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94B1 -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 Google Patents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94B1
KR101647094B1 KR1020160046489A KR20160046489A KR101647094B1 KR 101647094 B1 KR101647094 B1 KR 101647094B1 KR 1020160046489 A KR1020160046489 A KR 1020160046489A KR 20160046489 A KR20160046489 A KR 20160046489A KR 101647094 B1 KR101647094 B1 KR 10164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latitude
point
spherical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홍
문경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빅
Priority to KR102016004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94B1/ko
Priority to US15/342,389 priority patent/US20170296879A1/en
Priority to US16/103,517 priority patent/US1105892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63B37/00065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located around the pole or the equa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7Specified total dimpl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63B37/0009Polygo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8Specified number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구체의 표면을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 나누어 만들어지는 구상 다면체 위에 딤플들을 배열하지 않고, 소원과 대원, 그리고 다시 소원을 연결한 결합 분할선들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형성되는 극을 중심으로 하는 대원 선분들만을 변으로 사용하는 구상 정오각형과 대원으로 된 적도와 연결되는 소원 선분들의 형태로 되는 결합 분할선들을 사용하여 구상 다면체를 만들어 딤플들을 배열시키는 것으로, 만들어지는 구상 다면체는 극을 중심에 포함하는 구상 정오각형 2개, 극 쪽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적도 쪽 구상 오각형 10개, 또 다른 적도쪽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로 구분되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으로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 분할된20-12면체 (또는 20면체)의 구상 다각형들에 배열된 딤플들보다 더 정확히 분할 배열되어 딤플 면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갖는 구체의 표면 분할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Golf ball having a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 and small circle}
본 발명은 골프공의 표면을 분할하기 위해 소원과 대원들을 이용하고, 이 원들에 의해 분할된 구체 표면에 형성된 구상 다각형들에 딤플을 배치시킨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들을 배열하기 위하여서는 일반적으로 대원들을 사용하여 구체의 표면을 여러 개의 구상 다각형(Spherical Polygon)들을 갖는 구상 다면체(Spherical Polyhedron)로 나누어 주게 된다. 여기서 대원이란 구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평면에 투영되는 가장 큰 원을 말한다.
이 나누어진 구상 다각형들 위에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게 하며 딤플들을 배열하는 것이다. 대원들에 의해 나누어진 구체 표면의 구상 다면체에는 많은 종류들이 구상 정다각형들로 이루어져 있다. 골프공의 딤플 배열로 많이 사용되는 구상 다면체의 종류로는 구상 정 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구상 사면체, 구상 정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구상 육면체, 구상 정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구상 팔면체, 구상 정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구상 십이면체, 구상 정삼각형 20개로 이루어진 구상 이십면체, 구상 정사각형 6개와 구상 정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구상 육-팔면체, 구상 정삼각형 20개와 구상 정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구상 이십-십이면체 등등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대원을 사용하여 구체 표면을 분할하는 방법만이 사용되었으나, 딤플 면적율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0-1309993호
골프공을 골프채로 타격하면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에 의해 역회전이 만들어지며 비행하게 되는데, 이 때에 골프공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딤플들에 의해 골프공 아래쪽에는 공기가 쌓여지며 압력이 높아지고 반대로 위쪽의 공기의 흐름은 빨라지며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골프공은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점점 떠오르며 비행하게 되고 타격의 힘이 떨어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딤플들이 차지하는 면적율이 높으면 양력을 얻기가 쉽고 면적율이 낮으면 양력을 얻기 힘들다. 실제로 동일한 사양의 구체에 딤플들이 있는 것은, 100MPH의 속도로 드라이버로 가격 시 비거리가 200M 내지 210M로 되고 딤플들이 없는 것은 비거리가 140M 내지 150M 밖에 이르지 못한다. 이렇듯 골프공에 있어서 딤플들의 역할은 공기 역학적으로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골프공의 표면에서 딤플들이 차지하는 면적율은 적어도 76% 이상으로 높여주어야 충분한 양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대원들을 이용하여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구상 정다각형들로 이루어진 구상 다면체에 딤플들의 개수를 250개 ~ 350개로 한정시켜 대칭을 맞추어 딤플들을 배열시키는 경우, 이를 위한 금형 케비티를 제작하기 위해 딤플들의 직경 크기를 비슷하게 해서 일정 크기 이상의 딤플들로만 구성하고 직경 종류도 2~6 종류로 적게 하여 만들려면 필연적으로 딤플이 없는 랜드 표면이 많이 생겨 결과적으로 딤플 면적율을 낮춰주게 되어, 만들어지는 골프공의 양력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래서 이 랜드 표면을 적게 하려면 아주 작은 직경의 딤플들을 여러 종류 추가로 더 만들어 큰 딤플 사이사이에 채워 넣게 되어, 전반적으로 딤플의 크기 별 종류가 많아지기 때문에 금형 케비티를 제작하는 비용도 많이 들고, 만들어진 골프공의 전체적인 미적 감각도 나빠지게 되었었다. 경우에 따라서 두 종류 이상의 구상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구상 다면체에 있어서는, 딤플들의 직경 크기의 종류를 선정하는데 구상 정다각형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생겨 공기의 흐름에도 차이가 커져 비행 성능에 많은 지장을 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골프공을 정식 공인구로 사용하기 위한 R & A나 U.S.G.A.의 규정에 의해 정해져 있는 대칭성을 만들기 위해서, 구체의 표면을 나누기 때문으로 정해진 면적을 갖고 있는 구상 정다각형의 크기에 따라 큰 딤플들이 배열될 때 차지하는 면적의 한계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딤플들을 임의대로 포개놓으면 비행 특성이 아주 달라져 대칭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마음대로 포개놓을 수가 없다. 그래서 잇대어 있는 딤플들에는 아주 작게라도 여유가 있는 에지(딤플의 가장자리 부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구나 분할선 경계 양쪽에 인접한 딤플들은 어느 정도 서로 그 분할선에 서로 교차하게 되는데, 금형이 북반구와 남반구로 나누어지는 관계로 그 성형 접합선에서의 양쪽의 딤플들의 위치 선정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다. 이처럼 분할되어 있는 구상 다각형들의 크기에 따라 딤플들의 개수나 크기가 제한을 받게 되고 딤플이 없는 빈 공간, 즉 랜드 표면 부위가 많이 형성될 수 있었다.
