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924A - 탄피받이 - Google Patents

탄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924A
KR20230112924A KR1020220009130A KR20220009130A KR20230112924A KR 20230112924 A KR20230112924 A KR 20230112924A KR 1020220009130 A KR1020220009130 A KR 1020220009130A KR 20220009130 A KR20220009130 A KR 20220009130A KR 20230112924 A KR20230112924 A KR 20230112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ell
groove
le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규
이상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to KR102022000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924A/ko
Publication of KR2023011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는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회전하는 탄피주머니가 장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 홈과, 고정 블록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커넥팅 로드 고정 홈을 포함하는 장착대; 고정 블록 홈에 안착되어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장착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부 홈에 고정하여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탄피를 회수하는 탄피 주머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피받이 {Casing Catcher}
본 발명은 총기용 액세서리인 피카티니 레일에 장착 가능하며, 장착상태에서 사용자가 약실개폐를 가능하게 한 탄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 등이 걸려 격발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탄피받이를 회전 개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탄피받이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권총, 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총기는 사용 목적에 맞게 적합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액세서리(광학식 조준경, 광학식 배율경, 광학식 확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수직 손잡이 등)를 총기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해 군수 표준 규격인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 미국 군사규격 MIL-STD-1913, 이하 ‘레일’이라 함.)을 총기에 장착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레일은 필수적인 장비로서 레일에 장착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상정하여 총기용 액세서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광학식 조준경의 보급 확대와 함께 레일이 함께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군사용으로 널리 보급된 M16 소총, K-1A 기관단총, K-2 소총의 사격 훈련 시 탄피 방출구로 방출되는 탄피를 회수하여, 물자 절약을 위한 재사용과 총기사고를 예방하는 조치로 사용하고 있다.
주, 야간사격을 막론하고 탄피를 전량 회수하고자 하고 있으나, 낙하지점이 일정하지 않은 탄피의 전량 회수를 위하여 사격 시마다 사수의 우측방에 부사수가 위치하여 사격 시 안전확보와 탄피 회수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특히 야간사격 및 기동사격 시에는 탄피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격 시 탄두와 분리되어 별도의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탄피를 쉽게 회수 할 수 있도록 만든 보조장비인 탄피받이가 개발되었다.
다양한 종류의 탄피받이가 개발되어 실사용하고 있으나, 운용 중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탄피받이 장착 시의 안정성,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 레일에 장착 가능성,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 등을 들 수 있다.
탄피받이 ‘장착 시의 안정성’은 사격 시 총기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탄피받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기동사격 시 발생하는 장애물과의 충돌 등 외부 충격을 받을 때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은 장전손잡이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해결 할 수 있으나, 탄피받이 장착시 장전손잡이를 조작이 불가능함에 따라 즉각적인 해결이 어려움이 있다.
‘레일에 장착 가능성’은 레일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최신 총기는 레일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레일에 탄피받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주요한 문제점으로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와 사용 시의 간섭 문제’는 총기에 장착하는 다양한 액세서리들은 장착하여야 하는 기준점들을 가지고 있으며(예를 들어 광학식 조준경의 경우 사격자의 눈과 조준경의 대안부와의 접안 거리가 설정되어 있어 레일에 광학식 조준경이 장착되는 위치는 매우 제한적임.), 이러한 액세서리들이 장착되었을 때도 탄피받이를 장착 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 선행기술에 확인된 내용들을 상기 언급한 주요 문제점과 비교해보면 그 한계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961285호)은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로 상기 언급한 주요 실용성 문제점 중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은 극복하였으나, 자석을 사용한 고정방식은 기동사격 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약실이 개방되어 탄피를 분실할 수 있고, 구조물의 탄성을 이용해 총기에 고정하는 방식은 기동사격 시 일정이상 충격에 강제적으로 분리될 여지가 있어 ‘장착 시의 안정성’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레일에는 장착할 수 없어 ‘레일에 장착 가능성’을 극복하지 못하였으며, 탄피받이 사용 시 레일을 장착할 수 없어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해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1301336호)는 레일과 탄피받이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형태로 ‘장착 시의 안정성’ 및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은 극복하였으나, ‘레일에 장착 가능성’은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레일에 적용할 수 없이 전용 레일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레일에 먼저 결합 후 레일을 총기에 장착함에 따라 탄피받이를 탈착하려면 레일을 포함한 장착된 모든 액세서리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상시 장착되어야 하는 레일을 제거해야만하는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였고, 본 기술에 적용된 단축 레일의 구조상 다양한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3(등록특허 제10-1307879호)는 고정프레임과 벨크로를 이용해 탄피받이를 총기에 결합하는 형태로 ‘레일에 장착 가능성’은 극복하였으나, 기동사격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대해 벨크로의 결합력으로는 ‘장착 시의 안정성’을 극복하지 못하며,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은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해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하고, 탄피받이 고정프레임이 레일의 최후방에 위치함에 따라 가장 빈번히 총기 액세서리가 장착되는 부분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4(등록특허 