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505B1 - 고정식 서가 - Google Patents

고정식 서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505B1
KR101694505B1 KR1020160080457A KR20160080457A KR101694505B1 KR 101694505 B1 KR101694505 B1 KR 101694505B1 KR 1020160080457 A KR1020160080457 A KR 1020160080457A KR 20160080457 A KR20160080457 A KR 20160080457A KR 101694505 B1 KR101694505 B1 KR 10169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racket
assembly
assemb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서가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선반 지지브래킷 중 하나 이상의 개선을 통해 서류가 비틀리지 않고 선반 지지브래킷과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하고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을 흡수하여 서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는,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골격 및 상기 골격의 좌우 양측과 상부 천정부에 조립되는 측판(13)과 천정판(14)으로 이루어지는 서가 본체(10)와; 상기 서가 본체의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조립되는 선반 지지브래킷(20)과;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선반 지지브래킷에 지지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선반(30);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은 일체형의 정렬부(21)를 포함하여 상기 서류가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과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고정식 서가{BOOK SHELF}
본 발명은 고정식 서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에 수납되는 서류가 전후 비틀림없이 정렬 상태로 수납되도록 하는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고정식 서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진에 의한 서가의 흔들림과 서류의 떨어짐을 막을 수 있는 고정식 서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가는 도서관, 문서고 등에서 다량의 문서(서적 등)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서가는 선반에 의해 다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형태이며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구분된다.
특허문헌 1(등록실용신안 제20-0337062호)은 좌,우측주벽과 중간주벽, 상,하부지지판과 중간층판으로 구성된 서가에 있어서, 수직으로 입설 설치되는 좌,우측주벽과 중간주벽의 전,후방의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돌기와 보강재걸림홀이 형성된 알루미늄보강재를 끼움 결합시켜 부착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설된 좌,우측주벽의 내측 및 중간주벽의 양측 중앙부로 삽입홈이 형성하여 보강지지판 걸림홀이 형성된 알루미늄보강지지판을 부착하고, 상기 입설된 좌,우측주벽과 중간주벽의 상단 및 하단 내측으로 상,하부지지판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중간부로는 다수의 중간층판이 끼움 설치되어 구성된 서가로서, 서가를 형성하는 좌,우측주벽과 중간주벽에 각각의 걸림홈을 뚫어 형성한 알루미늄보강재와 알루미늄보강지지판을 부착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서가의 중량을 줄이고 원목서가의 자체변형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 제20-0444838호)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상,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양측 포스트 사이에 상기 연결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포스트의 전, 후면부에 각각 체결되고 그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을 가진 다수의 행잉브래킷 및 상기 행잉브래킷의 걸림턱에 양측 단부가 걸려 상기 포스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 양측면부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좌우 양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되게 부착됨과 동시에 체결볼트로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측면 수직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포스트 사이에 연결프레임을 추가로 연결하여 서가를 횡방향으로 확장 연결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등의 종래 기술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임(1)에 다단으로 선반 지지브래킷(2)이 조립되고, 이 선반 지지브래킷(2)에 선반(3)이 올려지는 구성으로, 프레임(1)은 사각형의 각관인데 반해 선반 지지브래킷(2)은 프레임(1)보다 얇은 두께의 판재이며 따라서 프레임(1)과 선반 지지브래킷(2)은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서류(B)가 수납될 때 앞과 뒤가 비틀릴 수밖에 없다. 즉 서류(B)는 선반 지지브래킷(20)을 향해 비틀린 상태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서류(B)의 앞과 뒤가 비틀리면 서류(B)를 수납하고 인출할 때 옆에 있는 서류와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주변 서류들을 밀어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서류(B)를 수납하고 인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단면의 사각 각관으로 내부가 단일 공간이기 때문에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배선할 수 없어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이 엉키게 되므로 배선과 유지보수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선반 지지브래킷(2)은 전체적으로 단면이 동일한 판재로서 일측(후방)에는 프레임(1)의 체결공에 걸려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2a)가 구성되고 저부에는 선반(3)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2b)가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선반(3) 및 서류(B)의 하중이 지지부(2b)에 지지부(2b)의 구조 상 이 하중을 버틸 수 없어 휨 변형이 일어나고 선반(3)의 이탈 및 이로 인한 서류(B)의 떨어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서고의 저부에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완충이 불가능하여 충격이나 하중으로 인한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서고의 상부에서부터 저부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전도 방지를 위한 구성이 없기 때문에 지진이나 사용자가 충돌할 때 서고가 전후로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3706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448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과 선반 지지브래킷 중 하나 이상의 개선을 통해 서류가 비틀림없이 선반 지지브래킷과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하는 고정식 서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각종 케이블의 배선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 지지브래킷의 강성을 증대하여 서류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막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고에 