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280B1 -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 Google Patents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280B1
KR101649280B1 KR1020150097975A KR20150097975A KR101649280B1 KR 101649280 B1 KR101649280 B1 KR 101649280B1 KR 1020150097975 A KR1020150097975 A KR 1020150097975A KR 20150097975 A KR20150097975 A KR 20150097975A KR 101649280 B1 KR101649280 B1 KR 10164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pad
frequency generator
cas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윕메니지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윕메니지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윕메니지먼트
Priority to KR102015009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나, 엉덩이, 배 등의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각종 통증 등을 치료 또는 경감하는 동시에 근육의 자극을 통해 단련하기 힘든 부분의 근육도 광범위하게 단련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주파발생장치와 패드가 분리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MULTY-FUNCTION FAD HAVING LOW FREQUENCY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나, 엉덩이, 배 등의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각종 통증 등을 치료 또는 경감하는 동시에 근육의 자극을 통해 단련하기 힘든 부분의 근육도 광범위하게 단련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주파발생장치와 패드가 분리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펄스로 되어 있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인체의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전기 저주파를 이용한 신경자극으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신경마비, 결림, 통증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82344호에는 저주파 치료겸용 휴대용 마사지 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주파 치료기는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마시지를 진행해야 하는 것은 물론, 그 몸체에 구비되는 연결단자에 다수의 선이 연결되고, 그 다수의 선에는 각각 잭연결구를 통하여 패드가 독립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82344호(2007.12.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나, 엉덩이, 배 등의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각종 통증 등을 치료 또는 경감하는 동시에 근육의 자극을 통해 단련하기 힘든 부분의 근육도 광범위하게 단련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주파발생장치와 패드가 분리됨이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주파발생장치; 전,후면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발생장치가 구비되는 패드; 상기 패드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로부터 저주파가 전달되는 전극부가 형성되는 가요성기판; 및 전,후면을 가지며, 그 전면이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고, 후면이 피부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는, 밧데리;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발생기; 상기 저주파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패드의 양측단부 사이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밧데리, 상기 저주파발생기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은,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패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케이싱; 및 개방된 상기 전면케이싱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케이싱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상기 밧데리를 탈착하기 위한 개폐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밧데리로부터 상기 저주파발생기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저주파발생기의 주파수 출력을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전원스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 배치되는 올림스위치 및 내림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강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요성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패드의 후면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요성기판에는, 각각 상기 전극부가 단수 또는 복수 구비되면서 도선에 의해 상기 저주파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도선 및 상기 전극부는, 상기 가요성기판의 표면에 전도성물질이 일정 패턴으로 도포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패드는, 후면에 위치되는 상기 전극부의 위치를 전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상기 전극부가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전면 양측에 각각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시트는, 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나, 엉덩이, 배 등의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각종 통증 등을 치료 또는 경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련하기 힘든 부분의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근육을 광범위로 단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주파발생장치와 패드가 분리됨이 없이 연결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미사용시에는 보호필름을 점착시트에 부착하여 그 점착시트를 보호함으로써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에서 점착시트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이하 "다기능 패드"라 한다)(1)는 저주파발생장치(10), 전,후면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발생장치(10)가 구비되는 패드(20), 상기 패드(2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장치(10)와 도선(31)에 의해 연결되어 그 저주파발생장치(10)로부터 저주파가 전달되는 전극부(32)가 형성되는 가요성기판(30) 및 전,후면을 가지며 그 전면이 상기 전극부(32)에 연결되고 후면이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패드(1)는 허리, 엉덩이, 배 등의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각종 통증 등을 치료 또는 경감하는 동시에 근육의 자극을 통해 단련하기 힘든 부분의 근육도 광범위하게 단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드(2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후면이 사용자를 향하면서 그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감싼다.
