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939B1 -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939B1
KR101648939B1 KR1020160043483A KR20160043483A KR101648939B1 KR 101648939 B1 KR101648939 B1 KR 101648939B1 KR 1020160043483 A KR1020160043483 A KR 1020160043483A KR 20160043483 A KR20160043483 A KR 20160043483A KR 101648939 B1 KR101648939 B1 KR 10164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odule
fixing module
rack syste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영진앵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앵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앵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는, 네 개의 지주와 하나 이상의 선반 패널로 구성되는 단위체를 복수 개 연결 설치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로서,
양 단위체를 연결 설치 시 맞닿아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대와, 상기 전면대의 후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후방을 향해 적어도 2개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 모듈의 외주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Covering Assembly for Rack}
본 발명은, 네 개의 지주 앵글과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 패널로 구성되는 하나의 단위체가 복수 개 연결 배치되는 랙 시스템에서 각 단위체 간 결합 내구성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의 하부에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거나 또는 각 단위체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RACK)이라 함은, 물건을 얹거나 걸기 위해 금속, 목재 막대 등을 이용하여 만든 선반을 뜻하는 것으로, 'ㄱ'자로 절곡 형성된 철제 막대인 앵글로 골격을 형성하고 합판 등의 선반 패널로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랙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랙 시스템은 네 개의 지주 앵글과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 패널로 구성되는 하나의 단위체가 복수 개 연결되어 배치됨으로써 많은 물건을 제한된 공간 안에서 다량 수납해야하는 필요가 있는 공장, 매장, 가정 등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되어 온 것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앵글을 기반으로 형성된 랙이 내구성, 경제성 등을 이유로 전통적으로 선호되어 왔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4-0134546호 '조립식 앵글 진열대'는 상술한 철제 앵글 기반 랙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대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결합하기 위한 조립식 앵글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종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삽입홈 및 관통구멍이 형성된 앵글 기둥과,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고정훅을 가지는 연결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앵글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앵글 기둥에는 삽입홈의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고정 훅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 특허는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고는 하나, 앵글 기둥과 연결대가 관통구멍 및 삽입 돌기를 매개로 서로 끼움식으로 고정됨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특히 상기 조립식 앵글 진열대는 4개의 지주(앵글 기둥)와 복수 개의 연결대를 구비한 단위체를 복수 개 연결하여 배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상기 끼움식 고정으로는 단위체 간 연결은 불가하여 실질적인 효용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2001-0009658호 '상품진열대의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기둥의 형상을 달리하여 후방 지주대에 형성된 요부홈에 후방지주대에 형성된 요부홈에 걸림망을 조립하고 후방 및 전방지지대에 형성된 조립홈에 선반 브래킷이 조립되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걸림망에 의해 상품진열대를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진열대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전후방 지주대와 선반의 조립이 보다 편리하면서 진열대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며 진열대의 측면확장, 지주대의 벽면사용 및 선반의 전방 확장 등의 사용과 함께 일반 앵글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전방 및 후방 지주대에 조립된 선반 브래킷을 매개로 좌우전후 방향으로 선반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상의 확장이 용이하다 하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주대를 'ㄷ'자 형상으로 별도로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종래 주로 이용되던 'ㄱ'자형 앵글과의 호환이 어렵고, 또한 선반 브래킷이 선반이 끼움식으로 고정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으며, 내구성의 보완을 위해 후방 지주대를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건물벽이 훼손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기술들은 단위체의 조립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춘 기술이 대부분으로, 실질적으로 랙이 필요한 대형 공간에 복수 개의 단위체를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단위체 간 결합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구비한다 하더라도 서로 인접한 앵글들을 나사 등의 공지의 고정 수단으로 연결하는 데 그쳐 복수의 단위체를 하나의 어셈블리로서 단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공장 창고와 같은 대형 산업 공간에서는 랙이 설치된 공간 내부에 지게차와 같은 운반 수단이 진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지게차의 포크 선단과 랙의 하부가 부딪히는 과정에서 각 단위체에 서로 다른 충격이 가해졌고, 이에 따라 설치 후 일정 수준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각 단위체 간 결합력이 약해져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작업자들의 불안감을 야기했다.