전가되는 충격이나 하중의 완충과 전도 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골격과; 상기 골격의 좌우 양측과 상부 천정부에 조립되는 측판 및 천정판과; 상기 골격의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조립되는 선반 지지브래킷과;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선반 지지브래킷에 지지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은 정렬부를 포함하여 서류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돌출형 정렬부에 지지되어 비틀림없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가 본체의 저부에 설치되어 지반으로부터의 진동과 서가 본체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면진용 발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의하면, 선반 지지브래킷의 개선을 통해 서류의 앞뒤가 경사지게 비틀림없이 선반 지지브래킷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서류를 밀어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서류를 수납하고 인출하지 않고 수납과 인출하는 서류만을 쉽게 수납 및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정식 서가의 사용이 매우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로 프레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세로 프레임에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독립적으로 배선하여 케이블의 배선과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의 단면 개선을 통해 더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서류를 비틀림없이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아울러, 선반 지지브래킷의 보강부(보강판, 보강리브)를 통해 서류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형을 막아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서류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거나 서가에 충격이 가해질 때 면진용 발통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서가의 쓰러짐과 서가에 수납된 서류의 떨어짐을 막고 더불어 면진용 발통은 완충재의 완충 특성외에 서가 본체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서가의 전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고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고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고에 적용된 선반 지지브래킷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서가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선반 지지브래킷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선반 지지브래킷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선반 지지브래킷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선반 지지브래킷의 다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면진용 발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면진용 발통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적용된 면진용 발통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는,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의 조합에 의해 입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골격, 상기 골격의 좌우 양측과 천정에 각각 조립되는 측판(13) 및 천정판(14)에 의한 서가 본체(10), 서가 본체(10)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 지지브래킷(20), 선반 지지브래킷(20)을 통해 다단으로 설치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선반(30)으로 구성되며 세로 프레임(11)과 선반 지지브래킷(20)을 통해 서류가 비틀림없이 선반 지지브래킷(20)과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세로 프레임(11)은 서류가 비틀리지 않고 수납되도록 하는 것과 케이블의 분리 배선과 보강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1)은 박스형의 선반 조립부(11a), 선반 조립부(11a)의 전후 양측 중 일측 이상(도면에는 전후 양측으로 도시함)에 선반 조립부(11a)보다 작게 형성되며 선반 지지브래킷(20)이 조립되는 브래킷 조립부(11b)로 구성된다.
브래킷 조립부(11b)는 선반 조립부(11a)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구성되며 특히 선반 조립부(11a)보다 작은 것에 그치지 않고 후술하는 선반 지지브래킷(20)의 돌기와 동일 선상으로 배열되어 서류(B)를 비틀림없이 수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단의 후크공이 구비된다.
또한, 세로 프레임(11)의 선반 조립부(11a)와 브래킷 조립부(11b)는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이며 격벽(11c)을 통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로 프레임(11)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며 따라서 압출 가공된다.
가로 프레임(12)과 측판(13) 및 천정판(14)은 서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선반 지지브래킷(20)은 선반(30)을 지지함은 기본이며, 더불어 서류(B)가 비틀림없이 수납되도록 돌출형 정렬부(21)가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서류(B)의 전후가 일측으로 비틀어진 상태로 수납(서류의 앞쪽이 선반 지지브래킷을 향해 비틀린 상태로 수납)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부(21)가 서류(B)를 비틀림없이 수납되도록 정렬한다.
돌출형 정렬부(21)는 선반 지지브래킷(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반 지지브래킷(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반 지지브래킷(20)은 평평한 판상의 브래킷 몸체(22), 브래킷 몸체(22)에 형성되며 선반(30)이 올려지는 지지턱(23), 브래킷 몸체(22)에 형성되며 세로 프레임(11)의 다단의 후크공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24)로 구성된다.
브래킷 몸체(22)는 예컨대 철판으로서 세로형으로 세워져 사용된다.
돌출형 정렬부(21)는 브래킷 몸체(22)에 일측 또는 양측을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의 형태로서 브래킷 몸체(22)보다 돌출되고 물론 세로 프레임(11)의 브래킷 조립부(11b)와 동일 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선반 지지브래킷(20)은 서가 본체(10)의 좌우 양측 끝인 2개소에 설치되어 선반(30)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돌출형 정렬부(21)는 브래킷 몸체(22)의 일측 즉 선반(30)을 향하는 일측으로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하나의 선반 지지브래킷(20)이 좌우 양측의 선반(30)을 함께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돌출형 정렬부(21)는 브래킷 몸체(22)의 양측을 향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형 정렬부(21)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수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또한 2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형 정렬부(21)는 서류(B)를 향하는 면이 엠보싱에 의해 막힌 구조도 가능하고 또한 관통된 구멍의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돌출형 정렬부(21)와 동일한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립식 정렬구(21-1)도 가능하다.
