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63B1 -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 Google Patents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63B1
KR101647363B1 KR1020150086653A KR20150086653A KR101647363B1 KR 101647363 B1 KR101647363 B1 KR 101647363B1 KR 1020150086653 A KR1020150086653 A KR 1020150086653A KR 20150086653 A KR20150086653 A KR 20150086653A KR 101647363 B1 KR101647363 B1 KR 10164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chamber
cartrid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에 관한 것으로, 탄피 등이 약실에 걸려 격발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약실을 개방하여 격발이 가능하도록 하고 약실을 개폐하는 개폐프레임이 젖힘 없이 약실 폐쇄상태를 유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는, 총기의 약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총기의 약실과 연통하는 탄피회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피회수낭(3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총기의 약실 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탄피회수낭이 결합되며 전후 방향 중 일측이 상기 총기의 약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는 개폐프레임(20), 상기 개폐프레임의 타측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자유단부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록커(50),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프레임이 젖히는 것을 막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자유단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턱 및 개폐측 지지턱이며, 상기 고정측 지지턱과 개폐측 지지턱은 마주하는 면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과 돌기를 통해 서로 끼움 결합된다.

Description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EMPTY CARTRIDGE SUPPORT}
본 발명은 탄피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격 중 약실에 탄피 등이 걸려 격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실을 개방하여 격발 불능을 해결하고 약실의 개폐 구조에 따른 구조적 취약을 해결하는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군사용으로 널리 보급되어있는 M16이나 K1,K2 등 소총은 사격시 탄피방출구를 통해 탄피가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총기류의 사격 훈련시 총기사고 예방 등을 목적으로 주야간을 막론하고 탄피의 전량 회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탄피의 회수를 위하여 과거에는 사격시 마다 사수와 함께 부사수가 위치하며 부사수가 철모로 탄피방출구를 막는 등의 방법을 통해 탄피를 회수하였다.
그러나, 이는 사격장의 질서문란을 조장하고 부사수가 사선 가까이 위치하게 됨으로서 오발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고 특히, 합동훈련이나 야간 사격시에는 탄피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사수의 사격시야 제한 등 상당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일예로써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84-2575호와 같은 탄피받이구가 제안되어왔으나 이는 실용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상기 특허문헌은 한 쌍의 밴드로 소총의 탄창을 휘감고 다시 운반 손잡이밑의 소총 상부몸통으로 감아서 탄피받이구의 외부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에 각각 걸어 끼우도록 되어 있어서 소총에 탄피받이구를 붙이고 떼기가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하였으며 항상 두 손으로 취부 하여야만 하였고, 소총을 잡은 쪽을 제외한 다른 한손으로는 탄피받이구를 소총에 부착하기가 불가능 하였으며 신축성밴드이지만 소총의 하부인 탄창의 밑면으로 밴드를 휘감아야 하였으므로 한 쌍의 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취부시 상당히 신경을 써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피의 방출속도에 의한 충격으로 탄피받이구가 쉽게 파손되어지거나 탄피가 다시 방출구측으로 튕겨 들어감으로 인하여 소총의 작동이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격도중 발사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피가 약실 내부에 걸려있는지 여부를 탄피방출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탄피받이구를 소총으로 부터 탈거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961285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받은 것으로, 총기의 약실 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총기의 약실과 연통하는 탄피회수구와 내부에 수납된 탄피를 회수하기 위한 탄피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피가방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총기의 약실 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 보스가 구비된 고정프레임, 상기 탄피가방이 결합되며 전후 방향 중 어느 일측에 상기 힌지 보스와 대응되는 힌지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어 전후 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약실을 개방하는 개폐프레임, 상기 개폐프레임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프레임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록커로 이루어진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로서, 탄피받이가 총기에 고정되는 부분(고정프레임)과 탄피를 회수하는 부분(개폐프레임 및 탄피가방)으로 형성되며, 개폐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총기의 약실을 개폐함으로써 사격시에는 약실을 폐쇄하지만, 격발 불능시에는 약실을 개방할 수 있고, 따라서, 총기에서 탄피받이를 탈거하지 않고 탄피가방의 조작만을 통해 약실을 개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지만 약실 개방의 구조상 사격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개폐프레임이 아래쪽으로 젖히게 되는데 개폐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모두 개폐프레임의 젖힘을 막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아 개폐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연결부가 쉽게 파손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힌지 연결부 반대쪽인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은 자유단부로서 록커에 의해 잠금이 가능하지만 록커의 록킹력만으로서 개폐프레임이 젖히는 것을 막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연결부에 큰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파손이 발생된다.
