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941B1 - 욕창 방지 휠체어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941B1
KR101648941B1 KR1020140144081A KR20140144081A KR101648941B1 KR 101648941 B1 KR101648941 B1 KR 101648941B1 KR 1020140144081 A KR1020140144081 A KR 1020140144081A KR 20140144081 A KR20140144081 A KR 20140144081A KR 101648941 B1 KR101648941 B1 KR 10164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piston
wheel
unit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764A (ko
Inventor
김한성
김동현
정영진
최봉식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9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4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depth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욕창 방지 휠체어는, 시트부의 일부를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둔부 결절 주변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둔부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창 방지 휠체어{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본원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욕창이란 우리 몸의 어느 부위든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주로 뼈의 돌출부에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안 되어 조직이 죽어 발생한 궤양(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욕창은 일정 시기가 지나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2010), 욕창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속적으로 자세를 바꿔줌으로써 한 부위만 오래 눌려 혈액 순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휠 체어에서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0360호는 욕창 방지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좌석부 상부에 제 1 베이스판이 형성되고, 등받이 전면에는 제 2 베이스판이 형성되고, 제 1 베이스판은 상면 후방측에 한쌍의 둔부에어부재와 상면 전방측 중앙에 돌출에어부재의 양측에 각각 대퇴부 에어부재를 형성하고, 제 2 베이스판은 하부 양측에 보조 에어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보조 에어부재 사이에 허리 에어부재를 형성하며, 제 1 에어쿠션부재와 제 2 에어쿠션부재에 포함된 각각의 에어부재들은 6개의 에어라인에 연결되고, 좌석부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는 각각의 에어부재로 공기를 공급하는 욕창 방지용 휠체어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109430호는 휠체어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 및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은 다수의 통기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그물의 형태이며, 등받이 및 좌석에는 좌우 대칭으로 장착된 다수의 압력감지센서 및 압력감지센서에 의하여 어느 한쪽에 과도한 한 체압이 가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체압 조절 장치를 통해 실런더의 축에 설치된 압력면을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체압이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디스플레이는 휠체어의 양측 손걸이 중 일측과 연결되어 사람의 윤곽을 표시하고, 압력감지센서가 위치하는 부분을 표시하여 압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적응형 욕창방지 휠체어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방석 및 에어 쿠션이 다수이며, 이외에 전기적인 모니터링 및 시트의 움직임을 유발 할 수 있는 휠체어가 있으나 고가의 센서들과 실린더 및 베터리 무게 등을 포함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13-0161331호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한 욕창 방지 휠체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욕창 방지 휠체어는 웜기어, 회전기어 등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장치 규모가 과대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회전기어의 회전 구동이 동심원 형태의 캠 단면의 높낮이에 따라 승하강부의 승하강 구동으로 전환되면서 일정 이상의 마찰이 발생하기 쉬워, 바퀴의 구동력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려웠고, 마찰부의 마모로 인해 잦은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측면 또한 있었다.
본원은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휠체어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욕창을 방지하되, 바퀴의 구동력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보다 간명한 구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욕창 방지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원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바퀴의 구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반복적으로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피스톤 기구와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 및 상기 바퀴의 회전 운동을 상기 크랭크 기구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벨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는, 상부가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며, 하부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승하강되는 피스톤 기구를 구비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바퀴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 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된 크랭크 유닛에 편심된 상태로 힌지 연결된 상기 피스톤 기구에 의해, 접촉하는 상기 시트부를 반복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욕창 방지 휠체어가 피스톤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피스톤 기구의 상하 운동을 통해 이용자의 둔부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둔부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구동력 전달 구조로서, 바퀴의 회전력을 다른 방향으로의 변환없이 동일한 회전력으로 온전히 전달하는 벨트 기구, 크랭크 유닛, 및 크랭크 유닛과 편심 연결되는 피스톤 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인 메커니즘 방식의 욕창 방지 휠체어에 비해 부피와 무게를 크게 줄이고 부품들이 단순화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를 측면에서 바라보되, 기어박스 및 그 내부 중 일부 구성은 파선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의 바퀴 구동력이 피스톤 유닛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의 바퀴의 회전 운동이 크랭크 유닛을 통해 피스톤 기구의 승하강 운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이하 '본 욕창 방지 휠체어 '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100)를 측면에서 바라보되, 기어박스(5) 및 그 내부 중 일부 구성은 파선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본 욕창 방지 휠체어(100)는 메인 프레임(1), 바퀴(2), 구동력 전달부(3) 및 시트부(4) 및 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은 휠체어의 뼈대 구조를 일컫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메인 프레임(1)에는 바퀴(2), 시트부(3)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은 휠체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퀴(2)는 메인 프레임(1)에 설치된다.
