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66B1 -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66B1
KR101647666B1 KR1020160031487A KR20160031487A KR101647666B1 KR 101647666 B1 KR101647666 B1 KR 101647666B1 KR 1020160031487 A KR1020160031487 A KR 1020160031487A KR 20160031487 A KR20160031487 A KR 20160031487A KR 101647666 B1 KR101647666 B1 KR 10164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rol unit
air pollution
detection means
pollu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넷전자
박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넷전자, 박찬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넷전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mmu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쉽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렌지는 음성인식수단(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조절스위치(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상기 가열부(2)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에도 편리하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들도 손쉽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INDUCTION RANGE WITH VOICE-RECOGNIZING MEMBER AND POLLUTION-DETECTING MEMBER, INTERWORK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손쉽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전열조리기구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히터가 구비된 하이라이트방식과, 전기유도를 이용한 인덕션방식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열조리기구는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조절스위치와, 상기 조절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가열부를 on-off시키거나, 상기 가열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열조리기구는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함으로, 음식을 만드는 중간에 전열조리기구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만드는 것을 중지하고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 등과 같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의 경우, 이러한 전열조리기구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열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다량의 오염물질이 발생되는데, 사용자는 이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오염물질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651989호 등록특허 10-070526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쉽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2)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조절스위치(3)와, 상기 조절스위치(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을 포함하는 인덕션렌지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4)에 연결된 음성인식수단(1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음성인식수단(10)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감지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제어유닛(4)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가열부(2)를 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4)에 연결되어 제어유닛(4)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환기장치(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를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4)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과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60)에는 상기 제어유닛(4)과 데이터통신하여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61)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은 데이터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에 표시되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환기장치(40)에 대한 제어명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61)에는 데이터통신을 통해 인덕션렌지의 가열부(2)를 on/off 시키는 기능 및 전원을 on/off 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인덕션렌지의 모든 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본체(1)에 올려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오염감지수단(2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용기의 무게변화속도가 기준 이하로 늦어질 경우, 상기 가열부(2)를 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4)에는 후드 내지 환풍기와 같은 환기장치(40) 및 음성가이드장치(70)와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이 구비되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지고 상기 음성가이드장치(70)로부터 음성안내가 자동으로 방송되어져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는 음성인식수단(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조절스위치(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상기 가열부(2)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에도 편리하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들도 손쉽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2)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조절스위치(3)와, 상기 조절스위치(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에는 음성인식수단(10)과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감지수단(20) 및 경보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음성인식수단(10)과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2)와 경보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인식수단(10)은 사용자의 목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에 수집된 목소리 즉 음성을 분석하는 음성인식유닛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마이크를 향해서 미리 정해진 제어명령을 말하면, 상기 음성인식유닛이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유닛(4)으로 사용자가 말한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음성인식유닛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포트웨어적으로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은 미세먼지센서와, 초미세먼지센서, 유기화합물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비롯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수단(30)은 경광등과 스피커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4)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광과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음성인식수단(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열부(2)의 on-off 또는 가열부(2)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명령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렌지는 음성인식수단(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조절스위치(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상기 가열부(2)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에도 편리하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들도 손쉽게 가열부(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감지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렌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된 다량의 오염물질에 사용자가 노출될 경우, 사용지가 이를 인식하여 환기를 하거나 기타 다양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염물질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음식물을 조리하지 않을 때도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열부(2)를 off시켜 상기 본체(1)에 올려진 용기가 더 이상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식을 하다보면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쫄아서 타거나 용기에 담겨진 기름이 급격하게 가열되어 발화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나 기름에서 다량의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2)를 off시킴으로써 음식물이 더 이상 쫄아서 타지 않도록 하거나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어유닛(4)에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40)가 연결된다.
상기 환기장치(40)는 실내에 구비된 환기팬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를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렌지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상승되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상기 환기팬을 작동시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추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리를 비웠을 때 또는 사용자가 환기팬을 작동시키지 못할 상황에서도 자동으로 환기를 시킴으로써, 공기중의 오염물질에 사용자가 노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어유닛(4)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과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60)에는 상기 제어유닛(4)과 데이터통신하여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의 데이터값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61)이 탑재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50)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일반적인 통신규격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무선통신수단(50)을 통해 측정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을 상기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61)은 상기 스마트폰(60)에 수신된 오염물질의 농도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오염물질의 농도값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은 데이터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에 표시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60) 상에 표시된 공기중 오염물질의 농도값을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통해 환기장치(40)에 대한 on/off 와 같은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61)에는 데이터통신을 통해 가열부(2)를 on/off 시키는 기능 및 전원을 on/off 시키는 기능을 포함한 인덕션렌지의 모든 제어 기능이 포함되어지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통해 인덕션렌지의 모든 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렌지는 단순한 음식물의 조리기능과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에서 더욱 발전하여, 사용자에게 공기의 오염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에는 본체(1)에 올려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70)은 상기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되어 본체(1)에 올려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하중센서는 저울 등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이때 용기에는 음식물이 담겨 있으므로, 상기 무게측정수단(70)에 측정된 용기의 무게에는 용기 자체의 무게와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감시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용기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에는 음식물이 담겨져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에는 물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2)가 on되어 용기와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할 경우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증발하면서 용기의 무게가 지속적으로 감소된다.
그리고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거의 다 증발되면 용기의 무게가 줄어드는 속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즉 상기 무게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용기의 무게가 줄어드는 속도가 급격히 저하된다는 것은,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쫄아서 조금만 더 가열하면 음식물이 타거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용기의 무게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다 증발되어 음식물이 쫄아드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발열부(2)가 on 되면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과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용기의 무게변화속도가 기준 이하로 늦어질 경우, 음식물이 완전히 쫄아서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발열부(2)를 off 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렌지는 본체(1)에 올려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7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과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부(2)를 off시킨다.
따라서 음식물이 과도하게 쫄아서 타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렌지는, 또한 상기 제어유닛(4)에는 후드 내지 환풍기와 같은 환기장치(40) 및 음성가이드장치(70, 미도시)와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가이드장치(70, 미도시)는 상기 무선통신수단(50)으로부터 수신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안내를 방송하는 장치로써, 상기 인덕션렌지에 포함되어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기능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실내의 다른 곳에 분리되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되어진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지고 상기 음성가이드장치(70, 미도시)로부터 음성안내가 자동으로 방송되어져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음성인식수단 20 : 공기오염감지수단
30 : 경보수단 40 : 환기장치
50 : 무선통신수단 60 : 스마트폰
70 : 음성가이드장치

