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161B1 -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 Google Patents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161B1
KR101647161B1 KR1020117006020A KR20117006020A KR101647161B1 KR 101647161 B1 KR101647161 B1 KR 101647161B1 KR 1020117006020 A KR1020117006020 A KR 1020117006020A KR 20117006020 A KR20117006020 A KR 20117006020A KR 101647161 B1 KR101647161 B1 KR 10164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group
alkyl
alkylene
a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511A (ko
Inventor
비외른 페히너
카르스텐 쉐퍼
알렉산더 뵈른들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5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량체 (A), (B), (C) 및 (D)를 중합시켜 수득될 수 있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며, 이때 (A)는 하기 화학식 I의 단량체이고, (B)는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이고, (C)는,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고, (D)는, 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5

[화학식 II]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6

상기 식에서,
A는 C2-C4-알킬렌이고,
B는, A가 아닌 C2-C4-알킬렌이고,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m은 1 내지 500이고,
n은 1 내지 500이고,
m+n의 총합은 2 내지 1000이고,
D는 C3-알킬렌이고,
o는 2 내지 500이다.

Description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NON-IONIC ADDITIVES SOLUBLE IN WATER AND IN SOLVENTS}
본 발명은, 수계 및 용매계 안료 제제용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신규한 비이온성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매질에 안료를 분산시키는 것은 전형적으로 분산제를 필요로 한다. 습윤제로도 알려진 적합한 계면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분산제는,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는 경우, 분산되는 안료의 습윤을 촉진하는 표면-활성제로서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분쇄 작업의 도움에 의해 달성되는, 응집체 및 집합체의 해체를 촉진한다. 분산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중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저분자량을 가지거나, 또는 중합된 단량체의 랜덤, 교대, 블록형, 빗형 또는 별-모양의 구조를 구성하는 고분자량 중합체일 수 있다. 분산제가 특히 상업적 중요성을 갖는 예는, 안료 농축액(에멀젼, 및 바니쉬 칼라, 페인트, 코팅 및 인쇄 잉크의 착색을 위해 사용됨)의 제조, 및 종이, 카드보드 및 텍스타일의 착색에서의 안료의 분산이다. 최근, 액체 분산액에 대해 수행되는 건조 작업 후, 건조 분말 또는 과립이 적용 매질에 신속히 용해되게 하는 분산제 및 첨가제에 대한 조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기에는 빗형 중합체가 유용할 수 있다.
빗형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공단량체로서 모노(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 기초한 거대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소수성 및 친수성, 또는 극성이 주쇄와 측쇄 간에 배분될 수 있는 분명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른 중합체성 분산제와 다르다.
유럽 특허 제1 293 523호는, 약 5,000 내지 1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 20 내지 80 중량%의 친수성 주쇄 및 80 내지 20 중량%의 거대단량체 측쇄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분산제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주쇄는, 주쇄의 중량을 기준으로, 임의의 카복실 기가 없는 중합된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 70 내지 98 중량% 및 카복실 기를 갖는 중합된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 2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카복실 기의 10% 이상은 아민 또는 무기 염기에 의해 중화된다. 상기 주쇄는 측쇄에 비해 친수성이다. 상기 측쇄는, 중합된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의 거대단량체로 이루어진다.
유럽 특허 제1 081 169호는, 하기 단량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분지된 중합체를 기술하고 있다:
(A) 1종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 50 내지 93 중량%,
(B) 1,000 내지 20,000의 분자량을 갖는 1종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 거대단량체 2 내지 25 중량%, 및
(C) 1종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미다졸 유도체 5 내지 25 중량%.
유럽 특허 제1 562 696호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거대단량체를 사용하여, 수성 유화 중합으로 합성된 중합체성 분산제를 기술하고 있다. 이 중합체의 주쇄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 기를 갖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할 것이다.
