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52B1 -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52B1
KR101647452B1 KR1020150075120A KR20150075120A KR101647452B1 KR 101647452 B1 KR101647452 B1 KR 101647452B1 KR 1020150075120 A KR1020150075120 A KR 1020150075120A KR 20150075120 A KR20150075120 A KR 20150075120A KR 101647452 B1 KR101647452 B1 KR 10164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cursor
cursors
touch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태
최상현
Original Assignee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이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이옵틱 filed Critical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터치 스크린의 화면 영역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의 커서를 할당하는 단계,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커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ULTI-CURSOR BASED ON TOUCH SCREEN PANEL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C0181776, 과제명: 휴대용 소형 OTDR 개발].
최근 터치 스크린 기반 디바이스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장비 및 장치에서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 및 개발하고 적용하고 있으나,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반면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는 고정적이어서 정확한 위치를 포인팅해야 하는 커서(Cursor)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터치로 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접촉 영역과 연관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7304호(2009.06.04 공개)에는, 접촉 영역과 연관된 위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사이의 거리,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와 연관된 활성화 민감도 수치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만, 복수의 커서가 존재하는 경우나, 복수의 커서가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에 대한 커서 선택 및 커서의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복수의 커서가 존재하는 경우, 커서 선택 체크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커서를 선택할 때마다 체크 박스를 선택해야 하므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축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커서가 존재하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터치 스크린의 범위를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커서를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구역별로 커서의 움직임을 설정하여, 복수의 커서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커서가 인접하여 어느 하나의 커서만을 터치하기 어려운 경우일지라도 커서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터치 스크린의 화면 영역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의 커서를 할당하는 단계,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커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커서가 존재하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터치 스크린의 범위를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커서를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구역별로 커서의 움직임을 설정하여, 복수의 커서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커서가 인접하여 어느 하나의 커서만을 터치하기 어려운 경우일지라도 커서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과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가 근접한 경우 분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커서 및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가 경계선에 근접한 경우의 복수의 커서에 대응하는 영역을 오버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휴대용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일 수 있으나, 터치가 가능한 패널(Panel)을 포함한 디바이스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복수의 커서(Curso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고, 커서는 터치로 이동가능한 커서일 수 있다. 다만,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Capacotive Touch Screen Panel),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Resistive Touch Screen Panel), 초음파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Surface Acoustic Wave Touch Screen Panel), 적외선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Infrared Touch Screen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CRT(Cathode Ray Tube), FED(Field Emission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STN-LCD(Super Twisted Nematic - Liquid Crystal Display), TN-LCD(Twisted Nematic -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복수의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커서는, 바(Bar) 형태로 두께를 가지는 커서일 수도 있고,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커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 형태를 가지는 커서일 경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의 화면을 수평축 또는 수직축으로 분할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서는, 점 또는 일정 영역의 크기를 가지는 도형으로 출력되는 커서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과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파악부(100), 분할부(200), 할당부(300), 감지부(400), 추출부(500), 활성화부(600), 이동부(700), 알림부(800), 분리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미도시) 또는 서버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로 전송하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단말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와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파악부(100)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은 수평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은 수직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0 도 내지 360도를 이루는 화면 분할선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은 축을 중심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곡선 및 직선을 포함한 랜덤한 방향일 수 있다.
분할부(200)는,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수평축(Horizont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수직축(Vertic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수직축(Vertic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수평축(Horizont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커서(C1) 및 커서(C2)의 이동 방향이 좌우(A, B 방향)이므로,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영역 1 및 영역 2로 수평축을 기준으로 분할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커서(C1)은 영역 1에서만 활성화되고, 커서(C2)는 영역 2에서만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할당부(300)는, 분할된 터치 스크린의 화면 영역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의 커서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커서(C1)는 A 방향 즉 수평축을 따라 움직이는 수직방향 커서이고, 커서(C2)는 B 방향, 즉 마찬가지로 수평축을 따라 움직이는 수직방향 커서라고 가정하면, 커서(C1)은 영역 1에 할당하고, 커서(C2)는 영역 2에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프와 커서(C1)이 영역 1에서 겹치는 경우, 해당 커서(C1)의 좌표와 그래프의 좌표가 중복되는 값(a)을 읽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프와 커서(C2)가 영역 2에서 겹치는 경우, 해당 커서(C2)의 좌표와 그래프의 좌표가 중복된 값(b)을 읽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감지부(400)는,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복수의 커서 중 어떠한 커서를 활성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서는,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 할당된 커서, 즉 커서와 근접한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커서를 활성화시키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직관적이고도 손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터치 입력이 발생된 터치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에 할당된 커서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커서가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커서만을 동작시키고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였는데, 다른 커서도 함께 동작이 가능하다면 동작을 원하는 커서의 제어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설정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설정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추출부(50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추출할 수 있다.
