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982B1 -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 Google Patents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7982B1 KR101647982B1 KR1020150036564A KR20150036564A KR101647982B1 KR 101647982 B1 KR101647982 B1 KR 101647982B1 KR 1020150036564 A KR1020150036564 A KR 1020150036564A KR 20150036564 A KR20150036564 A KR 20150036564A KR 101647982 B1 KR101647982 B1 KR 101647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fitting groove
- roof part
- wall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04B1/40—
-
- E04B1/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와 상기 벽체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를 서로 조립하여 집 등의 건축물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를 통해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어느 한행의 기둥부와 다른 한행의 기둥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와 상기 벽체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를 서로 조립하여 집 등의 건축물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를 통해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어느 한행의 기둥부와 다른 한행의 기둥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건축물의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연적인 질감을 표현하려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대리석 등의 천연석을 판상으로 재단, 가공한 다음 이를 모르타르를 이용한 습식 공법으로 건축물 벽면에 부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는 대리석의 천연적인 질감이 그대로 표현될 수는 있으나, 대리석은 깨지기 쉬움에 따라 대리석의 가공, 운반 및 부착 시공하는 과정에서 그 취급이 어려워 손실이 많고, 대형의 크기로 제작이 어려우며, 특히 모르타르를 이용한 습식 공정으로 부착해야 함에 따라 공기 및 공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래 크기로 분쇄한 천연석을 접착제에 혼합한 다음, 이를 건축물의 벽면에 미장, 마감하여 천연적인 질감을 표현하려는 공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 역시 미장을 통한 습식 공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공기 및 공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미장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천연석을 모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천연석의 입자가 너무 작아 천연석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지 못하였고, 미장공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결정되며, 무엇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물의 내외벽, 천정, 바닥 등의 표면을 마감함에 있어서는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패널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표면층, 그리고 내부의 단열재층 또는 흡음재층 등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립식 패널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면서 철골 프레임에 조립되어 건축물의 벽체 자체를 구성하거나 또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 천정, 바닥 등에 조립되어 표면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 상호간은 끼움 조립되거나 단순 밀착되며, 건축물 구조체(철골 프레임,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 천정, 바닥 등)와는 볼트, 브라켓류 등의 고정구가 이용되어 결합되고 있다.
여기서,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H빔, I빔 등의 철골 프레임으로 기둥을 세운 다음, 철골 프레임의 사이에 벽돌을 조적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표면을 모르타르로 미장, 마감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벽돌의 조적 및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공기 및 공임의 증가와 함께 재료 자체의 자격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무엇보다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철골 프레임의 사이에 서브 프레임을 조립하여 다수의 빈공간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빈공간에 단열재를 끼우고, 그 외부 표면을 마감처리함으로써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면서 간편하게 구축될 수 있는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06-0107480호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06-0107480호를 통해 널리 공지된 건축물 벽체는 특히,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그 길이가 주기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와 상기 벽체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를 서로 조립하여 집 등의 건축물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를 통해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어느 한행의 기둥부와 다른 한행의 기둥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와 상기 벽체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보 및 하부보로 구성되는 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벽체는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가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서 상기 기둥부의 타측방향으로 좌우배열되어 형성되는 제 1벽체와;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가 상기 기둥부의 전측에서 상기 기둥부의 후측방향으로 전후배열되어 형성되는 제 2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한조의 삽입구가 상기 기둥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한조의 삽입구는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서 상기 기둥부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제 1삽입구와; 상기 제 1삽입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삽입구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후면 일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전면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삽입구와; 상기 제 2삽입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삽입구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후면 타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전면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3삽입구;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에 일측이 각각 삽입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에 타측이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의 일측과 상기 벽체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홈내에 수용되어 상기 벽체의 일측과 상기 벽체의 타측을 평면화하는 보조기둥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기둥부에 한조의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삽입홈이 상기 보조기둥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와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기둥부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보의 일측과 상기 상부보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상부보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보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 중 상기 상부보의 끼움홈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상부는 상기 상부보의 끼움홈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보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상부보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의 내면 전측과 상기 상부보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이 상기 상부보의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보의 