바퀴(2)는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주 바퀴(21)와 방향을 전환시키는 보조 바퀴(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바퀴(2)는 복수 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테면, 바퀴(2)는 4개일 수 있다.
시트부(3)의 상부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시트부(3)는 구동력 전달부(4)와 연결되어 반복적으로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기구(31)를 구비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100)의 바퀴(2) 구동력이 피스톤 유닛(31a)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스톤 기구(31)는 시트부(3)의 하부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승하강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피스톤 기구(31)는 후술할 구동력 전달부(4)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피스톤 기구(31)는 4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4개의 피스톤 기구(31)는 2열 및 2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을 조합하여 피스톤 기구(31)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에 대한 고른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피스톤 기구(31)의 개수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욕창 방지의 효율성, 구동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3)는 메인 프레임(1)에 설치된다.
구동력 전달부(4)는 바퀴(2)의 구동력을 시트부(3)로 전달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력 전달부(4)는 피스톤 기구(31)와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41) 및 바퀴(2)의 회전 운동을 크랭크 기구(41)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벨트 기구(43)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력 전달부(4)는 시트부(3)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동력 전달부(4)는 바퀴(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 축(411)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된 크랭크 유닛(412)에 편심된 상태로 힌지 연결된 피스톤 기구(31)에 의해 접촉하는 시트부(3)를 반복적으로 승하강 시킨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벨트 기구(43)는 크랭크 기구(41)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바퀴(2)의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크랭크 기구(41)는 크랭크 기구(41)의 회전운동을 피스톤 기구(31)가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주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본원에 의하면, 피스톤 기구(31)와 벨트 기구(43)를 유기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바퀴(2)의 회전 운동이 시트부(3)의 하측에 위치한 크랭크 기구(41)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크랭크 기구(41)의 회전 운동이 다시 피스톤 기구(31)에 의해 시트부(3)의 승하강 운동(상하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어, 종래의 욕창 방지 휠체어(100)에 비해 훨씬 간명한 구조이면서도 반복적인 작용시에 고장의 우려도 적다.