제10-1647363호)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자석을 이용한 고정방식에서 물리적인 구조를 이용해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해 기동사격 시 외부 충격에 의한 약실 개방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기존에 가지고 있는 나머지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5(공개특허 제10-2017-0085765호)는 레일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탄피받이로 ‘장착 시의 안정성’, ‘레일에 장착 가능성’ 및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은 극복하였으나,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 방안’은 탄피받이를 총기에서 분해해야만 극복 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6(등록특허 제10-2176676호)은 특허문헌 3의 단점을 일부 극복한 특허로 특허문헌 3의 문제점 중 ‘장착 시의 안정성’을 극복하였으나, 고정프레임을 제거함에 따라 ‘레일에 장착 가능성’을 해결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특허문헌 3의 나머지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61285호 등록특허 제10-1301336호 등록특허 제10-1307879호 등록특허 제10-1647363호 공개특허 제10-2017-0085765호 등록특허 제10-21766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레일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해결이 가능한 약실 개방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총기 액세서리 사용 시 간섭이 없도록 만든 총기용 탄피받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는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회전하는 탄피주머니가 장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 홈과, 고정 블록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커넥팅 로드 고정 홈을 포함하는 장착대; 고정 블록 홈에 안착되어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장착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부 홈에 고정하여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탄피를 회수하는 탄피 주머니를 포함한다.
회전부는 장착부가 레일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레버를 이용해 회전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및 동작 완료 후 회전 레버를 이용해 고정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회전 레버는 레버 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통해 동작하고, 압축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레버 스프링을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구조를 가지며, 회전 레버 동작시 회전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회전 프레임은 압축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회전 스프링을 통해 회전 프레임의 움직임을 고정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하중을 계속 작용하고,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 고정상태가 해제 되었을 때 고정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구조; 및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탭 구조로 형성된 탄피 주머니 고정 탭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고정 가능한 탄피 주머니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피 주머니는 정면부에 간격을 두고 홀 구조로 형성된 열기 배출용 홀을 포함하고, 상부면 전체, 좌측면 전체 및 하부면 일부까지 개패 가능한 지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피받이는 레일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와 탄피받이의 회전 및 고정에 의한 약실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사격 도중 약실에 탄피가 걸렸을 시 약실을 개방하여 장전손잡이를 수동으로 작동해 단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현대전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액세서리(광학식 조준경, 광학식 확대경, 레이저 표적 지시기, 전술 라이트, 수직손잡이 등)를 동시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추가로 탄피받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고정사격이 아닌 이동간 사격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에 적극 활용하여 훈련을 통한 숙련도를 올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에 적용한 탄피받이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하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좌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레일 체결구조를 도시한 하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레일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에 있어서, 회전부의 구성 간 체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말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피받이(10)는 총기(1)에 별도의 부가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레일(2)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바에 따르면, 탄피받이(10)는 3배율 광학식 확대경(3) 및 1배율 광학식 조준경(4) 등과 함께 레일(2)에 서로 작동에 간섭없이 장착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총기(1)에는 1배율 광학식 조준경(4)이 기본적으로 장착되며, 원거리 사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3배율 광학식 확대경(3)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총기 악세서리들이 레일(2)에 장착되어 사용함과 동시에 탄피받이(1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호간의 간섭문제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배율 광학식 조준경(4) 및 3배율 광학식 확대경(4)이 레일(2)에 장착한체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사격시 탄걸림 문제 발생시 도 2와 같이 탄피받이(2)의 회전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장전손잡이(20)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탄걸림 문제를 빠르게 해결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피받이(10)는 장착부(100)가 레일(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부(200)가 잠금장치를 통해 유사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동작 할 수 있게하여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하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상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우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레일 체결구조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의 레일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받이에 있어서, 회전부의 구성 간 체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탄피받이(10)는 장착부(100) 및 회전부(2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 각 구성에 대한 설명과 그 구성 간 체결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장착부(100)
장착부(100)는 장착부 몸체(110), 고정 블록(120) 및 커넥팅 로드(130)을 포함한다.
