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205B1 -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205B1
KR101649205B1 KR1020150101771A KR20150101771A KR101649205B1 KR 101649205 B1 KR101649205 B1 KR 101649205B1 KR 1020150101771 A KR1020150101771 A KR 1020150101771A KR 20150101771 A KR20150101771 A KR 20150101771A KR 101649205 B1 KR101649205 B1 KR 10164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period
date
value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728A (ko
Inventor
원정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97,49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217212A1/en
Priority to EP16152045.7A priority patent/EP3048568A1/en
Publication of KR2016009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 비용에 대하여 예측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은 데이터 입력부가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테이블 작성부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하여 기접수건 및 미래 접수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건 정보를 생성하고, 사건 정보에 대한 비용 발생일을 계산하여 매칭되는 비용항목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건 정보에 대한 비용 발생일 및 발생 비용을 포함하여 필드값을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및 출력 조건에 따라 필드값이 기록된 테이블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ESTIMATING COST FOR PATENT}
본 발명은 특허 비용에 대하여 예측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를 비롯하여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분야의 출원에서부터 등록 후 유지까지 각 단계의 비용을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허 관리 부서는 발명 접수, 출원, 중간사건 대응, 등록, 유지 절차에 거쳐 관리를 수행한다.
특허를 관리하는 부서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가지는 업무 과정에 있어서, 해당 업무 과정에 대하여 적용되는 법정 기간 및 그 기간 내에 발생하는 비용에 대하여 통합 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례로, 연구원, 학교 및 기업의 특허 관리 업무는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중간사건 대응, 등록 및 유지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법정 기간 내 업무 수행이 이루어 져야 하며, 해당 업무 수행에 따른 발생 비용을 정확히 예측하여 산출 및 처리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특허 관리 시스템은 그 주요 기능으로서 전술한 특허 진행 절차를 관리하고, 해당 절차 시에 발생되는 비용에 대한 지급 내역을 관리하고, 발명자 또는 마케팅 기여자에게 라이센싱 성립에 따른 보상금 지급 내역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허 관리 부서에서 관리하는 사건이 많아지게 되면, 어느 정도의 비용을 향후 더 지불해야 하는지에 대한 용이한 관리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특허 관리 시스템은 현재나 과거의 비용을 관리하는 데 그쳐, 비용 예측에 있어서는 접수건수, 출원건수, 중간사건건수, 등록건수, 유지건수 등을 산출하고, 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평균비용으로 곱하여 계산함에 따라, 비용예측이 주먹구구식으로 되어 특허비용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국가마다 특허제도가 상이함(예: 미국은 3.5년, 7.5년, 11.5년의 3번에 걸쳐 등록 유지료를 내는 반면, 대다수의 국가는 3년 단위로 혹은 1년 마다 등록 유지료를 납부하여야 함)에 따라, 비용처리에 대한 실무 지식을 갖추지 않은 관리자로서는 비용 예측 및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즉, 대략적으로 비용 예측 및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여 효율성 및 정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특허 관리 정책에 따라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책에 따른 비용 예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각 연구원, 기업, 대학 등의 특허 관리 부서는 이런 문제점에 대하여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솔루션이 없어 특허비용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특허의 관리건이 많아지는 경우 주먹구구 식으로 비용 예측을 할 수 밖에 없어, 비용 예측 및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 및 정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특허 관리 정책에 따른 비용 예측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회를 요하는 기간에 대하여 발생이 예상되는 특허 관리 업무 프로세스 관련 비용 항목을 전수 검사함으로써, 설정된 비용 관리 정책에 따른 정확한 비용 예측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특허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허 비용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래 발생될 비용, 또는 현재 청구되었으나 미지급된 비용 항목을 예측하고, 국가별로 비용 분석이 가능하며, 관납료 및 수수료의 분석 비용을 예측하고, 기간별(일, 주, 월, 분기, 연도별) 비용 분석 및 대리인 별 비용 분석, 업무 프로세스 단계 간에 발생되는 기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은 데이터 입력부가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테이블 작성부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하여 기접수건 및 미래 접수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건 정보를 생성하고, 사건 정보에 대한 비용 발생일을 계산하여 매칭되는 비용항목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건 정보에 대한 비용 발생일 및 발생 비용을 포함하여 필드값을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및 출력 조건에 따라 필드값이 기록된 테이블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특허 비용 관리 정책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예상 출원 정보에 대하여 특허 업무 프로세스 별 비용 항목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정책에 따른 기간 별 발생 비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각 국가별 비용 항목 정보를 저장하고, 각 정책에 따른 국가별 특허 비용 예측이 가능하여, 특허 관리 업무 담당자의 선택에 따라 기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른 전수 검사를 통한 정확한 특허 비용 예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각 정책별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저장하고, 정책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정책에 따른 특허 비용 발생 예측 시뮬레이션이 용이하여, 이를 통하여 정책 변경에 대한 근거의 논리성,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특허 비용 예측 결과에 대하여 오류 발생 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드백 루프를 통하여 오류가 발생한 사건을 추적하고, 이에 대한 수정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채무는 확정되었지만(청구는 받았지만) 지급되지 않은 비용에 대하여 사무소, 기간, 대리인, 국가, 비용항목별로 분석이 가능하다