활성화부(600)는, 추출된 커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커서는 점멸, 굵기 변화, 밝기 변화로 다른 커서와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동부(70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커서는, 터치 스크린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서이고, 복수의 커서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평축을 이루는 바(Bar) 형상 또는 수직축을 이루는 바 형상인 경우, 터치 입력이 대각선이나 곡선으로 입력된다고 할지라도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알림부(800)는, 이동부(700)에서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킨 이후,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될 경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의 경계선을 오버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느 한 터치 스크린 영역에 할당된 커서를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에게 해당 커서가 어느 터치 스크린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인지시켜줌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는, 할당된 영역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할당되어 분리된 복수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플리핑(Flipping),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반복되어 입력되는 경우, 할당된 영역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분리부(900)는, 복수의 커서가 인접하여 위치하고, 복수의 커서 중 하나의 커서를 기준으로 복수의 커서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으로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플리핑(Flipping)이 입력되는 경우, 하나의 커서를 복수의 커서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일반적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일반적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커서(C1)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Cursor 1(B1)에 체크를 하고, 선택된 커서(C1)를 터치하여 이동을 시켜야 한다. 마찬가지로, 커서(C2)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Cursor 1(B1)의 체크 박스를 해제시키고, Cursor 2(B2)의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선택된 커서(C2)를 터치하여 이동을 시켜야 한다.
즉, 일반적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커서를 선택할 때마다 커서 선택 체크 박스(B1, B2)를 해제 및 선택해야 하며, 커서(C1)와 커서(C2)가 근접한 경우, 원하는 커서를 정확히 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범위를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커서를 할당하며, 할당된 복수의 커서를 구역별로 움직임을 설정하도록 한다. (b)를 참조하면, 커서(C1)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영역 1을 터치한 후, 커서(C1)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커서(C1)와 커서(C2)가 인접한 경우일지라도, 커서(C1)가 할당된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커서(C2)는 비활성화되므로, 커서(C1)를 정확히 터치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위치한 복수의 커서를 선택하면, 선택된 커서만 활성화되고 나머지 커서는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두 개의 커서가 인접하여 분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하나의 커서만을 터치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커서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된 좌표와, 터치된 좌표로부터 가장 가까운 커서를 터치된 지점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커서가 터치로 제어됨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가 근접한 경우 분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커서 및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커서가 근접한 경우, 어느 하나의 커서를 정확히 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커서가 할당된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다른 커서는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a) 및 (b) 와 같이, 커서(C2)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커서(C2)와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a) 손가락 또는 (b)손바닥 중 모서리를 이용하여 드래그 또는 플리핑하는 경우, 커서(C2)가 (c)와 같이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커서(C1)와 커서(C2)가 터치로 분리하기에 불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경우, 즉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커서(C1)의 좌측 영역 또는 커서(C2)의 우측 영역을 터치하면, 커서(C1) 또는 커서(C2)를 터치된 영역으로 이동시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된 영역은 커서(C1) 및 커서(C2)가 할당된 영역이 아닐지라도 커서(C1)와 커서(C2)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의 거리를 유지할 경우 가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서(C1)은 상부 영역인 영역 1이 할당되었고, 커서(C2)는 하부 영역인 영역 2가 할당되었다고 가정하면, (a) 터치 입력이 영역 2에서 발생한 경우, (b) 커서(C1)은 비활성화되어 사라지거나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오버레이되며, 커서(C2)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커서(C2)가 할당된 영역인 영역 2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대로, (c) 터치 입력이 영역 1에서 발생한 경우, (d) 커서(C2)는 비활성화되어 사라지거나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오버레이되며, 커서(C1)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커서(C1)가 할당된 영역인 영역 1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4 및 도 5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커서가 경계선에 근접한 경우의 복수의 커서에 대응하는 영역을 오버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 커서(C1)는 XY축을 기준으로 1사분면에, 커서(C2)는 2사분면, 커서(C3)는 3사분면, 커서(C4)는 4사분면에 배치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b) 커서(C4)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커서(C4)는 4 사분면에 할당되었으므로 (c) 경계선 및 (d) 커서(C4)의 할당 영역을 오버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구동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는,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을 파악한다(S7100).