독일 특허 제10 2005 019 384호는, 순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조합된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예컨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합성되고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빗형 중합체를 기술하고 있다.
유럽 특허 제1 323 789호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함유하지만 수용성은 아닌 빗형 중합체를 기술하고 있다. 이의 목적은 수성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럽 특허 제1 491 598호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염-형성 단량체를 함유한다는 점에서 상기 특허와 유사하며, 이들 중합체는 수성 잉크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인용된 특허들은 분산제로서 빗형 또는 블록-형성 중합체를 제공하는 최신 기술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분말 또는 과립은 수성 시스템에만 또는 용매-함유 시스템에만 쉽게 분산된다. 지금까지, 수성 안료 분산액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이어서 예를 들어 분무 건조에 의해 쉽게 건조가능하며, 수성 및 용매-함유 시스템에 똑같이 쉽게 분산되고, 동시에 높은 색 강도를 신속히 형성할 수 있는 분말 또는 과립을 제조할 수 있는 분산제를 제공한 발명은 없었다. 본 발명에서 결정적으로 유리한 점은 수성 및 용매-함유 시스템 모두에서의 분말 또는 과립의 범용적 분산성이다.
놀랍게도,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산 에스터로 구성된 거대단량체에 의해 제조된 특정 비이온성 빗형 공중합체가 상기 기술된 목적, 즉 범용적 분산성을 달성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량체 (A), (B), (C) 및 (D)를 중합시켜 수득가능한 공중합체를 제공하며, 이때 (A)는 하기 화학식 I의 단량체이고, (B)는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이고, (C)는,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고, (D)는, 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1
[화학식 II]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2
상기 식에서,
A는 C2-C4-알킬렌을 나타내고,
B는, A가 아닌 C2-C4-알킬렌을 나타내고,
R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m은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이고,
n은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이고,
m+n의 총합은 2 내지 1000이고,
D는 C3-알킬렌을 나타내고,
o는 2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특히 2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자유-라디칼 중합의 개시에 의해, 쇄 전달 반응에 의해, 또는 쇄 종결 반응에 의해 형성된 통상적인 말단 기, 예를 들어 양성자; 자유-라디칼 개시제로부터 유도된 기; 또는 쇄 전달제로부터 유도된 황-함유 기를 갖는다.
상기 단량체들의 몰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 (A)가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B)가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C)가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D)가 0.1 내지 90%이고, 이들 몰 분율의 합은 100%이다.
상기 단량체들의 몰 분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 (A)가 0.1 내지 70%이고, 상기 단량체 (B)가 10 내지 80%이고, 상기 단량체 (C)가 0.1 내지 50%이고, 상기 단량체 (D)가 0.1 내지 50%이다.
상기 단량체 (A)의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 (A-O)m 및 (B-O)n은 랜덤 배열로 존재하거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경우, 블록형 배열로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A-O)m은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고 (B-O)n은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거나, (A-O)m은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고 (B-O)n은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고,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몰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의 총합(100%)을 기준으로 50 내지 98%,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이다.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의 총합은 이론상 n+m이 2 내지 1000일 수 있지만, 2 내지 50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00이 특히 바람직하고, 5 내지 50이 더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단량체 (C)는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IIIb로 기술될 수 있다:
[화학식 IIIa]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3
[화학식 IIIb]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4
상기 식에서,
Xa는, 임의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 하나 이상, 예컨대 1, 2 또는 3개를 함유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Za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Zb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Zc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Xb는, 임의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 하나 이상, 예컨대 1, 2 또는 3개를 함유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Wa는 산소 또는 NH 기를 나타낸다.
