관이 미리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및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역거래 중개방법은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 간에 무역거래를 위한 전자계약서를 등록하고, 수입업체로부터 무역거래를 위한 거래대금을 금융기관에 예치금으로 입금하도록 하고, 물품운송이 시작되면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에 대한 전자문서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각각의 해당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전자계약서에 설정된 거래대금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는 경우에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거래대금의 지급시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도 금융기관에서 기설정된 거래대금 강제지급 조건이 만족되면 강제적으로 지급하도록 하므로 계약상의 무역거래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Trade mediation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forced transfer of deposit by financial institution}
본 발명은 무역거래 중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융기관이 무역거래 당사자 간에 합의한 거래대금의 지급조건이 만족하는지를 직접 판단하고 만족하면 금융기관이 미리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망이 확대되고 일반화되면서 오프라인에서의 상거래가 온라인에서의 전자상거래로 전환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자상거래가 국제적인 무역거래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무역거래에서는 거래대금을 미리 지급하여 물품을 받거나 물품을 먼저 보내주고 나서 거래대금을 결제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상대편이 상거래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된다. 예컨대, 거래대금을 이미 지불하였으나 물품을 받지 못하는 경우 또는 물품은 보냈으나 거래대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자상거래를 안정적으로 중개하기 위해 에스크로(escrow)와 같은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중개시스템은 수입업체에게 거래대금을 금융기관에 예치금(advanced deposit)으로 입금하도록 하고 수출업체는 수입업체의 예치금 납입사실을 확인한 후 물품을 운송하면 중개시스템은 물품의 운송에 동반되는 운송서류를 수입업체에게 전송하고 물품의 배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에게 송금하도록 금융기관에 요청하게 된다. 만약, 수입업체가 물품을 받지 못했거나 반품할 경우에는 중개시스템에 이를 알려 거래대금의 회수를 요청하면 중개시스템은 수출업체의 동의 하에 금융기관으로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에게 반환하도록 요청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에서는 물품에 이상이 있는 등의 이유로 수입업체가 예치된 거래대금을 반환받기 위해서는 수출업체의 동의를 받아야 하므로 수출업체가 여러 이유로 동의를 하지 않으면 수입업체는 예치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된다. 특히, 국제무역거래에서는 통상적으로 수입업체와 수출업체 간 협약서(joint instruction)를 작성함으로써 당사자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은행이 예치금을 수출업체에게 지불 또는 수입업체에게 반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협약서에 의하면 수출업체가 당사자 간에 협의된 물품을 배송하더라도 수입업체의 동의가 없으면 수출업체는 은행에 예치된 거래대금을 받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에서는 수입업체와 수출업체 양 당사자 간에 계약이 이루어지고 무역거래 중개업체는 상기 두 당사자 간의 무역거래를 위한 예금만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즉, 무역거래 중개업체나 중개시스템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물품의 수출 및 수입을 처리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중개업체나 중개시스템은 당사자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치된 거래대금의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의 배송 및 거래대금의 지급과 관련한 문제점은 무역거래의 당사자, 중개자 등에 상당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국제무역거래에서는 시간적 및 공간적 요인으로 인하여 물품의 검수 및 운송 등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어 전자상거래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거래의 안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4-0087766호 공개특허 제2002-0035244호 공개특허 제2002-0027423호 등록특허 제0837368호
본 발명은 금융기관이 무역거래 당사자 간에 합의한 예치금지급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족하면 금융기관에 예치된 예치금의 강제지급(거래대금의 지불 또는 반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출업체와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하고 수입업체와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 후에 금융기관서버에 거래대금으로 예치금을 입금하도록 하여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무역거래를 수행하여 중개하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은,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간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에 있어서,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단말,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의 해당 고객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고객정보 등록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에 의해 선택된 계약에 따른 기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서 상기 계약에 따른 무역거래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무역거래의 중개를 위한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하는 계약서 작성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고객등록정보, 거래등록정보 및 전자계약서를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할 계좌의 개설을 요청하는 계좌개설 요청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개설된 계좌의 정보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계좌개설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계좌정보를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전송하여 거래대금의 입금을 요청하는 입금요청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거래대금의 입금을 통보하고 물품의 운송을 요청하는 운송요청단계; 물품운송이 시작되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의 전자문서를 등록받아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는 전자문서 등록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족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는 거래대금 지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상기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업체의 명의로 개설하고,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상기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수출업체와 물품의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물품매매계약서를 상기 수출업체단말과 작성하고,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출업체를 대신하여 수입업체와 수입의 대행을 처리하고 B/L양수도를 수행하기 위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상기 수입업체단말과 작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물품 중 거래를 원하는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물품의 무역거래 요청을 수출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구매요청된 물품의 무역거래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무역거래의 요청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지급은 상기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또는 상기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 중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상기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요청 수신여부를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지 