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18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18B1
KR100981318B1 KR1020070135135A KR20070135135A KR100981318B1 KR 100981318 B1 KR100981318 B1 KR 100981318B1 KR 1020070135135 A KR1020070135135 A KR 1020070135135A KR 20070135135 A KR20070135135 A KR 20070135135A KR 100981318 B1 KR100981318 B1 KR 10098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plate
signal input
input uni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459A (ko
Inventor
양문석
Original Assignee
양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문석 filed Critical 양문석
Priority to KR102007013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의자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프레임의 일측에 일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좌판과, 상기 제1 좌판과 대응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의자프레임의 타측에 타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좌판을 포함하는 좌판; 상기 의자프레임의 후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봉에 설치되어 인체의 목 부분을 가압, 마사지하는 목 마시지장치; 및 상기 좌판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등받이설치축과, 인체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등받이설치축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등받이를 포함하는 등받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장치가 사용자의 등 부분을 한 쌍의 회전등받이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고,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이 두 개로 분리되어 보다 안착성과 통기성이 향상되고, 목 마사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목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장치 뿐만 아니라 좌판 또한 두 개로 분리 형성되므로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목 마사지장치, 회전등받이, 의자, 좌우 좌판

Description

의자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오랜 세월동안 인간의 필수 생활용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의자의 종류나 형상 또한 사용목적, 용도, 사용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의자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의 변형을 방지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등받이(12)가 두 개로 분리된 의자(10)가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10)는 척추의 변형방지와 교정에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만, 각종 스트레스에 따른 목 관절의 경직과 통증에 관해서는 전혀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고, 장시간의 착석에 따른 둔부나 등 부분의 경직과 누적된 피로는 해소할 수 없었다.
다만, 둔부나 등 부분의 경직과 피로를 해소하기 위한 용도로서, 안마 의자와 같은 의료용 의자들이 안출되어 있지만, 이러한 의자는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큰 설치공간이 요구되므로 사무용, 학습용 등의 목적으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고, 판매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의자들은 그 제작시에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 등 부분이 접촉되는 등판 등을 평균 체형을 기준을 제작되어 체형이 평균 이하이거나 이상인 사용자나 특정 신체 부분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가 발휘되도록 한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자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프레임의 일측에 일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좌판과, 상기 제1 좌판과 대응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의자프레임의 타측에 타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좌판을 포함하는 좌판; 상기 의자프레임의 후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봉에 설치되어 인체의 목 부분을 가압, 마사지하는 목 마시지장치; 및 상기 좌판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등받이설치축과, 인체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등받이설치축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등받이를 포함하는 등받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회전등받이는, 소정 각도범위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면을 형성하되, 서로 다른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마사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등받이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등받이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등받이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설치축에는 상기 회전등받이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하여 가요성을 갖도록 신축이음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등받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등받이설치축상에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설치축은 폭방향으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 좌판 및 제2 좌판은 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좌판지지부재상에 설치하되, 상기 좌판지지부재의 수평부에 상하방향으로의 가요성을 위한 제1 탄성체와, 수직부에 좌우방향으로의 가요성을 위한 제2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판과 상기 제2 좌판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마사지편을 포 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좌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좌판에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좌판에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목 마사지장치는, 목의 좌우에 밀착되어 가압력을 인가하는 좌우 가압몸체; 상기 좌우 가압몸체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가압몸체에 접 속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좌우 가압몸체가 내측으로 모아져 인체의 목 부분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가압력작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의 타측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봉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의 타측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봉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한 연결부재; 상기 지지봉상에 형성되는 래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승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몸체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압몸체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 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표면상에 인체의 목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마사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시지편은 옥, 인광석, 황토소성체, 세라믹소성체, 토르말린분말을 포함하는 결정체, 및 키토산분말을 포함하는 결정체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장치가 사용자의 등 부분을 한 쌍의 회전등받이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고,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이 두 개로 분리되어 보다 안착성과 통기성이 향상되고, 목 마사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목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장치 뿐만 아니라 좌판 또한 두 개로 분리 형성되므로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6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혼돈되지 않은 범위에서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서 의자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분이 밀착되는 등받이장치(100)와, 사용자가 안착되는 좌판(200), 및 사용자의 목 부분을 마사지하는 목 마사지장치(300)를 구비하되, 체형 조건에 제한됨이 없이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와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등받이장치(100)는, 의자프레임(400)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등받이설치축(110), 인체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등받이설치축(110)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등받이(120)를 구비한다.
좌판(200)은 의자프레임(400)의 일측에 일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좌판(210)과, 제1 좌판(210)과 대응되도록 의자프레임(400)의 타측에 타측 둔 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좌판(220)으로 구성된다.