골프공의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변수로는 딤플 면적률, 대칭성, 딤플 직경 종류의 수 등을 들 수 있다. 딤플들을 배열하기 위해 골프공의 표면을 구상 다면체로 나눌 때, 대원들을 사용하여 구체 표면이 구상 정다각형들로 분할되도록 나눠왔다. 이러한 방법은 딤플의 대칭적인 배열을 통한 골프공의 대칭성 확보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대원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딤플들의 선정과 배열에 있어서 딤플 면적율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어 이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극점을 구체의 표면 중 임의의 한 점을 극으로 하였을 때, 이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을 대원 선분으로만 이루어지게 하고 대원으로 된 적도와 이 구상 정오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대원 선분과 적도 쪽으로의 소원 선분들을 연결시켜, 소원 선분, 대원 선분,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연결한 결합 선분으로 구체를 분할하여 극 쪽의 구상 정오각형 2개,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적도 쪽의 구상 오각형 10개, 또 다른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적도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구체에서,
구체의 적도를 10등분하는 기준점들을 정하고,
마주하는 두 개의 기준점을 지나는 5개의 대원들이 극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10개의 기준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상 정오각형의 하나의 꼭지점을 지나는 소원을 형성한 후 소원에서 기준점과 정오각형의 꼭지점 사이의 부분을 소원 분할 선분으로 선택하여서,
반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정오각형 둘레의 5개의 구상 삼각형과, 상기 구상 삼각형과 꼭지점을 공유하고 밑변이 적도 상에 위치하는 5개의 구상 삼각형과, 상기 구상 삼각형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밑변이 적도 상에 위하는 5개의 구상 오각형을 형성한 후,
각 반구체 상에 하나의 구상 정오각형, 5개의 상기 정오각형에 접하는 구상 삼각형, 5개의 상기 적도에 접하는 구상 삼각형 및 상기 5개의 구상 오각형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구상 다각형 내부에 딤플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적도의 대원을 제외하고 구체를 분할시켜 주는 결합 선분들은 점 1(위도 0도, 경도 0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2(위도 66.19818538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6(위도 0도, 경도 180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25(위도 66.19818538도, 경도 306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23(위도 66.19818538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8(위도 0도, 경도 252도)을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4(위도 0도, 경도 108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1(위도 66.19818538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을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9(위도 0도, 경도 288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을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24(위도 66.19818538도, 경도 234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을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10(위도 0도, 경도 324도) 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등으로 이루어진 구체를 분할할 수 있는 결합 분할선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딤플들은 하나 이상의 원형 딤플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다각형 딤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딤플들의 크기는 2종류 이상 8종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대칭성을 쉽게 확보하기 위해 대원만을 사용하여 구체 표면을 분할하는 방식을 탈피하지 못하였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대원만을 사용하는 방식을 벗어나 소원을 면분할에 활용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획기적인 효과들을 얻게 되었다.