여섯째, 대리인 별로 비용분석이 가능하여, 대리인 별로 확정된 채무, 미래 발생비용, 기간별, 비용항목별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일곱째, 기준일(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취하일, 포기일, 등록일 등)을 기준으로 국가, 비용항목, 기간별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여덟째, 기준일과 발생비용 및 관련 데이터필드를 테이블에 모두 기록함으로써 계산의 용이함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기준일을 기준으로 발생 비용을 순차적으로 모두 계산하여 테이블에 기록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할 때 속도가 매우 빠른 장점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처리속도에 따라 처리 시간은 상이하나, 비용 예측 테이블에 수만 건이 존재하더라도 수초 안에 검색의 결과를 기간별, 비용항목별, 국가별, 대리인 등을 다양한 조합에 따른 형태로,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본원 발명에 따르면 비용 발생일과, 발생 비용을 관련 필드와 함께 순차적으로 모두 비용 예측 테이블에 기록했기 때문에 가능한 효과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및 특허관리 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과 특허관리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환율이 입력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한국특허출원에서 등록까지 소요되는 비용 및 유지 비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한국특허의 비용 발생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한국특허의 비용 발생일에 발생하는 비용 항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미국특허의 비용 발생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미국특허의 비용 발생일에 발생하는 비용 항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유럽국가특허의 비용 발생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유럽국가특허의 비용 발생일에 발생하는 비용 항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로서 테이블에 기록되는 필드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정책 변수값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별 정책 변수값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국가별 정책 변수값의 수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 변수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 변수값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 변수가 적용되는 국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율 정보 제공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율 정보 등록 및 수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 파라미터값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원 비용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비용 등록 및 수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설정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별 비용예측 결과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 비용예측 결과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오류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처리 결과의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 변수 조회 결과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검색 이력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 실시예를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단계로써는 특허비용 예측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을 설명하고, 두 번째 단계로써 특허비용 예측의 구체적인 실시 구현예를 제시하기로 한다.
Ⅰ. 첫번째 단계(특허비용 예측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
첫 번째 단계로써 특허비용 예측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 사상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b는 전술한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및 특허관리시스템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과 특허관리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a 내지 100n)은 사용자(관리자)에 따라 구비되고, 특허비용예측서버(200)는 특허관리시스템(250)으로부터 관리번호, 발명의 명칭, 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중간사건일, 등록일, 유지일, 취하일, 포기일, 청구항수, 비용 등의 서지 사항 및 현재 특허 데이터 현황을 수신한다.
특허관리시스템(250)은 데이터베이스 ROM(251), 데이터베이스 RAM(252),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253),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비용예측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 ROM(201), 데이터베이스 RAM(202),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203),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환율이 입력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서 도10까지는 국가별 프로시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은 출력 결과물로써 테이블에 기록되는 필드 값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가. 정책 변수, 기간별 대표값 및 환율 입력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관리자 계정으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정책 변수(공통 정책 변수값과 국가별 정책 변수값을 포함한다),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리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 전송한다.
서버(200)는 단말(100)과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전송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210)와, 관리자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인증이 완료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테이블 작성부(220) 및 테이블 작성부(220)가 작성한 테이블을 출력하여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이 때 특허관리시스템에서 특허비용예측시스템에 제공되는 데이터는 관리번호, 국가, 발명의 명칭, 비용발생일(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중간사건일, 등록일, 유지일), 포기일, 취하일, 출원종류, 국내대리인, 해외대리인, 미국기업구분(Large entity/Small entity), 출원 독립항, 출원 종속항, 등록 독립항, 등록 종속항, 비용청구/비용미청구 구분, 비용 지분율, 단계(접수, 출원, 중간, 등록, 유지), 세부사항(관납료, 수수료), 해당 비용 등이 있다.
따라서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중 정책 변수값은 아직 접수되지 않은 건을 미래에 접수시킬 때 사용하며 도1a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이미 접수되어 관리번호가 생성된 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따라서 도1a에 나타난 것은 순수한 미래 발생건으로 아직 관리번호조차 생기지 않은 건을 정책 변수값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도1b에 나타난 건은 이미 관리번호가 존재하는 건(관리번호가 기 생성된 건)으로 접수, 출원, 중간사건, 등록, 유지 상태에 있는 건들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두 가지의 상태는 동일한 프로시져를 거쳐 처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허 비용 발생일을 계산하고, 계산된 발생일에 대한 특허 비용 발생일에 대한 비용 항목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때 특허 비용 발생일 및 비용 항목을 산출함에는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 작성부(220)는 정책 변수값(특허 관리 시스템 내에 현존하고 있는 특허 상태를 포함함),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 받아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예로써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기저장한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특허 비용 발생일 및 비용 항목을 산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210)는 정책 변수값으로써 국가별 접수건 정보를 수신하되, 각 국가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접수 건수 및 접수 기간을 수신한다.
도 12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210)는 PCT, EP,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국가별 카테고리에 대한 접수 건수, 진입국가 건수, 가출원 건수, 접수 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210)는 정책 변수값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하율, 포기율 및 중간사건 발생 횟수를 수신하고, 해당 정책이 적용되는 국가 카테고리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210)는 기간별 대표값으로써,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중간사건 대응, 등록에 대한 특허 업무 프로세스의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 단계별 예상 소요일 정보를 수신한다.
