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75B1 -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575B1
KR101648575B1 KR1020140113377A KR20140113377A KR101648575B1 KR 101648575 B1 KR101648575 B1 KR 101648575B1 KR 1020140113377 A KR1020140113377 A KR 1020140113377A KR 20140113377 A KR20140113377 A KR 20140113377A KR 101648575 B1 KR101648575 B1 KR 10164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frame
load
vinyl house
frame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906A (ko
Inventor
김정근
안준호
정현석
정진기
Original Assignee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근 filed Critical 김정근
Priority to KR102014011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5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3W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단동 비닐하우스나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규격의 골조에 대한 강도 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서까래 좌우 상부면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의 변형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관리기관의 합격/불합격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안정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역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표준설계값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저면을 가지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중량물과,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에 연통 형성되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하중 부과용 덮개가 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하는 하중 부과체를 포함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Strength test machine of vinyl greenhouse framework}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동 비닐하우스나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규격의 골조에 대한 강도 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서까래 좌우 상부면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의 변형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관리기관의 합격/불합격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안정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역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표준설계값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골조를 구축하고 이 골조 위에 비닐을 씌워 만든 구조물로서, 비닐로 바깥을 가린 하우스 내에 태양 광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높여 작물의 성장 및 재배 환경을 맞춰줌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야채, 화초, 농작물 및 묘목 등을 재배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기온이 떨어지는 추운 계절에 많이 설치된다.
한편 현대 산업사회는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급증하여 온실효과가 심해지면서 지구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여름에는 새로운 형태의 강수와 강풍 또는 가뭄이 나타나고, 특히 겨울에는 폭설 등과 같은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매년 폭설로 인해 단시간에 쌓인 눈에 의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농촌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상부 면(A)에 눈이 쌓이게 되면 비닐하우스가 폭설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상부 골조와 수직 골조 사이를 이어주는 벤딩 부분(B)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면서 비닐하우스 골조가 파손된다.
이와 같이 폭설에 의한 비닐하우스 붕괴사고에 의해 애써 재배한 농작물의 손실과 함께 비닐하우스의 파괴로 인해 농촌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실정이다. 또한, 비닐하우스 내에서 이를 막기 위한 농부의 노력으로 제설작업을 하게 되는데 비닐하우스의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가중되어 안전 작업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특허출원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7-0016705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300) 위에 열선(120)이 포함된 패드(110)를 덮어 적설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열선만을 사용하여 눈을 녹이면 눈을 녹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 외부에 패드가 항상 덮여 있으므로 햇빛의 투과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패드의 무게가 눈의 무게와 합쳐져 오히려 더 큰 붕괴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812222호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 위에 설치된 복잡한 구조의 온수관(20)을 통해 온수를 뿌려주어 제설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온수를 사용할 경우 보일러를 통해 온수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열효율이 낮고 많은 양의 열원이 소모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의 길이가 수십미터로 길어질 경우 상기 비닐하우스 외부면 상측에 이러한 관들을 다수개 설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며 강풍에 견디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눈이 오지 않는 날에는 타 수단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등 설치비용 대비 그 사용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는 겨울철 폭설에만 대비하여 비닐하우스 상부의 외부 면에 적설되는 눈을 녹이기 위한 방법에 대한 기술들에만 한정됨에 따라 강풍이 불 경우에는 비닐하우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869905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으로 벤딩(bending) 된 비닐하우스 골조용 쇠파이프(10a) 내에 충진물질 삽입호스(20)의 통과구멍(11) 내로 시멘트와 모래 그리고 칩 형태의 자갈이 혼합되어 겔 상태를 띠도록 한 콘크리트 또는 겔 상태의 시멘트 또는 석분과 수지접착제를 혼합하여 겔 상태를 띠도록 한 강도보강용 충진물질(30)을 충진시켜 쇠파이프(10a)를 보강한 비닐하우스가 알려져 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의 경우에는 쇠파이프 내에 충진된 강도보강용 충진물질(30)이 쇠파이프 내에 공기가 제대로 소통되지 아니하여 충분하게 양생이 되지아니하므로 강도보강용 충진물질에 의한 강도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고, 특히 쇠파이프 내에 충진된 강도보강용 충진물질에 의해 쇠 파이프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외력이 쇠파이프에 가해질 경우 쉽게 강도보강용 충진물질이 부서짐에 따라 쇠파이프의 보강효과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9-109922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파이프가 직접적으로 토양에 매설되지 않으며, 파이프의 하단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고무 패킹을 더 끼움구성하여 토양으로부터 생성되는 습기가 파이프(P)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11)를 이용하여 매설 고정체(20)에 체결시켜 파이프(P)를 고정시키는 비닐하우스 파이프의 지지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는 매설 고정체(20)의 하단부가 원추형으로 연약지반에 설치할 경우 강풍이 심하게 불면 지면으로부터 쉽게 뽑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비닐하우스 파이프의 지지장치는 파이프(P)와 매설 고정체(20)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방법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도 6의 (a)와 (b)에서와 같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212978호를 안출하였는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212978호는 비닐 하우스의 상부용 골조를 지지하는 수직 골조의 관통공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의 보강부재를 다수 겹 내장시켜 간단한 작업에 의해 수직 골조를 보강함으로써, 폭설 또는 강풍에 의해 수직 골조가 소성변형을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자에 의해 안출된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212978호를 포함하여 강도가 보강된 구조의 비닐하우스에 대한 정량적인 강도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강도 시험장치가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구조와 규격의 각 비닐하우스마다 개별적으로 강도 시험장치를 구성해야 함에 따라,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시험이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따랐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16705호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12222호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9905호 "비닐하우스 골조용 쇠 파이프 내부에 강도 보강용 물질을 충진시키는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109922호 "비닐하우스 파이프의 지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2978호 "보강 수직 골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골조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저면을 갖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구비함으로써 단동 비닐하우스나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규격의 골조에 대한 강도 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서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인 게이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비닐하우스 골조의 서까래 좌우 상부면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의 변형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관리기관의 합격/불합격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안정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역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표준설계값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저면을 가지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상기 하중 부과용 덮개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셀(cell)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 내부공간의 각 분할 셀 별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를 포함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상기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로부터 각 측정지점의 변형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상기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은 상기 컨트롤러와 유무선 통신하여 변형률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변형률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를 산출하는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는 강도 분석유닛을 포함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가 연결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고정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설치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고정프레임에 양단부가 핀결합되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덮개판과,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판 양측 하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유연 접촉단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 유닛 한쌍이 서로 핀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진 개수의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접촉하게 되는 유연 접촉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과; 서로의 연결부위가 핀결합된 다수개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판체가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핀결합되며,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접촉하게 되는 판형 접촉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판의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이 핀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벽이 구비되되, 각 측벽의 하부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양측 하부단 각각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고정 및 강도 시험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를 고정시키는 한쌍 측벽과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블록이 구비되되, 각 측벽의 하부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양측 하부단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고, 중간 고정블록의 상부면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중간측 하부단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면서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고정 및 강도 시험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서 상기 측벽의 고정홀은 상하방향 및 전후 길이방향으로 다수행과 다수열을 이루며 배열되되,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비닐하우스 골조의 하부단 부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 비닐하우스 골조의 각 하부단이 움직임없이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전후단을 구속시키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에 의하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에 놓여 비닐하우스 골조에 하중을 부과하는 구조임에 따라, 단동 비닐하우스나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규격의 골조에 대한 강도 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서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통해 비닐하우스 골조의 서까래 좌우 상부면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의 변형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관리기관의 합격/불합격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안정성 검증이 가능하고, 지역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표준설계값을 확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폭설시 비닐하우스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용 쇠파이프를 보강하기 위하여 골조용 쇠파이프 내에 강도보강용 충진물질을 충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파이프를 매설 고정체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10-1212978호의 조립도와 결합도;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가 비닐하우스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에 하중 부과체가 설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가 단동 비닐하우스와 복동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가 단동 비닐하우스와 복동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가 단동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가 단동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이루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에 의해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3은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 변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2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비닐하우스, 단동 비닐하우스, 복동 비닐하우스,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 비닐하우스 강도 시험, 중량물, 압력조절기, 유연 소재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에 동시적으로 적용되어 강도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7의 (a)와 (b)에서와 같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 하중 부과체(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한다.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도 8의 (a)와 (b)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 골조(1)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저면은 형상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저면의 형상이 변경되면서 다양한 규격의 비닐하우스 골조에 대한 강도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내부공간(15)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내부공간(15)은 도 9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셀(cell)(15a)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 10의 (a)에서와 같이 각 분할 셀(15a) 별로 중량물(20a)이 배치되거나,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압력조절기(20b)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분할 셀(15a)에 의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분할구조를 통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가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전체 부위에 걸쳐 균일하게 하중이 부과되도록 한다.