유용한 단량체 (C)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하기 에스터 및 아마이드를 포함한다: 페닐, 벤질, 톨릴, 2-페녹시에틸, 펜에틸. 추가의 단량체 (C)는 비닐방향족 단량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비닐톨루엔 및 알파-메틸스타이렌이다. 상기 방향족 단위는 또한, 예를 들어 1-비닐이미다졸에서와 같이 헤테로방향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 (C)는 스타이렌, 1-비닐이미다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D)는 하기 화학식 IV로 기술될 수 있다:
[화학식 IV]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5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Y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일 수 있고 O, N 및/또는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불포화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30, 특히 탄소수 9 내지 20의 지방족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나타내고,
Wb는 산소 또는 NH 기이다.
단량체 (D)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하기 에스터 및 아마이드를 포함한다: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부틸, 아이소부틸, 3급-부틸, 펜틸, 헥실, 2-에틸헥실, 3,3-다이메틸부틸, 헵틸, 옥틸, 아이소옥틸, 노닐,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 사이클로헥실, 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 3급-부틸사이클로헥실, 본일, 아이소본일, 아다만틸, (2,2-다이메틸-1-메틸)프로필, 사이클로펜틸, 4-에틸사이클로헥실, 2-에톡시에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및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바람직한 단량체 (D)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하기 알킬 에스터 및 알킬아마이드이다: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2-에톡시에틸, 미리스틸, 옥타데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및 라우릴.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103 내지 109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7 g/mol,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5 g/mol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연속식 작업으로서, 배취식 작업으로서, 또는 반-연속식 작업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유리하게는 침전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벌크 중합 또는 겔 중합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성능 프로파일을 위해서는 용액 중합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중합 반응에 유용한 용매는, 자유-라디칼 중합 반응에 대하여 매우 실질적으로 비활성인 모든 유기 또는 무기 용매를 포함하며, 이의 예는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또는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i-프로판올, n-부탄올, 2-에틸헥산올 또는 1-메톡시-2-프로판올) 및 다이올(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유사하게, 케톤, 예컨대 아세톤, 부탄온, 펜탄온, 헥산온 및 메틸 에틸 케톤;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부티르산의 알킬 에스터,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아밀 아세테이트; 에터,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에틸 에터, 및 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알킬 및 다이알킬 에터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방향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자일렌 또는 고-비점 알킬벤젠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매 혼합물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매 또는 용매들의 선택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계획된 용도에 의존한다. 물;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 2급- 및 3급-부탄올, 2-에틸헥산올, 부틸 글리콜 및 부틸 다이글리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이소프로판올, 3급-부탄올, 2-에틸헥산올, 부틸 글리콜 및 부틸 다이글리콜; 탄소수 5 내지 30의 하이드로카본;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8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대기압뿐만 아니라 승압 또는 감압 하에 수행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중합은 또한, 보호성 기체 분위기, 바람직하게는 질소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또한, 고-에너지, 전자기 선, 기계적 에너지 또는 통상적인 화학적 중합 개시제{예를 들면, 유기 퍼옥사이드, 예컨대 벤조일 퍼옥사이드, 3급-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쿠모일 퍼옥사이드, 다이라우로일 퍼옥사이드(DLP); 또는 아조 개시제, 예컨대 아조아이소부티로나이트릴(AIBN), 아조비스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로클로라이드(ABAH) 및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나이트릴)(AMBN)}를 사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기 퍼옥시 화합물{예컨대, (NH4)2S2O8, K2S2O8 또는 H2O2}을, 필요한 경우 환원제[예컨대, 나트륨 수소 설파이트, 아스코르브산, 철(II) 설페이트], 또는 환원 성분으로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설폰산(예컨대,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을 함유하는 레독스 시스템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통상적인 분자량 조절제가 사용된다. 