벨트 기구(43)를 통해 바퀴(2)의 회전력이 크랭크 기구(41)로 전달되면 그에 따라 피스톤 기구(31)가 왕복 운동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간명한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무게가 줄어들며, 크기도 컴팩트해지고, 부속품(구성)들도 더 간명해지고 작아지며, 큰 스케일을 갖는 구성이 필요없다. 아울러, 주 바퀴(21)와 같은 바퀴(2)의 구동력을 사용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종래의 욕창 방지 휠체어(100)에 비해 더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욕창 방지 휠체어(100)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크랭크 기구(41)는 벨트 기구(43)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크랭크 축(411) 및 크랭크 축(411)에 장착되는 크랭크 유닛(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축(411)은 벨트 기구(41)와 연결되어 바퀴(2)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크랭크 축(411)의 개수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크랭크 축(411)은 2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크랭크 축(411)의 개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둔부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보다 넓은 범위를 가압하고자 한다면, 크랭크 축(411)은 셋 이상이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크랭크 유닛(412)은 피스톤 기구(31)와 크랭크 축(411)을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크랭크 유닛(412)은 크랭크 축(411)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 유닛(412)는 크랭크 축(411)마다 2개씩 총 4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크랭크 유닛(412)의 개수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크랭크 유닛(412)은 크랭크 축(41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기구(31)는 복수 개의 크랭크 유닛(412) 각각에 힌지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크랭크 축(411)은 서로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크랭크 축(411)은 하나이고, 크랭크 유닛(412)은 하나의 크랭크 축(411)에 복수 개 배치되는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크랭크 축(411)은 복수 개이고, 크랭크 유닛(412)은 각각의 크랭크 축(411)마다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면을 참조하면, 크랭크 축(411)은 복수 개이고, 크랭크 유닛(412)은 복수 개의 크랭크 축(411)마다 복수 개 배치되는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 휠체어(100)의 바퀴(2)의 회전 운동이 크랭크 유닛(412)을 통해 피스톤 기구(31)의 승하강 운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크랭크 유닛(412)은 제 1크랭크 암(412a), 제2 크랭크 암(412b), 및 크랭크 핀(412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크랭크 암(412a)과 제 2크랭크 암(412b)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크랭크 축(4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핀(412c)은 크랭크 축(411)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제 1크랭크 암(412a)과 제 2크랭크 암(412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제 1크랭크 암(412a)과 제 2크랭크 암(412b)은 크랭크 핀(412c)을 통해 연결되며, 제1 크랭크 암(412a)과 제2 크랭크 암(412b) 사이에는 피스톤 기구(31)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크랭크 축(411)은 형성되지 않는다.
즉, 크랭크 축(411)은 크랭크 축(411)의 회전 시 크랭크 축(411)과 피스톤 기구(31)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크랭크 유닛(412)의 외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크랭크 핀(412c)은 피스톤 기구(31)(이를 테면 커넥팅 로드(31b)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피스톤 기구(31)는 크랭크 축(411)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크랭크 유닛(412)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바퀴(2)의 회전력은 바퀴 축(42)을 통해 벨트 기구(43)로 전달되고, 벨트 기구(43)는 이러한 회전력을 다시 크랭크 축(4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크랭크 축(411)이 회전하였을 때 제 1크랭크 암(412a)과 제 2크랭크 암(412b)이 함께 회전되고, 제 1크랭크 암(412a)과 제 2크랭크 암(412b) 사이에 개재된 크랭크 핀(412)도 함께 회전되면서 피스톤 기구(31)에 구동력을 전달될 수 있다. 크랭크 핀(412)은 크랭크 축(411)에 대하여 편심 배치된 상태이므로, 크랭크 핀(412)과 힌지 연결된 피스톤 기구(31)는 크랭크 핀(412)의 회전과 연동하여 승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2), 벨트 기구(43), 크랭크 기구(41) 및 피스톤 기구(31)가 유기적으로 연동함으로써, 바퀴(2)의 회전 구동에 따라 피스톤 기구(31)가 반복적인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휠체어에 안착하고 있어도 둔부에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해 줄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크랭크 유닛(412)은 복수 개의 피스톤 기구(31)의 상하 운동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크랭크 유닛(412)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크랭크 유닛(412) 중 다른 하나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피스톤 기구(3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좌측의 크랭크 유닛(412)의 경우, 크랭크 핀(412c)이 시계 방향 기준 12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의 크랭크 유닛(412)의 경우, 크랭크 핀(412c)이 시계 방향 기준 7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소정의 회전 각도(약 210도)만큼 크랭크 유닛(412)이 회전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크랭크 유닛(412)의 경우, 크랭크 핀(412c)이 