대원들에 의해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만든 기존의 구상 20-12 면체(또는 구상 20면체)에서 형성되었던 많은 랜드 표면보다 본 발명에서의 소원들과 위치가 다른 대원 선분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분할선, 또한 기존의 적도를 이루는 대원 선분들에 의해 분할하여 만든 구상 다면체 위에 형성된 랜드 표면이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 분할된 것보다 훨씬 적어져, 기존의 20개의 구상 정삼각형과 12개의 구상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진 구상 20-12면체에 원형 딤플들을 250~350개 배열할 때 만들어질 수 있는 최대 딤플 면적율이 79~80%이었던 것이 2%~4% 더 향상되어 그 딤플면적율이 83~84%로 되고 또한, 기존의 20-12면체 위에 일정 크기 이상의 딤플들을 배열할 때 자연스럽게 경계가 분할되지 않는 현상도 없앨 수 있어 딤플 면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거리의 향상도 얻어지게 되었다. 특히 딤플의 직경에 따른 종류도 2~6종류로 적게 하여 금형 케비티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딤플들이 배열된 골프공의 표면을 극 쪽에서 본 그림인데,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는 선분들 중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대원 선분들 (기존의 20-12면체를 이루는 대원 선분들과는 위치가 다른 위치에서의 대원 선분)에 둘러싸인 구상 정오각형과 이 대원 선분들과 연결되어 있는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소원(Small Circle)들과 또한 적도를 이루는 기존의 하나의 대원이 지나가는 중요 부분의 위도, 경도 그리고 소원들과 연결된 대원들이 결합된 선분들로 분할된 구체의 표면에 형성된 구상 다각형들과 이 구상 다각형들 위에 딤플들이 대칭을 이루며 배열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딤플들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원들로 만들어진 분할선(가는 실선)들과 기존의 20-12면체에서의 대원 선분들과 위치가 다른 대원(굵은 실선)선분들이 연결된 결합 선분으로 된 분할선들이 지나는 곳, 그리고 대원으로 이루어진 적도와 만나는 소원 선분들의 위치를 구체 표면 위에 위도와 경도로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원 선분들(가는 실선들)의 위치를 위도, 경도로 나타내었고 여기서 필요한 선분들만 잘라내어 도 2에서와 같은 결합 분할선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도 4는 기존의20-12면체를 만드는 대원들과는 다른 위치의 대원 선분들(굵은 실선들)이 지나가는 위치를 위도, 경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그 중 일부의 선분들을 사용해 도 3의 필요 소원 선분들과 결합시켜 도 2에서와 같은 결합 선분들을 만들 수 있는 대원들을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분할된 구체의 표면에 딤플들을 배열하기 위해 대칭을 이루고 있는 각 구상 다각형에서 대표되는 구상 다각형들의 각 꼭지점의 위치를 그 위도, 경도로 나타내었고, 형성된 각 구상 다각형들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구상 다각형들 중 대표되는 구상 다각형들의 각각의 꼭지점의 내각과 그 꼭지점과 마주보는 각 변들의 길이를 각 위치에서 각도 거리(Angular Distance)로 계산하기 위한 기호 표시를 한 것인데, 특히 도 5는 내각을, 도 6은 변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도 7은 비교 예로서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구상 20-12면체를 만들어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딤플 배열, 즉 적은 딤플 종류들로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 이상의 딤플들을 배열했을 때, 대원들이 지나는 지점들의 위도, 경도와 그리고 상대적으로 딤플들이 분할선과 많이 동 떨어져 있어 정확한 분할이 어려워짐을 보여주고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서의 기존의 분할 구도인 구상 20-12면체를 도 1 또는 도 2의 본 발명에 의한 구상 다각형들과의 크기 비교를 하기 위한 것으로, 극을 포함하는 구상 정오각형, 극 쪽의 구상 정삼각형, 적도와 접한 구상 정오각형, 적도 쪽의 구상 정삼각형 등의 내각, 변의 길이 등을 계산하여 본 발명의 것과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것인데, 특히 도 8은 내각을, 도 9는 변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대칭성이 유지되는 다양한 방법의 구면 분할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통상 여러 개의 대원을 이용하여 면을 분할하는 경우에는 대칭성에 문제가 없다. 그런데, 이 경우 각 구면 다각형 내에 딤플을 배치할 때 크기가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딤플들만을 배열하여서는 딤플 면적율을 충분히 올리지 못하거나, 다양한 크기의 딤플을 섞어 사용하여서 딤플 면적율을 확보할 수 있더라도 금형 제작의 어려움이 초래되는 문제점은 남는다.
기존의 대원들을 이용하여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구상 정다각형들로 이루어진 정해진 크기의 구상 다면체에 딤플들을 배열함에 따라 생기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없애고 쉽게 대칭을 이룰 수 있는 딤플 배열을 하기 위해, 특히 딤플이 없는 랜드 표면을 줄이고 딤플 면적율도 올려주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는데 사용하던 기존의 대원(Great Circle)들 대신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서 분할되는 위치가 아니고 다른 위치를 갖는 대원과 소원(Small Circle)을 연결 결합시킨 선분들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구체의 전 표면 위에서 대칭을 이룰 수 있는 구상 다각형들을 만들고, 그 구상 다각형들 위에 딤플들을 좌우 대칭이 맞게 배열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구상 다각형들은, 기존의 대원 선분들이 지나가는 위치와 다른 위치를 갖는 새로운 대원 선분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 2개, 또 이 구상 정 오각형과 한 변을 공유하는 한 변을 갖고 다른 두 변은 소원들로 되어 있는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또 앞서의 구상 이등변의 연장되는 소원 선분들을 두 변으로 사용하고 적도를 이루는 대원 선분을 한 변으로 사용하는 또 다른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또한 극 쪽의 구상 오각형과 하나의 꼭지점을 공유하고 앞서의 삼각형들과 두 변씩을 공유하고 적도의 대원 선분을 밑변으로 사용하는 적도 쪽 구상 오각형 10개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들은 기존의 구상 정오각형 12개와 구상 정삼각형 20개로 이루어진 구상 20-12면체와는 확연히 다른 크기와 내각들을 갖고 있는 구상 다면체이다.