않으면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에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고,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으면 기설정된 기간만큼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재설정한 이후에,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설정된 예정일 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수출업체단말 또는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의 재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에서 상기 물품의 검수 및 운송에 관련된 각각 해당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은, 수출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수입업체와의 무역거래 계약을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하는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수출업체와의 무역거래 계약을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하는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수출업체에서 상기 수입업체로 배송하는 물품을 기설정된 검수절차에 따라 검수하고 그 검수결과를 전자문서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검수업체단말; 운송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물품의 운송에 따른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운송업체단말; 상기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각각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처리하고, 상기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되, 상기 수출업체단말과 수입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에 의해 선택된 계약에 따른 기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서 상기 계약에 따른 무역거래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무역거래의 중개를 위한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하고,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물품 및 거래대금의 처리를 통해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무역거래 중개장치; 및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수입업체로부터 거래대금이 입금되고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 따른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는 금융기관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상기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업체의 명의로 개설하고,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상기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수출업체와 물품의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물품매매계약서를 상기 수출업체단말과 작성하고,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출업체를 대신하여 수입업체와 수입의 대행을 처리하고 B/L양수도를 수행하기 위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상기 수입업체단말과 작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거래정보에 따라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을 표시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물품 중 거래를 원하는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가 요청되면 상기 물품의 무역거래 요청을 수출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구매 요청을 표시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구매요청된 물품의 무역거래가 요청되면 상기 무역거래의 요청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지급은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지급은 상기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또는 상기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 중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족하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를 통해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전송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지 않으면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에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고,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으면 기설정된 기간만큼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재설정한 후, 상기 재설정된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수신하면, 상기 수출업체단말 또는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의 재발행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에서 상기 물품의 검수 및 운송에 관련된 각각 해당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해당 전자문서를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이 재설정되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설정된 예정일 내에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 형태로 은행 등 금융기관에 미리 입금한 상태에서 금융기관이 당사자 간에 합의된 거래대금 지급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족하여 금융기관이 예치금을 강제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출업체는 안전하게 거래대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출업체가 물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물품 배송을 고의로 지연하는 경우에 금융기관이 예치금을 수입업체에게 강제반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입업체가 안전하게 거래대금을 반환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기관이 예치금의 강제지급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직접 판단하여 강제지급하기 때문에 수입업체 또는 수출업체의 동의가 없더라도 거래대금을 안전하게 지급 또는 반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역거래 중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서버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무역거래를 위한 전자계약서 등록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이하, 중개시스템)(100)은 수출업체단말(110), 수입업체단말(12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및 금융기관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170)을 통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은 각각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가 보유한 단말이다. 이러한 두 단말(110,120)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으로의 접속이 가능하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위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 각각 고객정보를 등록하고 로그인을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통해 무역거래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수출업체단말(110)은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와 무역거래를 위한 물품매매계약의 체결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수입업체단말(120)은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와 무역거래를 위한 수입대행계약 및 B/L양수도계약의 체결을 위한 절차를 각각 수행하도록 한다.
검수업체단말(130)은 수출업체가 배송할 물품을 검수하는 검수업체가 보유한 단말이다. 검수업체는 수입업체가 지정할 수도 있고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가 서로 협의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검수업체는 수출업체의 요청에 따라 수입업체에게 배송할 물품을 기설정된 검수절차에 따라 검수하고 검수업체단말(130)을 통해 그 검수결과를 전자문서의 형태로 생성하여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검수는 예컨대 전수검사 또는 표본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검수결과에 대한 전자문서는 예컨대, 검수확인증(Certification of Inspection) 문서로 제공될 수 있다.