브래킷 몸체(22)에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통공(22a)이 형성되며, 조립식 정렬구(21-1)는 통공(22a)과 동일한 형상의 입체형으로서 통공(22a)에 삽입되어 브래킷 몸체(22)보다 돌출되며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의 플랜지가 적용되어 브래킷 몸체(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지지턱(23)은 브래킷 몸체(22)의 예컨대 하단부에서 브래킷 몸체(22)의 옆을 향해 절곡되는 형태로 서류(B)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한다.
후크(24)는 브래킷 몸체(22)의 후단부에 다단으로 형성되며 세로 프레임(11)의 다단의 후크공에 결합된다.
한편, 선반 지지브래킷(20)은 보강을 위하여 보강부가 포함된다.
상기 보강부는 브래킷 몸체(22)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종래 선반 지지브래킷보다 면적이 넓어지고 하중이 집중되는 지지턱(23)과 후크(24)의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며, 보강판(25)과 보강리브(26)로 구성된다.
보강판(25)은 브래킷 몸체(22)의 지지턱(23)의 저부에서부터 후크(24)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판형이며, 대략 삼각형일 수 있다.
보강판(25)의 다른 형태로서 지지턱(23)을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제1,2지지턱(23a,23b)으로 구성하고 보강판(25)을 제1,2지지턱(23a,23b) 사이에서부터 후크(24)를 향해 가면서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지지턱(23b)은 보강판(25)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상부를 향해 절곡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26)는 보강판(25)에 예를 들어 엠보싱으로 형태로 구성되어 보강판(25)의 휨 강성을 보강한다.
이와 같이 보강부를 통해 종래보다 후크(24)의 수량이 많아짐으로써 후크(24)에 전가되는 하중을 종래보다 더욱 작게 분산시켜 후크(24)의 변형을 막는 것도 가능하다.
선반(30)은 휨 강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고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선반 지지브래킷(20)의 지지턱(23)에 올려져 지지되고 아울러 후방에 수직의 벽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 벽체의 좌우 양측이 세로 프레임(11)에 밀착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서가 본체(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서가 본체(10)를 지지하며 특히 내진이 가능한 구성의 면진용 발통(40)(도 4 참고)이 적용된다.
도 12와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면진용 발통(40)은 발통 하우징(41), 발통 하우징(41)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완충블록(42), 완충블록(42)을 지지하기 위한 제1,2부싱(43,44) 및 높이조절볼트(45)를 통해 높이 조절되는 받침블록(46)으로 구성된다.
발통 하우징(41)은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구성되며,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가면서 직경이 넓어지는 3개의 홈이 구비되고, 상부의 홈에서부터 완충블록 장착홈과 제2부싱 장착홈 및 받침블록 장착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부싱 장착홈은 제2부싱(44)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완충블록(42)은 고탄성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천연, 인조)을 재질로 하며 내부에 높이조절볼트(45)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홀이 있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며, 받침블록(46)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반대로 서가의 하중을 흡수한다.
제1부싱(43)은 원통형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볼트(45)가 나사 체결되며, 발통 하우징(41)에 나사 체결로 고정되는 제2부싱(44)을 통해 지지된다.
제2부싱(44)은 높이조절볼트(45)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홀이 구비된 원통형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발통 하우징(41)에 나사 체결로 고정된다.
받침블록(46)은 높이조절볼트(45)에 지지되어 높이조절볼트(45)에 의해 높이 조절되어 서가의 레벨링을 맞추며, 높이조절볼트(45)는 제2부싱(44)에 의해 지지되는 제1부싱(43)에 나사 체결되어 받침블록(46)의 높이를 조절한다.
완충블록(42)은 전술한 고탄성 우레탄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완충스프링(고탄성 코일스프링)(42-1)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면진용 발통(40)은 서가 본체(10)의 가로 프레임(12)에 조립[가로 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반대로 가로 프레임(12)을 둘러싸도록 외접하도록 조립]되는 프레임 연결부(47)를 포함하며, 프레임 연결부(47)는 예를 들어 관형으로서 가로 프레임(12)에 끼움식으로 조립된다.
