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69B1 - 접철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69B1
KR101649069B1 KR1020150023937A KR20150023937A KR101649069B1 KR 101649069 B1 KR101649069 B1 KR 101649069B1 KR 1020150023937 A KR1020150023937 A KR 1020150023937A KR 20150023937 A KR20150023937 A KR 20150023937A KR 101649069 B1 KR101649069 B1 KR 10164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use state
unit
visual fiel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02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사용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시 각도 및 높이에 대상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접철된 상태인 비사용상태로 변경되어 보관가능하도록 하는 접철식 거치대에 있어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그립하는 대상물거치부; 상기 대상물거치부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고정부; 상기 거치부고정부가 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고정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거치부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사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상물에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차단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각각의 하측단의 이격거리가 각각의 상측단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되어 상기 지지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거치대{Collapsible fixation unit}
본 발명은 접철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 등을 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접철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철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및 패드의 보급으로 사용자들은 많은 정보를 습득하는 동시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술한 전자기기 등을 장시간 이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에 부응하도록 전자기기 등을 보급하는 회사들은 경박단소를 모토로 삼아 작고, 가벼운 사용자 중심적인 전자기기 등을 쏟아 내었으나,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일정하지 않은 자세와 전자기기 등의 무게로 인하여 팔 저림과 목 통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거치된 전자기기의 각도 조절 및 높이 조절의 한계와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응시 각도 및 높이에 전자기기 등을 거치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작으로 상기 응시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중심적이며, 사용 후에는 적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접철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접철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사용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시 각도 및 높이에 대상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접철된 상태인 비사용상태로 변경되어 보관가능하도록 하는 접철식 거치대에 있어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그립하는 대상물거치부; 상기 대상물거치부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고정부; 상기 거치부고정부가 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고정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거치부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사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상물에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차단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각각의 하측단의 이격거리가 각각의 상측단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되어 상기 지지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의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1 시야차단부 및 상기 제1 시야차단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2 시야차단부 및 상기 제2 시야차단부의 하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시야차단부와 제2 시야차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이격거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폭을 결정하며, 바닥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강성보강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시야차단부와 상기 제2 시야차단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대향면과 상기 비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대향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음원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는 상기 대상물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대상물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력공급단자;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으로 거치된 전자기기 등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후에 적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접철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조작이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영상 및 음향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에 제공되는 대상물거치부 및 거치부고정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에 제공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거치부 및 거치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단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차단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에 제공되는 대상물거치부 및 거치부고정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에 제공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1)는 사용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시 각도 및 높이에 대상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접철된 상태인 비사용상태로 변경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노트북, 태블릿 PC, 핸드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대상물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에서 시청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대상물 거치대일 수 있다.
상기 사용상태란 상기 접철식 거치대(1)에 상기 대상물을 거치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상기 비사용상태란 상기 접철식 거치대(1)로부터 거치된 상기 대상물을 제거한 후, 소정의 과정에 의해 상기 접철식 거치대(1)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도록 접철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접철식 거치대(1)는 대상물거치부(10), 거치부고정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거치부(10)는 상기 대상물에 접촉되어 상기 대상물을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12) 및 상기 그립부(12)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그립부(12)의 일부가 은닉 또는 노출되도록 하는 그립부수용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는 상기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그립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일종의 갈고리 형상을 띨 수 있으며, 상기 양 끝단이 굴곡진 정도는 상기 그립부(12)에 그립되는 대상물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그립부수용부(14)는 상기 그립부(12)가 상기 그립부수용부(14)의 중앙부를 향해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12)를 상기 그립부수용부(14)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벌어진 상기 그립부(12) 사이에 상기 대상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그립부수용부(14)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 상기 그립부(12)가 상기 대상물을 그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고정부(20)는, 상기 대상물거치부(10)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1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대상물거치부(10)와 상기 지지부(30)에 동시에 체결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10)가 상기 지지부(30)를 기준으로 회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거치부고정부(20)가 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고정부(20)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고정부(2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거치부고정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사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0)의 길이 조절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개의 바(BAR) 중 단면적이 작은 바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바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구현되는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지지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30)의 폭을 결정하며, 바닥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30)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보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보강부(60)는 상기 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지지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상물로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40) 및 제2 차단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1 차단부(40)와 상기 제2 차단부(50) 사이에 머리를 위치시킨 후, 상기 대상물거치부(10)에 그립된 상기 대상물을 응시하면,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가 좌측 및 우측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대상물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각각의 하측단 및 각각의 상측단의 이격거리가 동일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부(30)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각각의 하측단의 이격거리가 상기 각각의 상측단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되어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함으로써, 각각의 상측단과 각각의 하측단의 이격거리가 동일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는 각각의 일정부분 또는 전체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40)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1 시야차단부(42) 및 상기 제1 시야차단부(42)의 하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부(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야차단부(42)는, 상기 지지부(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차단부(40)와 상기 제2 차단부(50) 사이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거치부(10)에 거치된 상기 대상물을 응시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의 우측 시야를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44)는, 상기 제1 시야차단부(42)의 하측단으로부터 외측 즉, 상기 제2 차단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부(50)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2 시야차단부(52) 및 상기 제2 시야차단부(52)의 하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야차단부(52)는, 상기 지지부(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좌측 시야를 가리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부(54)는, 상기 제2 시야차단부(52)의 하측단으로부터 내측 즉, 상기 제1 차단부(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44) 및 상기 제2 연장부(54)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시야차단부(42) 및 상기 제2 시야차단부(52)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되어,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의 하부측(제1 연장부(44) 및 상기 제2 연장부(54))이 상부측(제1 시야차단부(42) 및 제2 시야차단부(52))보다 차지하는 부피가 크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부(30)가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거치부 및 거치부고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지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단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차단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철식 거치대(1)가 사용상태에서 비사용상태로 작동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상태(도 4의 a)에서 대상물거치부(10)에 거치된 대상물을 제거한 후, 상기 거치부고정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치부고정부(20)의 회전방향은 제1 차단부(40) 및 제2 차단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회전(도 4의 b)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고정부(20)의 회전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회전고정부(미도시)의 조절을 통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고정부(20)가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지지부(30)와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으며, 상기 지지부(30)에 안착(도 4의 c)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고정부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고정부(20)가 상기 지지부(30)에 접촉되도록 회전 완료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지지부(30)의 높이를 낮추어 상기 접철식 거치대(1)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의 높낮이 조절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30)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도 5 참조)에서, 상기 제1 차단부(40)를 상기 지지부(30)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차단부(40)의 회전 방향은 상기 제2 차단부(50)를 향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부(40)는 상기 제2 차단부(50)와 대략 수직한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44)가 상기 강성보강부(60)와 접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차단부(40)가 회전이 완료(도 6 참조)된 후, 상기 제2 차단부(50)가 상기 지지부(3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차단부(50)의 회전 방향은 상기 제2 차단부(50)의 끝단이 상기 제1 차단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차단부(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부(50)는 상기 강성보강부(60)가 상기 제2 차단부(50)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차단부(50)가 일방향 즉, 상기 제2 차단부(50)의 끝단이 상기 제1 차단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만약 상기 제2 차단부(50)가 본 발명과는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을 시도하면, 상기 강성보강부(60)에 의해 회전에 방해를 받게 되어 상기 제1 차단부(40)와 평행하도록 중첩되게 배치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차단부(50)는 상기 강성보강부(60)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부(50)의 끝단이 상기 제1 차단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강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의 대향면은 상기 비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의 대향면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와 상기 제2 차단부(50)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지지부(30)를 기준으로 회전된 상기 비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40)와 상기 제2 차단부(50)가 마주보는 면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제1 차단부(40) 및 상기 제2 차단부(5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대상물이 제공하는 음원을 제공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식 거치대(1)는 상기 대상물거치부(10)로부터 상기 지지부(30)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10)에 그립되는 상기 대상물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대상물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력공급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전력공급단자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사용상태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철식 거치대(10)에 거치된 상기 대상물이 지면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을 볼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상기 대상물이 상기 지면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고정부(20)를 회전(도 1의 거치부고정부의 위치에서 대략 180도 회전)시키고, 제1 차단부(40) 및 제2 차단부(50) 또한 회전(도 1의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의 위치에서 대략 180도 회전)시켜, 사용자가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접철식 거치대
10: 대상물거치부
12: 그립부
14: 그립부수용부
20: 거치부고정부
30: 지지부
40: 제1 차단부
42: 제1 시야차단부
44: 제1 연장부
50: 제2 차단부
52: 제2 시야차단부
54: 제2 연장부
60: 강성보강부

