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74B1 -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74B1
KR101647474B1 KR1020150177444A KR20150177444A KR101647474B1 KR 101647474 B1 KR101647474 B1 KR 101647474B1 KR 1020150177444 A KR1020150177444 A KR 1020150177444A KR 20150177444 A KR20150177444 A KR 20150177444A KR 101647474 B1 KR101647474 B1 KR 10164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ceived message
communication protocol
register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민종
정영욱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파워
Priority to KR102015017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8Protocol analy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Abstract

프로토콜 자동 등록 기반의 계량 방법 및 계량기가 개시된다. 프로토콜 자동 등록 기반의 계량 방법은 계량기가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remotely using Integrated Protocols}
본 발명은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 프로토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주택, 오피스텔, 회사 등 주거 및 공동 사용 시설의 각 세대에 설치된 수도, 온수, 난방, 냉방, 가스, 전기 등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요금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검침원이 방문하여 계량기의 눈금을 직접 읽거나 사용자가 계량기의 계량 값을 기록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새롭게 지어지는 아파트 단지의 경우, 원격 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이 설치되어 원격 검침 시스템을 통해 각 세대를 방문하지 않고 전용선, 무선, 전력선, 무선랜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메인 서버에서 원격으로 각 세대 계량기의 계량 값이 측정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지어진 아파트들에서는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고, 위와 같이 수도, 온수, 난방, 냉방, 가스, 전기 등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요금을 부과하기 위하여 검침원이 방문하여 계량기의 눈금을 직접 읽거나 사용자가 계량기의 계량 값을 기록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원격 검침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검침 절차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계량기와 통신할 수 있는 검침 장치가 구현될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검침 장치와 계량기는 제조 업체별로 서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검침 장치와 계량기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 검침 장치와 계량기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며 계량기와 호환되는 별도의 검침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0-0035806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 프로토콜 계량기 및 이와 연동되는 검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사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검침 장치와 계량기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통합 프로토콜 계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은, 계량기가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량기가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수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등록 프로토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은, 상기 계량기가 분석 개시 설정 시간,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 메모리 초기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분석 개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모리 초기화 시간이 경과한 이후, 메모리 상에서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침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수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을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등록 프로토콜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분석 개시 설정 시간,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 메모리 초기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분석 개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모리 초기화 시간이 경과한 이후, 메모리 상에서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계량기는 검침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계량기에 등록함으로써 계량기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검침 장치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 별로 계량기가 별도로 생산/관리되지 않을 수 있고, 프로토콜 별 재고 없이 판매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계량기와 검침 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와 검침 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국내의 아파트 중 원격 검침을 적용한 곳에는 전기, 수도, 온수, 가스, 난방과 관련된 검침을 위해 각 호실마다 검침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검침 장치는 각 계량기(전기, 수도, 온수, 가스, 난방)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아파트 단지의 모든 검침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검침하여 그 자료를 요금을 부과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계량기의 사용 수명이 지나면 교체를 해야 하는데, 검침 장치와 통신 프로토콜이 맞는 계량기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계량기 제조사는 각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계량기를 별도로 생산/관리해야 하고, 통신 프로토콜의 사용량에 따라 계량기의 재고를 남기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계량기와 검침 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량기(100)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가능한 A업체의 검침 장치(120)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계량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업체의 검침 장치(120)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제1 측정 요청 메시지를 계량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계량기(100)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A 업체의 검침 장치(120)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고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제1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가능한 B업체의 검침 장치(140)는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계량기와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B 업체의 검침 장치의 제2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제2 측정값 요청 메시지를 계량기(100)는 해석할 수 없고, 계량기(100)는 제2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측정 응답 메시지를 B 업체의 검침 장치(140)로 전송할 수 없다.