즉, 도 16에서 “조회”를 클릭하는 경우 통계값이 산출되고, “적용”이 클릭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정한 바(예: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에 따라 입력값이 적용된다
데이터 입력부(210)는 비용 파라미터값으로써, 각 국가별 비용 정보를 획득하되, 국가, 대분류, 세부항목 별로 출원 비용을 수신하고, 등록 후 유지비용에 대하여 각 연차별 관납료 정보를 수신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공통 정책 변수값, 국가별 정책 변수값, 환율, 비용 파라미터값의 입력 화면을 도시한다. 정책변수값은 특허관리부서의 관리자 계정으로 인증이 완료된 단말을 통하여 임의적으로 입력된다.
도 3a는 공통 정책 변수값의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접수 예정 국가가 한국인 경우 접수 기간(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및 접수건(1000건)을 입력 받는다.
도 3b내지 도 3e는 한국, 미국, 유럽, EP, PCT의 국가별 정책 변수값과, 기간별 대표값을 나타내며, 이 때 기간별 대표값으로는 출원으로부터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등록, 유지에 따른 가장 전형적인 대표값이 입력 된다.
도 3f를 참조하면, 환율은 매일 변동하므로, 자동적으로 환율 값이 입력되거나, 환율사이트의 값을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비용 파라미터값 중 항목별 비용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항목별 비용이란 출원비용의 관납료, 출원에 따른 대리인수수료, 중간사건비용의 관납료, 중간사건 대응에 따른 대리인 수수료, 등록비용의 관납료, 등록에 따른 대리인수수료, 유지비용의 관납료, 유지에 따른 대리인수수료 등 세부항목을 포괄한다. 그리고 이 항목별 비용을 국가별, 단계별(출원-중간-등록-유지), 세부항목별(관납료, 수수료) 순서의 하이어러키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프로시져 단계
특허 업무 프로세스에 있어서 최초의 단계는 접수를 받는 단계이다. 즉, 출원하기에 앞서 접수를 받고, 해당 발명에 대하여 출원할지 여부를 결정한 다음 출원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출원과 동시에 심사청구를 하기도 하지만, 전략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난 후 심사청구를 하기도 한다.
출원 발명에 대하여 심사관이 심사를 수행하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거절(의견제출통지, 거절결정을 포함)이 발생하게 된다. 거절이유가 없는 경우 곧바로 등록 결정을 받는 경우에 등록료를 납부하거나, 중간사건 발생 시 심사관의 거절이유를 극복하여 등록 결정을 받게 되는 경우 등록료를 납부하면 등록이 되고, 한국의 경우 출원일로부터 20년까지 유지연차료를 제때 납부하는 경우에 한하여 권리를 보장받게 된다(의약품의 경우 1회에 한해 연장등록이 가능하여, 최대 25년이 특허존속기간이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에 따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용 발생일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한국특허의 비용 발생일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kor_rcv는 한국특허접수일이고, kor_rcv_app는 한국특허접수에서 출원까지 걸리는 기간, kor_app_exm는 출원에서 심사청구까지 걸리는 기간, kor_exm_pen은 심사청구에서 중간사건발생일까지 걸리는 기간, kor_pen_reg는 중간사건발생일에서 등록까지 걸리는 기간이다. 그리고 1년마다 유지비용을 내는 경우를 설정하여 유지비용발생일을 계산한다.
도 6은 한국특허의 비용발생일에 발생되는 비용 항목을 도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용 항목은 모두 변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수료와 연차료는 수시로 변동되고, 대리인 비용 역시 수시로 변동되기 때문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발생 일자 및 비용은 임의로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특허 비용 예측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소, 학교, 회사 등 각 단체의 정책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허는 현재의 그 상태에 따라 발생할 비용은 달라진다. 특허의 상태에 따라 취합할 비용은 달라진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접수 일자만 있으면 접수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날짜와 이에 해당하는 모든 비용을, 출원일자만 있으면 출원 일자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날짜와 이에 해당하는 모든 비용을, 중간사건 일자가 있으면 중간사건 일자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날짜와 이에 해당하는 모든 비용을, 등록일자가 있으면 등록 일자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날짜와 이에 해당하는 모든 비용을 생성시킨다. 즉 기준일(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중간사건일, 등록일, 유지일) 이후에 비용발생일과 발생비용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다만 기준일이 있는데 비용청구가 되지 않은 것은 그 기준일과 그 기준일에 발생하는 비용도 같이 생성한다. 즉, 기준일에 따라 발생 비용이 예상되나, 미청구된 건이지만, 비용 예측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해당 기준일 및 그 기준일에 발생하는 비용 항목이 같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비용발생일과 발생비용은 테이블에 기록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작성부(220)가 작성하는 테이블에 관련된 필드는 관리번호, 국가, 발명의 명칭, 비용발생일(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중간사건일, 등록일, 유지일), 포기일, 취하일, 출원종류, 국내대리인, 해외대리인, 미국기업구분(Large entity/Small entity), 출원 독립항, 출원 종속항, 등록 독립항, 등록 종속항, 비용청구/비용미청구 구분, 비용 지분율, 단계(접수, 출원, 중간, 등록, 유지), 세부사항(관납료, 수수료), 해당 비용 등이 있다.