Claims (10)

  1.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2)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조절스위치(3)와,
    상기 조절스위치(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을 포함하는 인덕션렌지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4)에 연결된 음성인식수단(1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음성인식수단(10)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가열부(2)를 제어하며,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감지수단(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가열부(2)를 off시키도록 되어지며,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본체(1)에 올려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은 공기오염감지수단(2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용기의 무게변화속도가 기준 이하로 늦어질 경우, 상기 가열부(2)를 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제어유닛(4)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4)에 연결되어 제어유닛(4)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환기장치(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를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4)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과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60)에는 상기 제어유닛(4)과 데이터통신하여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61)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값은 데이터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0)에 표시되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환기장치(40)에 대한 제어명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61)에는 데이터통신을 통해 인덕션렌지의 가열부(2)를 on/off 시키는 기능 및 전원을 on/off 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6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61)을 이용하여 인덕션렌지의 모든 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4)에는 후드 내지 환풍기와 같은 환기장치(40) 및 음성가이드장치(70)와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수단(50)이 구비되며,
    공기오염감지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기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환기장치(4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지고 상기 음성가이드장치(70)로부터 음성안내가 자동으로 방송되어져 사용자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31487A 2015-09-25 2016-03-16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KR101647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6827 2015-09-25
KR1020150136827 2015-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66B1 true KR101647666B1 (ko) 2016-08-11

Family

ID=567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487A KR101647666B1 (ko) 2015-09-25 2016-03-16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208A (ko) * 2017-07-21 2019-01-30 박의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
WO2019045228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989B1 (ko) 2004-10-1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100705260B1 (ko) 2005-12-08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JP2010027326A (ja) * 2008-07-17 2010-02-04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30104562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마이미디어 스마트 리모컨 시스템
JP2014142113A (ja) * 2013-01-23 2014-08-07 Osaka Gas Co Ltd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989B1 (ko) 2004-10-1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KR100705260B1 (ko) 2005-12-08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JP2010027326A (ja) * 2008-07-17 2010-02-04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30104562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마이미디어 스마트 리모컨 시스템
JP2014142113A (ja) * 2013-01-23 2014-08-07 Osaka Gas Co Ltd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208A (ko) * 2017-07-21 2019-01-30 박의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
KR101987340B1 (ko) * 2017-07-21 2019-06-10 박의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
WO2019045228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 시스템
US11501771B2 (en) 2017-08-31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715B1 (en) Ventilation system
US10473565B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setting air parameters in a room, fume extraction device for use in a monitoring system
EP3055844B1 (en) Smart-home hazard detector providing useful follow up communications to detection events
KR102183329B1 (ko) Iot기반 생체인식형 가스안전 차단시스템
JP2015133117A (ja) 調理器具の安全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0091428A2 (en) Carbon monoxide detector
TR201811142T4 (tr) Söz tanıma ünitesi bulunan elektrikli mutfak robotu.
EP2749818B1 (en) Range ho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7666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지는 음성인식수단 및 공기오염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렌지
CN109855139A (zh) 一种油烟机控制方法及系统
WO2005070064A3 (en) System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when flammable gas is sensed
WO2017036215A1 (zh) 微波炉及微波炉控制方法
CN107788808A (zh) 烹饪器具
KR101285289B1 (ko) 레인지후드 자동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제어 방법
WO2016181191A1 (en) Gas burner safety device, system and alarm
KR101640065B1 (ko) 스마트 에어 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19402Y1 (ko) 이산화탄소 농도 표시 및 경보 장치
KR101743991B1 (ko) 주방기기의 안전 장치
JP6846733B2 (ja) 換気制御システム
US20210069011A1 (en) Non-contact, infrared sensing temperature-activated controller for abatement of effects of hot flashes in a human body
JP2007285558A (ja) 加熱調理装置
KR20160074731A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JP7219962B2 (ja) 換気システム
KR101505779B1 (ko)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JP2007139282A (ja) 報知機能付き機器及び加熱調理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