장착부 몸체(110)에 있는 하부 홈(111)은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에 장착되는 홈으로서, 레일(도 1 내지 도 4의 2)의 체결부(하부폼(111)과 체결되는 부위)와 대응한다.
상부 홈(112)는 회전부(200)의 회전 프레임(210) 및 회전 레버(22)가 고정되는 구조로 회전 프레임(210)이 동작할 때 기준면으로도 사용된다.
덮개 접촉면(113)은 회전부(200)의 구성품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의 오염물질에서 보호하는 덮개(260)와 면접촉하며, 덮개는 덮개 고정탭(117)에 의해 볼트로 채결하여 고정한다.
고정 블록(120)은 레일(2)에 하부 홈(111)과 함께 면접촉을 통해 고정하여 탄피받이(10)을 장착하게 해주는 부속으로서, 장착부 몸체(110)의 일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 홈(116)에 위치한다.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커넥팅 로드(130)를 따라 고정 블록(120)이 동작하여 레일(2)에 탈착을 할 수 있게하며, 커넥팅 로드(130)는 장착부 몸체(110)의 커넥팅 로드 고정 탭(114) 및 커넥팅 로드 홈(115)를 이용해 고정된다. 커넥팅 로드 고정 탭(114)는 탭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나, 커넥팅 로드의 형태를 변경해 탭부분을 쐬기 형태의 구조로 억지 끼워맞춤을 이용해 고정후 반대편 고정 블록(120)을 너트로 잠구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장착부 몸체(110)의 상부에는 회전 스프링 홈(118), 레버 스프링 홈(119) 및 레버 고정 핀 홀(250a)이 존재하며, 회전부(200) 조립시 사용된다.
회전부(200)
회전부(200)는 회전 프레임(210), 회전 레버(220), 회전스프링(230), 레버 스프링(240) 및 레버 고정 핀(250)을 포함한다.
회전 프레임(210)은 장착대 몸체(110)의 상부 홈(112)에 안착되며, 장착대 몸체(110)의 회전 스프링 홈(118)에 삽입되는 회전 스프링(230)과 회전 스프링 접촉면(212)를 통해 면접촉한다. 회전 프레임(210)에는 탄피 주머니 고정 탭(211)이 하며, 볼트를 이용해 탄피 주머니(270)를 고정한다.
회전 스프링(230)은 압축 스프링으로 회전 프레임(210)을 회전시켜 탄피를 수동제거 한 후 회전 레버(220)을 눌러 회전 프레임(210)의 고정을 해제하면 압축 스프링이 팽창하며 자동으로 회전프레임이 장착 위치로 복귀하여 정상적인 사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레버(220)는 장착대 몸체(110)의 상부 홈(112)에 안착되며, 장착대 몸체(110)의 레버 스프링 홈(119)에 삽입되는 레버 스프링(240)과 레버 스프링 접촉면(215)를 통해 면접촉한다. 회전 레버(220)는 레버 고정 핀(25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통해 동작한다.
레버 스프링(240)은 압축 스프링으로 회전 레버(220)에 가해진 누름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복귀하여 회전 프레임(2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레버 고정 핀(250)은 레버 고정 핀 홀(250a)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한다.