하중 부과체(20)는 도 10의 (a)에서와 같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내부공간(15)에 배치되는 중량물(20a)이나,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내부공간(15)과 연결관체(20c)를 통해 연통 형성되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중 부과체(20)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가 비닐하우스 골조(1)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도 11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의 (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11)의 양측 하단에 유연 접촉단(12a)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연 접촉단(12a)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1a)은 상판(111)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112)이 결합되어 있는 캡형 수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체프레임(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11)과 유연 접촉단(12a) 사이에 하중 부과체(20)가 배치되는 내부공간(15)이 형성된다.
도 12의 (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11)의 양측 하단에 판형 접촉단(12b)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판형 접촉단(12b)은 서로의 연결부위가 핀결합된 다수개의 판체(121)로 이루어지는데, 단동 비닐하우스(3) 적용시 판형 접촉단(12b)은 2개의 판체(121)로 구성될 수 있고, 복동 비닐하우스(3) 적용시 판형 접촉단(12b)은 4개의 판체(12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동 비닐하우스(3)에 적용되는 판형 접촉단(12b)을 구성하는 판체(121)의 개수는 복동 비닐하우스(3)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변경된다. 이와 같은 판형 접촉단(12b)은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판체(121)가 본체프레임(11)의 양측 하단에 핀결합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1a)은 상판(111)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112)이 결합되어 있는 캡형 수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체프레임(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11)과 판형 접촉단(12b) 사이에 하중 부과체(20)가 배치되는 내부공간(15)이 형성된다.
도 13의 (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상판(111)의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112)이 핀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프레임(11b)의 양측 하단에 유연 접촉단(12a)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연 접촉단(12a)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4의 (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상판(111)의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112)이 핀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프레임(11b)의 양측 하단에 판형 접촉단(12b)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판형 접촉단(12b)은 서로의 연결부위가 핀결합된 다수개의 판체(121)로 이루어지는데, 단동 비닐하우스(3) 적용시 판형 접촉단(12b)은 2개의 판체(121)로 구성될 수 있고, 복동 비닐하우스(3) 적용시 판형 접촉단(12b)은 4개의 판체(12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동 비닐하우스(3)에 적용되는 판형 접촉단(12b)을 구성하는 판체(121)의 개수는 복동 비닐하우스(3)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변경된다. 이와 같은 판형 접촉단(12b)은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판체(121)가 본체프레임(11a)의 양측 하단에 핀결합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의 (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는 설정 형상으로 된 덮개판(11c)과,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덮개판(11c) 양측 하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유연 접촉단(12a)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 유닛(10a) 한쌍이 서로 핀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진 개수의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가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덮개판(11c) 형상은 캡 형으로 이루어지나,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16에서와 같이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측벽(30)을 구비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를 고정시키거나, 도 17에서와 같이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쌍 측벽(30)과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블록(40)을 구비하여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측벽(30)의 하부는 설정크기의 폭을 갖는 지지단(31)으로 이루어져 측벽(30)이 안정되게 설치면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단(31)은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측벽(30)의 하부에는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32)이 형성되는데,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양측 하부단(4)이 복수의 고정홀(32)에 고정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고정 및 강도 시험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측벽(30)의 고정홀(32)은 상하방향 및 전후 길이방향으로 다수행과 다수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다양한 규격의 비닐하우스 골조(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벽(30)은 고정홀(32)에 고정되는 비닐하우스 골조(1)의 하부단(4) 부위에 대응하는 크기의 고정홀(32)이 형성되도록 하여 비닐하우스 골조(1)의 각 하부단(4)이 움직임없이 고정홀(32)에 끼워지도록 한다.