따라서 종래 선행기술로 원천적인 해결을 달성했다고 보기 어려운 단위체 간 결합 내구성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의 하부에 충격이 가해져 단위체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거나 또는 각 단위체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대와 측부 고정대를 포함하는 고정 모듈을 구비하여 그 내측에 한 쌍의 지주 각각의 일부를 끼움식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지주를 수평 방향으로 결속시켜 보다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랙 시스템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체 간 배열이 흐트러질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측부 고정대의 일 측에서 상기 지주에 구비된 조립용 관통공에 걸림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리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지주에 결합된 상기 고정 모듈의 상하 위치를 일정 수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고정 모듈이 상기 지주 앵글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한 쌍의 지주에 상기 고정 모듈을 지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결합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측부 고정대에 랙 시스템의 선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패널 수용홈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 모듈을 양 지주와 양 선반이 모두 맞닿아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나아가 상기 측부 고정대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지주를 이중으로 커버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측부 고정대가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하여,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지주와의 접촉 면적이 더욱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하고, 두께가 더욱 두꺼워지도록 함으로써 탄성을 조절하여 그립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고정 모듈에 케이블 가드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상의 필요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의 지주 및 선반 패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 및 기타 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 모듈 복수 개에 연결 설치되어 랙 시스템의 전면 하부를 커버하는 버퍼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의 하부에 충격이 가해져 단위체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거나 또는 각 단위체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예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상기 버퍼 모듈에서 상기 각 고정 모듈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 버퍼대를 기준으로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는, 네 개의 지주와 하나 이상의 선반 패널로 구성되는 단위체를 복수 개 연결 설치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양 단위체를 연결 설치 시 맞닿아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대와, 상기 전면대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변곡 연장되어 각 지주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감싸는 한 쌍의 측부 고정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주 간의 결합 지지력을 강화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부 고정대는, 상기 전면대의 양 단으로부터 상기 단위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수직 절곡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연장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수평 마감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부 고정대와 상기 전면대의 내측 부위에 상기 지주의 일 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측부 고정대는, 상기 수평 마감부의 연장 끝단에서 상기 지주에 기 형성된 조립용 관통공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조립용 관통공의 측벽에 밀착 고정되는 고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측부 고정대는, 높이 방향의 중심 부위에 상기 선반 패널 일 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된 선반패널 수용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부 고정대의 상부 및 하부를 이격 분리하여, 상기 선반패널 수용홈에 상기 선반패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 고정대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지주를 커버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측부 고정대는,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두께는 두꺼워지도록 형성하여 고정력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측부 고정대는, 일 측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되 내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케이블 가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드부는, 한 쌍의 측부 고정대 중 일 측부 고정대로부터 연장된 제 1 가드부와 타 측부 고정대로부터 연장된 제 2 가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 가드부의 연장 끝단은 서로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버링 어셈블리는, 길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체의 전면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버퍼대와, 상기 버퍼대의 후면 일 측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 연장되어 연장 끝단이 상기 고정 모듈의 전면대 일 측과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버퍼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버퍼 모듈은, 후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단턱지게 함입 형성된 연결 슬릿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연결 슬릿의 내측 부위에 삽입되는 버퍼 삽입부와, 상기 버퍼 삽입부의 일 측에서 상기 연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모듈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 모듈의 전면대와 결합되는 고정모듈 연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버퍼 삽입부가 상기 연결 슬릿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연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는,
