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445B1 - 서랍형 주방 가구 - Google Patents

서랍형 주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45B1
KR101648445B1 KR1020140152089A KR20140152089A KR101648445B1 KR 101648445 B1 KR101648445 B1 KR 101648445B1 KR 1020140152089 A KR1020140152089 A KR 1020140152089A KR 20140152089 A KR20140152089 A KR 20140152089A KR 101648445 B1 KR101648445 B1 KR 10164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furniture
kitchen
auxiliary tabl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176A (ko
Inventor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정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철 filed Critical 정태철
Priority to KR102014015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주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구 본체; 상기 가구 본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여 취사 관련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및 상기 보조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되어 주방용품 또는 음용 음료와 음용 잔이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보관물이 인출되도록 서랍형으로 구비되되,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내부에 음용 음료와 음용 잔 등이 수납되어 홀바(Hall bar) 기능을 겸비하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용도에 따른 구매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랍형 주방 가구 {KITCHEN FURNITURE OF DRAWER TYPE}
본 발명은 서랍형 주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 배치되어 취사 관련 물품 및 주방용품 등이 서랍 형태로 출몰하는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게 하는 주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 가구라 함은 주방에 배치되어 취사용품, 각종 식기류 및 그릇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 가구의 일종으로, 싱크대, 붙박이장, 진열장 및 수납장 등이 이에 속한다.
특히, 근래에 주방의 기능이 종전의 단순한 취사를 위한 공간에서 탈피하여 인테리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단독 기능의 가구보다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기능의 주방 가구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주방 가구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 제0358395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17585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358395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175855호에 개시된 주방용 가구 그리고 주방용 다용도 가구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035839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주방용 가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주방용 가구는 쌀통이나 전기밥솥 등과 같은 취사용구 또는 각종 식기류 등을 수납하기 위한 주방용 가구에 있어서, 수납장(10)을 구성하는 전면부의 상, 하측에 구획판(11)을 개재하여 제1수납부(12) 및 제2수납부(1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11) 상에 전후방향으로 출몰이 자유로운 받침대(17)를 장착시킴과 동시에 이 받침대(17)의 저면에는 보조테이블(20)이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주방용 가구는 홀바(Hall bar)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에 맞는 가구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구매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모되며, 차지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017585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주방용 가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주방용 가구는 쌀통(3)이 마련되는 주방용 가구(1)에 있어서, 쌀통(3)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으로 되고 내측에 수개의 간격유지판(42)이 부착되는 수납부(41)가 마련된 장식판(4)을 제작하여 하단부와 가구본체(2)간에 경첩과 같은 회동수단(5)으로 연결하고 장식판(4)의 양측 중간 부분과 가구본체(1) 사이에는 링크로 되는 절접수단(6)를 가설하여 장식판(4)이 전방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수납부(41)에 쌀통(3)을 내입하며; 상기 수납부(41) 상부에는 안치판(8)을 마련하고, 안치판(8) 일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의 개폐문으로 사용되는 보조판(9)의 하단부와 가구본체간(2)에 회동수단(5)을 설치하고 링크로 되는 절첩수단(6)을 보조판(8)과 가구본체(2)간에 가설하여 펼쳤을 때 가구본체(1)에서 보조판(8)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장식판(4)과 보조판(8)의 양측 상단과 가구본체(2)의 접합부에는 부착수단(7)으로 일측에는 철판(71)을 다른측에는 자석(72)을 마련하여 가구본체(2)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주방용 가구는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홀바(Hall bar)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에 맞는 가구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구매 비용이 발생하며, 차지 공간에 따른 활용 공간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839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7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보관물이 인출되도록 서랍형으로 구비되되,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내부에 음용 음료와 음용 잔 등이 수납되어 홀바(Hall bar) 기능을 겸비하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용도에 따른 구매 비용이 감소하는 서랍형 주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구 본체; 상기 가구 본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여 취사 관련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및 상기 보조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되어 주방용품 또는 음용 음료와 음용 잔이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포함하는 서랍형 주방 가구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과 이격되게 연결되어 양쪽으로 음용 음료 또는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선반과,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용 잔이 거꾸로 매달리도록 구비된 음용 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 중 상기 선반의 양측으로 음용 음료를 눕혀 보관하는 음용 음료 보관 선반과, 주방 관련 용품이 수납되도록 용품 수납 선반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선반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음용 음료의 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조테이블은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측 보조테이블이 승강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보관물이 인출되도록 서랍형으로 구비되되,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내부에 음용 음료와 음용 잔 등이 수납되어 홀바(Hall bar) 기능을 