운송업체단말(140)은 수출업체가 배송할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업체가 보유한 단말이다. 운송업체도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가 협의하여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업체는 수출업체의 요청에 따라 물품의 운송을 담당한다. 특히, 운송업체는 물품을 운송함에 따라 운송할 물품의 선적을 인증하고 해당 물품의 인도청구권 등을 기재한 전자문서를 운송업체단말(140)을 이용하여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운송관련 전자문서로는 예컨대 선하증권(B/L:Bill of Landing) 또는 FCR(Forward Cargo Receip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업체가 보유한 장치로서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에 무역거래를 중개한다. 이러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와 각각 무역거래 중개계약을 맺고 그 계약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중개하며 금융기관서버(160)와의 통신을 통해 거래대금의 지급에 대하여 처리를 대행한다. 이를 위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계약의 종류에 따라 미리 등록된 유형별 전자계약서를 각각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로 온라인으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가 각각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제공된 온라인 전자계약서에 관련된 고객정보 및 각종 거래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저장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전자문서로 기저장되어 있는 물품매매계약서를 수출업체단말(110)로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출업체와의 물품매매계약의 체결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전자문서로 기저장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수입업체단말(120)로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입업체와의 수입대행계약 및 B/L양수도계약 체결의 절차를 각각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물품매매계약서는 수출업체단말(120)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간에 이루어지는 전자계약서로서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출업체로부터 물품을 매매하기 위한 계약서이고, 수입대행계약서는 수입업체단말(110)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간에 이루어지는 전자계약서로서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수출업체로부터 수입을 대행하기 위한 계약서이다. 또한, B/L양수도계약서는 수입업체단말(120)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간에 이루어지는 전자계약서로서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해서 운송업체로부터 선하증권(B/L)을 수령하기 위한 계약서이다. 이러한 수입대행계약서는 외국환 거래법에서 규정하는 제3자 지급예외를 적용하기 위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의 당사자 간이 아니라 제3자인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수입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계약서이고, 물품매매계약서는 대외무역법의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직접 수출업체와의 물품을 매매하는 형태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계약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3가지의 전자계약서를 반드시 등록하여야 하며, 이들 전자계약서의 등록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역거래의 중개를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외환거래법과 대외무역법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통한 무역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로부터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 합의된 거래대금의 지급조건(즉, 수출업체로의 지불조건 및 수입업체로의 반환조건)을 포함하는 전자계약서를 수신받아 저장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러한 전자계약서에는 서로 합의된 거래대금의 지급(지불 및 반환)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금융기관이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자의 각 동의가 없더라도 금융기관에 미리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에게 강제지불하거나 또는 수입업체에게 강제반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검수업체단말(130) 및 운송업체단말(140)로부터 각각 물품에 대한 검수결과, B/L문서 등을 온라인 전자문서로 수신받아 저장하고, 이를 통신망(170)을 통해 금융기관서버(160)로 온라인으로 전송함으로써 금융기관에서 거래대금의 지급조건을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금융기관에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에게 지불하거나 또는 수입업체에게 반환하는 경우 그 지급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금융기관서버(160)는 은행과 같은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이 운영하는 서버로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와의 통신을 통해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고 거래대금의 입금이 확인하며, 상기와 같이 거래당사자 간에 미리 합의된 거래대금의 지급조건(지불조건 및 반환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며 만족하는 경우 예치금으로 거래대금을 강제지불 또는 강제반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예치된 거래대금에 대한 강제집행 결과는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예치금으로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는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업체의 명의로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가 아닌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제3자(중개업체)의 계좌를 이용함으로써 분쟁이 발행할 경우 중개업체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거래대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중개업체의 명의로 계좌를 개설한 경우 중개업체가 거래대금의 유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서버(160)는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인출권 획득을 위한 전자문서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두 전자문서는 매우 중요한 문서로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금융기관서버(160)와의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무역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의 전자문서와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의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의 전자문서는 중개업체 명의의 계좌에 입금된 거래대금에 대하여 예금반환청구권을 포기한다는 문서이며,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은 금융기관이 중개업체 명의의 계좌에 입금된 거래대금을 인출하여 지급하는 경우에 중개업체의 통장 및 인감 없이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무통장/무인감 방식으로도 거래대금을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로 강제지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개시스템(10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과 각각 무역거래 중개를 위한 전자계약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계약을 체결한다. 이러한 전자계약서는 물품매매계약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단말(110)로 전자계약서로서 온라인 물품매매계약서를 제공하여 물품매매계약을 체결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또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입업체단말(120)로 전자계약서로서 온라인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제공하여 수입대행계약 및 B/L양수도계약을 체결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전자계약서의 작성으로 온라인 계약이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수입업체에게 금융기관에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하도록 요청하고, 거래대금이 입금되면 수출업체단말(110)로 이를 통보한다. 또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로 물품운송을 요청하고 이러한 물품운송에 필요한 각종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한다.
이에, 금융기관서버(160)에서는 이러한 각종 전자문서를 체크하여 전자계약서에 명시된 대금거래의 강제지급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도 미리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을 처리한다. 이러한 강제지급에는 수출업자에게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또는 수입업체에게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포함한다. 강제지불은 금융기관서버(160)에서 수신된 각종 전자문서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 물품운송에 따른 대가로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송금하는 것을 의미하고, 강제반환은 금융기관서버(160)에서 수신된 각종 전자문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무역거래가 원만히 진행되지 못하는 것이므로 수입업체의 요청에 따라 수출업체의 동의 없이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송금(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문서의 이상여부는 예컨대 검수업체단말(13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 업로드한 검수결과에 대한 전자문서, 운송업체단말(14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 업로드한 운송서류에 대한 전자문서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따라서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는 전자계약서에 어떠한 조건일 때 금융기관에서 상대방의 동의 없이도 강제지불 및 강제반환이 이루어진다는 계약을 미리 작성해야 한다. 여기서, 금융기관서버(160)에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무역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방식의 인출권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금융기관서버(160)가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수신된 각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 중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만족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70)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전송한다. 그러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70)는 이를 다시 수입업체단말(120)로 전달한다. 이때, 수입업체단말(120)은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물품의 검수 및 운송 등에 관련된 절차나 업무에 문제 발생시 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출업체단말(110), 검수업체단말(130) 또는 운송업체단말(140)로 추가적인 조치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검수업체 또는 운송업체는 각자 자신의 업무를 재체크 및 추가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각각 검수업체단말(130) 또는 운송업체단말(140)을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수입업체단말(120)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예치된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이러한 강제발한 예정일의 연기를 금융기관서버(160)로 전달한다. 금융기관서버(160)는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요청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기간만큼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예정일을 재설정한 후, 이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통해 수입업체단말(120)로 이를 전달하도록 한다. 만약, 금융기관서버(160)가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지 않으면 강제반환 예정일에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한다. 또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이 재설정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검수업체단말(130) 및 운송업체단말(140)로부터 각각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이를 금융기관서버(160)로 전달하고, 금융기관서버(160)는 재설정된 예정일 내에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판단결과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금융기관서버(160)에서는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면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한다.