비용발생일과 발생비용은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다른 필드는 사용여부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모든 국가마다 특허 업무 처리 프로세스가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 별로 비용 지급 형태를 다르게 세팅하는 것이 원칙이나, 국가별로 유사한 경우도 상당히 많다.
여기서 등록일이라 함은, 한국은 등록비용을 지급한 날을 등록일로 계산하고, 미국에서는 Date of issuance 를 등록일로 칭하고 유럽의 경우 Date of Grant를 등록일이라 칭한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함에 따른 Notation 에 있어서 획일적으로 이를 “reg”로 표기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등록일(registration date)을 사용하나 이는 미국에서는 Date of issuance를, 유럽에서는 경우 Date of Grant를 의미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하도록 한다.
국가별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로 한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비용발생일 및 비용발생일에 발생하는 발생비용 항목을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먼저, 접수건을 살펴보면, 접수일(kor_rcv)후 일정기간(kor_rcv_app)동안 내부 진행 절차에 따라 기한이 소요되고(예: 발명 심의), 명세서 작업 완료후 특허청에 출원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1차적인 출원비용은 출원일에 발생한다.
이 때 출원비용은 관납료 수수료로 구분할 수 있고 더욱 자세히 나누어 만들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묶을 수도 있고 세부적으로 나눌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수료도 대리인 기본수수료, 도면 작성 수에 따른 대리인수수료, 명세서페이지에 따른 대리인수수료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또한, 관납료도 기본 관납료와 청구항수에 의한 관납료 등으로 세분하여 구분할 수 있다.
2차적으로는 심사 청구하면 심사청구비용이 발생한다. 즉 심사청구일에 해당 발생 비용인 심사청구비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3차적으로 중간사건이 발생하고 중간사건 비용과 중간사건 발생일이 생성돤다.
4차적으로 등록 시에 등록비용과 등록일이 발생한다. 한국의 경우 등록시 한번에 3년분을 특허청에 관납료를 지급하므로 이때 한꺼번에 3년분 등록료를 지급한다.
5차적으로 등록일로 3년되는 시점에 4년차 유지료, 6차적으로 4년차에 5년차 유지료, 7차적으로 5년차에 6년차 등록료를 낸다.
이렇게 하여 출원일로부터 최대 20년까지 특허권이 존속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포기된 건과 취하된 건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지비용도 존속기간이 20년 가는 것은 아니고 존속기간에 대한 예정기간만큼만 비용을 발생하게 된다.
만일 현재의 상태가 출원일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심사 청구일과 심사청구 비용, 중간사건일과 중간사건 비용, 등록일과 등록비용, 유지비용과 유지 비용일이 발생한다.
만일 현재의 상태가 중간 사건일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등록일과 등록비용, 유지비용과 유지 비용일이 발생한다.
만일 현재의 상태가 등록일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유지비용과 유지 비용일이 발생한다.
두 번째로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비용발생일 및 비용발생일에 발생하는 비용 항목을 도 7 및 도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심사청구여부에 따라 기간이 결정되지만 미국의 경우 달리 별도의 심사청구를 하지 않으므로 심사청구일로부터의 발생 비용은 없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 그 유지료가 등록일로부터 3.5년, 4.5년, 11.5년에 비용을 발생한다는 점에 주요 차이점이 있고 그 외의 것은 한국특허의 경우와 유사하다.
세 번째로 유럽국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유럽국가는 비용발생일 및 비용 항목을 도 9및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유럽의 경우 특이한 것은 등록 되기 전 출원 연차료가 발생하고, 등록 후에는 등록 유지료가 발생하는데, 기간계산의 근거가 되는 것이 출원일로부터 계산한다는 점에서 특이성이 있다.
또한, 유럽연합(EPO)의 경우 등록 후 개별국가로 넘어가게 되어 있는데 그 이후의 비용도 처리가 가능하다.
PCT경우 PCT 출원일과 출원비용, 중간 사건일과 중간 사건비용이 발생하고, 개별국(국내) 진입단계는 개별국가의 프로시져와 유사한 절차를 거친다.
대표적인 국가의 특허비용 발생일과 발생비용이 있지만, 이것은 정책 변경에 따른 운용방법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기술사상은 특정일에 특정비용을 발생케 하는 것으로, 특허 비용 예측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회를 요하는 정보를 세팅함으로써, 특정기간에 발생할 비용을 쉽게 계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국 같은 경우는 해마다 유지비용을 받지 않으므로 한국과 일본과 다른 유형이며, 유럽의 국가형태는 출원일자를 기준으로 등록 후 등록 유지료를 발생시키므로 한국, 일본 및 미국등과는 또 다른 형태이다. 따라서 국가마다 조금씩 변경하여 세팅하면 특허비용예측시스템은 파라미터값를 변경함으로서 모든 국가를 수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특허 비용 예측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기능을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째, 특허출원을 원하는 발명을 접수 받는다고 해서, 모든 발명이 출원으로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출원 전 포기율과 출원 후 포기율을 반영하여 정책에 따른 발생 비용 예측을 보다 정확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방법1은 발명 100건을접수할 시 60%만 출원한다고 하고, 출원 후 출원 건 중 80%만 등록된다고 가정하여, 60%, 80%를 변수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정 건들을 포기시켜서 60건을 출원하고, 12건을 출원 전 포기로 처리하여 해당비용을 곱하는 방법이 있다.