또한 개폐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여 탄피받이를 사용하는 경우 사격 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개폐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서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롱 인하여 사격자가 큰 부상을 당하는 위험성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96128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피 등이 약실에 걸려 격발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약실을 개방하여 격발이 가능하도록 하고 약실을 개폐하는 개폐프레임이 젖힘 없이 약실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는, 총기의 약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총기의 약실과 연통하는 탄피회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피회수낭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총기의 약실 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탄피회수낭이 결합되며 전후 방향 중 일측이 상기 총기의 약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는 개폐프레임, 상기 개폐프레임의 타측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자유단부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록커,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프레임이 젖히는 것을 막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마주하는 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이며, 상기 지지턱은 요철부를 통해 서로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에 의하면, 탄피받이가 총기에 고정되는 부분(고정프레임)과 탄피를 회수하는 부분(개폐프레임 및 탄피회수낭)으로 이루어지며, 개폐프레임이 총기의 약실을 개폐함으로써 사격시에는 약실을 폐쇄하지만, 격발 불능시에는 약실을 개방하여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실만을 개방하여 격발 불능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탄피받이의 분리와 결합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개폐프레임의 자유단부가 고정프레임에 지지되어 개폐프레임의 개폐 조작시 등 개폐프레임이 눌리더라도 하부로 처지거나 회전하지 않고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가 총기에 장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의 탈착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의 고정프레임에서 개폐프레임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의 개폐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서 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100)는, 총기(1)에 결합되어 총기(1)의 약실(2)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탄피를 받는 것이며,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으로서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 그리고 프레임의 개폐프레임(20)에 형성[개폐프레임(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단품으로 형성되어 프레임(30)에 결합되는 분리형 모두 가능함]되며 탄피를 받는 탄피수거낭(30)으로 구성되며, 고정프레임(10)은 총기(1)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개폐프레임(20)은 탄피를 수거하는 한편 총기의 약실을 개폐하는 부분이다.
고정프레임(10)은 사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총기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총기(1)의 총열(3)의 일부분을 덮는 걸이부(11)를 포함하며, 걸이부(11)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총열(3)에 결합되고 반대로 총열(3)에서 분리되도록 자체 탄성력이 있는 재질(합성수지 등)이고 총열(3)을 감싸되 이와 같이 자체 탄성력에 의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곡선형 단면(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곡선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사격을 간섭하지 않는 모든 길이가 가능하고,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걸이부(11)를 총열(3)에 올린 후 누르면 걸이부(11)가 벌어지면서 총열(3)에 결합된다.
걸이부(11)는 총기(1)에 조준경을 결합하여 사용할 때 조준경의 설치 위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조준경 수용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준경 수용홈은 다양한 형태로 어느 곳에든 형성 가능하고 또한 걸이부(11)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며 걸이부(11)의 길이가 짧아 조준경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적용되지 않는다.
고정프레임(10)은 사격 종료 후 총기(1)에서 분리되어야 하며, 고정프레임(10)의 분리는 걸이부(11)를 총열(3)에서 분리함으로써 가능하다. 걸이부(11)를 총열(3)에서 손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용 노브(knob)(12)가 갖추어진다.