즉, 기존의 계량기는 계량기에 설정된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해석(또는 디코딩)만이 가능하므로 설정되지 않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측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해석이 불가하여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계량기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와 검침 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계량기(200)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해석하고 해당 프로토콜에 맞는 형태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업체의 검침 장치(210)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계량기(200)는 제1 측정 요청 메시지를 등록된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석하고, 제1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B 업체의 검침 장치(220)는 제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2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계량기(200)는 제2 측정 요청 메시지를 등록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석하고, 제2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C 업체의 검침 장치(230)는 제3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3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계량기(200)는 제3 측정 요청 메시지를 등록된 제3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석하고, 제3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3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 제3 통신 프로토콜은 계량기(200)의 제조 시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계량기(200)는 A 업체의 검침 장치(210), B 업체의 검침 장치(220), C 업체의 검침 장치(230) 중 어떠한 검침 장치와도 통신이 가능하고, 정확한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계량기의 생산 후 검침 장치에 따른 계량기의 재고가 없고, 계량기를 프로토콜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계량기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동작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계량기로의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단계 S300).
예를 들어, A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A업체의 검침 장치가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계량기를 호출할 수 있다.
B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B업체의 검침 장치가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계량기를 호출할 수 있다.
X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X업체의 검침 장치가 측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계량기를 호출할 수 있다.
측정 요청 메시지에는 각 업체의 코드 정보(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 및 B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은 계량기에 등록되어 있고, X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은 계량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계량기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단계 S310). 구체적으로, 계량기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측정 요청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분석할 수 있다.
이후, 계량기가 시스템에 대한 분류를 한다(단계 S320).
계량기는 각 업체의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한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계량기는 A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A 업체의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가 A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로서 A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계량기는 등록된 A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A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고, 측정 응답 메시지를 A 업체의 검침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30).
마찬가지로 계량기는 B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B 업체의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가 B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로서 B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계량기는 등록된 B 업체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B 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고, 측정 응답 메시지를 B 업체의 검침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40).
계량기는 X업체의 검침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X 업체의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가 등록되지 않은 업체로부터 전송된 측정 요청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X 업체의 검침 장치의 프로토콜이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았으므로 계량기는 X 업체의 검침 장치에 대한 응답은 불가할 수 있다(단계 S350).
경우에 따라서, X 업체의 검침 장치의 프로토콜이 계량기에 등록되었으나 X 업체의 검침 장치의 통신 속도와 계량기의 통신 속도의 차이로 인해 X 업체의 검침 장치에 대한 응답은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계량기는 시스템 분류 과정에서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찾지 못한 경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변경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60).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계량기가 수신한 메시지의 분석 및 처리를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이 예시적으로 개시된다. 아래에 개시되는 변수는 임의적인 값으로서 아래에 개시되는 변수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2ms)가 지난 이후에 수신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계량기는 계량기 외부 RX핀에 H(high)/L(low) 파형이 인지되면 메시지의 수신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tRX를 2ms로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0).
또한, 계량기는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초기화를 위해 tReset을 100ms로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10). 마지막 메시지를 수신하고 tReset으로 설정된 100ms가 경과하는 경우, 계량기는 받은 메시지를 저장한 메모리를 공백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위해 tTX를 설정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tTX 이후에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TX는 10ms로 설정될 수 있다.
계량기는 위와 같은 변수(tRX, tReset, tTX 등)을 설정하고, 검침 장치로부터 RX 메시지 신호(예를 들어,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받은 메시지의 저장을 위해 구현된 메모리에 RX 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단계 S420).