일측과 상기 하부보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하부보의 전측에서 상기 하부보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 중 상기 하부보의 끼움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의 끼움홈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하부보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의 내면 전측과 상기 하부보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이 상기 하부보의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의 상부보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의 상부 전측에 지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붕부는 일측지붕부와, 상기 일측지붕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지붕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붕부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지붕부는 상기 타측지붕부의 일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고, 상기 타측지붕부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지붕부는 상기 일측지붕부의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며, 상기 일측지붕부에는 복수의 끼움구가 상기 일측지붕부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 중 상기 일측지붕부의 끼움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상부는 상기 일측지붕부의 끼움구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지붕부의 끼움구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타측지붕부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타측지붕부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 중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상부는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의 내면 전측과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의 후측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이 상기 타측지붕부의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와 상기 벽체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를 서로 조립하여 집 등의 건축물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를 통해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어느 한행의 기둥부와 다른 한행의 기둥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1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2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에서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벽체와 제 2벽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벽체에서 일부 보조기둥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고,
도 10은 보조기둥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기둥부의 상부에서 상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하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기둥부의 하부에서 하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지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벽체의 상부에서 지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1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2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에서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벽체와 제 2벽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벽체에서 일부 보조기둥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고,
도 10은 보조기둥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기둥부의 상부에서 상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하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기둥부의 하부에서 하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지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벽체의 상부에서 지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복수행의 기둥부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1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는 복수행의 기둥부(100)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의 전후방향으로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상부와 상기 벽체(1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보(도 11의 210) 및 하부보(도 14의 220)로 구성되는 보(도 11 및 도 14의 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00)는 원형 또는 육각, 팔각, 십이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10)와 상기 보(20)는 목재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체(10)는 제 1벽체(110)와 제 2벽체(도 4의 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벽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가 상기 기둥부(100)의 일측에서 상기 기둥부(100)의 타측방향으로 서로 접한 상태로 좌우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의 벽체의 제 2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 2벽체(120)는 상기 제 1벽체(110)와 직교를 이루도록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가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에서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방향으로 서로 접한 상태로 전후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기둥부의 한조의 삽입구에서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가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목재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봉 형태의 연결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100)에는 상기 기둥부(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한조의 삽입구(130)가 상기 기둥부(1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조의 상기 삽입구(130)는 제 1, 2, 3삽입구(131, 132, 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삽입구(131)는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일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삽입구(132)는 상기 제 1삽입구(1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삽입구(131)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후면 일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전면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삽입구(133)는 상기 제 2삽입구(1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삽입구(132)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후면 타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전면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 1벽체와 제 2벽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내에 각각 삽입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내에 각각 삽입고정됨에 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벽체(110)의 일측과 상기 제 1벽체(110)의 타측에 각각 상기 제 2벽체(12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벽체에서 일부 보조기둥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의 일측과 상기 벽체(1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홈(140)내에 수용되어 상기 벽체(10)의 일측과 상기 벽체의 타측(10)을 평면화하는 보조기둥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보조기둥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보조기둥부(200)에는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와 