대원들에 의해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만드는 기존의 구상 20-12면체의 구상 정오각형과 구상 정삼각형의 정해진 크기로는, 비슷한 직경 크기의 적은 종류의 딤플들을 비례가 맞게 배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각 구상 다각형들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대원들로만 구체를 분할하지 않고 일부 기존의 대원들이 통과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를 통과하는 대원들을 만들고 또한 대원들이 아닌 구체를 분할할 수 있는 소원들을 만들었다. 그 만들어진 대원들의 일부 선분들과 소원들의 일부 선분들을 서로 연결시켜 결합된 분할선으로 구체를 분할하여 대칭을 이루는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여기서의 소원이란 먼저 설명한 대원과는 달리 임의의 평면이 구체를 통과할 때 구체의 중심을 지나지 않기 때문에 먼저의 대원보다 작게 평면 위에 투영되는 작은 원을 말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한 후 딤플들을 배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적도를 10등분하는 10개의 기준점을 결정 각 점을 기준점1 내지 기준점10으로 정한다. 이 기준점들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기준점을 지나는 5개의 대원을 형성한다. 각각의 대원들은 다른 대원들과 각각 한 점에서 교차하면서 상기 정오각형 주위에는 구상 삼각형이 하나씩 형성되고, 두 개의 구상 삼각형에 접하는 구상 오각형이 형성되고, 구상 오각형들 사이에는 5개의 구상 삼각형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의 구상 삼각형들은 모두 구상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체 표면을 분할한 경우의 분할선의 구성을 분할선들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좌표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된 도면 도 3에 만들어진 소원 선분들이 지나는 점의 위도 경도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결합 선분들을 만드는데 필요한 소원 선분들 중 중요 위치만 위도, 경도 앞에 식별 번호를 붙여 놓았고 다른 부위의 위치는 식별 번호를 붙이지 않았다. 도 3에 나타낸 점 1(위도 0도, 경도 0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90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126도), 점(위도 0도, 경도 163.1116774도)를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들고, 다시 도 3에서의 점(위도 0도, 경도 16.89752555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54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6(위도 0도, 경도 180도)을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든다.
그리고, 제시된 도4에 나타낸 점 1(위도 0도, 경도 0도), 점(위도 35.01413358도, 경도 18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2(위도 66.19818538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6(위도 0도, 경도 180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을 만든다. 앞서의 도 3에서의 소원 선분 중 점 1(위도 0도, 경도 0도)에서 점11(위도 39도, 경도 18도)을 거쳐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고, 앞서의 도 4에서의 대원 선분 중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에서 점 22(위도 66.19818538도, 경도 90도)을 거쳐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까지의 대원의 선분을 잘라내서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지점에서 두 선분을 연결한다. 또 앞서의 도 3에서의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에서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을 거쳐 점 6(위도 0도, 경도 180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어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지점에서 대원 선분의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소원 선분들 중간에 하나의 대원 선분이 연결된 결합 분할선을 만든다.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306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270도), 점(위도 0도, 경도 232.8883226도)를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들고, 다시 도 3에서의 점(위도 0도, 경도 19.10247445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342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306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을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든다.
그리고, 제시된 도 4에 나타낸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 점(위도 35.01413358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25(위도 66.19818538도, 경도 306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을 만든다. 앞서의 도 3에서의 소원 선분 중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에서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을 거쳐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고, 앞서의 도 4에서의 대원 선분 중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에서 점 25(위도 66.19818538도, 경도 306도)를 거쳐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서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지점에서 두 선분을 연결한다. 또 앞서의 소원 선분 중 도 3에서의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에서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를 거쳐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어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지점에서 대원 선분의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소원 선분들 중간에 하나의 대원 선분이 연결된 결합 분할선을 만든다.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162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198도), 점(위도 0도, 경도 235.1116774도)를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들고, 다시 도 3에서의 점(위도 0도, 경도 88.89752555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126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8(위도 0도, 경도 252도)을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든다.
그리고, 제시된 도 4에 나타낸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점(위도 35.01413358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23(위도 66.19818538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8(위도 0도, 경도 252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을 만든다.
앞서의 도 3에서의 소원 선분 중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에서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를 거쳐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고, 앞서의 도 4에서의 대원 선분 중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에서 점 23(위도 66.19818538도, 경도 162도)을 거쳐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서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지점에서 두 선분을 연결한다. 또 앞서의 소원 선분 중 도 3에서의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에서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을 거쳐 점 8(위도 0도, 경도 252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어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에서 대원 선분의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소원 선분들 중간에 하나의 대원 선분이 연결된 결합 분할선을 만든다.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점 4(위도 0도, 경도 108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18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342도), 점(위도 0도, 경도 304.8883226도)를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들고, 다시 도 3에서의 점(위도 0도, 경도 91.10247445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54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9(위도 0도, 경도 288도)을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든다.
그리고, 제시된 도 4에 나타낸 점 4(위도 0도, 경도 108도), 점(위도 35.01413358도, 경도 90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1(위도 66.19818538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9(위도 0도, 경도 288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을 만든다.
앞서의 도 3에서의 소원 선분 중 점 4(위도 0도, 경도 108도)에서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를 거쳐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고,
앞서의 도 4에서의 대원 선분 중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에서 점 21(위도66.19818538도, 경도 18도)을 거쳐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서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지점에서 두 선분을 연결한다.