위와 같이 설정된 시간은 계량기에 구현된 타이머에 설정되어 감소될 수 있다. 계량기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아무 동작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계량기가 설정된 변수를 기반으로 수신 메시지(예를 들어,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수신 메시지를 저장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2ms로 설정된 tRX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여(단계 S500) 0이 된 경우(단계 S505),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절차가 진행될 수 있고(단계 S510), 분석 절차에 따라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결과 수신 메시지가 등록된 장치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인 경우(단계 S515), 계량기는 tTX를 10ms으로 설정하고(단계 S520)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측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tTX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계량기는 10ms로 설정된 tTX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여(단계 S525) 0이 된 경우(단계 S530),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35).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결과 수신 메시지가 이미 등록된 장치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계량기는 통신 속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결과 수신 메시지가 알 수 없는 메시지인 경우, 계량기는 해당 메시지를 무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계량기는 설정된 tReset을 기반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받은 메시지를 초기화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100ms로 설정된 tReset이 감소하여(단계 S540) 0이 되는 경우(단계 S545), 메모리에 저장된 받은 메시지가 삭제되고 메모리가 초기화될 수 있다(단계 S55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계량기의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업체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비교하여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와 검침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된 수신 메지지를 구성하는 하위 정보를 비교하여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메시지는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된 하위 정보로서 시작 문자 정보, 문자열의 길이 정보, ID 정보, 명령 정보, 패리티 검사 정보, 종료 문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의 포맷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하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하위 정보의 분석은 수신 메시지를 구성하는 하위 정보에 대한 순차적인 비교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하위 정보의 분석은 수신 메시지를 구성하는 하위 정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한 비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량기에 A 업체 검침 장치의 제1 통신 프로토콜, B 업체 검침 장치의 제2 통신 프로토콜, C 업체 검침 장치의 제3 통신 프로토콜, …, F 업체 검침 장치의 제4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 메시지의 하위 정보 각각과 제1 통신 프로토콜 내지 제n 통신 프로토콜 각각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수신 메시지 포맷을 비교하여 수신 메시지가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메시지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와 계량기에 등록된 A, B, …,F업체 검침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된 수신 메시지 포맷을 비교하여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하위 정보(또는 문자)와 계량기에 등록된 A, B, …,F업체 검침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된 수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하위 정보(또는 문자)를 비교하여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하위 정보 각각을 분석하는 구체적인 계량기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마지막 문자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00).
마지막 문자 정보는 수신 메시지의 마지막 문자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마지막 문자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error)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시작 문자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10).
시작 문자 정보는 수신 메시지의 시작 문자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시작 문자 정보는 수신 메시지의 마지막 문자 정보 및 수신 메시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시작 문자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길이 코드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20).
길이 코드 정보는 분류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수신 메시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길이 코드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 코드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30).
명령 코드 정보는 계량기에 특정 동작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 코드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ID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40).
ID(identifier) 정보는 계량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ID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패리티 정보의 분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50).
패리티 정보는 수신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열(또는 하위 정보)에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패리티 정보가 분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 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에러로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신 메시지를 구성하는 하위 정보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경우,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가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생성된 메시지임을 결정할 수 있고, 수신 메시지를 등록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계량기가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계량기는 수신 메시지(예를 들어, 측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측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800).
응답 메시지는 검침 값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센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응답 메시지는 수신 메시지를 전송한 검침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단계 S82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계량기가 수신 메시지를 해석하지 못하는 경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분석(단계 S1000)을 통해 시스템 업체에 대한 프로토콜을 찾은 경우(단계 S1010), 계량기는 통신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S1020).
반대로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스템 업체에 대한 프로토콜을 찾지 못한 경우, 계량기는 통신 속도를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단계 S1030).
예를 들어, 현재 통신 속도가 1200bps인 경우, 통신 속도를 2400bps로 변경하고(단계 S1040), 현재 통신 속도가 2400bps인 경우, 통신 속도를 4800bps로 변경하고(단계 S1050), 현재 통신 속도가 4800bps인 경우, 통신 속도를 9600bps로 변경하고(단계 S1060), 현재 통신 속도가 9600bps인 경우, 통신 속도를 1200bps로 변경할 수 있다(단계 S1070).
즉, 메시지의 해석이 불가한 이유가 통신 속도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계량기는 통신 속도를 변경하여 검침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 프로토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에 있어서,
    계량기가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하위 정보와 상기 계량기의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하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계량기의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를 변경하여 다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계량기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량기가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수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이 모두 매칭되는 경우, 상기 계량기가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마지막 문자 정보, 시작 문자 정보 및 상기 수신 메시지의 길이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 정보, ID 정보 및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가 분석 개시 설정 시간,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 메모리 초기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분석 개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계량기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모리 초기화 시간이 경과한 이후, 메모리 상에서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4.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검침 장치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의 하위 정보와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하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검침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상기 계량기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수신된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수신 메시지의 통신 속도를 변경하여 다시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계량기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의 수신 메시지 포맷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을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 각각이 모두매칭되는 경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등록 통신 프로토콜로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하위 정보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마지막 문자 정보, 시작 문자 정보 및 상기 수신 메시지의 길이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정보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 정보, ID 정보 및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계량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분석 개시 설정 시간,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 메모리 초기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분석 개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 이후 상기 응답 메시지 전송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모리 초기화 시간이 경과한 이후, 메모리 상에서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계량기.