프레임 연결부(47)는 발통 하우징(4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발통 하우징(41)과의 사이에 턱이 형성되며, 따라서 가로 프레임(12)에 끼움 조립되면 발통 하우징(41)이 가로 프레임(12)의 앞으로 돌출 즉 서가 본체(10)보다 돌출되고 결과적으로 서가 본체(10)의 전도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서가에 따르면, 다수의 서류(B)는 선반(30) 위에 수납되어 보관되며 선반(30)은 서류(B)의 하중을 받게 된다. 서류(B)의 하중은 지지턱(23)과 후크(24) 및 보강판(25)에 전가되고 보강판(25)이 저부에서 선반 지지브래킷(20)을 지지함과 아울러 하중을 세로 프레임(11)에 분산시키고 종래보다 더 많은 수량의 후크(24)를 통해 하중이 세로 프레임(11)에 분산되어 선반 지지브래킷(20)은 휨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선반(30)을 지지하며 따라서 선반(30)의 휨 변형도 막고 서류(B)가 선반(30)에서 이탈되는 것도 막아 준다.
선반 지지브래킷(20)의 옆에 수납되는 서류(B)는 세로 프레임(11)의 브래킷 조립부(11b)와 선반 지지브래킷(20)의 정렬부(21)에 의해 정렬되며 즉, 서류(B)의 뒤쪽은 브래킷 조립부(11b)의 측면에 지지되고 앞쪽은 선반 지지브래킷(20)의 정렬부(21)에 지지되고, 이때, 브래킷 조립부(11b)와 정렬부(21)가 선반 지지브래킷(20)과 평행한 동일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서류(B)는 앞뒤가 비틀어지지 않고 일렬로 정렬 수납된다.
따라서, 선반(30)의 어느 곳에 수납된 서류(B)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때 주변의 서류(B)들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종래 주변의 서류를 밀어 여유공간을 확보한 후 서류를 수납과 인출하는 것과 달리 주변의 서류를 밀지 않고 해당 서류(B)만을 수납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서가에 조명등과 같은 전기장비를 설치할 때 세로 프레임(11) 내부를 배선공간으로 하여 이들 전기장비의 케이블을 배선하고, 이때, 세로 프레임(11) 내부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으므로 전기장비별 케이블을 서로 다른 공간에 배선하고 또한 동일 종류의 다수의 케이블을 공간에 맞춰 분할하여 배선한다. 따라서, 다종 및 다수의 케이블은 서로 다른 공간에 배선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케이블을 보수할 수 있다.
한편, 지진과 같은 지반의 거동시 진동은 받침블록(46)에 전달된다. 받침블록(46)에 전달되는 진동은 높이조절볼트(45)를 통해 이에 나사 체결된 제1부싱(43)에 전달되고, 제1부싱(43)이 진동하지만 완충재(완충블록, 완충스프링)가 이 진동을 흡수 및 감쇄하여 서가 본체(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서가 본체(10)의 흔들림이 적어 선반(30)에 수납된 서류가 선반(3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10 : 서가 본체, 11 : 세로 프레임
12 : 가로 프레임, 13 : 측판
14 : 천정판, 20 : 선반 지지브래킷
21 : 돌출형 정렬부, 22 : 브래킷 몸체
23 : 지지턱, 24 : 후크
25 : 보강판, 26 : 보강리브
30 : 선반, 40 : 면진용 발통
41 : 발통 하우징, 42 : 완충블록
43,44 : 제1,2부싱, 45 : 높이조절볼트
46 : 받침블록,

Claims (8)

  1.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골격 및 상기 골격의 좌우 양측과 상부 천정부에 조립되는 측판(13)과 천정판(14)으로 이루어지는 서가 본체(10)와;
    상기 서가 본체의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조립되는 선반 지지브래킷(20)과;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선반 지지브래킷에 지지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선반(30);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은 돌출형의 정렬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은 박스형의 선반 조립부, 상기 선반 조립부의 전후 양측 중 일측 이상에 상기 선반 조립부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이 조립되는 다단의 후크공이 구비된 브래킷 조립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 조립부와 상기 브래킷 조립부는 격벽을 통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한편 상기 브래킷 조립부는 상기 돌출형의 정렬부(21)와 동일선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2. 세로 프레임(11)과 가로 프레임(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골격 및 상기 골격의 좌우 양측과 상부 천정부에 조립되는 측판(13)과 천정판(14)으로 이루어지는 서가 본체(10)와;
    상기 서가 본체의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조립되는 선반 지지브래킷과;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선반 지지브래킷에 지지되면서 상기 세로 프레임에 조립되며 서류가 수납되는 선반과;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의 일측면 이상에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보다 돌출되면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조립식 정렬구(21-1)를 포함하여 서류가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조립식 정렬구에 지지되어 비틀리지 않고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은 박스형의 선반 조립부, 상기 선반 조립부의 전후 양측 중 일측 이상에 상기 선반 조립부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이 조립되는 다단의 후크공이 구비된 브래킷 조립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 조립부와 상기 브래킷 조립부는 격벽을 통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한편 상기 브래킷 조립부는 상기 조립식 정렬구(21-1)와 동일선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브래킷은 평평한 판상의 브래킷 몸체(22), 상기 브래킷 몸체의 저부에 상기 브래킷 몸체의 옆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선반이 지지되는 지지턱(23), 상기 브래킷 몸체의 후방에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의 다단의 후크공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24), 상기 브래킷 몸체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턱의 저부에서부터 상기 후크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보강판(25) 및 상기 보강판에 형성되는 보강리브(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완충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골격의 