목 마사지장치(300)는, 헤드레스트(HEADREST;500)의 설치를 위해 의자프레임(400)의 후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봉이나,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봉(390)상에 구성되어 인체의 목 부분을 가압, 마사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의자프레임(400)에는 좌판의 높낮이를 조정하도록 높이조절장치(610)와, 의자의 이동성을 위한 바퀴(620) 등을 포함하고,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600)가 구비되어있음은 물론이다. 그 외에도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장치(700)가 의자프레임(400) 또는 좌판(200)상에 구성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2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장치(100), 좌판(200), 및 목 마사지장치(300)가 단일의 의자에 모두 구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의자에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장치(100), 좌판(200), 및 목 마사지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등받이장치(100), 좌판(200), 및 목 마사지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등받이장치(100)는, 의자프레임(400)에 가요성을 갖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등받이설치축(110)과, 소정 각도범위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면(122)을 갖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등받이설치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등받이(120)를 구비한다.
이때, 회전등받이(120)에 형성되는 접촉면(122)은 인체의 등 부분과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등받이에 적용하는 형상의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각각의 접촉면(122)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면(122)은 통상적인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접촉면은 인체의 등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마시지 기능이 수행되는 접촉면(122)은 다수의 마사지편(800)을 부착하거나 회전등받이(120)의 내부에 매설할 수 있다.
이러한, 마시지편(800)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옥, 인광석, 황토소성체 및 세라믹소성체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사지편(800)의 형상은 인체의 등 부분과의 접촉시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곡면 구조로 형성한다.
그리고, 마사지편(800)은 음이온이 방사되는 토르말린, 키토산분말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결정체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천연물이나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등받이(120)의 내부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를 구비하여 마사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자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진동자의 온/오프, 강약의 조절, 작동시간 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구비한다. 신호입력부는 키버튼, 다이얼 버튼 등으로 구성하거나, 리모콘 시스템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신호입력부가 리모콘일 경우에는 회전등받이에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체의 등 부분을 보정하거나 마사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압축공기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회전등받이(120)에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와,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축공기발생장치로는 혈압계 등에 적용되는 소형 압축펌프가 바람직하고, 신호입력부는 진동자의 구동을 위해 적용되는 신호입력부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인체의 등 부분을 마사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적외선을 이용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회전등받이(120)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인체의 등 부분을 마사지를 위한 전술한 장치들에 요구되는 전원을 각 구성요소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구비된다. 전원부는 외부 상용전원에 어답터 등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거나,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등받이설치축(1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200)이 설치되는 바닥측 의자프레임(400)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헤드레스트(500) 또는 등받이의 설치를 위해 의자프레임(400)에 연설되는 지지봉(390)의 좌우측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등받이설치축(110)은 사용자의 등 부분이 회전등받이(12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작용되는 외력에 대응하여 회전등받이(120)가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등받이설치축(110)의 가요성을 위한 방식으로는, 이 등받이설치축(110) 자체, 또는 등받이설치축(110)과 의자프레임(400) 사이에 신축이음부재(900)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등받이설치축(110)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재(900)는 회전등받이(120)를 종축에 대해 가요성을 갖도록 하고, 등받이설치축(110)과 의자프레임(400)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재(900)는 회전등받이(120)를 종축에 대해 가요성을 갖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신축이음부재(900)는, 고탄성 고무재질로 형성된 고무탄성체로 구성하거나, 양쪽 고정판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결합하여 형성한 코일탄성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등받이(120)에는 그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130)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130)은 회전등받이(12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등받이(120)의 상면에 복수의 구속홈(132)을 형성하고, 등받이설치축(110)에 압입되는 고정부(134a)와 상기 구속홈(13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4b)가 형성된 고정캡(1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캡(134)을 등받이설치축(110) 깊숙이 삽입하게 되면 걸림돌기(134b)가 구속홈(132)에 삽입되면서 회전등받이(120)의 회전동작이 중지되고, 고정캡(134)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되면 걸림돌기(134b)가 구속홈(13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등받이(120)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고정부(134a)는 등받이설치축(110) 내부에 억지끼움 되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되는 등받이장치(100)는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등받이설치축(110)이 의자프레임(40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횡방향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등받이설치축(110)을 2개로 분리하되, 일측 등받이설치축(110)이 타측 등받이설치축으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대응되는 등받이설치축(110)에는 고정핀(116)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공(114)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등받이장치(100)가 한 쌍의 회전등받이(120)로 구성되고, 이 회전등받이(120)가 가요성을 갖도록 마련된 등받이설치축(110)상에 설치되므로, 인체의 체형 조건(등 부분 형태)에 제한됨이 없이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한 쌍의 좌우 회전등받이(120)에 의해 등 부분이 지지되므로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편(8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마사지기구가 회전등받이(120)에 마련되므로 이 를 이용하여 인체에 누적된 피로를 해소할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적용되는 좌판(200)은, 의자프레임(400)의 일측에 일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좌판(210)과, 제1 좌판(210)과 대응되도록 의자프레임의 타측에 타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좌판(22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특징적 구조는 좌판(200)이 두 개로 구분, 형성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공간부를 통해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연접되는 부분 중에서 인체의 미골(꼬리뼈) 부분이 좌판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않도록 요홈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좌판(210) 및 제2 좌판(220)의 기본 구조는 통상의 의자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좌판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얇은 판형부재로 하나로만 이루어지거나, 판재의 상면에 쿠션층과 커버패드가 차례로 형성되는 구조등으로 구성된다.