노브(12)는 예컨대 걸이부(11)에서 저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이며 즉 걸이부(11) 보다 작은 크기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당김[총열(3)에서 멀어지는 방향] 조작에 의해 걸이부(11)가 총열(3)에서 벗겨지도록 한다.
노브(12)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또한 도면에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2개 이상도 가능하다.
노브(12)는 총열(3)을 덮어 고정하도록 걸이부(11)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걸이부(11)는 총열의 상부에서, 노브(12)는 총열의 하부에서 총열을 감싸기 때문에 탄피받이(100)를 총기(1)에 견고하게 장착한다. 단 걸이부(11)의 분리를 위하여 노브(12)는 총열(3)에서 이격(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걸이부(11)와 노브(12)의 구조에 따르면 노브(12)를 잡고 걸이부(11)를 총열(3)의 위쪽으로 올리면 걸이부(11)가 총열(3)에서 분리된다.
고정프레임(10)은 개폐프레임(20)과의 결합 및 개폐프레임(20)의 개폐를 위하여 전후방 중 일측(전방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함)에 힌지 보스(13)가 형성된다. 힌지 보스(13)는 힌지가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즉 개폐프레임(20)이 종방향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의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약실(2)을 개폐한다.
고정프레임(10)은 걸이부(11)의 도면 기준 우측에 탄피가 탄피수거낭(3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개폐프레임(20)이 붙게 될 것이며, 또한 개폐프레임(20)이 약실(3)을 폐쇄할 때 고정프레임(10)에 붙게 될 것이고, 이처럼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닿을 때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 중 하나 이상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은 상기 돌기를 제외한 부분이 접촉되지 않아 즉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에 붙일 때[약실(3)을 폐쇄할 때] 충격을 줄이게 된다.
개폐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에 총기(1)의 약실(2)을 개폐하도록 연결되면서 탄피회수낭(3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개폐프레임(20)은 총기(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탄피회수낭(30)을 통해 약실(2)을 막아 탄피가 탄피회수낭(40)에 회수되도록 하는 한편, 약실(2)에 탄피가 끼어 격발 불능인 경우에는 약실(2)을 개방하고, 이를 위하여 전방이 고정프레임(10)에 힌지핀(4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후술하는 록커를 통해 고정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프레임(20)은 전방에 고정프레임(10)의 힌지 보스(13)와 함께 힌지핀(40)에 결합되는 힌지 보스(21)가 형성된다.
개폐프레임(20)은 탄피회수낭(30)이 넓은 회수공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부판(22), 상부판(22)의 전후 양측 중 일측 이상(도면에서는 전후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됨)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23)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힌지 보스(13,21)는 고정프레임(10)의 측면 및 개폐프레임(20)의 측판(23)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부판(22)은 평평한 판형일 수도 있고, 내부가 빈 틀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탄피회수낭(30)의 상부를 예컨대 사각형으로 만들어주어 탄피회수낭(30)의 내부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측판(23)의 하부에는 탄피회수낭(30)이 끼워지는 삽입홈(24)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측판(23)이 휨 변형되지 않도록 측판(33)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5)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바(25)는 측판(23)을 지지하는 기능이외에 탄피회수낭(30)을 장착하기 위한 기능을 겸한다.
이상의 구조에 따르면 개폐프레임(20)은 전방측이 힌지핀(40)을 매개로 하여 고정프레임(10)에 연결되며 특히 상하 종방향의 힌지핀(40)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면서 젖히지 않지만 반대쪽의 자유단부는 하부로 회전하면서 젖혀지게 된다. 왜냐하면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이 서로 면접촉되고 록커로 고정된다 하더라도 개폐프레임(20)의 자유단부가 외력에 의해 하부로 눌릴 때 이를 막기 위한 지지기반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의 자유단부측 저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서로 면접촉되는 고정측 지지턱(14)과 개폐측 지지턱(26)이 형성된다.