중간 고정블록(40)의 상부면에는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41)이 형성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의 중간측 하부단(4)이 복수의 고정홀(4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18과 도 19에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전면판(50)과 후면판(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판(50)과 후면판(60)은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전후단을 구속시키게 된다. 여기서 전면판(50)과 후면판(60)은 하단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ㅛ' 형 수직단면 형상의 지지편(55)(65)에 의해 지지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20에서와 같이 한쌍의 지지벽체(70)에 의해 비닐하우스 골조(1)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한쌍의 지지벽체(70)는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각 지지벽체(70)는 비닐하우스 골조(1)의 하부단(4)이 끼워지는 끼움홈(72)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대(71)를 내측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끼움홈(72)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다양한 규격의 비닐하우스 골조(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벽체(70) 내측면과 고정대(71)는 서로 이격되어 지지벽체(70) 내측면과 고정대(71) 사이에 비닐하우스 골조(1)의 하부단(4)이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벽체(70)의 내측면 상부에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7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벽체(70)의 고정홈(73)은 압력조절기(20b)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20)가 연결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를 고정시켜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가 고정 설치될 경우 상기에서와 같이 한쌍의 지지벽체(7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블록(40)이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21에서와 같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가 고정체(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1a)나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1b)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80)에 고정체(90)가 결합되어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고정체(90)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편(91), 연결편(91)과 고정프레임(80)에 핀결합되는 고정편(9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비닐하우스 골조(1)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저면을 갖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10)를 구비함으로써 단동 비닐하우스나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규격의 골조에 대한 강도 시험이 단일한 장치구성을 통해서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22에서와 같이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과 컨트롤러(300)를 구비하여 비닐하우스 골조(1)의 강도 특성이 자동으로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은 비닐하우스 골조(1)의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은 컨트롤러(300)와 유무선 통신하여 변형률 정보를 변형 상태정보로서 전송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은 비닐하우스 골조(1)에 대한 촬영 및 영상분석을 통해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영상분석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300)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로부터 각 측정지점의 변형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비닐하우스 골조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로부터 비닐하우스 골조(1)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300)로는 컴퓨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설치되는 캐드 프로그램, 앤시스, 솔리드웍스 등의 구조해석 프로그램 등이 강도 특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이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210)로 이루어질 경우, 컨트롤러(300)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210)로부터 변형률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유닛(310), 비닐하우스 골조(1)의 변형률 3차원 분포를 산출하는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320), 비닐하우스 골조(1)의 변형률 3차원 분포로부터 비닐하우스 골조(1)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는 강도 분석유닛(3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200)과 컨트롤러(3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100)는 도 23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 골조(1)의 서까래 좌우 상부면에 대한 하중 작용 전후의 변형 상태정보를 측정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비닐하우스 골조(1)에 대한 관리기관(농촌진흥청 등)의 합격/불합격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안정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역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표준설계값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비닐하우스 골조 1a :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
1b :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2 : 비닐
3 : 비닐하우스 4 : 하부단
5 : 하부단 고정편 10 :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
10a : 상부덮개 유닛 11, 11a, 11b : 본체프레임
11c : 덮개판 111 : 상판
112 : 측판 12a : 유연 접촉단
12b : 판형 접촉단 121 : 판체
13 : 연결핀 15 : 내부공간
15a : 분할 셀 20 : 하중 부과체
20a : 중량물 20b : 압력조절기
20c : 연결관체 30 : 측벽
31 : 지지단 32, 41 : 고정홀
40 : 중간 고정블록 50 : 전면판
60 : 후면판 55, 65 : 지지편
70 : 지지벽체 71 : 고정대
72 : 끼움홈 73 : 고정홈
80 : 고정프레임 90 : 고정체
91 : 연결편 92 : 고정편
100 :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200 :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 210 : 스트레인 게이지
300 : 컨트롤러 310 : 통신유닛
320 :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 330 : 강도 분석유닛

Claims (11)

  1.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저면을 가지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상기 하중 부과용 덮개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셀(cell)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 내부공간의 각 분할 셀 별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와;
    설치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가 연결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고정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상기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유무선 통신하여 각 측정지점의 변형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도록 하되,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변형률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를 산출하는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는 강도 분석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접촉하게 되는 유연 접촉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2.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저면을 가지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상기 하중 부과용 덮개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셀(cell)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 내부공간의 각 분할 셀 별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와;