제1 좌판(210) 및 제2 좌판(220)은 의자프레임(400)에 형성되는 좌판지지부재(230)상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좌판(210,220)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좌판지지부재(220)에는 이러한 가요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가 구성된다. 가요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로는, 전술한 등받이설치축(110)에 설치되 는 신축이음부재(90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ㄴ" 자 형상을 갖는 좌판지지부재(230)를 의자프레임(400)의 좌우측에 설치하고, 그 수평부에 제1 탄성체(910)를 설치하고, 수직부에 제2 탄성체(92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좌판(210)과 제2 좌판(220)의 표면상에는 인체의 둔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다수의 마사지편(800)을 구성할 수 있다. 마사지편(800)의 종류와 형태는 전술한 회전등받이(120)에 설치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인체의 둔부를 진동방식에 의해 마사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좌판(210,220)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둔부를 보정하거나 마사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압축공기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1 및 제2 좌판(210,220)에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체의 둔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받이장치의 설명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적외선을 이용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좌판(210,220)에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좌판(200)이 구비된 의자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좌판이 제1 좌판(210)과 제2 좌판(220)으로 분할되고, 이 제1 및 제2 좌판이 가요성을 갖도록 마련된 좌판지지부재(230)에 설치되므로, 인체의 체형 조건(둔부의 크기나 형태)에 제한됨이 없이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1 좌판(210)과 제2 좌판(220)이 각각 일측 둔부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체형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좌판(200)의 분리로 인해 통기성이 확보되어 위생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마사지편(8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마사지기구가 좌판에 마련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인체에 누적된 피로의 해소할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목 마사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적용되는 목 마사지장치(300)는, 목의 좌우에 밀착되어 가압력을 인가하는 좌우 가압몸체(310), 좌우 가압몸체(31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단이 가압몸체(310)에 접속되고 타단이 지지봉(390)에 결합되는 연결수단(320), 및 좌우 가압몸체(310)가 내측으로 모아져 인체의 목 부분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가압력작용부재(330)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 가압몸체(310)는 단일의 몸체상에 목의 좌우측을 가압하도록 돌출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목의 좌우측을 가압하는 가압 몸체(310)가 별도의 몸체로 구분, 형성되고, 그 외관상의 형태는 목 부분을 감싸듯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가압몸체(310)의 표면에는 목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마사지편(800)을 구비한다. 마사지편의 종류와 형태는 전술한 회전등받이에 설치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 마사지장치(300)는 연결수단(320)이 지지봉(390)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수단(320)의 일 예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신축부재(322), 연결부재(324), 및 체결부재(32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326)의 체결 높낮이를 조정하여 가압몸체(3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신축부재(322)는 가압몸체(310)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는 구성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에 의해 밸로즈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된다.
연결부재(324)는 신축부재(322)의 타측이 결합되는 접속부(324a), 지지봉(390)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324b)를 구비한다.