상기 패드는(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부위 등을 감쌀 수 있도록 양측단부가 그 사용자의 신장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위치되는 상기 전극부(32)의 위치를 전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상기 전극부(32)가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돌기(21)는 상기 다기능 패드(1)를 사용하여 치료 또는 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서 자극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패드(20)의 미려함과 함께 사용시 손 등으로부터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21)는 상기 전극부(32)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그 전극부(32)가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크기의 둘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양측에 각각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20)는 전면 하부에 요철 형태의 문양(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턱(22) 및 상기 문양(23)은 상기 복수의 돌기(21)와 함께 상기 패드(20)의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다기능 패드(1)가 피부 표면에 점착되거나, 점착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손 등으로부터 미끄러짐 없이 원활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주파발생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20)의 양측단부 사이 중앙부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저주파발생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11), 상기 밧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발생기(12), 상기 저주파발생기(12)를 제어하는 제어부(13) 및 상기 밧데리(11), 상기 저주파발생기(12) 및 상기 제어부(13)가 수용되는 케이싱(14)을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발생기(12)는 상기 밧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주파를 발생하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3)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밧데리(11)로부터 상기 저주파발생기(12)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5), 상기 저주파발생기(12)의 주파수 출력을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조절스위치(1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4)은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패드(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케이싱(14a) 및 개방된 상기 전면케이싱(14a)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케이싱(14b)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케이싱(14b)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4)으로 상기 밧데리(11)를 탈착하기 위한 개폐커버(1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5)는 상기 전면케이싱(14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강도조절스위치(16)는 올림스위치(16a)와 내림스위치(16b)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스위치(1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다기능 패드(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 다기능 패드(1)가 피부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른 적정 치료 또는 운동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기판(30)은 전,후면을 가지며, 그 전면이 고주파융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패드(20)의 후면에 연결되고, 후면에 상기 전극부(32) 및 상기 도선(31)이 형성된다.
상기 도선(31) 및 상기 전극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기판(30)의 표면에 전도성물질이 일정 패턴으로 도포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기판(3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주파발생장치(10)를 중심으로 상기 패드(20)의 후면 양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각 가요성기판(30)에는 상기 전극부(32)가 한 쌍 구비되면서 각각 상기 도선(31)에 의해 상기 저주파발생기(1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시트(40)는 점착력을 가지는 겔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각 전극부(32)에 부착 연결되고, 그 연결된 상태로부터 치료 또는 운동을 필요로 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된다.
상기 점착시트(40)는 점착력 저하에 따라 표면에 물 등을 분무함으로써 그 점착력의 복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점착력 복원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가요성기판(30)으로부터 떼어내어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패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시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점착시트(40)의 점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호필름(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50)은 상기 가요성기판(30)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그 각 가요성기판(3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극부(32)에 각각 점착되는 한 쌍의 점착시트(40)를 동시에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필름(50)은 상기 다기능 패드(1)의 미사용시 상기 가요성기판(30)에 부착되어 그 가요성기판(30)과 상기 보호필름(5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점착시트(40)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50)은 상기 다기능 패드(1)의 사용시 상기 가요성기판(3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점착시트(40)가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다기능 패드(1)는 치료 또는 운동을 요하는 신체부위의 피부 표면에 간편하게 점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미사용시에는 상기 점착시트(40)의 점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다기능 패드 10 : 저주파발생장치
11 : 밧데리 12 : 저주파발생기
13 : 제어부 14 : 케이싱
14a : 전면케이싱 14b : 후면케이싱
14c : 개폐커버 15 : 전원스위치
16 : 강도조절스위치 16a : 올림스위치
16b : 내림스위치 20 : 패드
21 : 돌기 22 : 돌출턱
23 : 문양 30 : 가요성기판
31 : 도선 32 : 전극부
40 : 점착시트 50 : 보호필름

Claims (5)

  1. 저주파발생장치;
    전,후면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발생장치가 구비되는 패드;
    상기 패드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로부터 저주파가 전달되는 전극부가 형성되는 가요성기판; 및