또 앞서의 소원 선분 중 도 3에서의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에서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를 거쳐 점 9(위도 0도, 경도 288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어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에서 대원 선분의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소원 선분들 중간에 하나의 대원 선분이 연결된 결합 분할선을 만든다.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위도64.1651944652도, 경도 234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270도), 점(위도 0도, 경도 307.1116774도)를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들고, 다시 도 3에서의 점(위도 0도, 경도 160.8883226도), 점(위도 55.3366773087도, 경도 198도), 점(위도 64.1651944652도, 경도 234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10(위도 0도, 경도 324도)을 통과하는 소원 선분을 만든다. 그리고, 제시된 도면 도4에 나타낸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위도 35.01413358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24(위도 66.19818538도, 경도 234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0(위도 0도, 경도 324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을 만든다.
앞서의 도 3에서의 소원 선분 중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에서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을 거쳐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고 앞서의 도 4에서의 대원 선분 중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에서 점 24(위도 66.19818538도, 경도 234도)을 거쳐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서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지점에서 두 선분을 연결한다. 또 앞서의 소원 선분 중 도 3에서의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에서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를 거쳐 점 10(위도 0도, 경도 324도)까지의 선분을 잘라내어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에서 대원 선분의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소원 선분들 중간에 하나의 대원 선분이 연결된 결합 분할선을 만든다.
이렇게 하여 소원 선분과 대원 선분이 연결된 5개의 결합 분할선이 형성된다. 한편 도 3, 도4에서의 점 1(위도 0도, 경도 0도),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 9(위도 0도, 경도 288도)과 점 1(위도 0도, 경도 12도)을 연결시킨 선분(이 연결선은 이 구체의 원주와 같으며 이 구체의 대원)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이 연결선을 적도(Equator)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결합 분할선들을 도 2에 나타내었는데 이 결합 분할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구상 다각형들은 대원 선분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 2개, 또 이 구상 정 오각형의 한 변을 공유하는 한 변을 갖고 다른 두 변은 소원들로 되어 있는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또 앞서의 구상 이등변의 연장되는 소원 선분들을 두 변으로 사용하고 적도를 이루는 대원 선분을 한 변으로 사용하는 또 다른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또한 극 쪽의 구상 오각형과 하나의 꼭지점을 공유하고 앞서의 삼각형들과 두 변씩을 공유하고 적도의 대원 선분을 밑변으로 사용하는 적도 쪽 구상 오각형 10개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구상 다각형들에 딤플들을 배열하여 골프공30 이 만들어지는데, 도 2에 나타낸 소원 선분들과 대원 선분들 그리고 적도의 대원 선분들에 의해 만들어진 구상 다각형들을 도 5에서는 실제로 딤플들을 배열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중요 구상 다각형의 각 내각의 크기와 그 구상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곳의 각 위치와 형성된 변의 크기 치수등을 각도 거리 (angular distance)로 나타낼 수 있게 하여 딤플의 크기와 개수 등을 결정하기 쉽게 하였다.
제시된 도면 도 2에 나타낸 소원 선분들에 의한 P(극) 주위에 형성된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을 연결하는 선분들을 변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의 크기를 도 5에 표시하였는데, 하나의 꼭지점에 있는 내각은 2C = 114.9330474도이다. 또한 구체의 원주가 360도일 때 한 변의 길이는 각도 길이로서 2a = 32.68373812도 각도 거리이다. 제시된 도면 도5에 따른 이 구상 정오각형의 변의 중간점과 마주 보는 꼭지점을 연결한 거리, 즉 높이 길이 b + c = 52.40181462도 각도 거리이다. 이 구상 정오각형은 북극, 남극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2개가 만들어진다.
이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과 한 변을 공유하는 극 쪽의 하나의 구상 이등변 삼각형을 제시된 도면 도5에 나타내었는데,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12(위도 39도, 경도 90도),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을 연결하는 선분들을 변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 구상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내각 D는 61.29816669도 각도 거리이고 양 쪽의 내각의 크기가 같으며, 다른 꼭지점 쪽의 내각은2F = 65.3609872도이다. 또한 구체의 원주가 360도일 때 극 쪽의 변의 길이는 극 쪽의 구상 오각형의 한 변과 같기 때문에 길이는 각도 거리로서 2f = 2a = 32.68373812도이고, 이등변인 다른 변의 길이 e는 각도 거리로서 구체의 원주가 360도일 때 31.40582899도이다. 이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 12 (위도 39도, 경도 90도)와 마주보는 변의 중간 점 22(위도 66.19818538도, 경도 90도)를 연결하는 선분인 이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 d는 각도 거리로서 구체의 원주가 360도일 때 27.19818538도 각도 거리이다. 이 극 쪽의 구상 이등변 삼각형은 북반구에 5개, 남반구에 5개로 합계 10개가 만들어진다.