1) 한 쌍의 지주를 고정모듈을 매개로 수평 방향으로 결속시켜 보다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랙 시스템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체 간 배열이 흐트러질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고,
2) 지주에 결합된 상기 고정 모듈의 상하 위치를 일정 수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고정 모듈이 상기 지주 앵글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며,
3) 고정 모듈이 지주의 결합용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지주에 밀착 상태로 연결할 수 있고,
4) 한 쌍의 지주에 상기 고정 모듈을 지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결합 지지력을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5) 고정 모듈을 양 지주와 양 선반이 모두 맞닿아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측부 고정대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지주를 이중으로 커버토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6) 고정 모듈에 케이블 가드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상의 필요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의 지주 및 선반 패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 및 기타 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7) 고정 모듈 복수 개에 연결 설치되어 랙 시스템의 전면 하부를 커버하는 버퍼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의 하부에 충격이 가해져 단위체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거나 또는 각 단위체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랙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가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퍼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버퍼 모듈 및 고정 모듈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퍼 모듈 및 고정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커버링 어셈블리는, 네 개의 지주와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 패널(13)로 구성되는 하나의 단위체(10)가 복수 개 연결 배치되는 랙 시스템(1)에서 각 단위체(10) 간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각 단위체(10)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고정 모듈(100)과,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의 하부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버퍼 모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모듈(1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양 단위체(10)를 연결 설치하고자 할 때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11(1), 11(2))를 서로 묶음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버퍼 모듈(200) 없이 단독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에 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고정 모듈(100)은 한 쌍의 지주(11(1), 11(2))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주(11(1), 11(2))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묶음 결합되어 일정 수준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대(110)와 측부 고정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대(110)는, 상기 한 쌍의 지주(11(1), 11(2))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전면 일 측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를 커버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판재이고, 상기 측부 고정대(120)는, 상기 전면대(110)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지주 측으로 변곡 연장되어 각각의 지주의 일부를 감싸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측부 고정대(120)와 상기 전면대(110)의 변곡 부위의 각도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상기 지주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모듈(100)은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되 끼움식으로 상기 지주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정 수준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상기 측부 고정대(120)는 지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인바, 가장 보편적으로 상기 지주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 형성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대(11a)와 상기 가로대(11a)의 가로방향 일 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세로대(11b)를 포함하는 형강재인 앵글 스틸(Angle Steel, 이하 지주 앵글(1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대(110)가 상기 가로대(11a)의 전면 일 측을 커버하고, 상기 측부 고정대(120)는 수직 절곡부(121)와 수평 마감부(122) 및 고리부(123)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가로대(11a)의 측부 및 후면 일 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수직 절곡부(121)는 상기 전면대(110)의 양 단으로부터 상기 가로대(11a)의 측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것으로, 상기 지주 앵글(11) 중 가로대(11a)의 측면 부위와 맞닿아 해당 부위를 커버하도록 형성한 것이고, 수평 마감부(122)는 상기 수직 절곡부(121)의 