가압력작용부재(330)는 상기 좌우 가압몸체(310)를 내측으로 서로 모아지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부재(322)의 사이에 당김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목 마사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목 마사지장치(300)의 설치 높이를 간편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목 마사지장치의 다른 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가압몸체(310)와 연결수단(320)을 구비하되, 연결수단(320)은 가압몸체(310)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고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부재(322), 신축부재(322)의 타측에 형성되고 지지봉(390)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324b)를 구비한 연결부재(324), 지지봉(390)상에 형성되는 래크(321), 및 연결부재(324)에 설치되고 래크(3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3)를 구비한 승강모터(325)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승강모터(325)의 구동조작에 의해 가압몸체(3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연결부재(324)는 신축부재(322)의 타측이 결합되는 접속부(324a), 지지봉(390)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324b)를 구비하되, 연결파이프(324b)의 배면측에는 기어삽입홀이 천공되어 래크(3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인체의 목 부분을 진동방식에 의해 마사지할 수 있도록, 가압몸체(310)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제어부, 및 신호입력부를 구비하거나, 가압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가압몸체(310)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목 마사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목 마사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등받이장치 110:등받이설치축
120:회전등받이 130:회전방지수단
200:좌판 210:제1 좌판
220:제2 좌판 300:목 마사지장치
310:가압몸체 320:연결수단
330:가압력작용부재 400:의자프레임
500:헤드레스트 600:지지장치
700:팔걸이장치 800:마사지편
900:신축이음부재

Claims (25)

  1. 의자에 있어서,
    의자프레임의 일측에 일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좌판과, 상기 제1 좌판과 대응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의자프레임의 타측에 타측 둔부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좌판을 포함하는 좌판;
    상기 의자프레임의 후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봉에 설치되어 인체의 목 부분을 가압, 마사지하는 목 마시지장치; 및
    상기 좌판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등받이설치축과, 인체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등받이설치축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등받이를 포함하는 등받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등받이는, 소정 각도범위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면을 형성하되, 서로 다른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마사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등받이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등받이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등받이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설치축에는 상기 회전등받이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하여 가요성을 갖도록 신축이음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등받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등받이설치축상에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설치축은 폭방향으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판 및 제2 좌판은 상기 의자프레임에 형성되는 좌판지지부재상에 설치하되, 상기 좌판지지부재의 수평부에 상하방향으로의 가요성을 위한 제1 탄성체와, 수직부에 좌우방향으로의 가요성을 위한 제2 탄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판과 상기 제2 좌판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마사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좌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좌판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좌판에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마사지장치는,
    목의 좌우에 밀착되어 가압력을 인가하는 좌우 가압몸체;
    상기 좌우 가압몸체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가압몸체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좌우 가압몸체가 내측으로 모아져 인체의 목 부분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가압력작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의 타측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봉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배면에 일측이 접속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의 타측이 접속되고 상기 지지봉에 접속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한 연결부재;
    상기 지지봉상에 형성되는 래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승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몸체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압몸체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진동자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진동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주입구를 구비한 공기주머니;
    상기 주입구로 공급호스를 매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원적외선램프;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발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상기 원적외선램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압몸체의 표면상에 인체의 목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마사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시지편은 옥, 인광석, 황토소성체, 세라믹소성체, 토르말린분말을 포함하는 결정체, 및 키토산분말을 포함하는 결정체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70135135A 2007-12-21 2007-12-21 의자 KR10098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135A KR100981318B1 (ko) 2007-12-21 2007-12-2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135A KR100981318B1 (ko) 2007-12-21 2007-12-21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459A KR20090067459A (ko) 2009-06-25
KR100981318B1 true KR100981318B1 (ko) 2010-09-14

Family

ID=4099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135A KR100981318B1 (ko) 2007-12-21 2007-12-2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78A1 (ko)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제라진코리아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30B1 (ko) * 2012-03-16 2012-06-08 양문석 기능성 의자
CN104323589B (zh) * 2014-10-14 2016-11-09 浙江理工大学 新型坐姿校正椅及其坐姿矫正机构
CN107041645A (zh) * 2017-04-25 2017-08-15 安徽庆睿实业有限责任公司 智能保健办公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189Y1 (ko) * 1996-10-15 1999-04-01 한세욱 전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업무용 의자
KR100729294B1 (ko) 2005-08-09 2007-06-18 김광일 의자
WO2007139365A1 (en) 2006-06-01 2007-12-06 Chang Jun Park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and traction and massage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189Y1 (ko) * 1996-10-15 1999-04-01 한세욱 전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업무용 의자
KR100729294B1 (ko) 2005-08-09 2007-06-18 김광일 의자
WO2007139365A1 (en) 2006-06-01 2007-12-06 Chang Jun Park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and traction and massage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178A1 (ko)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제라진코리아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459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7702A (en) Adjustable patient corrective support apparatus
CN107920667B (zh) 背部支撑件
EP3079527B1 (en) Vibratory system for massage and audio generation in an articulating bed
KR101003756B1 (ko)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KR100981318B1 (ko) 의자
WO1996025072A1 (fr) Chaise a dossier separable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KR102033166B1 (ko) 스마트 체어
JP2020075712A (ja) 原動機付き車両用シート
US7350864B1 (en) Reclining rocker chair with inflatable lumbar support
CN108158279A (zh) 一种可动态调整的垫和配备该垫的青少年座椅
JPH08224137A (ja) 座席用エアマット
KR20090124050A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20110129253A (ko) 자세 교정용 시트 패드
KR20170016063A (ko) 의자 설치용 허리보호대
KR20230019668A (ko) 근적외선 방사 및 온열 기능을 갖춘 성형체와 그 성형체를 포함하는 좌석
CN1775142A (zh) 电按摩器震动弹力条拉紧弹性震动传送多功能座椅
KR101072035B1 (ko) 허리받침 및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등판 프레임
KR200185922Y1 (ko) 의자 등받이 구조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KR100593312B1 (ko) 안마용 지압장치를 가진 헤드 레스트
KR20010044318A (ko) 척추가 편한 의자
EP1327404A1 (en) An elastic element of support of a part of the body
CN213649409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汽车座椅
KR200338700Y1 (ko) 요부마사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