또한, 수입업체단말(120)에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수신하면, 수출업체단말(110)이나 수입업체단말(120)이 검수업체단말(130) 및 운송업체단말(140)로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의 재발행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30,140)은 물품의 검수 및 운송에 관련된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하고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해당 전자문서를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역거래 중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웹서버(151), 고객정보서버(152), 거래정보서버(153), 중개관리서버(154) 및 데이터베이스(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서버(151)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수출업체단말(110), 수입업체단말(12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 금융기관서버(160) 등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170)을 통해 웹서버(151)에 접속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정보서버(152)는 상기한 수출업체단말(110), 수입업체단말(12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 금융기관서버(160)로부터 입력되는 고객정보를 관리한다. 이러한 고객정보는 각 해당 업체의 회원정보를 포함한다. 고객정보서버(152)는 각 해당 업체로부터 입력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처리하고 각 단말(110~140) 및 금융기관서버(160)를 통해 로그인하면 일정한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을 수행한다. 이는 각각의 해당 단말(110~140)과 금융기관서버(16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와의 통신을 통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거래정보서버(153)는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 무역거래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 계약의 종류에 따라 미리 등록된 유형별 전자계약서를 수출업체단말(110)과 수입업체단말(120)로 각각 제공함으로써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가 계약과 관련된 정보들을 입력 및 선택하도록 하여 전자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계약서가 작성완료되면 이를 저장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이러한 전자계약서에는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가 서로 합의한 거래대금 강제지급 조건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금융기관이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적으로 지급(수출업체로 지불 및 수입업체로 반환)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금융기관에서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면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도 금융기관이 독립적으로 강제 지급(지불 또는 반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거래정보서버(153)는 전자계약서별로 거래코드를 설정한다. 이러한 거래코드는 무역거래에 따른 각종 절차가 진행되는 도중에 해당 무역거래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수출업체단말(110), 수입업체단말(12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 금융기관서버(160)에서 해당 무역거래나 전자계약서 등을 조회할 때 각 전자계약서마다 설정된 거래코드를 입력하여 조회함으로써 현재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개관리서버(154)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한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개관리서버(154)는 입력된 고객정보 및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기관서버(160)로 수입업체가 예치금으로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의 개설을 요청하고, 이후에 금융기관서버(160)로부터 해당 계좌에 수입업체로부터 거래대금이 입금되었는지를 여부를 수신한다. 또한, 중개관리서버(154)는 검수업체(130) 및 운송업체(140)로부터 물품검사와 관련된 전자문서, 운송과 관련된 전자문서 등을 수신하여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자문서는 검사확인증(품질검사증), 선하증권(B/L) 또는 FCR 등의 전자문서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중개관리서버(154)는 해당 계약에 따른 무역거래의 전반적인 진행상황을 수출업체단말(110) 및 수입업체단말(120)과 공유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금융기관서버(160)와도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또한, 중개관리서버(154)는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원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155)는 고객정보, 거래정보, 각종 전자문서, 금융정보 등을 비롯하여 무역거래 중개를 위해 필요한 각종 자료를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55)에는 고객정보DB(165a), 거래정보DB(165b), 전자문서DB(165c) 및 금융정보DB(165d)가 포함된다. 고객정보DB(165a)에는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에 대한 고객정보가 저장되고, 거래정보DB(165b)는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전자계약 및 해당 계약에 따른 각종 거래정보가 저장된다. 전자문서DB(165c)에는 검수업체(130) 및 운송업체(140)로부터 물품검사와 관련된 전자문서, 운송과 관련된 전자문서,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원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 등이 저장된다. 금융정보DB(165d)에는 수입업체가 예치금으로 거래대금을 저장하기 위한 계좌정보, 거래대금 입금과 관련된 정보, 금융기관에서 강제지급에 따른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서버(160)는 인터넷뱅킹서버(161), 판단부(162), 서버제어부(163) 및 저장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터넷뱅킹서버(161)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의 요청에 의해 고객정보 및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고, 해당 계좌에 거래대금이 입금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후술하는 판단부(162)의 판단결과에 따라 예치금으로 입금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거나 또는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한다.