한편, 도 5에서 나타낸 극 쪽 구상 정오각형의 하나의 꼭지점을 공유하며 극 쪽의 두 개의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각 변을 공유하고 적도에 한 변을 갖는 구상 오각형들 중 하나의 구상 오각형은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11(위도 39도, 경도 18도), 2(위도 0도, 경도 36도), 3(위도 0도, 경도 72도), 12(위도 39도, 경도 90도)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 구상 오각형에서 적도를 마주보는 꼭지점의 내각 K는 122.4706193도이고,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위치의 꼭지점 내각 J는 120.0120861도인데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과 동일하다. 적도를 접한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 L은 110.8870648도이고, 이 내각은 적도를 접한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 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도 그 크기가 같다. 이 구상 오각형의 극 쪽의 두 변의 각각의 길이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극 쪽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변 e와 동일한 길이 31.40582899도의 각도 거리를 가진다. 이 구상 오각형의 다른 하나의 변인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와 적도에 접한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을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h 는 42.34436659도 각도 거리이고, 또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과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를 연결하는 또 다른 변의 길이 j도 동일한 42.34436659도 각도 거리이다. 이 적도 쪽 구상 오각형의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에서 적도 선분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선분을 높이로 하면 그 높이 m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61.4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이 적도 쪽의 구상 오각형은 북반구에 5개, 남반구에 5개로 합계 10개가 만들어진다.
이 적도 쪽 구상 오각형과 변을 공유하는 하나의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을 도 5에 나타내었는데,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4(위도 0도, 경도 108도), 3(위도 0도, 경도 72도)를 연결하는 선분을 각 변으로 하는 구상 삼각형에서, 점 12를 꼭지점으로 하는 내각 2G = 54.61484058도이고, 점 3을 꼭지점으로 하는 내각 I = 69.11293519도이며 점 4에서의 내각도 내각 I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도면 도 5에서 나타낸 점 12와 점 3을 연결하는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변 h의 길이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42.34436659도의 각도 거리를 가지며, 점 12와 점 4를 연결하는 변의 길이도 동일한 42.34436659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점 3과 점 4 사이의 길이, 즉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적도에 접하는 변은 적도의 선분 중 일부분으로서 그 길이 2g = 36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이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점 12의 꼭지점에서 적도에 수직하는 선분을 높이로 할 때 높이 i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39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이 적도 쪽의 구상 삼각형도 북반구에 5개, 남반구에 5개로 합계 10개가 만들어진다.
한편, 비교 예로서 대원들에 의해 구체의 표면이 분할된 기존의 구상 20-12면체(또는 20면체)를 만들어 딤플들을 배열한 것을 도6에 나타내었는데, 점 51(위도 0도, 경도 0도), 점 66(위도 58.28252563도, 경도 54도), 점 67(위도 58.28252563도, 경도 126도), 56(위도 0도, 경도 180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다시 점 52(위도 0도, 경도 36도), 점 70(위도 58.28252563도, 경도 342도), 점 69(위도 58.28252563도, 경도 270도), 점 57(위도 0도, 경도 216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다시 점 5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67(위도 58.28252563도, 경도 126도), 점 68(위도 58.28252563도, 경도 198도), 점 58(위도 0도, 경도 252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으로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다시 점 54(위도 0도, 경도 108도), 점 66(위도 58.28252563도, 경도 54도), 점 70(58.28252563도, 경도 342도), 점 59(위도 0도, 경도 288도)를 통과하는 대원 선분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다시 점 5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68(위도 58.28252563도, 경도 198도), 점 69(위도 58.28252563도, 경도 270도), 점 60(위도 0도, 경도 324도)을 통과하는 대원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고, 다시 점 51(위도 0도, 경도 0도), 점 5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5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57(위도 0도, 경도 216도), 점 59(위도 0도, 경도 288도)를 통과하는 선분을 연결시킨 대원 선분을 적도(Equator)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대원들에 의해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기존의 구상 20-12면체를 만들어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딤플들을 배열한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는데, 기존의 분할 구도로는 정확한 분할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원인인 기존의 구상 20-12 면체의 각 구상 다각형들의 내각과 각 변의 길이 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그 크기를 검토하였다.
도 8에서의 기존의 대원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극 쪽 구상 정오각형의 하나의 꼭지점에서의 내각 2P = 116.5650512도 이고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그 구상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 2n = 36도의 각도 거리이다. 이 구상 정오각형은 각 변이 동일한 변의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구상 정오각형의 높이 o + p = 58.28252563도의 각도 거리를 갖고 있다.