탄피 주머니(270)에는 지퍼(271)과 열기 배출용 홀(272)을 포함한다.
지퍼(271)는 사격시 잠금 상태로 사용하다가 사격 후 탄피를 회수 할 때 사용하며, 특수한 문제로 인해 탄피걸림 상황에서 회전부(2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지퍼(271)를 열어 탄피걸림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탄피걸림 문제 해결시 원활한 공간 확보를 위해 지퍼(271)는 상부면 전체, 좌측면 전체 및 하부면 일부까지 개패 가능한 구조를 포함한다.
열기 배출용 홀(272)은 사격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는 용도로 도시 된 작은 원형 형태의 홀 이외의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작 될 수 있다.
회전부 동작 구조
회전부(200)가 장착 상태(도 13)일 때 회전 레버(220)을 누르면 레버 고정 핀(25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이를 통해 회전 레버(220)가 회전 레버 고정 홈(장착)(213)에서 이탈하여 회전 프레임(210)이 회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회전 레버(220)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 프레임(210)을 회전시켜야만 회전 프레임이 회전 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210)을 회전을 시작한 후 회전 레버(220)의 누름을 해제하며, 회전 프레임(210)이 설계된 위치까지 회전을 하면 레버 스프링(240)에 의해 회전 레버(220)가 회전 레버 고정 홈(회전)(214)에 안착(도 14)하여 회전 프레임(210)을 고정시킨다.
탄피걸림 문제를 수동으로 해결 후 회전 레버(220)을 누르면 회전 프레임(210)의 회전 레버 고정 홈(회전)(214)에 안착되어 있던 회전 레버(220)가 이탈하며, 이때 회전 프레임(210)에 작용하고 있는 회전 스프링(230)의 힘으로 인해 자동으로 장착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장착위치 복귀시 회전 레버(220)에 작용하고 있는 레버 스프링(240)에 의해 회전 레버(220)은 회전 레버 고정 홈(장착)(213)에 안착하여 회전 프레임(210)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1: 총기
2: 레일
3: 3배율 광학식 확대경
4: 1배율 광학식 조준경
10: 탄피받이
20: 장전손잡이
100: 장착부
110: 장착부 몸체
111: 하부 홈
112: 상부 홈
113: 덮개 접촉면
114: 커넥팅 로드 고정 탭
115: 커넥팅 로드 홈
116: 고정 블록 홈
117: 덮개 고정 탭
118: 회전 스프링 홈
119: 레버 스프링 홈
120: 고정 블록
121: 커넥팅 로드 고정 홈
122: 커넥팅 로드 가이드 홀
123: 레일 접촉 면
130: 커넥팅 로드
200: 회전부
210: 회전 프레임
211: 탄피주머니 고정 탭
212: 회전 스프링 접촉면
213: 회전 레버 고정 홈(장착)
214: 회전 레버 고정 홈(회전)
215: 레버 스프링 접촉면
220: 회전 레버
230: 회전 스프링
240: 레버 스프링
250: 레버 고정 핀
250a: 레버 고정 핀 홀
260: 덮개
261: 덮개 고정 홀
270: 탄피주머니
271: 지퍼
272: 열기 배출용 홀

Claims (6)

  1. 총기용 레일에 장착가능한 탄피받이에 있어서,
    총기용 레일에 탈착되는 하부 홈과, 회전하는 탄피주머니가 장착되는 상부 홈과 일측에 일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되 하부의 길이 방향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 홈과, 고정 블록 홈과 연통되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커넥팅 로드 고정 홈을 포함하는 장착대;
    고정 블록 홈에 안착되어 커넥팅 로드와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며 장착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부 홈에 고정하여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탄피를 회수하는 탄피 주머니를 포함하는 탄피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장착부가 레일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레버를 이용해 회전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및
    동작 완료 후 회전 레버를 이용해 고정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구조를 가지는 탄피받이.