적합한 공지된 조절제는, 예를 들어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급-부탄올 및 아밀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알킬티올, 예컨대 도데실티올 및 3급-도데실티올; 티오글리콜산, 아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 및 몇몇 할로겐 화합물, 예컨대 사염화탄소, 클로로폼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분산액 및 바니쉬 칼라, 페인트, 코팅 및 인쇄 잉크의 착색, 및 종이, 카드보드 및 텍스타일의 착색 또는 인쇄에 사용되는 수계 또는 용매계 안료 농축액의 제조시 특히 안료 및 충전재를 위한 분산액으로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실시예]
합성 방법:
교반기, 환류 응축기, 내부 온도계 및 질소 주입구를 장착한 플라스크에, 질소를 도입하면서, 먼저 용매 중의 단량체 (A), 단량체 (B), 단량체 (C), 단량체 (D) 및 분자량 조절제를, 하기 표에 제시된 중량부로 넣었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80℃로 올리고, 개시제 용액을 1시간 동안 계량 도입하였다. 이 배취를 상기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이어서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하기 표 1 및 2는, 상기 일반적인 합성 방법과 유사한 합성 실시예를 포함한다.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7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8
삭제
삭제
단량체 (A)의 조성: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8
단량체 (B)의 조성:
Figure 112011018816358-pct00009
AMBN =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나이트릴)
용도 실시예
안료 제제의 제조
다르게는, 분말, 과립 또는 프레스케이크 형태의 안료를 탈이온수 중에서 분산제 및 다른 부형제와 함께 페이스트로 만들고, 이어서 용해기(예컨대, 베엠아-겟츠만 게엠베하(VMA-Getzmann GmbH)로부터의 유형 AE3-M1)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장치를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예비분산시켰다. 후속적으로, 목적하는 색 강도 및 색채효과가 수득될 때까지, 비드 밀(예컨대, 베엠아-겟츠만 게엠베하로부터의 AE3-M1)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분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냉각하면서, 크기가 d = 1 mm인 실리쿼트자이트(siliquartzite) 비드 또는 지르코늄 혼합된 산화물 비드를 사용하여 밀링함으로써, 미세한 분산을 수행하였다. 이후, 상기 분쇄 매체를 분리해내고, 상기 안료 제제를 단리하고,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약 20%의 농도로 표준화하고, 뷔히(Buchi)로부터의 분무 건조기(뷔히 190)로 건조하였다. 건조 분말을 수득하였다.
안료 제제의 평가
DIN 55986에 따라 색 강도 및 색조를 결정하였다. 상기 수성 안료 분산액 및 건조 분말을, 통상적인 인테리어용 수계 에멀젼 페인트 및 통상적인 용매계 라카(lacquer) 중에서 (색 강도 및 착색되는 매체와의 상용성(compatibility)에 대해) 시험하였다. 럽-아웃(rub-out) 시험을, 상기 페인트를 상기 안료 분산액과 혼합한 후 페인트 카드에 적용함으로써 수행하였다. 후속적으로, 적용된 코팅을 상기 페인트 카드의 하단부 상에서 손가락으로 러빙하였다. 이어서, 후처리되지 않은 인접 영역보다 러빙된 영역이 더 진하게 착색된다면 비상용성이 존재하는 것이다(럽-아웃 시험은 독일 특허 제2 638 946호에 기술되어 있음).
하케(Haake)로부터의 콘-앤-플레이트 점도계(로토 비스코(Roto Visco) 1)를 사용하여 20℃에서 점도를 결정하였으며(티타늄 콘: φ 60 mm, 1°), 0 내지 200 s-1 범위에서 점도와 전단 속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60 s-1의 전단 속도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산액의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제의 제조 직후 및 50℃에서 4주 저장 후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기술되는 안료 제제는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되며, 하기 성분들은 안료 제제의 100 부가 형성되도록 명시된 양으로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에 대한 것이다:
35부의 C.I. 피그먼트 옐로우 74;
14부의 합성 실시예 11(표 2)로부터의 중합체;
1부의 습윤제;
50부의 물.
건조 후, 상기 안료 제제는 하기 조성을 가지며, 약 1%의 잔류 물 함량은 무시하였다:
70부의 C.I. 피그먼트 옐로우 74;
28부의 합성 실시예 11(표 2)로부터의 중합체;
2부의 습윤제.
상기 안료 제제는 백색 분산액 및 라카에서 높은 색 강도를 가지며 안정하였다. 럽-아웃 시험은 러빙된 영역에 비해 색 강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분산액은 50℃에서 28일 저장 후 여전히 용이하게 유동성이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동성이고 저장 안정성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조 직후의 점도는 1.26 Pa·s였다. 상기 건조 분말은 수계 백색 에멀젼 및 용매계 라카에 동시에 분산성이었다. 3분 동안 수동 교반을 수행하였다. 두 칼라 시스템 모두 높은 색 강도, 및 얼룩 없는 비응집성 적용성을 제공하였다. 럽-아웃 시험은 후-러빙된 영역에 비해 어떠한 색 강도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Claims (12)