저부에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면진용 발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면진용 발통은,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을 갖는 발통 하우징(41), 상기 발통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완충재, 상기 완충재의 저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부싱(43),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부싱의 저부에서 상기 발통 하우징에 나사 체결되는 제2부싱(44), 상기 제2부싱의 저부에 상기 제2부싱의 내경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부싱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45)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블록(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통 하우징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가 본체의 가로 프레임에 조립되는 프레임 연결부(47)를 포함하며, 상기 발통 하우징은 상기 서가 본체보다 돌출되어 상기 서가 본체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은 내부의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선반 조립부와 브래킷 조립부에 케이블이 독립적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서가.
KR1020160080457A 2016-06-27 2016-06-27 고정식 서가 KR10169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57A KR101694505B1 (ko) 2016-06-27 2016-06-27 고정식 서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57A KR101694505B1 (ko) 2016-06-27 2016-06-27 고정식 서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505B1 true KR101694505B1 (ko) 2017-01-23

Family

ID=5798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57A KR101694505B1 (ko) 2016-06-27 2016-06-27 고정식 서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5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31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적층식 서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서가
KR102098776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KR102098768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WO2022099652A1 (zh) * 2020-11-13 2022-05-19 南京瑞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及控制方法
CN115251603A (zh) * 2022-08-05 2022-11-01 江西元正木业有限公司 一种便于整理的文件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62Y1 (ko) 2003-09-18 2003-12-31 세광교구공업주식회사 서가
KR200444838Y1 (ko) 2008-02-27 2009-06-0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서가 결합구조
KR20100118711A (ko) * 2009-04-29 2010-11-08 (주)토템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62Y1 (ko) 2003-09-18 2003-12-31 세광교구공업주식회사 서가
KR200444838Y1 (ko) 2008-02-27 2009-06-0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서가 결합구조
KR20100118711A (ko) * 2009-04-29 2010-11-08 (주)토템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706717호(2013.08.28.)*
등록의장공보 제30-0298258호(2002.05.18.)*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31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적층식 서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서가
KR101962532B1 (ko) * 2017-04-13 2019-07-31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적층식 서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서가
KR102098776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KR102098768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WO2022099652A1 (zh) * 2020-11-13 2022-05-19 南京瑞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及控制方法
CN115251603A (zh) * 2022-08-05 2022-11-01 江西元正木业有限公司 一种便于整理的文件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505B1 (ko) 고정식 서가
US6202570B1 (en) Communications equipment relay rack
US20120175331A1 (en) Ceiling rack
MXPA04010964A (es) Aparato y metodo para conversion de estante modular.
AU2005300063A1 (en) Tool rack set fastener
EP2947976B1 (en) Framework for electronic or network cabinets
US20140217046A1 (en) Assemblable Storage Rack
US3486634A (en) Modular rack system
KR200483150Y1 (ko) 휨방지 기능이 구비된 선반장치
KR101631989B1 (ko)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RU24167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помещения
JP2021166756A (ja) ハイテーブル
KR101336598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130058932A (ko) 물품보관대
KR101935534B1 (ko) 낙하방지장치가 구비된 책장
JP3580157B2 (ja) 収納棚の防震装置
KR102608568B1 (ko) 시스템 가구의 넘어짐 방지구조물
JP6679466B2 (ja) ケーブル収納什器
JP4292828B2 (ja) 家具ユニットのカバー
KR20200001922U (ko) 조립식 거치대 및 칸막이
JP6812288B2 (ja) 蓄電池用架台
KR101648939B1 (ko)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KR101385186B1 (ko) 전동 행거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KR102108390B1 (ko)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