고정측 지지턱(14)과 개폐측 지지턱(26)은 장전손잡이의 격발 동작과 약실(2)의 개방 및 탄피받이(100)의 탈착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적절한 크기로 돌출되며, 즉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의 저부에 전체적으로 지지턱이 형성되면 약실(2)을 막거나 장전손잡이의 격발을 간섭하거나 탄피받이(100)의 탈착이 어려울 수 있다.
고정측 지지턱(14)과 개폐측 지지턱(26)은 서로 대응하는 면이 평평하더라도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간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폐프레임(2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측 지지턱(14)과 개폐측 지지턱(26)의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끼움되는 요철부가 구성된다.
상기 요철부는 고정측 지지턱(14)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15)과 개폐측 지지턱(26)에 형성되며 홈(15)에 끼움되는 돌기(27)일 수 있다. 물론 홈과 돌기는 서로 위치가 뒤바뀔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지지턱(14,26)에 홈과 돌기가 병행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27)와 홈(15)은 구조 상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향해 회전하는 것은 물론 직하부로 밀리는 것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27)의 단부와 홈(15)의 바닥부를 타구간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하여 돌기(27)가 홈(15)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의 반대쪽으로 열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개폐프레임(20)이 탄피의 비산에 따른 충돌에너지나 총기의 흔들림에 의해 고정프레임(10)에서 탈락되지 않고 약실(2)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며, 즉 사용자에 의해서만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서 분리되어 약실(2)을 개방하도록 록커가 갖추어진다.
록커(50)는 개폐프레임(20)에 대략 중앙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연결되어 양측이 시소운동 하도록 구성되며, 일측 단부의 저면에는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록킹턱(16)에 걸리는 록킹돌기(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누름부(52)가 구성된다.
록커(50)는 록킹돌기(51)를 록킹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3)(바람직하게 비틀림 코일스프링)를 통해 장착되어 사용자가 분리 동작을 하기 전에는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록킹돌기(51)는 록킹턱(16)의 반대쪽에 걸려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록킹 해제는 누름부(52)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사용자의 조작없이 외력에 의해 록킹돌기(51)가 록킹턱(16)에서 분리되면 개폐프레임(20)이 분리되어 사고가 발생된다.
바람직하게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할 때에는 누름부(52)의 조작없이 록킹이 가능하도록 록킹돌기(51)와 록킹턱(16) 중 일측 이상(도면에는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함)에는 경사부(51a,1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하면 록킹돌기(51)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경사부를 지나면 탄성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턱(16)에 록킹됨으로써 누름부(52)의 조작이 불필요하다.
누름부(5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슬립 처리(요철 등)된다.
전술한 구조의 록커(50)는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이와 동등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것(자석, 출몰형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탄피회수낭(30)은 직물, 망 또는 이들의 혼합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가방의 형태이며, 탄피회수구(31)가 구비된다. 탄피회수구(31)는 탄피받이(100)가 총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약실(2)에서 방출되는 탄피를 회수하고, 탄피받이(100)가 총기(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에 회수된 탄피를 배추하는 기능을 한다.
탄피회수낭(30)은 탄피받이(100)가 총기에서 분리된 상태는 물론 탄피받이(100)가 총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내부에 회수된 탄피를 배출하도록 탄피배출구(32)가 포함될 수 있다.
탄피배출구(32)는 하부를 향해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며, 왜냐하면 고정프레임(10)을 총기(1)에서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피배출구(32)를 통해 탄피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탄피배출구(32)는 탄피를 배출하기 전에는 탄피가 탄피회수낭(30)에서 배출되지 않도록 개봉수단이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수단은 지퍼, 단추, 벨크로 등이 사용 가능하다.
탄피회수낭(30)은 개폐프레임(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예를 들어 벨크로, 단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벨크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탄피회수낭(30)은 제1 내지 제3날개(33,34,35)를 갖는다.