  3. 제 2항에 있어서,
    회전 레버는
    레버 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통해 동작하고,
    압축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레버 스프링을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구조를 가지며,
    회전 레버 동작시 회전 프레임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탄피받이.
  4. 제 2항에 있어서,
    회전 프레임은
    압축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회전 스프링을 통해 회전 프레임의 움직임을 고정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하중을 계속 작용하고,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 고정상태가 해제 되었을 때 고정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구조를 가지는 탄피받이.
  5. 제 4항에 있어서,
    회전 프레임은
    외측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탭 구조로 형성된 탄피 주머니 고정 탭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고정 가능한 탄피 주머니를 구비하는 것인 탄피받이.
  6. 제 5항에 있어서,
    탄피 주머니는
    정면부에 간격을 두고 홀 구조로 형성된 열기 배출용 홀을 포함하고,
    상부면 전체, 좌측면 전체 및 하부면 일부까지 개패 가능한 지퍼를 포함하는 것인 탄피받이.
KR1020220009130A 2022-01-21 2022-01-21 탄피받이 KR20230112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30A KR20230112924A (ko) 2022-01-21 2022-01-21 탄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30A KR20230112924A (ko) 2022-01-21 2022-01-21 탄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924A true KR20230112924A (ko) 2023-07-28

Family

ID=8742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130A KR20230112924A (ko) 2022-01-21 2022-01-21 탄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92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85B1 (ko) 2009-12-22 2010-06-0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KR101301336B1 (ko) 2013-05-29 2013-08-29 김영준 K1,k2자동소총용 레일 겸용 탄피수집장치
KR101307879B1 (ko) 2012-09-11 2013-09-13 허욱 탄피 수거장치
KR101647363B1 (ko) 2015-06-18 2016-08-10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KR20170085765A (ko) 2016-01-15 2017-07-25 이선호 탄피 수거장치
KR102176676B1 (ko) 2019-03-11 2020-11-09 주식회사 해이룸 탄피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85B1 (ko) 2009-12-22 2010-06-0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KR101307879B1 (ko) 2012-09-11 2013-09-13 허욱 탄피 수거장치
KR101301336B1 (ko) 2013-05-29 2013-08-29 김영준 K1,k2자동소총용 레일 겸용 탄피수집장치
KR101647363B1 (ko) 2015-06-18 2016-08-10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약실 개방형 탄피받이
KR20170085765A (ko) 2016-01-15 2017-07-25 이선호 탄피 수거장치
KR102176676B1 (ko) 2019-03-11 2020-11-09 주식회사 해이룸 탄피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723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supplemental device to an unaltered host firearm
US6293040B1 (en) Interchangeable weapon receiver for alternate ammunition
US9328991B2 (en) Firearm accessory adapter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347023B2 (en) Machine guns having detachable barrels and methods operating the same
US7194836B1 (en) Gun attachment method and apparatus
US8127480B1 (en) Magazine well extension for a firearm
US10054379B2 (en) Semi-automatic rifle and retrofit kit for a semi-automatic rifle
US8393107B2 (en) Firearm assembly including a first weapon and a second weapon selectively mounted to the first weapon
US9618298B2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firearms
US8690032B2 (en) Holster
US6209250B1 (en) Sidearm convertible between knife and firearm
US20130174457A1 (en) Firearm with dual charging handles
US9879931B2 (en) Modular multi-caliber belt-fed machine guns
KR19990022510A (ko) 휴대용화기의잠금어셈블리
US10371486B2 (en) Firearm accessory mount
US20120291325A1 (en) Magazine safety assembly
US6829858B2 (en) Grenade launchers and methods to secure a grenade launcher to a firearm
US11079189B2 (en) Modular handgun grip assembly
KR20230112924A (ko) 탄피받이
US10132589B1 (en) Ambidextrous compact firearm
RU2520557C2 (ru) Оружие с быстросъемным прикладом
TWI432694B (zh) 7.62 mm assault type common machine guns detachable bomb chain capacity
CA2841762C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firearms
TW201131134A (en) Convertible automatic or semi-automatic rifle
BR102013014433A2 (pt) fuzil de assalto aperfeiÇo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