또한 도 6에 제시된 점 66(위도 58.28252563도, 경도 54도), 점 62(위도 31.71747444도, 경도 90도), 점 67(위도 58.28252563도, 경도 126도)을 연결하는 대원 선분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나의 구상 정삼각형을 도 8에 그 크기를 나타내었는데, 하나의 꼭지점에서의 내각 Q = 63.43494886도이고 이 정삼각형에서의 또 다른 내각, 점 62에서의 내각 2S = 63.43494886도로 구상 정삼각형 모두 동일한 내각들을 갖고 있다. 또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이 극 쪽의 구상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 2s = 36도의 각도 거리이고 다른 변 r = 36도로 구상 정삼각형 모두 동일한 변의 길이를 갖고 있다. 또 이 구상 정삼각형의 한 변의 중간점과 마주 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높이 q = 31.71747444도의 각도 거리이다. 또한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 분할된 구상 20-12면체의 적도 쪽의 구상 오각형의 크기를 도 9에 나타내었는데, 극 쪽 구상 정오각형의 하나의 꼭지점을 공유하며 극 쪽의 두 개의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각 변을 공유하고 적도에 한 변을 갖는 구상 오각형들 중 하나의 구상 오각형은 점 66(위도 58.28252563도, 경도 54도), 61(위도 31.71747444도, 경도 18도), 52(위도 0도, 경도 36도), 53(위도 0도, 경도 72도), 62(위도 31.71747444도, 경도 90도)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 구상 오각형에서 적도를 마주보는 꼭지점의 내각 X는 116.5650511도이고, 점 62 위치의 꼭지점 내각 W도 116.5650511도이고 점 61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과 동일하다. 적도를 접한 점 53 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 Y는 116.5650511도이고, 이 내각은 적도를 접한 점 52(위도 0도, 경도 36도) 위치에서의 꼭지점 내각도 그 크기가 같아서 이 적도 쪽 구상 정오각형의 각 꼭지점에서의 모든 내각은 모두 같다. 이 구상 오각형의 극 쪽의 두 변의 각각의 길이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극 쪽 구상 이등변 삼각형의 변 r와 동일한 길이 36도의 각도 거리를 가진다. 이 적도 쪽 구상 오각형의 다른 하나의 변인 점 52와 적도에 접한 점 53을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x 는 36도 각도 거리이고, 또 점 61(위도 31.71747444도, 경도 18도)과 점 52(위도 0도, 경도 36도)를 연결하는 또 다른 변의 길이 z도 동일한 36도 각도 거리이다. 이 적도 쪽 구상 오각형의 점 66(위도 58.28252563도, 경도 54도)에서 적도 선분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선분을 높이로 하면 그 높이 w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58.28252563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이 적도 쪽 구상 오각형과 변을 공유하는 하나의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을 도 8에 나타내었는데, 점 62(위도31.71747444도, 경도 90도), 54(위도 0도, 경도 108도), 53(위도 0도, 경도 72도)를 연결하는 선분을 각 변으로 하는 구상 삼각형에서, 점 62를 꼭지점으로 하는 내각 2T = 63.43494886도이고, 점 53을 꼭지점으로 하는 내각 V = 63.43494886도이며 점 54에서의 내각도 내각 V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도 9에서 나타낸 점 62와 점 53을 연결하는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변 u의 길이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36도의 각도 거리를 가지며, 점 62와 점 54를 연결하는 변의 길이도 동일한 36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점 53과 점 54 사이의 길이, 즉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적도에 접하는 변은 적도의 선분 중 일부분으로서 그 길이 2t = 36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이 적도 쪽 구상 삼각형의 점 62의 꼭지점에서 적도에 수직하는 선분을 높이로 할 때 높이 v는 이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31.71747444도의 각도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 분할된 구상 20-12면체에서의 12개의 구상 정오각형들은 구상 정오각형들끼리 각각의 크기가 전부 같고, 20개의 구상 정삼각형들은 구상 정삼각형들끼리 각각의 크기가 전부 동일하다. 즉 구체의 원주를 360도로 나타낼 때 각 변들의 길이는 모두 36도로 동일하고, 구상 정오각형에서의 각 내각들은 모두 116.5650511도로 동일하고, 구상 정삼각형의 내각들은 모두 63.43494886도로 동일하다.
이렇게 기존의 대원들로만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만들어진 구상 20-12면체를 이용하여 도6처럼 본 발명에 부합하는 딤플 크기의 종류들로 동일하게 딤플들을 배열하면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정확히 분할을 할 수 없게 되고 다른 딤플 종류로 구성을 한다면 그 구상 다각형들의 크기 때문에 딤플이 없는 많은 랜드 부위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처럼 일반적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는데 사용하던 기존의 대원(Great Circle)들 대신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대원들에 의해서 분할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갖는 대원과 소원(Small Circle)을 연결 결합시킨 선분들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구체의 전 표면 위에서 대칭을 이룰 수 있는 구상 다각형들을 만들고, 그 구상 다각형들 위에 딤플들의 개수를 250개 ~ 350개로 한정시키고 딤플들의 직경 크기도 비슷하게 해서 일정 크기 이상의 딤플들로만 구성하고 그 직경 종류도 2~6 종류로 적게 하여 좌우 대칭성이 맞는 딤플 배열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10: 기준점
11~15: 적도 인접 구면 삼각형과 정오각형 인접 구면 삼각형의 공유 꼭지점
16~20: 정오각형의 꼭지점
21~25: 구상 정오각형의 각 변의 중심점
30: 골프공
500: 구상 정오각형
P: 극점

Claims (7)

  1. 극점을 구체의 표면 중 임의의 한 점을 극으로 하였을 때, 이 극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을 대원 선분으로만 이루어지게 하고 대원으로 된 적도와 이 구상 정오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대원 선분과 적도 쪽으로의 소원 선분들을 연결시켜, 소원 선분, 대원 선분,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연결한 결합 선분으로 구체를 분할하여 극 쪽의 구상 정오각형 2개,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 적도 쪽의 구상 오각형 10개, 또 다른 구상 이등변 삼각형 10개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
  2. 적도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구체에서,
    구체의 적도를 10등분하는 기준점들을 정하고,
    마주하는 두 개의 기준점을 지나는 5개의 대원들이 극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상 정오각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10개의 기준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상 정오각형의 하나의 꼭지점을 지나는 소원을 형성한 후 소원에서 기준점과 정오각형의 꼭지점 사이의 부분을 소원 분할 선분으로 선택하여서,
    반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정오각형 둘레의 5개의 구상 삼각형과, 상기 구상 삼각형과 꼭지점을 공유하고 밑변이 적도상에 위치하는 5개의 구상 삼각형과, 상기 구상 삼각형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밑변이 적도상에 위하는 5개의 구상 오각형을 형성한 후,