제1날개(33)는 상부판(22)을 감싸면서 벨크로를 통해 탄피회수낭(30)의 내면에 부착되며, 제2날개(34)는 측판(23)에 형성된 삽입홈(24)에 끼워져 측판(23)을 감싸면서 벨크로를 통해 탄피회수낭(30)의 내면에 부착되고, 제3날개(35)는 탄피회수구(31)의 하단쪽에 형성되며 연결바(25)를 감싸면서 벨크로를 통해 탄피회수낭(30)의 내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피받이(100)는 특허청구범위의 이내에서 모든 총기류(K-1,K-2,M-16, A-1, M-4 등)에 적용 가능하도록 형상이 변경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약실 개폐형 탄피받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탄피받이(100)는 미사용시 고정프레임(10)과 개폐프레임(20)이 록커(5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부피가 최소화되며, 이 상태로 보관, 운반된다.
사격시 총기(1)의 총열에 걸이부(11)를 올린 후 총열로 누르게 되면 걸이부(11)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총열에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0)의 장착시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서 떨어뜨릴 수도 있다. 단, 약실(2)이 개방되도록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서 이격한 경우 사격 전에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한다. 개폐프레임(20)은 록커(50)의 록킹돌기(51)가 고정프레임(10)의 록킹턱(16)에 걸림으로써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된다. 탄피받이(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총기(1)의 약실(2)과 탄피회수낭(30)의 탄피회수구(31)가 통하게 되며, 이와 같이 탄피받이(100)를 총기(1)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격을 실시한다.
사격시 탄피는 약실(2)에서 방출되어 탄피회수구(31)를 통해 탄피회수낭(30) 내부에 회수된다.
한편, 사격 중에 약실(2)에 예를 들어 탄피(또는 총탄)가 걸려 격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약실(2)을 개방하여 원인을 해소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약실을 개방한다.
개폐프레임(20)을 감싸면서 록커(50)의 누름부(52)를 눌러 록킹돌기(51)를 록킹턱(16)에서 이격시키고, 이 상태에서 개폐프레임(20)을 앞쪽을 향해 젖히면 개폐프레임(20)이 힌지핀(40)을 통해 앞쪽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프레임(10)에서 분리되고, 따라서 개폐프레임(20)과 탄피회수낭(3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약실(2)이 개방된다.
개방된 약실(2)을 확인하고 장전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약실(2)에 끼인 탄피 등을 제거하여 격발 불능을 해결한다.
격발 불능을 해결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하며,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으로 회전시키고 록커(50)의 록킹돌기(51)를 고정프레임(10)의 록킹턱(16)에 록킹하여 개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한다.
개폐프레임(20)은 자유단부가 지지턱(14,26)을 통해 지지되어 있으며, 개폐프레임(20)의 착탈 과정 등에서 개폐프레임(20)이 하부로 밀리는 경우 지지턱(14,26)에 의해 개폐프레임(20)의 밀림을 막아 개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특히, 개폐프레임(20)이 돌기(27)를 통해 고정프레임(10)의 홈(15)에 결합되는 경우 개폐프레임(20)의 밀림을 더욱 확실하게 막아 개폐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10)의 연결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격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탄피받이(100)를 총기(1)에서 분리하며, 바람직하게 노브(12)를 상부로 올리면 걸이부(11)가 총열에서 벗겨지면서 탄피받이(100)를 총기(1)에서 분리한다.