연장 끝단에서 상기 전면대(110)의 중앙 부위 측, 즉 상기 가로대(11a)의 후면 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됨으로써 상기 전면대(110)와 상기 수직 절곡부(121) 및 수평 마감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내측 공간에 상기 가로대(11a)의 외측 일부가 수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측부 고정대(120)에는 수직 절곡부(121)와 수평 마감부(122)가 상기 전면대(11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닿은 세로대(11b)로부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가로대(11a)를 각각 홀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앵글이 보다 안정적으로 묶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측부 고정대(120)는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부(12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123)는 상기 수평 마감부(122)의 연장 끝단에서 상기 지주, 즉 상기 지주 앵글(11)에 볼트나 나사 등이 관통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기 형성된 조립용 관통공(11c) 측으로, 즉 도면 상에서의 전면 측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소폭 연장된 것이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23)가 상기 조립용 관통공(11c)의 측벽에 밀착되어 걸림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고정 모듈(100)과 상기 지주 앵글(11)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리부(123)는 상기 조립용 관통공(11c)에 걸림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주 앵글(11)에 결합된 상기 고정 모듈(100)의 상하 위치를 일정 수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고정 모듈(100)이 상기 지주 앵글(11)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등의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모듈(100)은 상기 전면대(110)와 상기 측부 고정대(120)를 포함하여 그 내측에 한 쌍의 지주(11(1), 11(2)) 각각의 일부를 끼움식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앵글을 수평 방향으로 결속시켜 보다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랙 시스템(1)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체(10) 간 배열이 흐트러질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100)은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결합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른 고정 모듈(100)은 전면대(110)를 포함하되, 측부 고정대가 없이 전면대(110)가 2개의 지주의 각각의 조립용 관통공(11c)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부(115)를 매개로 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에서는 2개의 결합부(115)가 전면대(110)의 후면에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대(110)가 좌우로 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경우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115)의 사이즈 내지 직경은 조립용 관통공(11c)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간격 역시 지주의 두께 내지 조립용 관통공(11c)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15)의 외주 면에는 결합부(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후방을 향해 복수 개로서 경사지게 돌출된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돌기(116)는 일정한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되어, 조립용 관통공(11c)에 끼움 결합될 때에는 일부 수축되어 결합되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빼낼 경우에는 돌기(116)의 경사진 구조가 일종의 걸림 역할을 하여 쉽사리 조립용 관통공(11c)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주(11(1),11(2))를 감싸지 않고 결합부(115)가 지주의 조립용 관통공(11c)에 끼움 결합되어 지주와 밀착 고정되되 돌기(116)의 돌출 방향 및 경사각을 설정하여 역 방향, 즉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 모듈(100)이 지주에 결합 시 쉽사리 이탈되지 않는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각 지주를 연결 내지 커버링 처리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 모듈(1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고정 모듈(100)을 양 지주와 양 선반이 모두 맞닿아 십(十)자를 형성하는 부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부 고정대(120)에 선반패널 수용홈(124)을 형성할 수 있다.
선반패널 수용홈(124)은,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높이 방향의 중앙 부위를 상기 전면대(110) 측까지 함입 형성하여 상기 선반 패널(13)의 전면 측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선반패널 수용홈(12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측부 고정대(120)가 상부와 하부로 이격 분리된다. 이로써, 상기 선반패널 수용홈(124)에 상기 선반 패널(13)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지주를 이중으로 커버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버퍼 모듈(200)과의 결합 시, 버퍼 모듈(200)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더욱 안정적인 구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지주는 상술한 지주 앵글(11)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인바, 도면에서와 같은 원기둥형 봉(이하 지주 봉(12))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형상 역시 상기 지주 봉(12)의 외형과 유사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므로, 측부 고정대(120)는 도 2,4와는 다른 형상으로의 구현을 위해 라운딩부(126)를 형성할 수 있다.