그리고 나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는,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분할한다(S7200).
또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는, 분할된 터치 스크린의 화면 영역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의 커서를 할당하고(S7300),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7400).
여기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추출하고(S7500), 추출된 커서를 활성화시키며(S7600),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킨다(S7700).
여기서, 상술한 단계들(S7100~S77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7100~S77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파악부에서 파악하는 단계;
    상기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분할부에서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터치 스크린의 화면 영역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할당부에서 복수의 커서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감지부는 상기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추출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활성화부는, 상기 추출된 커서 및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상기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추출된 커서 및 상기 활성화된 분할된 터치 스크린 영역 이외의 커서 및 터치 스크린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이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된 터치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에 할당된 커서는 비활성화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 상기 분할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수평축(Horizont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 상기 분할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은 수직축(Vertic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상기 분할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수직축(Vertic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상기 분할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수평축(Horizontal Axis)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상기 추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알림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의 경계선을 오버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분리부는, 상기 복수의 커서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커서 중 하나의 커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커서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으로 상기 복수의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플리핑(Flipping)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커서를 상기 복수의 커서와 분리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서이고,
    상기 복수의 커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평축을 이루는 바(Bar) 형상 또는 수직축을 이루는 바 형상인 것인,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75120A 2015-05-28 2015-05-28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KR10164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20A KR101647452B1 (ko) 2015-05-28 2015-05-28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20A KR101647452B1 (ko) 2015-05-28 2015-05-28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452B1 true KR101647452B1 (ko) 2016-08-10

Family

ID=5671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120A KR101647452B1 (ko) 2015-05-28 2015-05-28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502A (ja) * 1993-10-26 1995-05-12 Yokogawa Electric Corp 波形表示装置
JPH11194870A (ja) * 1998-01-05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ウスカーソル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2003302424A (ja) * 2002-04-10 2003-10-24 Yokogawa Electric Corp 波形表示装置および波形表示方法
JP2012531667A (ja) * 2009-06-26 2012-1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協働する入力ソースと効率的な動的座標リマッピングを用いるデュアルポインタ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502A (ja) * 1993-10-26 1995-05-12 Yokogawa Electric Corp 波形表示装置
JPH11194870A (ja) * 1998-01-05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ウスカーソル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2003302424A (ja) * 2002-04-10 2003-10-24 Yokogawa Electric Corp 波形表示装置および波形表示方法
JP2012531667A (ja) * 2009-06-26 2012-1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協働する入力ソースと効率的な動的座標リマッピングを用いるデュアルポインタ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346016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US92983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JP6247651B2 (ja)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KR101361214B1 (ko)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9256917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JP562044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41219A (ko) 렌더링된 콘텐츠와의 호버 기반 상호작용
KR101459552B1 (ko) 디바이스의 레이아웃 영역에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90039521A (ko) 호버를 사용한 디바이스 조작
KR20140098904A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78629A (ko) 인플레이스 방식으로 값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513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 object management in a large-display area computing device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100059A1 (en) Content display engine for touch-enabled devices
WO2014062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rtual keyboard to avoid obscuring data entry fields
US10042445B1 (en) Adaptive display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proximity sensing
JP2015049593A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40003B1 (en) Simultaneous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EP3330842A1 (en)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5882973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7452B1 (ko)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기반 복수의 커서 제어 방법
JP2015022675A (ja) 電子機器、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