1 : 총기, 2 : 약실
10 : 고정프레임, 11 : 걸이부
12 : 노브, 13,21 : 힌지 보스
14,26 : 지지턱, 15 : 홈
16 : 록킹턱, 20 : 개폐프레임
22 : 상부판, 23 : 측판
24 : 삽입홈, 25 : 연결바
27 : 돌기, 30 : 탄피수거낭
31 : 탄피회수구, 32 : 탄피배출구
40 : 힌지핀, 50 : 록커
51 : 록킹돌기, 52 : 누름부

Claims (6)

  1. 총기의 약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총기의 약실과 연통하는 탄피회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피회수낭(3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총기의 약실 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탄피회수낭이 결합되며 전후 방향 중 일측이 상기 총기의 약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는 개폐프레임(20), 상기 개폐프레임의 타측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프레임의 자유단부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록커(50),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폐프레임이 젖히는 것을 막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총기의 총열의 일부분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덮는 곡선형 단면의 걸이부(11), 상기 걸이부에서 저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총열의 하부를 감싸 결합되며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상기 걸이부가 상기 총열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노브(12), 전방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 보스(13)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프레임은 상부판(22), 상기 상부판의 전후 양측중 일측 이상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판(23), 상기 측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피회수낭이 끼워지는 삽입홈(24), 상기 고정프레임의 힌지 보스(13)와 대응하여 힌지핀(40)이 종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 보스((2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개폐프레임의 자유단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턱 및 개폐측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측 지지턱과 개폐측 지지턱은 마주하는 면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과 돌기를 통해 서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록커는 상기 개폐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축을 통해 연결되며 일측 단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록킹턱에 걸리는 록킹돌기(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누름부(52)가 구성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턱에 록킹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턱 중 하나 이상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경사부를 타고 상기 록킹턱에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6. 삭제
KR1020150086653A 2015-06-18 2015-06-18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KR10164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653A KR101647363B1 (ko) 2015-06-18 2015-06-18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653A KR101647363B1 (ko) 2015-06-18 2015-06-18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363B1 true KR101647363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653A KR101647363B1 (ko) 2015-06-18 2015-06-18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1924A1 (fr) * 2017-06-30 2019-01-02 Jean Emile Salvador Dispositif récupérateur de douilles pour arme à feu
KR20230112924A (ko)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탄피받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286U (ja) * 1992-03-18 1993-10-29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空薬莢の回収具
KR100961285B1 (ko) 2009-12-22 2010-06-0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286U (ja) * 1992-03-18 1993-10-29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空薬莢の回収具
KR100961285B1 (ko) 2009-12-22 2010-06-0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1924A1 (fr) * 2017-06-30 2019-01-02 Jean Emile Salvador Dispositif récupérateur de douilles pour arme à feu
FR3068454A1 (fr) * 2017-06-30 2019-01-04 Jean Emile Salvador Dispositif recuperateur de douilles pour armes a feu
KR20230112924A (ko)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탄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873B2 (en) Collapsible carbine stock with spare magazine storage enclosure
US20180087869A1 (en) Holster
CN107024144B (zh) 具有交互式附件装置的快速拔出枪套
CZ303696B6 (cs) Pouzdro pro jednorucní strelnou zbran
US8985412B2 (en) Quick draw gun holster
KR940010778B1 (ko) 견착식 총기용 탄피회수장치
US4886197A (en) Anti-theft holster
CZ297143B6 (cs) Záchytné ústrojí pro rucní palnou zbran
KR101647363B1 (ko)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KR100961285B1 (ko)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US3977583A (en) Front opening holster
KR200484904Y1 (ko) 탄피받이 주머니
KR101111049B1 (ko) 총기용 탄피 회수장치
KR200492562Y1 (ko) 유니버셜 홀스터
US9372042B2 (en) Magazine carrier for firearms
KR101679326B1 (ko) 탄피수거함 겸용 파우치
KR100524113B1 (ko) 탄피 수거함
KR100469672B1 (ko) 소총용 탄피받이구
KR200286288Y1 (ko) 소총용 탄피받이구
EP0415054B1 (fr)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des étuis de cartouches pour une arme d'épaule
KR200273494Y1 (ko) 소총용 탄피 수집구
KR102520980B1 (ko) 소총에서 배출되는 탄피 회수 매거진
BG1321U1 (bg) Кобур за пистолет
US1533967A (en) Automatic rifle
KR880004023Y1 (ko) M16 소총의 탄피받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