겸비하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용도에 따른 구매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주방용 가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주방용 가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의 승강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주방 가구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의 작동 전후 상태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서랍형 주방 가구(100)는 가구 본체(110), 상부 받침대(120), 하부 받침대(130), 보조테이블(140) 및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가구 본체(110)는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며,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상부 받침대(120), 하부 받침대(130), 보조테이블(140) 및 수납부(150)가 배치되며,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부 받침대(120)는 상기 가구 본체(110)의 상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도록 양측면과 가구 본체(110)의 대향된 내측벽에 레일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받침대(120)는 전자렌지 등과 같은 취사 관련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받침대(120) 대신 상단에 전자렌지 등과 같은 취사 관련 물품이 수납되도록 횡 방향의 격벽이 위치 고정되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 각종 주방 용품이 보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30)는 상기 상부 받침대(120)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도록 양측면과 가구 본체(110)의 대향된 내측벽에 레일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대(130)는 전기밥솥 등과 같은 취사 관련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받침대(120)와 상기 하부 받침대(130)에 수납되는 취사 관련 물품은 전자렌지나 전기밥솥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취사 관련 물품뿐만 아니라 주방용품 등도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구 본체(110) 중 후술할 보조테이블(140)의 두께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양쪽 측벽에 용품 수납 선반(112)과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선반(112)은 주방 관련 용품이 수납되도록 격벽이 다단으로 구획 형성되어 선반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은 와인 등과 같은 음용 음료를 눕혀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이 다단으로 구획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은 입구측에 와인 등의 병 입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철심 중심부를 원호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지지구(116)를 양쪽 벽에 구멍을 뚫고 삽입시키게 된다.
보조테이블(140)은 하부 받침대(13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출되며, 저면에 주방용품 또는 음용 음료와 음용 잔 등이 수납되도록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보조테이블(140)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도록 저면 양단과, 그리고 가구 본체(110)의 하단 양쪽에 배치된 수납 선반(112)과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의 상면 각각에 레일을 통해 연결되므로 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블(140)은 인조대리석 재질 등으로 구비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부(150)는 보조테이블(140)의 저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테이블(140)의 저면과 이격되게 연결되어 양쪽으로 음용 음료 또는 주방용품 등이 수납되는 선반(152)과, 상기 보조테이블(140)의 저면인 개방 공간에 구비되어 와인잔 등과 같은 음용 잔이 거꾸로 매달리도록 구비된 음용 잔 홀더(15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선반(152)에는 상단에 와인 등의 병 입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철심 중심부를 원호 형상으로 다수 가공하여 형성된 지지구(도면에 미도시)를 양쪽 벽에 구멍을 뚫고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주방 가구(110)는 상부 받침대(120)에 수납된 전자렌지 등과 같은 취사 관련 물품을 사용하다가 상기 취사 관련 물품의 청소 등이 요구되면 상기 상부 받침대(120)를 전방으로 잡아당긴 후 실시하게 된다.
또한, 하부 받침대(130)에 수납된 전기밥솥 등과 같은 취사 관련 물품에서 밥을 푸기 위해서 상기 하부 받침대(130)를 사용자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용이하게 수행한다.
그리고 홈바 등으로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가 보조테이블(140)을 잡아당기면 상기 보조테이블(140)의 저면 양단과, 수납 선반(112)과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의 상면에 각각 구비된 레일을 따라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된다.
그 후, 선반(152) 또는 음용 음료 보관 선반(114)에서 와인 등과 같은 주류 음료를 꺼내고, 음용 잔 홀더(154)에 구비된 와인잔 등을 꺼내에 음용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주방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의 승강 전후 상태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서랍형 주방 가구(100)는 가구 본체(110), 상부 받침대, 하부 받침대(130), 보조테이블(140a, 140b), 승강부 및 수납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받침대(120), 하부 받침대(130) 및 수납부(15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승강부는 보조테이블(140a, 140b) 중 상측 보조테이블(140b)을 하측 보조테이블(140a)로부터 승강시키는 구성요소로, 승강부재(142), 슬릿 홀(slit hole: 144) 및 탄성부재(146)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테이블(140a, 140b)의 사이 중 앞뒤로 배치되는 것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부재(142)는 겹쳐진 한 쌍의 바(bar)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X" 자 형태로 보조테이블(140a, 140b)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42)에서 교차된 상하단 일측은 하측 보조테이블(140a)과 상측 보조테이블(140b)의 양쪽 내벽에 각각 힌지 고정되고, 교차된 상하단 타측은 상기 하측 보조테이블(140a)과 상측 보조테이블(140b)의 양쪽 내벽에 각각 형성된 길이 방향의 슬릿 홀(144)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탄성부재(146)는 슬릿 홀(144) 내에 구비되되, 일단은 승강부재(142)에서 교차된 상하단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부재(142)의 상하단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슬릿 홀(144)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측 보조테이블(140b)이 상승하면 복원력이 상기 승강부재(142)의 상하단 타측에 가해져 밀면서 상기 승강부재(142)의 사이각을 크게 되어 상기 상측 보조테이블(140b)을 적은 힘으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릿 홀(144)의 내부 상하면에 설정 간격마다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승강부재(142) 중 교차된 상하단 타측에 구비된 힌지가 상기 슬릿 홀(144)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돌기를 넘는 경우 좀더 높은 위치 또는 좀더 낮은 위치로 상측 보조테이블(140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랍형 주방 가구
110: 가구 본체
120: 상부 받침대
130: 하부 받침대
140: 보조테이블
150: 수납부
152: 선반
154: 음용 잔 홀더