방법 2는 모든 건을 포기시키지 않고 비용을 48%(=60% ×80%)로 연산하여 전체 건을 모두 진행하는 건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설계에 따라 변동이 가능한 부분이다.
즉 출원 전 포기(취하)와 출원 후 포기를 적용할 때 등록 및 유지비용은 1건에 대하여 (해당비용)×(1- 출원전포기)×(1- 출원후포기)으로 처리하면서 전체모든 건을 처리하는 방법도 한 예가 될 수 있다.
둘째, 중간사건비용처리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확장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중간 사건을 전체 통틀어서 1회의 비용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고 N차수로 나누어 차수마다 발생한 비용을 입력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특정일에 1번으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N차수로 나누어 날짜도 N번 발생시키고 중간사건비용을 N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공동출원의 경우 모든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계약지분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비용 지분율을 고려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확장 기능을 추가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이 생성된다. 도 10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테이블에 기록되는 필드는 관리번호, 국가, 발명의 명칭, 비용발생일(접수일, 출원일, 심사청구일, 중간사건일, 등록일, 유지일), 포기일, 취하일, 출원종류, 국내대리인, 해외대리인, 미국기업구분(Large entity/Small entity), 출원 독립항, 출원 종속항, 등록 독립항, 등록 종속항, 비용청구/비용미청구 구분, 비용 지분율, 단계(접수, 출원, 중간, 등록, 유지), 세부사항(관납료, 수수료), 해당 비용 등이 있다.
이를 여러 개의 테이블구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만들 수도 있지만 가능한 한 테이블에 필드들을 모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건수가 적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테이블을 각 상황에 맞춰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특허 관리 대상건이 많은 경우 기설정된 세팅(예: 매일 저녁 10시)에 따라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전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미리 테이블에 설정된 필드값을 기록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결과물 출력 단계
검색조건은 필드를 조합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015.01.01 내지 2017.12.31 사이의 전체 발생 예상 비용을 알고 싶으면 검색조건에 비용일자를 2015.01.01 (시작일) 및 2017.12.31(종료일)로 입력하여 검색하고. 출력형태는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전술한 프로시져 단계에서 모든 특허에 대하여 단계별로 비용발생일과 발생비용이 모두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검색 조건일에 해당하는 비용발생일을 찾아내어 출력해주면 된다.
순서를 연도별, 국가별, 단계별, 총액비용 순으로 할 수도 있고 국가별, 연도별, 단계별, 총액비용 순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비용 예측에 따른 통계값을 모두 엑셀 데이터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결과물 출력 단계에 따른 실시예는 아래의 실시 구현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30)는 테이블 작성부(220)가 작성한 테이블 및 건별, 연도별 등으로 선택된 출력 방법에 따라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제공하고, 특허 비용 예측 결과 산출에 대한 처리 일자, 처리 시간 및 오류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정책이 적용된 경우에 발생하는 특허 비용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측 과정에 있어 발생한 오류 정보를 확인하여 피드백 루프를 통하여 오류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며,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정책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특허 비용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 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Ⅱ. 두 번째 단계(실시 구현예)
도 11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첫 단계는 접수건에 대한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비용 예측 방법은 접수건에 대한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를 이용하여 접수건에 대한 비용 발생일을 계산하고, 비용 발생일에 매칭되는 발생비용 항목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용 예측 관리자는 단말을 통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특허 비용 예측 서버에 접속하여, 추가 또는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공통 정책 변수값을 입력 한다. 공통 정책 변수값의 국가 정보로써는 PCT, EP,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을 입력하며, 예상 건수, 진입국가 건수, 가출원 건수, 접수 기간 및 사용여부에 정보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여부가 “사용”에 해당하는 국가에 대하여 비용 예측 조회가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가, 예상 건수, 진입국가, 가출원, 분할출원 발생율, 접수 기간에 대하여 정책 변수값을 수신한다(S100). 이 때, 진입국가는 국가 정보가 PCT 또는 EP일 경우에 필수적으로 입력 받는 사항이고, 분할 출원 발생율로는 100이하의 정수를 입력 받으며, 사용 여부는 “사용”이 디폴트값으로 설정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국가별 정책 변수값의 수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록된 정책 변수값을 수정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0).
이 때, 정책 변수값 및 기간별 대표값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선택에 따라 이를 입력 정책 변수값 및 입력 기간별 대표값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UI 상의 “적용” 클릭에 따라 이를 기설정된 방식(예: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에 따라 입력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용 예측 서버는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입력 내용을 저장 처리하거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국가별 정책 변수값을 수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 변수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정책 변수 리스트에 따르면, 정책 변수 명칭, 대표 국가, 정책이 적용되는 국가, 정책에 관한 설명,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수건에 대하여 카테고리 별 정책 변수값을 수신한다.
국가별로 접수건이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비용예측시스템에서는 접수건에 해당하는 관리번호와 접수일을 결정해야 한다. 이 때, 접수일을 만드는 방법은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여러 가지가 있다.