라운딩부(126)는, 상기 전면대(110)의 양 단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외면을 따라 라운딩지게 연장된 라운딩부(126)로 형성되어 지주 봉(12)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전면대(110)는 한 쌍의 라운딩부(126) 사이를 연결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부(126)의 전면측 돌출 부위 끝단으로부터 중심 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라운딩부(126)가 보다 긴 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해, 상기 지주 봉(12)과 상기 라운딩부(126)가 맞닿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라운딩부(126)는 더욱 탄력적으로 상기 지주 봉(12)을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지주 봉(12)과의 접촉 면적이 더욱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하고, 두께가 더욱 두꺼워지도록 함으로써 탄성을 조절하여 상기 라운딩부(126)의 그립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높이 및 두께를 연장 방향에 따라 조절하는 것은 도 2 내지 3에서 기술한 수직 절곡부(121)와 수평 마감부(122)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절곡 부위의 두께가 더욱 두껍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 모듈(100)에는 사용상의 필요에 의해 랙 시스템(1)의 지주 및 선반 패널(13)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 및 기타 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가드부(125)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가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가드부(125)는, 측부 고정대(120)의 일 측에서 후방을 향해, 즉 상기 전면대(110)가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중심부 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모듈(100)이 지주 앵글(11)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가로대(11a)의 끝단 부위를 커버하고 있는 상기 측부 고정대(120)로부터 상기 세로대(11b)의 끝단 부위를 향해 라운딩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부 고정대(120) 및 가로대(11a)와 함께 마련한 내측 공간에 상기 케이블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가드부(125)는 특히 산업체 내에서 상기 랙 시스템(1)을 설치하여 이용할 때, 랙 시스템(1) 내부에 수납되는 물건에 전원공급이 필요하거나, 랙 시스템(1)을 통과하여 케이블이 연결되어야하는 등의 경우에, 별도의 케이블 타이 결착 작업 없이 간편하고 깔끔하게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상기 지주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가드부(125)는 상기 고정 모듈(10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고정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부 고정대(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한 쌍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c)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가드부(125)는 제 1 가드부(125a)와 제 2 가드부(125b)로 형성되어, 제 1,2 가드부(125a, 125b)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가드부(125a)는 상기 전면대(110)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부 고정대(120) 중 일 측부 고정대(120)로부터 연장된 것이고, 제 2 가드부(125b)는 타 측부 고정대(120)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 1,2 가드부(125a, 125b)는 상기 각 측부 고정대(120)의 외면 일 측에 끝단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보관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보다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고 작업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각 측부 고정대(120)의 내부에 지지된 롤러(120a)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롤러(120a)에 상기 제 1,2 가드부(125a, 125b)의 일 단을 고정하여 탄력적으로 권취시킨 상태에서 타 단이 상기 측부 고정대(120)의 일 측에 별도로 형성된 홈을 매개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돌출된 타 단을 잡아 당겨 상기 제 1,2 가드부(125a, 125b)를 각각 외부로 인출시키고 다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 1,2 가드부(125a, 125b)의 연장 끝단, 즉 외부로 노출된 타단 끝부위는 서로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1,2 가드부(125a, 125b)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때 탈착 방법으로는 벨크로 결합, 고리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탈착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 앵글(11)로 적용되는 경우, 지주 앵글(11)의 세로대(11b) 끝단 부위에서 제 1,2 가드부(125a, 125b)가 결합됨으로써 가로대(11a)의 끝단 부위와 세로대(11b)의 끝단 부위 및 상기 제 1,2 가드부(125a, 125b)로 인해, 구획된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 케이블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 모듈(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추가 구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서술하였는데, 이로써 본 발명의 고정 모듈(100)은 그 자체만으로 상기 단위체(10)의 배열로 인해 인접하게 배치된 양 지주를 보다 안정적으로 묶음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 어지럽게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랙 시스템(1)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효용성을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모듈(100)만으로도 본 발명에서의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지게차, 카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상기 랙 시스템(1)의 하부에 충격이 가해져 단위체(10)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거나 또는 각 단위체(10) 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배열이 흐트러지는 등의 상황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링 어셈블리에는 버퍼 모듈(2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버퍼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버퍼 모듈 및 고정 모듈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버퍼 모듈(200)은 크게 버퍼대(210)와 받침대(220) 및 연결대(230)를 포함한다.