Claims (5)

  1. 가구 본체;
    상기 가구 본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여 취사 관련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출되는 보조테이블; 및
    상기 보조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되어 주방용품 또는 음용 음료와 음용 잔이 수납되도록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테이블은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측 보조테이블이 승강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형 주방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과 이격되게 연결되어 양쪽으로 음용 음료 또는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선반과,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용 잔이 거꾸로 매달리도록 구비된 음용 잔 홀더를 포함하는 서랍형 주방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테이블의 저면 중 상기 선반의 양측으로 음용 음료를 눕혀 보관하는 음용 음료 보관 선반과, 주방 관련 용품이 수납되도록 용품 수납 선반이 구획 형성되는 서랍형 주방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음료 보관 선반에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음용 음료의 병 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서랍형 주방 가구.
  5. 삭제
KR1020140152089A 2014-11-04 2014-11-04 서랍형 주방 가구 KR10164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89A KR101648445B1 (ko) 2014-11-04 2014-11-04 서랍형 주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89A KR101648445B1 (ko) 2014-11-04 2014-11-04 서랍형 주방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76A KR20160052176A (ko) 2016-05-12
KR101648445B1 true KR101648445B1 (ko) 2016-08-16

Family

ID=5602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089A KR101648445B1 (ko) 2014-11-04 2014-11-04 서랍형 주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48Y1 (ko) 1999-07-14 2000-02-15 김영철 분리형 쌀통이 내장된 수납장
JP3104970B2 (ja) 1998-12-25 2000-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35B2 (ja) * 1989-09-19 1996-09-04 株式会社 島精機製作所 コンパウンドニ―ドル
KR200312775Y1 (ko) 2003-02-06 2003-05-13 김병길 다용도 화장대
KR200358395Y1 (ko) 2004-05-11 2004-08-06 전병운 주방용 가구
KR200454417Y1 (ko) * 2009-02-24 2011-07-05 조아라 보조 와인테이블을 구비한 공간 절약형 와인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970B2 (ja) 1998-12-25 2000-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KR200164148Y1 (ko) 1999-07-14 2000-02-15 김영철 분리형 쌀통이 내장된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76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8673A (ko) 선반 어셈블리
US9554648B2 (en) Sliding system for drawer
JP5199144B2 (ja) 収納庫
US3734588A (en) Refrigerator cabinet
KR20180055005A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101648445B1 (ko) 서랍형 주방 가구
US9801501B1 (en) Tray holder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US2941856A (en) Mobile carrier and dispenser in combination with a food service unit
EP1564512A1 (en)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ing apparatus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CN204500108U (zh) 一种糕点柜
KR102220131B1 (ko)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CN215076671U (zh) 一种酒柜
CN213640214U (zh) 一种具备可伸缩吧台的厨房餐边柜
CN217390243U (zh) 一种厨房柜
JP3145753U (ja) 調理台ユニット
KR200458821Y1 (ko) 다용도 양념 수납장
CN219270481U (zh) 一种调味拉篮
KR101204938B1 (ko) 와인잔 홀더를 구비한 테이블.
KR20140069641A (ko) 홈바 테이블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KR200467639Y1 (ko) 주방용 다목적 테이블
JP2006230468A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