균등하게 접수일을 배치 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배치 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가능한 규등하게 배치한다. 예를 들어 2년에 1460건을 접수하겠다고 정책적인 결정을 하면 관리번호를 1460건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관리번호를 매일 2건씩 생성하면 된다. 그리고 해당 관리번호에 매칭되는 접수일을 2개 생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비용예측시스템은 그 기준일자를 접수일부터 시작하지 않고 출원일부터 시작 할 수도 있는데, 이 때는 해당하는 관리번호와 출원일을 생성하면 되고, 생성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정책 변수값과 관련하여서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건수 대비 취하건수를 나타내는 취하율(출원 전 포기율), 예상 출원 정보에 대한 출원건수 대비 포기건수를 나타내는 포기율, 예상 출원 정보에 대한 출원건수 대비 중간사건 발생건수를 나타내는 중간사건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정책 변수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기준일사이에 걸리는 기간들(예르들면 접수-출원, 출원-심사, 심사-중간사건 기간 등)도 수신한다.
도면 16와 도면 17은 특허관리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반영되는 과정을 보여준 것으로 각각 변경 전의 값과 변경 후의 값을 도시한다.
주로 통계적인 방법은 평균치를 반영하는 것을 권고하지만 반드시 평균치일 필요는 없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흐름이 변하므로 통계치 값도 변할 것이고 그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를 반영할지 여부는 운영자가 결정하게 된다.
정책적으로 데이터값을 인위적으로 조정해서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통계치는 흐름을 보여주는 좋은 예지만 이를 반영할지 여부는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책이 적용되는 국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정책이 적용되는 국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국가별로 하나의 정책만이 적용 가능하므로, 정책이 기 적용된 국가에 대하여 정책 적용 선택 정보가 중첩 입력 시도되는 경우, 기 적용된 정책 해제 후 새로운 정책의 적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단말 화면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에서 수신하는 기간별 대표값은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수신하는 각 기간별 대표값을 의미한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 단계별 예상 소요일을 기간별 대표값으로써 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접수일로부터 출원일, 출원일로부터 심사청구일, 심사청구일로부터 중간사건 최초 발생일, 중간 사건 최초 발생일로부터 대응 완료일, 대응완료일로부터 등록일까지의 기간을 기간별 대표값으로써 입력 받고, 이러한 기간별 대표값은 비용 발생일 계산 및 비용 항목 산출 과정에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는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에 대하여 기분류된 항목별 비용 정보와, 카테고리 별 통화단위 및 이에 대한 환율 정보를 포함하는 비용 파라미터값을 수신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단계는 USD, EUR, KRW, JPY, CNY 등 통화명에 대한 추가 또는 삭제 명령을 수신하며, 환율 조회 참조 사이트를 제공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환율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00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통화명 선택 정보, 선택된 통화에 대한 환율 정보 및 사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 출원 예상 정보에 대하여, 출원비용, 심사비용, 중간사건비용, 등록 비용을 대분류로 하고, 각 대분류에 대한 수수료 및 기본료를 세부항목으로 하는 비용항목을 비용 파라미터값으로써 수신한다.
이 때, 비용 항목은 엑셀파일을 통해 일괄 업로드하게 되며, 업로드 항목으로 국가코드, 대분류명, 세부항목명, 외화금액, 통화 단위를 업로드한다.
도 23에서 도시한 세부항목에 대하여 클릭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25에 도시된 수정 화면이 팝업 디스플레이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용 파라미터값에 대한 수정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는 비용 파라미터값으로써 유지비용을 수신한다. 도 24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단계는 비용 예측 관리자 단말로부터 각 메뉴 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유지 비용을 엑셀파일을 통해 일괄 업로드하게 되며, 업로드 항목으로 국가코드, 기준일, 연차, 화폐단위, 관납료, 항수 추가료, 대리인 수수료를 업로드한다.
이 때, S100 단계는 각 국가별 유지비용 정보를 수신하고, 연차 항목에 대한 클릭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26에 도시된 수정화면이 팝업 디스플레이되며, S100 단계는 이러한 비용 파라미터값에 대한 수정 정보를 수신한다.
도 25에 도시된 연차는 비용 예측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로부터 별도의 국가 선택이 없을 경우 1년 내지 25년차까지의 유지비용을 표시하고, 비용 예측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로부터 국가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국가의 연차에 따른 유지비용을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접수건에 대한 비용 발생일 및 비용 발생일에 매칭되는 비용 항목을 생성하고(S200), 이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S300), 이를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력 방법에 따라 출력하게 된다(S400).
도 28은 비용 예측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로부터 청구 구분, 발생 구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국내/해외, 출원국가, 일반출원 및 분할 출원 등 마스터 원부의 출원종류, 비용대분류 정보, 비용 상세항목 정보, 기간 설정 정보, 대리인 정보, 기업 규모 정보, 출력 방법 정보 등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청구 구분 선택 정보 및 발생 구분 선택 정보에 따라 예상 출원 정보에 대한 일련의 과정(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 중 선택된 과정에 대하여 책정된 비용 항목을 합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 방법으로는 건별, 연도별, 분기별, 월별, 일별 출력이 선택되며,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별 비용예측 결과 조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 비용예측 결과 조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별 비용예측 결과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리번호에 대한 클릭이 발생하는 경우 마스터원부를 팝업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비용 발생일은 비용 발생 로직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며, 비용 지급일은 비용 발생일로부터 기간별 대표값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향후 신규로 발생할 것이 예측되는 출원 건에 대한 관리번호는 정책 변수에 포함된 접수 건수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관리번호가 책정되어 도시되는데, 관리번호의 접두어인 PR을 XX로 변경하여 책정하는 등 구분 가능하도록 책정된다.