버퍼대(210)는, 길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체(10)의 전면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가로로 배치된 긴 바(bar)와 같은 형상인바,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이 가능할 것이나 보다 안정적인 완충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대(210)는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기본적이고, 추가적으로 전면 부위, 즉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에 완충재를 적층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재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송 수단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랙 시스템(1)에 전달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퍼대(210)는 후면 일 측에서 후술할 연결대(230)와 고정 결합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고정모듈과 고정 연결될 연결대(230)의 위치가 상기 버퍼대(210)의 후면 측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 슬릿(210a)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슬릿(210a)은 상기 버퍼대(210)의 후면 중앙 부위에서 길이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단턱지게 함입 형성된 것으로, 단턱은 버퍼대(210) 내측 공간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연결대(230)의 일 측이 상기 버퍼대(210) 내측에 삽입되고 타 측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버퍼대(210)의 무게를 줄이고 더욱 완충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버퍼대(210)는 내부 공간이 비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대(230)는 상기 버퍼대(210)의 후면 일 측에서 후방으로, 즉 상기 고정 모듈(100)이 구비된 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연장되어 그 연장 끝단이 상기 고정 모듈(100)의 전면대(110) 일 측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퍼대(210)가 상기 고정 모듈(100)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연결대(230)의 연장 끝단과 상기 전면대(110)의 일 측은 접착, 나사 결합, 용접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쉬운 탈착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중력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대(110)의 전면 측에 상기 연결대(230)의 연장 끝단 일부가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 홈(11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결대(23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대(230)는 상기 연결 슬릿(210a)의 내측 부위에 삽입되는 버퍼 삽입부(231)와 상기 버퍼 삽입부(231)의 일 측에서 상기 연결 슬릿(210a)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모듈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232) 및 연장부(232)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 모듈(100)의 전면대(110)와 결합하는 고정모듈 연결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특히 상기 연결 슬릿(210a)을 따라 상기 연결대(230)가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상기 끼움 홈(111)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상기 연결대(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7(b)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 삽입부(231)는 상기 버퍼대(210)의 후면 내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되 그 높이도 상기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이 때 상기 버퍼대(210)의 상부 및 하부의 내면에는 상기 버퍼 삽입부(231)의 상단 및 하단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틀(210b)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버퍼 삽입부(231)의 높이 기준 중앙 부위에서 상기 버퍼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모듈 연결부(233)는 상기 연장부(232)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끼움 홈(11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20)는 상기 버퍼대(210)가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버퍼대(210)의 하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2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버퍼대(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220)는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버퍼대(210)가 바닥과 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20) 없이도 상기 버퍼대(210)가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6(a) 및 도 6(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고정 모듈(100) 및 버퍼 모듈(200)의 구성으로 상기 랙 시스템(1)의 전후면, 또는 측면 부위를 각각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으로 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확률이 높을 수 있는 코너 부위에 안정적으로 상기 버퍼 모듈(200)을 장착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퍼 모듈(200)과 상기 고정 모듈(10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버퍼 모듈 및 고정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버퍼 모듈(200)이 상기 랙 시스템(1)의 코너 부위, 즉 최외측에 설치된 단위체(10)의 코너 부위에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퍼대(210)는 'ㄱ'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ㄱ'자 형상의 버퍼대(2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모듈(100)도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모듈(100)에서 상기 전면대(110)는 상기 단위체(10)의 코너 측 지주의 외면 두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절곡선을 기준으로 구분된 전면대(110)의 각 면에는 각각 상기 끼움 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버퍼 모듈(200)의 고정모듈 연결부(233)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와 같이 상기 버퍼대(210)가 'ㄱ'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고정모듈 연결부(233)와 한 쌍의 상기 끼움 홈(111)을 각각 결합시키는 데 있어서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버퍼대(210)의 절곡 각도가 일정 수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접철 슬릿(210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 슬릿(210c)은 상기 버퍼대(210)의 