시계 방향 기준 5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우측의 크랭크 유닛(412)의 경우, 크랭크 핀(412c)이 시계 방향 기준 12시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크랭크 핀(412c)의 위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피스톤 기구(31) 중 둘 이상이 서로 교번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랭크 유닛(412)에 대한 피스톤 기구(31)의 힌지 연결 위치를 각각 달리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크랭크 유닛(412)에 힌지 연결된 피스톤 기구(31)는 이러한 힌지 연결 위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가지고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둔부에 집중되어 있던 압력 분포를 둔부의 부위마다 번갈아가며 변화시킬 수 있어, 둔부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피스톤 기구(31)는 일단이 크랭크 핀(412c)과 힌지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31b) 및 커넥팅 로드(31b)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피스톤 유닛(3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커넥팅 로드(31b)는, 그 하단(일단)이 크랭크 핀(412c)을 통해 크랭크 유닛(412)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그 상단(타단)이 피스톤 유닛(31a)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기구(31)는 크랭크 유닛(412)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랭크 유닛(412)이 크랭크 축(411)마다 2개씩 구비되면, 피스톤 기구(31)도 이에 맞추어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3)는 피스톤 기구(31)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2)에는 피스톤 유닛(31a)의 외주에 대응하는 가이드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22)를 통해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홀(321)은 피스톤 유닛(31a)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홀(321)은 피스톤 유닛(31a)을 밀착하여 감싸기보다는 소정의 공차를 유지하며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유닛(31a)은 이러한 가이드 홀(321)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홀(321)은 피스톤 기구(31)의 횡 방향 이동을 구속하여 피스톤 기구(31)가 횡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3)는 기어박스(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어박스(5)는 피스톤 기구(31), 크랭크 기구(41)등의 구동력 전달 관련 구성들을 수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이드부(32)는 이러한 기어박스(5)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2)는 기어박스(5)에서 상측 커버부를 담당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벨트 기구(43)는 바퀴(2)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바퀴 풀리(43a), 크랭크 기구(41)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크랭크 풀리(43b) 및 바퀴 풀리(43a)의 회전을 크랭크 풀리(43b)로 전달하는 벨트(4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풀리(43b)는 벨트(43c)에 의해 바퀴 풀리(43a)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바퀴 풀리(43a)는 바퀴 축(4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바퀴(2)가 회전하면 바퀴 축(42)과 함께 바퀴 풀리(43a)가 회전하고, 바퀴 풀리(43a)의 회전은 벨트(43c)를 통해 크랭크 풀리(43b)로 전달된다. 아울러, 크랭크 풀리(43b)가 회전하면 크랭크 축(411)과 함께 크랭크 유닛(412)도 회전하고, 크랭크 유닛(412)과 힌지 연결된 피스톤 기구(31)에 바퀴(2)(예를 들어, 주 바퀴(2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피스톤 기구(31)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피스톤 기구(31)는 서로 번갈아가며 승하강 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바퀴 풀리(43a)는 바퀴 축(42)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벨트 기구(43)는 바퀴(2)의 회전력을 복수 개의 크랭크 축(411) 각각에 대하여 전달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욕창 방지 휠체어 1 : 메인프레임
2 : 바퀴 21 : 주 바퀴
22 : 보조 바퀴 3 : 시트부
31 : 피스톤 기구 31a : 피스톤 유닛
31b : 커넥팅 로드 32 : 가이드부
321 : 가이드 홀 322: 가이드부재
4 : 구동력 전달부 41 : 크랭크 기구
411 : 크랭크 축 412 : 크랭크 유닛
412a : 제 1크랭크 암 412b : 제 2크랭크 암
412c : 크랭크 핀 42 : 바퀴 축
43 : 벨트 기구 43a : 바퀴 풀리
43b : 크랭크 풀리 43c : 벨트
5 : 기어박스

Claims (11)

  1. 욕창을 방지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바퀴의 구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반복적으로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기구 및 상기 피스톤 기구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피스톤 기구와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 및
    상기 바퀴의 회전 운동을 상기 크랭크 기구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벨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기구는, 상기 벨트 기구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상기 바퀴의 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에 장착되는 크랭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기구는,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바퀴 풀리, 상기 크랭크 기구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크랭크 풀리 및 상기 바퀴 풀리의 회전을 상기 크랭크 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기구는 상기 크랭크 축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상기 크랭크 유닛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크랭크 유닛은, 제1 크랭크 암, 상기 제1 크랭크 암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2 크랭크 암 및 상기 크랭크 축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상기 제1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크랭크 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피스톤 기구와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 핀을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축은,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시 상기 크랭크 축과 상기 피스톤 기구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크랭크 유닛의 외측에만 형성되는 것인 욕창 방지 휠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기구는,