  1. 단량체 (A), (B), (C) 및 (D)를 중합시켜 수득가능한 공중합체로서,
    (A)는 하기 화학식 I의 단량체이고, (B)는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이고, (C)는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고, (D)는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인, 공중합체:
    [화학식 I]
    Figure 112015108959440-pct00010

    [화학식 II]
    Figure 112015108959440-pct00011

    [화학식 IV]
    Figure 112015108959440-pct00019

    상기 식에서,
    A는 C2-C4-알킬렌을 나타내고,
    B는, A가 아닌 C2-C4-알킬렌을 나타내고,
    R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m은 1 내지 500이고,
    n은 1 내지 500이고,
    m+n의 총합은 2 내지 1000이고,
    D는 C3-알킬렌을 나타내고,
    o는 2 내지 500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Y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일 수 있고 O, N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불포화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을 나타내고,
    Wb는 산소 또는 NH 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의 몰 분율이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B)의 몰 분율이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C)의 몰 분율이 0.1 내지 90%이고, 상기 단량체 (D)의 몰 분율이 0.1 내지 90%이고, 이들 몰 분율의 합이 100%인, 공중합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의 몰 분율이 0.1 내지 70%이고, 상기 단량체 (B)의 몰 분율이 10 내지 80%이고, 상기 단량체 (C)의 몰 분율이 0.1 내지 50%이고, 상기 단량체 (D)의 몰 분율이 0.1 내지 50%이고, 이들 몰 분율의 합이 100%인, 공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 (A-O)m 및 (B-O)n이 블록형 배열인, 공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에서, (A-O)m이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고 (B-O)n이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거나, (A-O)m이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고 (B-O)n이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나타내는, 공중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 중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몰 분율이,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의 총합을 기준으로 50 내지 98%인, 공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C)가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화합물인, 공중합체:
    [화학식 IIIa]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2

    [화학식 IIIb]
    Figure 112014066771905-pct00013

    상기 식에서,
    Xa는, 임의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Za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Zb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Zc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Xb는, 임의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Wa는 산소 또는 NH 기를 나타낸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C)가 스타이렌, 1-비닐이미다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공중합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D)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터 또는 알킬아마이드이되, 이때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2-에톡시에틸, 미리스틸, 옥타데실, 2-에틸헥실 또는 라우릴을 의미하는, 공중합체.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량체 (A), (B), (C) 및 (D)를 자유-라디칼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분산제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안료용 조성물.
KR1020117006020A 2008-08-16 2009-07-17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KR101647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8072A DE102008038072A1 (de) 2008-08-16 2008-08-16 Nichtionische wasser- und lösungsmittellösliche Additive
DE102008038072.5 2008-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511A KR20110056511A (ko) 2011-05-30
KR101647161B1 true KR101647161B1 (ko) 2016-08-09