판단부(162)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전송된 고객정보 및 거래정보, 그리고 물품의 배송에 따른 각종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전자계약서에 명시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인터넷뱅킹서버(161)로 이를 통보한다. 이로써 인터넷뱅킹서버(161)는 판단부(162)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도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은 수입업자의 동의 없이도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에게 강제지불하거나 또는 수출업자의 동의 없이도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에게 강제반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강제지불 또는 강제반환은 이를 위한 조건이 전자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어야 하고,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는 이러한 전자계약서에 미리 동의를 해야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무역거래를 위한 전자계약서 등록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절차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기 위해 각각 수출업체단말(110)과 수입업체단말(120)과의 통신을 통해 전자계약서를 체결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가 소정의 절차에 따라 당사자 간에 물품의 무역거래 계약을 맺고(S101), 안전한 무역거래를 위해 무역거래 중개업체를 통해 무역거래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 수출업체단말(11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하고(S103), 수입업체단말(12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다(S105). 이러한 계약서는 무역거래 중개업체로 하여금 수입업체 및 수출업체의 양 당사자를 대신하여 해당 물품의 무역거래를 중개할 권리와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계약서 작성은 온라인 상에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여 완료하거나 필요한 항목에 체크표시하여 완료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출업체단말(110)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물품을 웹페이지에 표시하고(S107), 수입업체가 수입업체단말(120)로 원하는 그 표시된 물품들을 확인하여 무역거래 중개업체를 통해 안전한 무역거래를 진행하기 위해 구매를 원하는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를 요청하는 경우(S109),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이러한 물품의 무역거래 요청을 수출업체단말(110)로 통보하고(S111), 수출업체단말(110)로부터 무역거래를 원한다는 응답이 수신되면(S113), 해당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 중개절차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입업체단말(120)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S115), 이에 따라 수입업체단말(12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다(S117). 이후,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출업체단말(110)로 물품매매계약서를 제공하고(S119), 수출업체단말(11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다(S121).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입업체가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제공한 다양한 물품구매 요청을 웹페이지에 표시하고(S123), 수출업체가 수출업체단말(110)을 통해 구매요청된 물품을 확인하여 무역거래 중개업체를 통해 안전한 무역거래의 진행을 위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해당 물품의 무역거래를 요청하는 경우(S125),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이러한 무역거래요청을 수입업체단말(120)로 통보하고(S127), 수입업체단말(120)로부터 무역거래를 원한다는 응답이 수신되면(S129), 수출업체단말(110)로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S131). 이에 수출업체단말(110)은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다(S133). 이후,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수입업체단말(120)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S135), 이에 따라 수입업체단말(120)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한다(S13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에서는, 먼저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에 무역거래 중개를 서비스하기 위해 관련된 업체 및 기관에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각자 고객등록을 수행한다(S201). 이러한 고객등록은 각각 해당 업체 및 기관에서 수출업체단말(110), 수입업체단말(12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 및 금융기관서버(160)를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의 웹서버(151)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필요한 고객정보를 업로드하여 회원가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각각의 단말(110~140) 및 금융기관서버(160)는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계약에 대응하여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가 잘 진행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고객등록이 완료되면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는 각각 수출업체단말(110)과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 로그인하여 무역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하고, 무역거래를 위한 전자계약서를 작성한다(S203). 이를 위하여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 계약의 종류에 따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전자계약서를 제공하고 수출업체와 수입업체는 각각 수출업체단말(110)과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원하는 전자계약서를 선택하여 필요한 계약정보를 선택 및 입력함으로써 전자계약서 작성을 완료한 후 이를 업로드한다. 이러한 전자계약서는 수출업체단말(110)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간에 작성된 물품매매계약서와, 수출업체단말(120)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 간에 작성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전자계약서에는 금융기관서버(160)가 수입업체에 의해 미리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이 가능한 조건을 포함한다. 이는 금융기관에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조건을 만족하는지 직접 판단하여 만족하면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 동의 없이 금융기관이 독립적으로 강제지불 또는 강제반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래정보등록이 완료되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해당 계약에 대한 거래코드를 발급한다(S205).