연통되는 삽입홈(201)이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상기 삽입구(130)와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삽입홈(201)내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내에 각각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30) 및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삽입홈(201)내에 각각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기둥부(100)의 외부 및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연결부재(30)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구(130)의 내면 및 상기 삽입홈(201)의 내면에 밀착되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탈방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상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기둥부의 상부에서 상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보(210)와 상기 하부보(220)는 각각 장방형의 복수의 패널이 상기 기둥부(10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피스고정, 볼트고정 또는 본드 등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보(21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보(210)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보(2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복수의 끼움홈(230)이 상기 상부보(210)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보(2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210)의 타측에도 상기 상부보(210)의 타측에서 상기 상부보(2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복수의 상기 끼움홈(230)이 상기 상부보(210)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보(2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내에 끼움고정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가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보(21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30)의 내면 전측과 상기 상부보(21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3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231)이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하부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기둥부의 하부에서 하부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220)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보(22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보(2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복수의 끼움홈(240)이 상기 하부보(220)의 전측에서 상기 하부보(2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220)의 타측에도 상기 하부보(220)의 타측에서 상기 하부보(2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복수의 상기 끼움홈(240)이 상기 하부보(220)의 전측에서 상기 하부보(2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내에 끼움고정된 상기 기둥부(100)의 하부가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보(22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40)의 내면 전측과 상기 하부보(22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4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241)이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 등의 건축물(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벽체(110)는 본 발명인 건축물(1)의 전측벽 및 후측벽을 각각 이룰 수 있고, 상기 제 2벽체(120)는 본 발명인 건축물(1)의 일측벽 및 타측벽을 각각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20)의 상부보(210)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10)의 상부 전측에는 목재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붕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40) 또한 장방형의 복수의 패널이 상기 기둥부(10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피스고정, 볼트고정 또는 본드 등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지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벽체의 상부에서 지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붕부(40)는 일측지붕부(410)와 타측지붕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지붕부(410)는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일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지붕부(420)는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일측지붕부(410)에는 복수의 끼움구(430)가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상태로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편심형성될 수 있다.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타측에는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복수의 끼움홈(440)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내에 끼움고정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가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내면 전측과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441)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행의 기둥부(100)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상부와 상기 벽체(1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보(20)를 서로 조립하여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 등의 건축물(1)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20)를 통해 여름철 열팽창현상에 의해 어느 한행의 상기 기둥부(100)와 다른 한행의 기둥부(10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벽체(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벽체, 20; 보.
Claims (9)
- 복수행의 기둥부(100)가 서로 접하면서 엇갈리게 전후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상부와 상기 벽체(1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보(210) 및 하부보(220)로 구성되는 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10)는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가 상기 기둥부(100)의 일측에서 상기 기둥부(10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배열되어 형성되는 제 1벽체(110)와;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가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에서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배열되어 형성되는 제 2벽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부(100)에 외부와 연통되는 한조의 삽입구(130)가 상기 기둥부(1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한조의 삽입구(130)는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일측에서 상기 기둥부(10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제 1삽입구(131)와;
상기 제 1삽입구(1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삽입구(131)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후면 일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전면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삽입구(132)와;