Claims (8)

  1. 사용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시 각도 및 높이에 대상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접철된 상태인 비사용상태로 변경되어 보관가능하도록 하는 접철식 거치대에 있어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그립하는 대상물거치부;
    상기 대상물거치부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거치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고정부;
    상기 거치부고정부가 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고정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거치부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사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상물에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차단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각각의 하측단의 이격거리가 각각의 상측단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되어 상기 지지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1 시야차단부 및 상기 제1 시야차단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측 시야를 차단하는 제2 시야차단부 및 상기 제2 시야차단부의 하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시야차단부와 제2 시야차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이격거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폭을 결정하며, 바닥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비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강성보강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시야차단부와 상기 제2 시야차단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대향면과 상기 비사용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대향면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음원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대상물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력공급단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거치대.
KR1020150023937A 2015-02-17 2015-02-17 접철식 거치대 KR101649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37A KR101649069B1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37A KR101649069B1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069B1 true KR101649069B1 (ko) 2016-08-17

Family

ID=5687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937A KR101649069B1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58B1 (ko) 2021-10-08 2023-03-08 문성원 회전 각도 조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734B1 (ko) * 1998-05-26 2001-01-15 전창림 독서대
KR200437418Y1 (ko) * 2007-02-07 2007-11-29 옥천석 독서대
KR20090007271U (ko) * 2008-01-15 2009-07-20 김대윤 절첩식 독서실 칸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734B1 (ko) * 1998-05-26 2001-01-15 전창림 독서대
KR200437418Y1 (ko) * 2007-02-07 2007-11-29 옥천석 독서대
KR20090007271U (ko) * 2008-01-15 2009-07-20 김대윤 절첩식 독서실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58B1 (ko) 2021-10-08 2023-03-08 문성원 회전 각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US8783641B2 (en)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18897A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125469A (ko) 사용자 기기의 외장 커버
US8844448B2 (en) Neck harness sling hand free reversible desk
CN110799788B (zh) 云台手柄和手持云台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120135978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649069B1 (ko) 접철식 거치대
KR20180097420A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KR20120007453U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US20150346777A1 (en) Protective frame and stan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CN103425196A (zh) 电子装置
KR101148150B1 (ko)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101183408B1 (ko) 휴대가능한 단말기 거치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110131066A (ko) 힌지장치
WO2015139227A1 (zh) 用于平板电脑的便携式可延展托架
CN213207150U (zh) 移动终端支架
KR200475759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79930Y1 (ko) 휴대용 거치대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16715761U (zh) 一种旋转调节机构、保护壳以及电子设备
JP2016206448A (ja) 携帯式電子機器のスタンド構造、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