    전,후면을 가지며, 그 전면이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고, 후면이 피부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는,
    밧데리;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발생기;
    상기 저주파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패드의 양측단부 사이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밧데리, 상기 저주파발생기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패드의 후면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요성기판에는,
    각각 상기 전극부가 단수 또는 복수 구비되면서 도선에 의해 상기 저주파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도선 및 상기 전극부는,
    상기 가요성기판의 표면에 전도성물질이 일정 패턴으로 도포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패드는,
    후면에 위치되는 상기 전극부의 위치를 전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상기 전극부가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전면 양측에 각각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패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케이싱; 및
    개방된 상기 전면케이싱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케이싱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상기 밧데리를 탈착하기 위한 개폐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밧데리로부터 상기 저주파발생기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저주파발생기의 주파수 출력을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전원스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 배치되는 올림스위치 및 내림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강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시트는,
    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KR1020150097975A 2015-07-09 2015-07-09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KR10164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75A KR101649280B1 (ko) 2015-07-09 2015-07-09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75A KR101649280B1 (ko) 2015-07-09 2015-07-09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280B1 true KR101649280B1 (ko) 2016-08-18

Family

ID=5687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75A KR101649280B1 (ko) 2015-07-09 2015-07-09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2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86A (ko) 2018-10-08 2020-04-17 엄미선 Ems 저주파 피부 리프팅 마사지 장치
CN112020375A (zh) * 2018-04-04 2020-12-01 万德生活株式会社 用于缓解肌肉及关节疼痛的可调型低频设备
KR20220113144A (ko) * 2021-02-05 2022-08-1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보호 및 힙업 기능을 갖는 전기자극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955U (ja) * 1991-12-06 1993-06-29 久光製薬株式会社 プラスター形状の低周波治療器
JPH06339531A (ja) * 1993-06-01 1994-12-13 Omron Corp 低周波治療器
JPH08991A (ja) * 1994-06-24 1996-01-09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超微粒子製造装置
JPH08243175A (ja) * 1995-03-10 1996-09-24 Kyushu Hitachi Maxell Ltd 低周波治療器
KR100782344B1 (ko) 2006-06-27 2007-12-06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저주파 치료겸용 휴대용 마사지 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955U (ja) * 1991-12-06 1993-06-29 久光製薬株式会社 プラスター形状の低周波治療器
JPH06339531A (ja) * 1993-06-01 1994-12-13 Omron Corp 低周波治療器
JPH08991A (ja) * 1994-06-24 1996-01-09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超微粒子製造装置
JPH08243175A (ja) * 1995-03-10 1996-09-24 Kyushu Hitachi Maxell Ltd 低周波治療器
KR100782344B1 (ko) 2006-06-27 2007-12-06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저주파 치료겸용 휴대용 마사지 치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0375A (zh) * 2018-04-04 2020-12-01 万德生活株式会社 用于缓解肌肉及关节疼痛的可调型低频设备
CN112020375B (zh) * 2018-04-04 2024-01-12 万德生活株式会社 用于缓解肌肉及关节疼痛的可调型低频设备
KR20200040086A (ko) 2018-10-08 2020-04-17 엄미선 Ems 저주파 피부 리프팅 마사지 장치
KR20220113144A (ko) * 2021-02-05 2022-08-1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보호 및 힙업 기능을 갖는 전기자극 장치
KR102535356B1 (ko) 2021-02-05 2023-05-2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보호 및 힙업 기능을 갖는 고관절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6180B2 (en) Nerve stimulating device and associated support device
US5540735A (e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of flexing body portions
JP5755225B2 (ja) 経皮電気的神経刺激装置を保持する包帯用のアセンブリ配置
US8938303B1 (en) Restless leg therapeutic device
US6735480B2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electrodes
EP1282457B1 (en)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US6021348A (en) Stimulation and heating device
US20090048642A1 (en) Neurostimulation
JP2013514143A (ja) 患者が標的位置で正確に医療用パッチの位置決めができる留置装置及びその方法
AU2002305786A1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KR101649280B1 (ko) 저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패드
US20140277323A1 (en) Oral neural stimulator
JP7372427B2 (ja) 目元用美容マスク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102172151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근육 마사지 장치
JP2023007120A (ja) 美顔装置
CN107349532B (zh) 一种作用于眼部的超声波治疗头
KR200480526Y1 (ko) 휴대용 복합 저주파 치료기
WO200709660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urostimulation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339987Y1 (ko) 물리치료용 팬티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210034931A (ko) 치료 및 근육 강화용 혈류 제한 에어커프 및 다방향 전기 자극 장치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