상기 제 2삽입구(1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삽입구(132)와 엇갈리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후면 타측에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100)의 전면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3삽입구(133);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에 일측이 각각 삽입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에 타측이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10)의 일측과 상기 벽체(1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홈(140)내에 수용되어 상기 벽체(10)의 일측과 상기 벽체(10)의 타측을 평면화하는 보조기둥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기둥부(200)에 한조의 상기 삽입구(130)와 연통되는 삽입홈(201)이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부(100)의 한조의 삽입구(130)와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삽입홈(201)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기둥부(100)의 외부 및 상기 보조기둥부(2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30)의 외면에 상기 삽입구(130)의 내면 및 상기 삽입홈(201)의 내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210)의 일측과 상기 상부보(210)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230)이 상기 상부보(210)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보(2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가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보(21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30)의 내면 전측과 상기 상부보(21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3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231)이 상기 상부보(210)의 끼움홈(2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보(220)의 일측과 상기 하부보(220)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240)이 상기 하부보(220)의 전측에서 상기 하부보(2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하부는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기둥부(100)의 하부가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보(22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40)의 내면 전측과 상기 하부보(220)의 복수의 상기 끼움홈(24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241)이 상기 하부보(220)의 끼움홈(2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 제 1항의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보(20)의 상부보(210)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10)의 상부 전측에 지붕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지붕부(40)는 일측지붕부(410)와,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지붕부(4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지붕부(410)는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일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고,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지붕부(420)는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며,
상기 일측지붕부(410)에는 복수의 끼움구(430)가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지붕부(410)의 끼움구(430)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타측에 복수의 끼움홈(440)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행의 상기 기둥부(100) 중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는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 방향으로 상하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내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가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내면 전측과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의 내면 후측에 상기 기둥부(100)의 전측외면 및 상기 기둥부(100)의 후측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끼움홈(441)이 상기 타측지붕부(420)의 끼움홈(4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564A KR101647982B1 (ko) | 2015-03-17 | 2015-03-17 |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564A KR101647982B1 (ko) | 2015-03-17 | 2015-03-17 |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7982B1 true KR101647982B1 (ko) | 2016-08-12 |
Family
ID=5671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564A KR101647982B1 (ko) | 2015-03-17 | 2015-03-17 |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9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3214A (ko) | 2018-11-08 | 2020-05-18 | 박용택 | 목조주택용 통나무 벽체 패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9028A (ja) * | 1997-11-26 | 1999-06-15 | Hiroshi Mizoe | 木造建築物用壁パネル |
KR200231049Y1 (ko) * | 2001-01-11 | 2001-07-19 | 안찬수 | 통나무집용 벽체 |
KR20060107480A (ko) | 2006-09-22 | 2006-10-13 | 안승한 |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
KR101434805B1 (ko) * | 2013-12-11 | 2014-08-26 | 유정환 | 건축물의 벽체구조 |
-
2015
- 2015-03-17 KR KR1020150036564A patent/KR101647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9028A (ja) * | 1997-11-26 | 1999-06-15 | Hiroshi Mizoe | 木造建築物用壁パネル |
KR200231049Y1 (ko) * | 2001-01-11 | 2001-07-19 | 안찬수 | 통나무집용 벽체 |
KR20060107480A (ko) | 2006-09-22 | 2006-10-13 | 안승한 |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
KR101434805B1 (ko) * | 2013-12-11 | 2014-08-26 | 유정환 | 건축물의 벽체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3214A (ko) | 2018-11-08 | 2020-05-18 | 박용택 | 목조주택용 통나무 벽체 패널 |
KR102145111B1 (ko) * | 2018-11-08 | 2020-08-14 | 박용택 | 목조주택용 통나무 벽체 패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510007A (ja) | 支持ブラケット | |
JP7016132B2 (ja) |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 |
KR101434805B1 (ko) | 건축물의 벽체구조 | |
KR101647982B1 (ko) | 벽체와 보의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 |
KR100901079B1 (ko) | 조립식 건축물 판넬 | |
KR20150133436A (ko) |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 |
JP3224387U (ja) |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 |
KR20090010751A (ko) |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 |
KR101769890B1 (ko) | 외벽 단열 마감재 | |
KR101069943B1 (ko) | 습식 시공용 알루미늄 복합 패널 | |
JP2006322205A (ja) | 壁式木造建築物 | |
EA200400769A1 (ru) | Стен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ов 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 |
KR101559106B1 (ko) | 외장벽돌 시공방법 | |
KR101193547B1 (ko) |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 |
KR200419654Y1 (ko) |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방음판 | |
KR101575570B1 (ko) | 조립식 건물 구조체 | |
KR100729851B1 (ko) | 건축물 단열 소재의 시공 방법 | |
KR100630845B1 (ko) |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 |
KR101127538B1 (ko) |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 |
KR20190106805A (ko) | 건설용 반 조립식 벽 | |
KR200353779Y1 (ko) | 벽이 각각 형성된 조립식 칸막이 | |
RU141234U1 (ru) | Деревя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 |
KR100964346B1 (ko) | 목재 벽돌 | |
KR200418113Y1 (ko) | 건축내벽용 경량 칸막이 판. | |
TWI585274B (zh) | 快速組合式牆系統及其板面系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