절곡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퍼대(21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거나, 또는 자바라 등의 형상으로 구현되어 회동 각도를 보다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모듈(100)은 복수 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각 지주 앵글(11)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결합 지지력을 강화하고, 상기 버퍼 모듈(200)은 바닥과 가장 가까운 선반패널(13)과 상기 지주 앵글(11)이 교차 배치된 부위를 따라 형성된 상기 고정 모듈(100)과 연동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다양한 자극으로부터 상기 랙 시스템(1)을 보호하는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랙 시스템(1)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고정 모듈(100)과 버퍼 모듈(200)을 포함하는 커버링 어셈블리를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하여 적용함으로써 랙 시스템(1)의 전후면 측뿐만 아니라, 코너 부위도 효율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랙 시스템 10: 단위체
11: 지주 앵글 11(1), 11(2): 한 쌍의 지주
11a: 가로대 11b: 세로대
11c: 조립용 관통공 12: 지주 봉
13: 선반 패널 100: 고정 모듈
110: 전면대 111: 끼움 홈
115: 결합부 116: 돌기
120: 측부 고정대 120a: 롤러
121: 수직 절곡부 122: 수평 마감부
123: 고리부 124: 선반패널 수용홈
125: 케이블 가드부 125a: 제 1 가드부
125b: 제 2 가드부 126: 라운딩부
200: 버퍼 모듈 210: 버퍼대
210a: 연결 슬릿 210b: 틀
210c: 접철 슬릿 220: 받침대
230: 연결대 231: 버퍼 삽입부
232: 연장부
233: 고정모듈 연결부

Claims (4)

  1. 네 개의 지주와 하나 이상의 선반 패널로 구성되는 단위체를 복수 개 연결 설치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로서,
    양 단위체를 연결 설치 시 맞닿아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의 전면 부위를 커버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대와, 상기 전면대의 후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후방을 향해 적어도 2개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 고정 모듈;
    길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체의 전면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버퍼대와,
    상기 버퍼대의 후면 일 측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 연장되어 연장 끝단이 상기 고정 모듈의 전면대 일 측과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버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대는,
    상기 지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버퍼대는,
    상기 전면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버퍼대의 절곡 각도가 가변되도록 절곡 부위에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접철 슬릿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모듈은,
    후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단턱지게 함입 형성된 연결 슬릿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연결 슬릿의 내측 부위에 삽입되는 버퍼 삽입부와,
    상기 버퍼 삽입부의 일 측에서 상기 연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모듈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 모듈의 전면대와 결합되는 고정모듈 연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버퍼 삽입부가 상기 연결 슬릿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연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KR1020160043483A 2016-04-08 2016-04-08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KR10164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83A KR101648939B1 (ko) 2016-04-08 2016-04-08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83A KR101648939B1 (ko) 2016-04-08 2016-04-08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24A Division KR101631989B1 (ko) 2016-01-28 2016-01-28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939B1 true KR101648939B1 (ko) 2016-08-17

Family

ID=5687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483A KR101648939B1 (ko) 2016-04-08 2016-04-08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9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94A (ko) * 2003-08-12 2005-02-22 감장홍 조립식 선반
KR100909236B1 (ko) * 2008-12-29 2009-07-27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적재 랙
KR200460839Y1 (ko) * 2009-10-02 2012-06-12 이승민 안전 모서리 보호대
KR101449678B1 (ko) * 2013-03-21 2014-10-13 넥스로지텍(주) 랙 포스트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94A (ko) * 2003-08-12 2005-02-22 감장홍 조립식 선반
KR100909236B1 (ko) * 2008-12-29 2009-07-27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적재 랙
KR200460839Y1 (ko) * 2009-10-02 2012-06-12 이승민 안전 모서리 보호대
KR101449678B1 (ko) * 2013-03-21 2014-10-13 넥스로지텍(주) 랙 포스트 충격 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743B1 (en) Support structure for hanging plants
US7500574B1 (en) Collapsible rack
JP2005532237A (ja) モジュール式ラック変換装置及び方法
US9420884B2 (en) Overhead storage rack
CN105939636A (zh) 搁架系统
KR101631989B1 (ko)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KR101881254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KR101694505B1 (ko) 고정식 서가
US10842263B1 (en) Combinative shelving unit
KR20130092111A (ko) 조립식 선반
KR200470013Y1 (ko) 조립식 책장
US5257700A (en) Fishing rod support rack
KR101648939B1 (ko)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US10610717B2 (en) Trampoline enclosure connector
KR200484969Y1 (ko) 선반 조립체
US20070138113A1 (en) Angled rack for supporting footwear
US20200085190A1 (en) Display unit with shelf
KR200483150Y1 (ko) 휨방지 기능이 구비된 선반장치
KR102167031B1 (ko) 농산업용 조립식 테이블
GB2163639A (en) Structural assembly
KR101835701B1 (ko) 조립형 다용도 선반
JP7406212B2 (ja) 棚板取付け装置
CN211608609U (zh) 一种储货架
CN210810219U (zh) 一种新型结构的铝型材及便于安装的货架
KR10187169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방송장비 운반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