연도별 비용예측이 출력 조건으로 주어지는 경우, 결과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출원국가의 비용 대분류에 해당되는 각 비용의 상세항목 별로 연도별 합산 비용 정보를 도시한다.
또한, 비용예측 결과 조회 시에는 청구된 비용 중 지급이 완료되지 않은 건을 포함하여 리스트화하여 도시하되, 비용 발생일로부터 기간별 대표값에서 정한 일자를 합산한 날짜가 조회를 수행하는 현재일 이전인지, 이후인지 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리스트화하여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예측 결과를 출력함과 함께, 비용예측 처리 정보 및 오류 발생 정보를 출력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오류 조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예측 처리 결과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일자, 처리 시간 및 오류 내용에 대한 상세 정보가 화면에 출력되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비용 예측 이후 해당 처리에 소요된 시간, 처리된 건수 및 처리 결과(정상 처리, 오류 발생)를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전수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국가별 예상 출원 정보, 정책 변수, 환율 정보, 출원 비용 및 유지 비용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 예측 관리자 단말은 서버에 접속하여,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수검사가 실행되는 시각, 예측을 요하는 항목, 비용지급일에 관한 선택 정보를 입력하고, 진행 상태 정보, 진행율, 최종 작업 일시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
200: 서버
201: 특허비용예측서버 데이터베이스 ROM
202: 특허비용예측서버 데이터베이스 RAM
203: 특허비용예측서버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
204: 특허비용예측서버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
210: 데이터 입력부
220: 테이블 작성부
230: 출력부
250: 특허관리시스템
251: 특허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ROM
252: 특허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RAM
253: 특허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
254: 특허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

Claims (32)

  1. (a) 데이터 입력부가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용 예측을 위한 설정값으로 수신하는 단계;
    (b) 테이블 작성부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상기 설정값을 수신하여, 기접수건 및 미래 접수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건 정보의 상태에 따른 기준일로부터 특허 업무 프로세스의 일련의 이벤트에 대한 기간별 소요 기간을 더하여, 각 단계별 예상 소요일을 고려한 미래의 비용 발생일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각각의 상기 비용 발생일에 매칭되는 비용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테이블 작성부가, 상기 사건 정보에 대한 상기 비용발생일 및 해당 일자의 항목별 비용 정보에 따른 발생 비용을 포함하는 필드값을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d) 상기 테이블 작성부가, 상기 비용 발생일 및 발생 비용 이외의 다른 필드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및
    (e) 출력부가, 비용예측 기간의 시작일 및 종료일에 관한 출력 조건에 따라 상기 필드값이 기록된 테이블을 조회하여, 상기비용예측 기간에 해당하는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허 비용 예측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공통 정책 변수값으로서 국가별 접수건을 수신하되, 상기 국가별 접수건은 국가별 카테고리 별로 설정되는 접수 기간 내에 해당되는 접수건인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국가별 정책 변수값으로서 접수건수 대비 취하건수를 나타내는 취하율, 출원건수 대비 포기건수를 나타내는 포기율 및 출원건수 대비 중간사건 발생건수를 나타내는 중간사건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정책 변수값을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 기간별 대표값을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으로써 통화단위 및 이에 대한 환율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기분류된 항목별 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을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발생일은 상기 사건 정보의 기준일에 대하여 상기 기간별 대표값에 해당하는 기간이 적용되어 생성되며, 상기 발생 비용은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 중 상기 비용 발생일의 항목에 매칭되는 비용인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기간별 대표값의 입력에 있어서, 조회기간에 따른 기간 통계값을 조회하여 이를 입력에 적용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의 입력에 있어서, 조회기간에 따른 비용 통계값을 조회하여 이를 입력에 적용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접수건의 사건 정보는, 출력 조건에 포함된 조회 기간 내에 비용이 발생하는 사건에 관한 정보인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용 발생일 및 상기 비용 발생일에 매칭되는 비용 항목을 계산하여 발생 비용을 예측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필드의 조합으로 생성된 출력 조건에 따라 검색하여, 비용을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출력 조건으로 주어지는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용 항목의 예측 비용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테이블에 있는 필드가 조합된 상기 출력 조건에 따라 기간별로 비용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방법.