    설치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가 연결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고정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상기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유무선 통신하여 각 측정지점의 변형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도록 하되,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변형률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를 산출하는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는 강도 분석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본체프레임과;
    서로의 연결부위가 핀결합된 다수개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판체가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핀결합되며,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며 형상이 변경되면서 접촉하게 되는 판형 접촉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3. 형상 변형이 가능한 저면을 가지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 골조의 상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상기 하중 부과용 덮개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정크기의 하중을 부과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공간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할 셀(cell)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 내부공간의 각 분할 셀 별로 연통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와;
    설치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진 하중 부과체가 연결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고정되어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의 내부압력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설정된 복수의 측정지점에서의 변형 상태정보를 계측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는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상기 변형 상태정보 측정모듈과 유무선 통신하여 각 측정지점의 변형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를 산출하고, 변형 상태정보의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이 분석되도록 하되,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변형률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를 산출하는 변형률 3차원 분포생성유닛과,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률 3차원 분포로부터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는 강도 분석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 저면의 형상이 변경된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는 설정 형상으로 된 덮개판과,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판 양측 하단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유연 접촉단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 유닛 한쌍이 서로 핀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 형상에 맞추어진 개수의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가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와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중 부과용 상부덮개와 고정프레임에 양단부가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판의 양측으로 한쌍의 측판이 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벽이 구비되되,
    각 측벽의 하부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양측 하부단 각각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면서 단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고정 및 강도 시험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측방향으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를 고정시키는 한쌍 측벽과 하나 이상의 중간 고정블록이 구비되되,
    각 측벽의 하부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양측 하부단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고, 중간 고정블록의 상부면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중간측 하부단이 복수의 고정홀에 고정되면서 복동 비닐하우스 골조의 고정 및 강도 시험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KR1020140113377A 2014-08-28 2014-08-28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KR101648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77A KR101648575B1 (ko) 2014-08-28 2014-08-28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77A KR101648575B1 (ko) 2014-08-28 2014-08-28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06A KR20160025906A (ko) 2016-03-09
KR101648575B1 true KR101648575B1 (ko) 2016-08-16

Family

ID=5553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77A KR101648575B1 (ko) 2014-08-28 2014-08-28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5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201Y1 (ko) 2006-06-30 2006-11-10 임규일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JP2010198933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電極板加圧装置
KR101024118B1 (ko) * 2008-12-17 2011-03-23 대한민국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189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경사트러스의 성능실험에 사용되는 수직하중 가력장치
KR20070016705A (ko)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금문산업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KR100812222B1 (ko) 2006-02-23 2008-03-13 민승기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
KR100869905B1 (ko) 2006-12-18 2008-11-24 고권호 비닐하우스 골조용 쇠 파이프 내부에 강도 보강용 물질을 충진시키는 방법
KR20090109922A (ko) 2008-04-17 2009-10-21 석성진 비닐하우스 파이프의 지지장치
KR101212978B1 (ko) 2011-03-23 2012-12-18 김정근 보강 수직 골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골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201Y1 (ko) 2006-06-30 2006-11-10 임규일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KR101024118B1 (ko) * 2008-12-17 2011-03-23 대한민국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JP2010198933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電極板加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06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31204U (zh) 一种水稻植株高度测量装置
KR101648575B1 (ko)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KR20120108262A (ko) 보강 수직 골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골조 구조
JP2013175520A (ja) 太陽光発電装置
CN102135451A (zh) 多角度热辐射近地面观测装置
KR20180025997A (ko) 스크루 잭 및 계측센서부재를 갖는 조립식 다족형 강지보 시스템 및 그 시공법
Andales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precision weighing lysimeter in southeast Colorado
CN205619964U (zh) 一种农用物联网传感器支撑防护装置
CN210268775U (zh) 一种水库大坝渗漏量流量计
KR101607535B1 (ko) 건축용 프레임구조물
CN210091345U (zh) 一种大型危岩崩落实时监测预警系统
CN206497216U (zh) 农林气象自动监测系统
CN104729931A (zh) 一种玉米茎杆抗倒伏力测试仪
CN204556406U (zh) 一种玉米茎杆抗倒伏力测试仪
JP3205158U (ja) 農業用ハウスの補強構造
CN206056642U (zh) 一种光伏电站环境监测仪
CN209446794U (zh) 一种用于气象梯度观测的设备
Moriyama et al. Design considerations for small-scale pipe greenhouses to prevent arch buckling under snow load
JP2015171175A (ja) さら地における太陽電池パネルの実装構造
CA3132672C (en) Structures for growing plants
CN206573114U (zh) 一种高精度易组装的全站架
MORIYAMA et al. Reinforcement for pipe-framed greenhouse under snow load and design optimization considering steel mass
Sagi Foundation effects of trees under wind loads
CN211779828U (zh) 一种太阳能气象设备用支架
CN211373520U (zh) 一种基于激光收敛仪的隧道收敛监测教学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