KR1020150177444A 2015-12-11 2015-12-11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KR101647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444A KR101647474B1 (ko) 2015-12-11 2015-12-11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444A KR101647474B1 (ko) 2015-12-11 2015-12-11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474B1 true KR101647474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444A KR101647474B1 (ko) 2015-12-11 2015-12-11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13B1 (ko) * 2016-11-07 2018-10-08 (주)대한가스기기 계량 시스템의 무선통신 방법
KR102357820B1 (ko) * 2020-08-04 2022-02-07 주식회사 에너테크글로벌 원격검침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계량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806A (ko) 1996-08-30 2000-06-2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비셀룰러 전용 무선 시스템을 셀룰러 이동 전화로 겸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778099B1 (en) * 1998-05-01 2004-08-17 Elster Electricity, Llc Wireless area network communications module for utility meters
KR20040094030A (ko) * 2003-05-01 2004-11-09 (주)누리텔레콤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용 모뎀
KR100823059B1 (ko) * 2007-12-26 2008-04-18 필컴퍼니주식회사 유,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한 전력량계의 검침시스템
US20140049403A1 (en) * 2012-08-16 2014-02-20 Lsis Co., Ltd. Remote insp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806A (ko) 1996-08-30 2000-06-2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비셀룰러 전용 무선 시스템을 셀룰러 이동 전화로 겸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778099B1 (en) * 1998-05-01 2004-08-17 Elster Electricity, Llc Wireless area network communications module for utility meters
KR20040094030A (ko) * 2003-05-01 2004-11-09 (주)누리텔레콤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용 모뎀
KR100823059B1 (ko) * 2007-12-26 2008-04-18 필컴퍼니주식회사 유,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한 전력량계의 검침시스템
US20140049403A1 (en) * 2012-08-16 2014-02-20 Lsis Co., Ltd. Remote insp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13B1 (ko) * 2016-11-07 2018-10-08 (주)대한가스기기 계량 시스템의 무선통신 방법
KR102357820B1 (ko) * 2020-08-04 2022-02-07 주식회사 에너테크글로벌 원격검침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계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8116B (zh) 基于NFC的ZigBee网关设备批量入网方法、装置及设备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US20180048987A1 (en) Updating firmware and/or performing a diagnostic check on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while providing wireless power via a magnetic coupling and supporting a two-way wireless power exchange capability at a device
KR101334457B1 (ko)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노드의 자동 접속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60105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S9614723B2 (en) Device commissioning
KR100434655B1 (ko) 원격검침 시스템
KR101513548B1 (ko) 스마트기기 및 인스톨러 동글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의 설치점검, 검침 및 유지보수방법
US20130067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647474B1 (ko) 통합 프로토콜 원격검침 방법 및 장치
CN102594633A (zh) 生成网络映射
KR20170014095A (ko) 댁내 전기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 컨슈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813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검침시스템 및 그 검침방법
KR20150038849A (ko) 근거리 무선 모듈을 이용한 가전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네크워크 연결 시스템
CN112232454A (zh) 数据写入方法及系统、终端、家电设备和计算机装置
KR100619745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5549402A (zh)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及其装置
KR20190070687A (ko) LoRaWAN 기반 스마트 미터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90017267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39461B1 (ko) 스마트 검침기를 활용한 무선랜 핑거프린트 및 주소 연계 방법 및 시스템
WO2022224006A1 (en) An integrated multi-protocol/multi-vendor iot system for smart homes and buildings
KR102391506B1 (ko) 단말기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29696A (ja) テレメータ用通信機
KR102357820B1 (ko) 원격검침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계량방법
KR102257036B1 (ko)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장치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