  16.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용 예측을 위한 설정값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상기 설정값을 수신하여, 기접수건 및 미래 접수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건 정보의 상태에 따른 기준일로부터 특허 업무 프로세스의 일련의 이벤트에 대한 기간별 소요 기간을 더하여, 각 단계별 예상 소요일을 고려한 미래의 비용 발생일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각각의 상기 비용 발생일에 매칭되는 비용항목을 생성하여, 상기 사건 정보에 대한 비용 발생일 및 해당 일자의 항목별 비용 정보에 따른 발생비용과 그 이외의 다른 필드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테이블 작성부; 및
    비용 예측 기간의 시작일 및 종료일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조회하여, 상기 비용 예측 기간에 해당하는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특허 비용 예측 서버.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정책 변수값으로써 국가별 접수건 정보를 수신하되, 각 국가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접수 건수 및 접수 기간을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정책 변수값으로써 상기 접수건에 대하여 취하율, 포기율 및 중간사건 발생 횟수를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 기간별 대표값을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이벤트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항목별 비용 정보를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으로써 수신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발생일은 상기 사건 정보의 기준일에 대하여 상기 기간별 대표값에 해당하는 기간이 적용되어 생성되며, 상기 발생비용은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 중 상기 비용 발생일의 항목에 매칭되는 비용인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기간별 대표값의 입력에 있어서, 조회 기간에 따른 기간 통계값을 조회하여 이를 입력에 적용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의 입력에 있어서, 조회기간에 따른 비용 통계값을 조회하여 이를 입력에 적용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작성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비용 발생일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비용 발생일에 산출되는 비용 항목을 필드값으로 포함하는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접수건의 사건 정보는 출력 조건에 포함된 조회 기간 내에 비용이 발생하는 사건에 관한 정보인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필드의 조합으로 생성된 출력 조건에 따라 검색하여, 비용을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테이블 작성부가 작성한 테이블에 따라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특허 비용 예측 결과 산출에 대한 처리 일자, 처리 시간 및 오류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서버.
  29. 관리자 계정으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과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전송되는 상기 정책 변수값, 기간별 대표값 및 비용 파라미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용 예측을 위한 설정값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기접수건 및 미래 접수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건 정보의 상태에 따른 기준일로부터 특허 업무 프로세스의 일련의 이벤트에 대한 기간별 소요 기간을 더하여, 각 단계별 예상 소요일을 고려한 미래의 비용 발생일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각각의 비용 발생일 및 그와 매칭되는 비용 항목에 대한 발생 비용을 테이블에 기록하고, 관리자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인증이 완료된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따라 비용 예측 기간의 시간일 내지 종료일에 관한 출력 조건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조회하여, 상기 비용 예측 기간에 해당하는 특허 비용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공통 정책 변수값으로서 국가별 접수건을 수신하고, 국가별 정책 변수값으로서 취하율, 포기율 및 출원건수 대비 중간사건 발생 횟수를 입력 받고, 상기 기간별 대표값으로써 접수, 출원, 심사청구, 중간사건 발생, 대응, 등록 유지의 일련의 이벤트에 대한 기간 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항목별 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용 파라미터값을 입력 받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청구 구분에 대한 선택 정보, 발생 구분에 대한 선택 정보에 따라 특허 업무 프로세스의 단계별 비용 항목에 대한 테이블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계별 비용 항목에 대하여 기설정된 분류에 따라 항목별 예상 발생 비용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비용 예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력 방법에 따라 출력하는 것
    인 특허 비용 예측 시스템.
KR1020150101771A 2015-01-22 2015-07-17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64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97,499 US20160217212A1 (en) 2015-01-22 2016-01-16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estimating patent prosecution related activity
EP16152045.7A EP3048568A1 (en) 2015-01-22 2016-01-20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estimating patent prosecution related a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0646 2015-01-22
KR1020150010646 2015-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28A KR20160090728A (ko) 2016-08-01
KR101649205B1 true KR101649205B1 (ko) 2016-08-18

Family

ID=567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71A KR101649205B1 (ko) 2015-01-22 2015-07-17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2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318A (ja) * 2003-10-14 2005-05-12 Nec Corp 特許情報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885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포스팻 지식재산 관리 시스템
KR20120030837A (ko) * 2010-09-20 2012-03-29 공준상 특허 데이타베이스와 연동된 클라이언트를 사용한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3074B1 (ko) * 2010-11-02 2013-11-26 (주)광개토연구소 특허 평가 모델 생성 방법, 특허 평가 방법, 그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기록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318A (ja) * 2003-10-14 2005-05-12 Nec Corp 特許情報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28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4725A1 (en) Computer implemented multi-currency invoice capture, trading, access and payment system
US200903194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US7835921B1 (en) Patient credit balance account analysis, overpayment reporting and recovery tools
US20090089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US106792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revenue
US118167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rvice provider of a retirement plan
US200602533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management of insurance claims and property
US20180218451A1 (en) Intellectual property portfolio management system
US20240062258A1 (en) Comput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a plurality of timekeeping entries
JP2007514220A (ja) コンピュータベース処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プロバイダとクライアントとの間のサービスを処理する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
US20130144782A1 (en) Electronic invoice paymen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281917A1 (en) Review portal
JP2011081831A (ja) 賃金支払装置と賃金支払方法、及び賃金支払プログラム
CN106463025B (zh) 用于分析电子法律发票数据的系统
EP3048568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estimating patent prosecution related activity
KR101649205B1 (ko) 특허 비용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120011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s management
WO20091488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uation services information management
CN101042759B (zh) 具有文档跟踪特性的施工支付管理系统及方法
CN112184416A (zh) 司法冻结体系的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909294A (zh) 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
US20150112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rvice provider of a retirement plan
JP6698228B2 (ja) 案件および企業グループベースのリスク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266675A1 (en) Methods, system, application for medical mileage transportation tracking and reimbursement
Bullock Delaware Division of Corpo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