이후에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고객등록정보 및 거래등록정보를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하여 수입업체가 예치금으로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도록 요청한다(S207). 이때, 이와 같이 개설되는 계좌는 거래대금의 안전한 운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무역거래 중개업체의 이름으로 개설한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서버(160)는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개설하고, 그 계좌정보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한다(2109). 이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그 계좌정보를 수입업체단말(120)로 전송함으로써 수입업체에게 거래대금의 입금을 요청한다(S211). 수입업체는 거래대금을 해당 계좌로 입금한 후 수입업체단말(120)을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거래대금의 입금완료를 통보한다(S213). 그러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금융기관서버(160)에 이를 확인한 후 수출업체단말(110)로 거래대금의 입금을 통보함으로써 수출업체에게 물품의 운송을 요청한다(S215). 이로써 물품의 운송이 시작된다.
이후,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검수업체단말(130) 및 운송업체단말(140)로 물품의 검수 및 운송 등에 관련된 절차진행을 요청하고(217), 각각의 단말들(130,140)은 물품의 검수결과에 따른 전자문서와, 운송에 따른 전자문서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한다(S219). 이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이러한 각각의 전자문서를 저장한 후 금융기관서버(160)로 전송한다(S221).
금융기관서버(160)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23). 이러한 판단결과 거래대금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면(S225), 금융기관서버(160)는 수출업체 및/또는 수입업자의 동의 없이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한다(S227). 이때 이러한 강제지급은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을 강제지불하거나 또는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을 강제반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은 금융기관서버(16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원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였음을 전제로 한다. 이에 금융기관서버(160)는 거래대금이 입금된 계좌의 명의자인 중개업체로부터의 추가적인 조치 없이도 입금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금융기관서버(160)는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확인하고(S201),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면(S303),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함으로써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반환할 것임을 예고한다(S305).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이러한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수입업체단말(120)로 전송한다(S307). 여기서,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은 금융기관이 전자계약서에 명시된 대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확인한 결과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에 해당되어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금액을 수출업체의 동의 없이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일자를 통보함으로써 향후에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에, 수입업체단말(120)은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에 대한 연기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물품의 검수 또는 운송 등에 관련된 절차나 업무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출업체단말(110), 검수업체단말(130) 또는 운송업체단말(140)로 추가적인 조치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검수업체 또는 운송업체는 각자 자신의 업무를 재체크 및 추가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각각 검수업체단말(130) 또는 운송업체단말(140)을 통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문서의 재발행은 앞서 발행했던 전자문서와 동일한 문서를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물품의 검수, 운송과 관련된 상황을 다시 한번 더 재확인한 후 그에 따른 전자문서를 추가로 발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추가로 발생되는 전자문서는 앞서 발행했던 전자문서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는 최초에 발행된 전자문서에 오류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치유나 보완하여 재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무역거래 중개장치(170)에서 수입업체단말(120)이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09),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하지 않으면 금융기관서버(160)로 이를 알려 금융기관서버(160)에서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에 거래금액을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하고(S311),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으면 금융기관서버(160)로 이를 알려 금융기관서버(160)에서 기설정된 기간만큼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예정일을 재설정한 후(S313),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통해 수입업체단말(120)로 이를 전달하도록 한다(S315). 물론, 이러한 예정일 재설정은 수출업체단말(110), 검수업체단말(130), 운송업체단말(140)로도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는 검수업체단말(130) 및 운송업체단말(140)로 각각 물품의 검수, 운송에 관련된 전자문서를 재발행하도록 요청한다(S317). 계속해서, 무역거래 중개장치(150)에서 상기 재발행된 각각의 해당 전자문서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319),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는 경우 금융기관서버(160)로 이를 전달하고(S321),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금융기관서버(160)에서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한다(S329).
계속해서, 금융기관서버(160)에서는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재설정된 강제반환 예정일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23), 수신되지 않았으면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한다(S329). 만약 수신되었으면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를 체크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S325), 만족하면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S327), 만족하지 않으면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도록 한다(S329).