    일단이 상기 크랭크 핀과 힌지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및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피스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피스톤 유닛의 외주에 대응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승하강되는 것인 욕창 방지 휠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유닛은 상기 크랭크 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크랭크 유닛 각각에 힌지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인 욕창 방지 휠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은 서로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벨트 기구는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복수 개의 상기 크랭크 축 각각에 대하여 전달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인 욕창 방지 휠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유닛 및 상기 크랭크 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피스톤 기구는 복수 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크랭크 유닛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상기 크랭크 유닛 중 다른 하나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기구와 힌지 연결되는 것인 욕창 방지 휠체어.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44081A 2014-10-23 2014-10-23 욕창 방지 휠체어 KR10164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81A KR101648941B1 (ko) 2014-10-23 2014-10-23 욕창 방지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81A KR101648941B1 (ko) 2014-10-23 2014-10-23 욕창 방지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64A KR20160047764A (ko) 2016-05-03
KR101648941B1 true KR101648941B1 (ko) 2016-08-17

Family

ID=5602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81A KR101648941B1 (ko) 2014-10-23 2014-10-23 욕창 방지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48B1 (ko) 2019-07-10 2019-12-11 이윤채 자가발전을 통한 온열기능이 내재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KR102106279B1 (ko) 2019-09-17 2020-05-04 김하진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90Y1 (ko) 2001-05-08 2001-11-16 천봉우 에어 매트레스
KR101412731B1 (ko) *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욕창 방지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112A (en) * 1978-12-21 1980-06-25 Yaesu Rehabili Co Ltd Mat device for preventing bedsore
KR20030000265A (ko) * 2001-06-22 2003-01-06 박영고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90Y1 (ko) 2001-05-08 2001-11-16 천봉우 에어 매트레스
KR101412731B1 (ko) *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욕창 방지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48B1 (ko) 2019-07-10 2019-12-11 이윤채 자가발전을 통한 온열기능이 내재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KR102106279B1 (ko) 2019-09-17 2020-05-04 김하진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64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31B1 (ko) 욕창 방지 휠체어
US10595638B2 (en) Chair providing lifting force to the user
KR101656411B1 (ko) 욕창 방지 휠체어
US6139095A (en) Split seat pelvic mobilizing chair
CN106999338B (zh) 床架和具有该床架的床,其中床架具有按摩装置
CN103476336B (zh) 电致动器系统
JP2010075548A (ja) 装着式動作補助装置のフレーム構造。
KR101648941B1 (ko) 욕창 방지 휠체어
KR101911189B1 (ko) 개호용 베드
US20200022867A1 (en) Treatment unit and massage machine using treatment unit
JP2007000166A (ja) マッサージ機構とそ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機
EP1382320A1 (en) Massaging bed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20160089640A (ko) 욕창방지용 침대
KR101576594B1 (ko) 욕창 방지 장치
KR100981318B1 (ko) 의자
CN102631093A (zh) 座椅
CN114305970B (zh) 一种人体脊柱智能康复训练设备
WO2008105746A1 (en) Anti-bedsore bed
EP1954236A1 (en) Vibration device
EP2198750A1 (en) Relaxation apparatus
CN211750922U (zh) 一种护理学用手腕按摩装置
CN209004569U (zh) 背部康复椅
KR102657728B1 (ko) 안마장치
WO2019159811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WO2016117171A1 (ja) マッサージ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