Family

ID=4122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020A KR101647161B1 (ko) 2008-08-16 2009-07-17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72929B2 (ko)
EP (1) EP2324070B1 (ko)
JP (1) JP5514820B2 (ko)
KR (1) KR101647161B1 (ko)
CN (1) CN102015796B (ko)
DE (1) DE102008038072A1 (ko)
ES (1) ES2593118T3 (ko)
WO (1) WO2010020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7973A1 (de) 2008-08-16 2010-02-18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Trockene Pigmentpräparationen mit anionischen Additiven
DE102008038071A1 (de) * 2008-08-16 2010-02-18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Anionische wasser- und lösungsmittellösliche Additive
DE102008038070A1 (de) * 2008-08-16 2010-02-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Trockene Pigmentpräparationen mit nichtionischen Additiven
DE102009030339A1 (de) 2009-06-25 2011-01-05 Clariant International Ltd. Additive zur Inhibierung der Gashydratbildung
DE102010022759A1 (de) * 2010-06-04 2011-12-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Additive zur Inhibierung der Gashydratbildung
RU2016105175A (ru) 2013-08-13 2017-09-19 Колорматрикс Холдингс, Инк. Жидкие дисперсии пигментов
CN107868189B (zh) * 2016-09-28 2020-06-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酰胺共聚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782A (ja) * 2005-03-31 2006-10-19 Seiko Epson Corp 水性インク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38946C3 (de) 1976-08-28 1983-06-16 Hoechst Ag, 6230 Frankfurt Pigmentdispersionen für den Einsatz in hydrophilen und hydrophoben Medien
DE19513126A1 (de) * 1995-04-07 1996-10-10 Sueddeutsche Kalkstickstoff Copolymere auf Basis von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und ungesättigten Dicarbonsäure-Derivaten
US5770648A (en) 1996-10-29 1998-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aqueous branched polymer dispersant
DE19834173A1 (de) * 1997-08-01 1999-02-04 Sueddeutsche Kalkstickstoff Copolymere auf Basis von ungesättigten Dicarbonsäure-Derivaten und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DE19941031A1 (de) 1999-08-28 2001-03-01 Byk Chemie Gmbh Verzweigte, Imidazolgruppen enthaltende Polymere,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030209695A1 (en) * 2000-02-09 2003-11-13 Toshitaka Tsuzuki Dispersant composition
DE10017667A1 (de) * 2000-04-08 2001-10-18 Goldschmidt Ag Th Dispergiermittel zur Herstellung wässriger Pigmentpasten
CN100334171C (zh) * 2001-12-28 2007-08-29 花王株式会社 水性油墨
MY134362A (en) 2002-11-20 2007-12-31 Efka Additives B V Aqueous emulsion polymer as dipersant
EP1491598B1 (en) 2003-06-27 2011-05-18 Kao Corporation Water dispersion and ink jet recording ink
CN101035872B (zh) 2004-10-07 2011-10-05 花王株式会社 喷墨记录用水性油墨
JP2006274031A (ja) * 2005-03-29 2006-10-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記録物
DE102005019384A1 (de) * 2005-04-26 2006-11-02 Süd-Chemie AG Polymere für die Dispersion von Pigmenten und Füllstoffen
WO2006137414A1 (ja) * 2005-06-20 2006-12-28 Seiko Epson Corporation マゼンタ固溶体顔料を含むインク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DE102006019553A1 (de) * 2006-04-27 2007-10-31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Wasserbasierende Pigmentpräparation
DE102007021867A1 (de) * 2007-05-10 2008-11-20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Pigmentpräparationen auf Wasserbasis
DE102007021869A1 (de) * 2007-05-10 2008-11-13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Anionische wasserlösliche Additive
DE102007021870A1 (de) * 2007-05-10 2008-11-20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Wässrige Pigmentpräparationen
DE102007039781A1 (de) * 2007-08-23 2009-02-26 Clariant International Ltd. Wässrige Pigmentpräparationen mit nichtionischen Additiven auf Allyl- und Vinyletherbasis
DE102007039783A1 (de) * 2007-08-23 2009-02-26 Clariant International Ltd. Wässrige Pigmentpräparationen mit anionischen Additiven auf Allyl- und Vinyletherbasis
DE102007039784A1 (de) * 2007-08-23 2009-02-26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Anionische wasserlösliche Additive auf Allyl- und Vinyletherbasis
DE102007039785A1 (de) * 2007-08-23 2009-02-26 Clariant International Ltd. Nichtionische wasserlösliche Additive auf Allyl- und Vinyletherbasis
DE102008038070A1 (de) * 2008-08-16 2010-02-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Trockene Pigmentpräparationen mit nichtionischen Additiven
DE102008037973A1 (de) * 2008-08-16 2010-02-18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Trockene Pigmentpräparationen mit anionischen Additiv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782A (ja) * 2005-03-31 2006-10-19 Seiko Epson Corp 水性イ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5796B (zh) 2014-02-26
EP2324070A1 (de) 2011-05-25
DE102008038072A1 (de) 2010-02-18
US20110160404A1 (en) 2011-06-30
KR20110056511A (ko) 2011-05-30
EP2324070B1 (de) 2016-09-07
US8372929B2 (en) 2013-02-12
JP5514820B2 (ja) 2014-06-04
JP2012500288A (ja) 2012-01-05
WO2010020314A1 (de) 2010-02-25
ES2593118T3 (es) 2016-12-05
CN102015796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83323T3 (en) Anionic water-soluble additives based on allyl and vinyl ether
JP5456661B2 (ja) アニオン性水溶性添加剤
KR101647161B1 (ko)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KR101567106B1 (ko) 알릴 에터 및 비닐 에터에 기초한 비이온성 수용성 첨가제
JP5683263B2 (ja) 非イオン性水溶性添加剤
MXPA05005348A (es) Polimero en emulsion acuosa como dispersante.
CA2595823A1 (en) Polymer for the dispersion of pigments and fillers
JP2010506984A (ja) 両親媒性グラフトポリマー
CA3153904A1 (en) Aqueous composition of organic polymeric microspheres, binder particles, and ion exchange resin
KR101647162B1 (ko)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음이온성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