이로써, 금융기관에서 강제지급 조건을 1차로 판단한 경우에 강제반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바로 반환하지 않고 무역거래 중개장치(150)를 통해 수입업체단말(120)로 강제반환 예정일을 통보함으로써 수입업체는 물품의 운송상에 발생한 문제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어 전자문서가 재발행되면 금융기관서버(160)에서 이를 수신하여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2차로 판단하여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면 수출업체로 거래대금을 지불하고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면 수입업체로 거래대금을 반환하도록 함으로써 무역거래를 중개함에 있어서 절차나 진행상의 문제, 검수, 운송에 관련된 문제 등을 해결할 여지를 다시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무역거래 당사자 간에 간단한 실수를 만회할 수 있는 기간을 부여하고 그 실수로 인해 계약해지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수출업체단말 120 : 수입업체단말
130 : 검수업체단말 140 : 운송업체단말
150 : 무역거래 중개장치 151 : 웹서버
152 : 고객등록서버 153 : 거래정보등록서버
154 : 중개관리서버 155 : 데이터베이스
155a : 고객정보DB 155b : 거래정보DB
155c : 전자문서DB 155d : 금융정보DB
160 : 금융기관서버 161 : 인터넷뱅킹서버
162 : 판단부 163 : 제어부
164 : 저장부

Claims (22)

  1.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간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무역거래 중개시스템에 있어서,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단말,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의 해당 고객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고객정보 등록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에 의해 선택된 계약에 따른 기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 상기 계약에 따른 무역거래정보를 등록받으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에 사전에 합의되어 금융기관이 독립적으로 거래대금을 강제처리하도록 규정된 거래대금 강제처리조건을 설정한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하는 계약서 작성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고객등록정보, 거래등록정보 및 전자계약서를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할 계좌의 개설을 요청하되, 상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업체의 명의로 개설하도록 요청하는 계좌개설 요청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고객등록정보, 거래등록정보 및 전자계약서를 저장하고 상기 계좌의 개설 요청에 따라 상기 거래대금을 입금할 계좌를 상기 중개업체의 명의로 개설하고 상기 개설된 계좌의 정보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계좌개설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계좌정보를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전송하여 거래대금의 입금을 요청하는 입금요청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거래대금의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거래대금의 입금을 통보하고 물품의 운송을 요청하는 운송요청단계;
    물품운송이 시작되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의 전자문서를 등록받아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는 전자문서 등록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중개업체의 명의의 계좌에 거래대금이 입금된 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 설정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족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는 거래대금 지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상기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출업체, 수입업체 및 중개업체로부터 상기 거래대금의 처리에 대한 동의나 요청 없이 상기 거래대금을 독립적으로 강제지급하며,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 중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상기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요청 수신여부를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지 않으면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에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고,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으면 기설정된 기간만큼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설정된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설정된 예정일 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출업체와 물품의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입업체와 수입의 대행을 처리하고 B/L양수도를 수행하기 위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등록받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물품 중 거래를 원하는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물품의 무역거래 요청을 수출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계약서 작성단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구매요청된 물품의 무역거래를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무역거래의 요청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물품매매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제공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작성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고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은 상기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또는 상기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수출업체단말 또는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의 재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에서 상기 물품의 검수 및 운송에 관련된 각각 해당 전자문서를 재발행하여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12. 수출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수입업체와의 무역거래 계약을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하는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수출업체와의 무역거래 계약을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하는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수출업체에서 상기 수입업체로 배송하는 물품을 기설정된 검수절차에 따라 검수하고 그 검수결과를 전자문서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검수업체단말;
    운송업체의 고객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상기 물품의 운송에 따른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운송업체단말;
    상기 수출업체단말, 수입업체단말,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각각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처리하고, 상기 수출업체 및 수입업체 간의 무역거래를 중개하되, 상기 수출업체단말과 수입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에 의해 선택된 계약에 따른 기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서 상기 계약에 따른 무역거래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와 수출업체 간에 사전에 합의되어 금융기관이 독립적으로 거래대금을 강제처리하도록 규정된 거래대금 강제처리조건을 미리 설정한 전자계약서를 등록하고,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물품 및 거래대금의 처리를 통해 무역거래를 중개하고, 상기 등록된 고객등록정보, 거래등록정보 및 전자계약서를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입금하도록 중개업체의 명의의 계좌 개설을 요청하는 무역거래 중개장치; 및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입업체가 거래대금을 예치금으로 입금할 중개업체 명의의 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수입업체로부터 거래대금이 입금된 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계약서에 따른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는 금융기관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중개업체의 예금반환청구권 포기에 대한 전자문서 및 상기 중개업체의 무통장/무인감 방식의 거래대금 인출권 획득에 대한 전자문서를 사전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출업체, 수입업체 및 중개업체로부터 상기 거래대금의 처리에 대한 동의나 요청 없이 상기 거래대금을 독립적으로 강제지급하며,
    상기 거래대금 지급단계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 조건 중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강제반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상기 금융기관에 예치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요청 수신여부를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지 않으면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에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고, 상기 강제반환 예정일의 연기를 요청받으면 기설정된 기간만큼 상기 거래대금 강제반환 예정일을 연기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설정된 강제반환 예정일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물품의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설정된 예정일 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입업체를 대신하여 수출업체와 물품의 매매를 수행하기 위한 물품매매계약서를 상기 수출업체단말과 작성하고, 무역거래 중개업체가 수출업체를 대신하여 수입업체와 수입의 대행을 처리하고 B/L양수도를 수행하기 위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상기 수입업체단말과 작성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출업체단말 및 수입업체단말로부터 등록된 거래정보에 따라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상기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을 표시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물품 중 거래를 원하는 물품에 대한 무역거래가 요청되면 상기 물품의 무역거래 요청을 수출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는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제공된 물품구매 요청을 표시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에서 상기 구매요청된 물품의 무역거래가 요청되면 상기 무역거래의 요청을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통보하고 상기 수출업체단말로 상기 물품매매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출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물품매매계약서를 등록받고, 상기 수입업체단말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상기 수입업체단말로부터 작성완료된 수입대행계약서 및 B/L양수도계약서를 등록받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금 강제지급은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수출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동의 없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강제지급하며,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급은 상기 수출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또는 상기 수입업체의 기설정된 계좌로 거래대금의 강제반환을 포함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반환 예정일이 재설정되면,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에서 상기 검수업체단말 및 운송업체단말로부터 각각 검수정보 및 운송정보와 관련하여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설정된 예정일 내에 상기 무역거래 중개장치로부터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재발행된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거래대금의 강제지불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예치된 거래대금을 수출업체의 계좌로 강제지불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입업체의 계좌로 강제반환하는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시스템.