    각 반구체 상에 하나의 구상 정오각형, 5개의 상기 정오각형에 접하는 구상 삼각형, 5개의 상기 적도에 접하는 구상 삼각형 및 상기 5개의 구상 오각형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구상 다각형 내부에 딤플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도의 대원을 제외하고 구체를 분할시켜 주는 결합 선분들은 점 1(위도 0도, 경도 0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2(위도 66.19818538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6(위도 0도, 경도 180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2(위도 0도, 경도 36도), 점 11(위도 39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25(위도 66.19818538도, 경도 306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7(위도 0도, 경도 216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3(위도 0도, 경도 72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7(위도 61.4도, 경도 126도), 점 23(위도 66.19818538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를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14(위도 39도, 경도 234도), 점 8(위도 0도, 경도 252도)을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4(위도 0도, 경도 108도), 점 12(위도 39도, 경도 90도),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6(위도 61.4도, 경도 54도), 점 21(위도 66.19818538도, 경도 18도),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을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 20(위도 61.4도, 경도 342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9(위도 0도, 경도 288도)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 다시 점 5(위도 0도, 경도 144도), 점 13(위도 39도, 경도 162도),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을 연결하는 소원 선분과 점 18(위도 61.4도, 경도 198도), 점 24(위도 66.19818538도, 경도 234도), 점 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을 연결하는 대원 선분, 그리고 점19(위도 61.4도, 경도 270도), 점 15(위도 39도, 경도 306도), 점 10(위도 0도, 경도 324도) 를 연결하는 소원 선분의 세 선분을 결합한 분할선으로 이루어진 구체를 분할할 수 있는 결합 분할선들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들은 하나 이상의 원형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들은 하나 이상의 다각형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들의 크기가 2종류 이상 8종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들의 크기가 2종류 이상 8종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KR1020160046489A 2016-04-15 2016-04-15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KR10164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89A KR101647094B1 (ko) 2016-04-15 2016-04-15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15/342,389 US20170296879A1 (en) 2016-04-15 2016-11-03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s and small circles
US16/103,517 US11058920B2 (en) 2016-04-15 2018-08-14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s and small cir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89A KR101647094B1 (ko) 2016-04-15 2016-04-15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94B1 true KR101647094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89A KR101647094B1 (ko) 2016-04-15 2016-04-15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96879A1 (ko)
KR (1) KR101647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35B1 (ko) * 1991-10-08 1996-04-02 스미도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골프공
KR100360310B1 (ko) * 2000-04-20 2002-11-1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의 딤플 배열
KR100506196B1 (ko) * 2004-02-13 2005-08-0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KR101309993B1 (ko) 2012-04-26 2013-09-24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0168A (en) * 1984-04-27 1985-12-24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JPS6279073A (ja) * 1985-09-30 1987-04-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ル
GB8725685D0 (en) * 1987-11-03 1987-12-09 Dunlop Ltd Golf balls
KR920011014B1 (ko) * 1990-04-04 1992-12-26 주식회사 금호 골프공
US5016887A (en) * 1990-06-05 1991-05-21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US5377989A (en) * 1991-02-19 1995-01-03 Dunlop Limited Golf balls with isodiametrical dimples
KR960016742B1 (ko) * 1994-01-25 1996-12-20 일야실업 주식회사 골프공
JP3546713B2 (ja) * 1998-08-26 2004-07-2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KR101367277B1 (ko) * 2012-04-26 2014-02-26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을 배열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골프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35B1 (ko) * 1991-10-08 1996-04-02 스미도모 고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골프공
KR100360310B1 (ko) * 2000-04-20 2002-11-1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의 딤플 배열
KR100506196B1 (ko) * 2004-02-13 2005-08-0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KR101309993B1 (ko) 2012-04-26 2013-09-24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6879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0974A (en) Tetrahedral dimple pattern golf ball
EP0700695B1 (en) Geodesic icosahedral golf ball dimple pattern
US7927234B2 (en) Golf ball dimple patterns with multiple phyllotactic elements
KR100360310B1 (ko) 골프공의 딤플 배열
JPH01221182A (ja) ゴルフボール
US5092604A (en) Golf ball
WO2006127658A2 (en) Golf ball dimple pattern
KR102023971B1 (ko) 구상 유사 팔면체로 분할된 표면에 딤플이 대칭되게 배열된 골프공
JP2710332B2 (ja) ゴルフボール
JPH03286786A (ja) ゴルフボール
CA2522585A1 (en) Cubic logic toy
CA2075507A1 (en) Golf ball
US10814177B1 (en) Golf ball dimple shape
KR100506196B1 (ko) 골프공
KR101647094B1 (ko) 대원과 소원의 선분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5709618A (en) Golf ball
US20200139196A1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045691B2 (en) Golf ball with dimple pattern arranged in spherical polygons having sides with different lengths
US10532250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195485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40023878A (ko) 비원형 딤플 골프 볼
KR101633869B1 (ko) 소원들로 분할된 표면을 가지는 골프공
KR101810629B1 (ko) 골프공의 구체 표면의 분할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11058920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s and small circles
US5544889A (en)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