KR1020150109139A 2015-07-31 2015-07-31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KR10164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39A KR101649331B1 (ko) 2015-07-31 2015-07-31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39A KR101649331B1 (ko) 2015-07-31 2015-07-31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331B1 true KR101649331B1 (ko) 2016-08-18

Family

ID=5687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39A KR101649331B1 (ko) 2015-07-31 2015-07-31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3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069A (ko) * 2018-05-29 2019-12-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자산 이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KR102255945B1 (ko) 2020-08-18 2021-05-24 송상현 물품의 가격 자동산출을 통한 국제 무역 자동 전산 시스템
US11328303B2 (en) 2018-05-29 2022-05-10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Asset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952A (ko) * 2000-03-06 2001-09-15 이종성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27423A (ko) 2002-02-28 2002-04-13 김희섭 전자상거래를 위한 중개시스템
KR20020035244A (ko) 2000-11-06 2002-05-11 김종문 국제전자무역거래 처리방법 및 국제전자무역거래 처리시스템
KR20040087766A (ko) 2003-04-09 2004-10-15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국제무역의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37368B1 (ko) 2007-06-04 2008-06-12 주식회사 우리은행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1745A (ko) * 2008-01-25 2009-07-29 주식회사 신한은행 가입자 온라인 계좌와 가맹점 온라인 계좌간 지불결제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130110554A (ko) * 2012-03-29 2013-10-10 주식회사 포도학사 산지예약 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952A (ko) * 2000-03-06 2001-09-15 이종성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5244A (ko) 2000-11-06 2002-05-11 김종문 국제전자무역거래 처리방법 및 국제전자무역거래 처리시스템
KR20020027423A (ko) 2002-02-28 2002-04-13 김희섭 전자상거래를 위한 중개시스템
KR20040087766A (ko) 2003-04-09 2004-10-15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국제무역의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37368B1 (ko) 2007-06-04 2008-06-12 주식회사 우리은행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1745A (ko) * 2008-01-25 2009-07-29 주식회사 신한은행 가입자 온라인 계좌와 가맹점 온라인 계좌간 지불결제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130110554A (ko) * 2012-03-29 2013-10-10 주식회사 포도학사 산지예약 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069A (ko) * 2018-05-29 2019-12-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자산 이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KR102283742B1 (ko) * 2018-05-29 2021-08-03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자산 이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US11328303B2 (en) 2018-05-29 2022-05-10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Asset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255945B1 (ko) 2020-08-18 2021-05-24 송상현 물품의 가격 자동산출을 통한 국제 무역 자동 전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5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controlled automobile financing
US8612344B2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US8626596B2 (en) Online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payment platform and a logistics company
US79706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ngle sale transactions involving one or more payors
US8719136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credit
US118540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authorizing a delivery transaction
US20120072337A1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Debt Conversion Notification
US20140279451A1 (en) Escrow Payment System for Transactions
KR102009140B1 (ko) 매출채권의 상환 방법
KR101649331B1 (ko) 금융기관의 거래대금 강제지급이 가능한 무역거래 중개방법 및 그 중개시스템
CA247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ling transactions in a digital merchant exchange
US20050251473A1 (en) Methods of exchanging articles of commerce
EP2602753A1 (en) Network secure pay-as-you-go system
US7634440B2 (en) Secure, objective online exchange, confirmation and evaluation methods
KR20080034330A (ko) 중고물품 온라인 거래방법
KR100459498B1 (ko) 인터넷상에서의 보상결제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101189A (ko) 매출채권보험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10001203A (ko) 배송확인을 통한 전자 상거래 매매 보호 방법 과 그 시스템
KR101736056B1 (ko) 전자 상거래용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금융서버
KR101725632B1 (ko)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U2021101189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Credit
US20140143128A1 (en) Unsecured to secured loan conversion in automobile finance
WO2020016943A1 (ja) 電子マネー用エスクロー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用エスクロー決済方法
JP2003099694A (ja) 売掛債権算出方法
KR100486446B1 (ko) 계좌이체 거래에 따른 소득공제용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